KR20180095448A - 마찰 댐핑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 - Google Patents

마찰 댐핑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448A
KR20180095448A KR1020180014897A KR20180014897A KR20180095448A KR 20180095448 A KR20180095448 A KR 20180095448A KR 1020180014897 A KR1020180014897 A KR 1020180014897A KR 20180014897 A KR20180014897 A KR 20180014897A KR 20180095448 A KR20180095448 A KR 2018009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le
friction
mass
rail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엔. 파고 리차드
로버츠 랜디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8009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8Cable weight compens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7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도식적인 예시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는 보상 로프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인장 시브를 포함한다. 인장 매스는 인장 방향으로 시브를 가압하는 웨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장 시브와 결합된다. 레일 구조물은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안내한다. 마찰 댐퍼는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한다.

Description

마찰 댐핑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ELEVATOR ROPE TENSION ASSEMBLY WITH FRICTIONAL DAMPING}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때로는 로핑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 및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의 중량을 지지하는 견인-기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는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로핑 장치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일관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을 달성하기 위해 로핑 장치에 적절한 장력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인장 장치가 개발되었다. 일부 인장 장치는 보상 체인이 포함한다. 다른 것들은 보상 로프를 포함한다. 보상 로프가 있는 시스템의 경우, 보상 로프의 움직임을 안내하고 견인-기반 시스템에서 적절한 장력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보상 시브 및 매스가 포함될 수 있다.
고속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경우, 소위 타이 다운 보상(tie down compensation)을 위한 추가 하드웨어 장치는 카 움직임 중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적 이벤트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 다운 하드웨어를 이용할지라도, 엘리베이터 카는 카에 들어가거나 또는 이로부터 나오는 탑승객에 따라 카에 대한 하중이 변화하면서 랜딩(landing)에서 진동하거나 또는 상하로 튀어 오르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상태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hoistway)를 따라 하부 랜딩 중 하나에 있을 때 심지어 더 발생하기 쉽다. 랜딩에서 이러한 엘리베이터 카 움직임을 줄이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도식적인 예시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는 보상 로프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인장 시브, 인장 방향으로 시브를 가압하는 웨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장 시브와 결합된 인장 매스,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 구조물, 및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는 마찰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의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마찰 댐퍼는 마찰 표면과 정지 표면 사이의 마찰이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정지 표면과 접촉하게 위치된 하나 이상의 마찰 표면을 포함한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정지 표면은 레일 구조물 상에 있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마찰 댐퍼는 암의 제1 단부 근처에서 인장 매스와 연결된 암을 포함하고, 마찰 표면은 암의 제2 대향 단부 근처에서 암 상에 지지된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레일 구조물은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된 레일을 포함하고, 인장 매스는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고, 마찰 댐퍼는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된 레일과 마찰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 상에 지지된다.
카운터웨이트 및 엘리베이터 카를 매다는 엘리베이터 로프에 대한 장력을 제공하는 도식적인 예시 방법은 카운터웨이트 및 엘리베이터 카에 보상 로프를 결합하는 단계; 인장 시브 주위에 보상 로프를 감는 단계; 인장 방향으로 인장 시브를 가압하기 위하여 인장 시브에 인장 매스를 결합하는 단계, 및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기 위해 마찰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기 위해 마찰을 사용하는 단계는 마찰 표면과 정지 표면 사이의 마찰이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정지 표면과 접촉하게 마찰 댐퍼의 마찰 표면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정지 표면은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 구조물 상에 있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마찰 댐퍼는 암의 제1 단부 근처에서 인장 매스와 연결된 암을 포함하고, 마찰 표면은 암의 제2 대향 단부 근처에서 암 상에 지지된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된 레일이 제공되고, 인장 매스는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고,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기 위해 마찰을 사용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된 레일과 마찰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 상에 마찰 표면을 지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도식적인 예시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 카운터웨이트,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결합하는 하중 지지 조립체,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중 지지 조립체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야기하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카 및 카운터웨이트에 결합된 보상 로프, 인장 시브 - 보상 로프는 보상 로프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하여 인장 시브 주위에 감겨짐 - , 인장 방향으로 인장 시브를 가압하는 웨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장 시브와 결합된 인장 매스,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 구조물, 및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는 마찰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의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마찰 댐퍼는 마찰 표면과 정지 표면 사이의 마찰이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지 표면과 접촉하게 위치된 하나 이상의 마찰 표면을 포함한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정지 표면은 레일 구조물 상에 있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마찰 댐퍼는 암의 제1 단부 근처에서 인장 매스와 연결된 암을 포함하고, 마찰 표면은 암의 제2 대향 단부 근처에서 암 상에 지지된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레일 구조물은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된 레일을 포함하고, 인장 매스는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고, 마찰 댐퍼는 하나 이상의 레일과 마찰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 상에 지지된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하중 지지 조립체는 복수의 둥근 로프를 포함한다.
임의의 상기 단락의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예시 실시예에서, 하중 지지 조립체는 복수의 평평한 벨트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개시된 예시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수반되는 도면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로프 인장 조립체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부분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마찰 댐퍼 장치의 선택된 부분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또 다른 마찰 댐퍼 장치의 선택된 특징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엘리베이터 카(22)및 카운터웨이트(24)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하중 지지 조립체(26)는 엘리베이터 카(22)를 카운터웨이트(24)에 결합한다. 로핑 비율 및 구성요소 배치는 단지 예시 및 논의를 위한 것이다. 다양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구성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 지지 조립체(26)는 일부 예시에서 복수의 둥근 스틸 로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에서, 하중 지지 조립체(26)는 복수의 평평한 벨트를 포함한다. 다른 유형의 로핑 장치가 하중 지지 조립체(26)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문헌에 사용된 "로프"라는 용어는 엄격한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로프"는 예를 들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트랙션 시브(30)는 공지된 방식으로 작동하여 하중 지지 조립체(26)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트랙션 시브(30)와 하중 지지 조립체(26) 사이에 적절한 견인력이 존재할 때, 적절한 제어가 엘리베이터 카(22)의 움직임에 대해 유지된다. 도시된 예시는 아이들러 또는 디플렉터 시브(32)를 포함한다. 당업계에 공지된 것과 같이 다양한 로핑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 설명은 논의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당업자는 실질적으로 구현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수의 다른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은 공지된 이유로 보다 일관되고 신뢰성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하중 지지 조립체(26) 상의 적절한 장력을 보장하기 위한 로프 인장 조립체(40)를 포함한다. 로프 인장 조립체(40)는 보상 로프(44)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인장 시브(42)를 포함한다. 이 예시에서, 보상 로프(44)는 엘리베이터 카(22) 및 카운터웨이트(24)에 결합된다. 인장 매스(46)는 인장 방향으로 인장 시브를 가압하기 위해 인장 시브(42)에 결합된다. 도 1의 예시에 따라서, 매스(46)는 보상 로프(44)에 장력을 가하기 위하여 하향 방향으로 인장 시브(42)를 가압하도록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당겨진다.
인장 조립체(40)는 매스(46)의 수직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배향된 레일을 갖는 레일 구조물(48)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매스(46) 및 인장 시브(42)는 보상 로프(44)에 의해 효과적으로 매달린다. 매스(46)는 매스(46) 및 연계 인장 시브(42)의 수직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해 레일 구조물(48)의 수직으로 배향된 레일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레일 가이드(50)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일 가이드는 레일 구조물(48)의 일부로서 포함되고 레일은 매스(46)에 고정된다.
마찰 댐퍼(52)는 인장 매스(46)의 수직 움직임에 마찰 저항하기 위하여 매스(46)와 연계된다. 마찰 댐퍼(52)는 인장 매스(46)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도록 배열된다. 마찰 댐퍼(52)는 양 방향으로(즉, 상향 및 하향) 인장 매스(46)의 수직 움직임에 저항한다.
일부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계된 타이 다운 하드웨어와 상이한 마찰 댐퍼(52)의 일 양태는 타이 다운 하드웨어가 특정 엘리베이터 작동 상태 하에서만 이용된다는 것이다. 마찰 댐퍼(52)는 모든 엘리베이터 작동 상태 하에서 인장 매스(46)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마찰 저항을 가한다. 타이 다운 하드웨어는 전형적으로 단지 동적 이벤트를 해결하는데 유용하며, 전형적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에 있고 카 상에서 변화하는 하중에 응답하여 진동하거나 또는 상하로 튀어 오르는 상황을 해결할 수 없다. 다른 한편, 마찰 댐퍼(52)는 특히 카가 랜딩에 있는 동안 이러한 엘리베이터 카 움직임을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마찰 댐퍼(52)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마찰 댐퍼(52)가 암(54)의 제1 단부(56) 근처에서 인장 매스(46)와 연결되는 암(54)을 포함하는 일 예시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된다. 암(54)의 제2 대향 단부(58)는 이 예시에서 패드(62) 상의 마찰 표면(60)을 포함하는 마찰 부재를 지지한다. 일부 예시에서, 패드(62)는 공지된 브레이크 패드 재료를 포함한다. 암(54) 및 패드(62)는 마찰 표면(60)이 레일 구조물(48)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일부 예시에서, 마찰 표면(60)은 레일 구조물(48)과 분리된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의 고정 표면과 결합된다.
도 3은 인장 매스(46)가 인장 매스(46)의 수직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 구조물(48)의 레일 부분을 따르도록 구성된 연계된 레일 팔로워(rail follower, 66)를 갖는 또 다른 예시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예시에서, 레일 가이드(66)는 레일 구조물(48)의 레일 부분에 대해 수용된 마찰 표면(60)을 갖는 마찰 패드(64)를 지지한다.
예시 구성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마찰 표면(60)은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에서 파킹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모든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 상태 하에서 인장 매스(46)의 수직 움직임에 대해 마찰 저항을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정지되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안정된 또 다른 표면과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비교적 높은 속도로 작동하기 때문에, 코드에 의해 요구되는 경우, 추가 타이 다운 하드웨어가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서의 동적 이벤트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대부분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 상태 동안 인장 매스(46)는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어서 마찰 댐퍼(52)는 임의의 상당한 마모를 유발하지 않고 댐퍼(52)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메커니즘이 필요하지 않다. 대신, 마찰 댐퍼(52)는 임의의 액추에이터 또는 제어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인장 매스(46)의 수직 움직임에 저항하도록 연속적으로 작동한다.
예시 로프 인장 조립체는 이와는 달리 랜딩에서의 엘리베이터 로핑 처짐 및 원하지 않은 카 움직임과 연계된 문제점에 대한 정적이고, 저렴하고, 신뢰성 있는 해결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예시적이고 도식적인 것이다. 개시된 예시 실시예에 대한 변형 및 수정은 반드시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된 보호의 범위는 단지 다음의 청구 범위를 연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7)

  1.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로서:
    보상 로프의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인장 시브;
    인장 방향으로 시브를 가압하는 웨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장 시브와 결합된 인장 매스;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 구조물; 및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는 마찰 댐퍼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마찰 댐퍼는 마찰 표면과 정지 표면 사이의 마찰이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정지 표면과 접촉하게 위치된 하나 이상의 마찰 표면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정지 표면은 레일 구조물 상에 있는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마찰 댐퍼는 암의 제1 단부 근처에서 인장 매스와 연결된 암을 포함하고;
    마찰 표면은 암의 제2 대향 단부 근처에서 암 상에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레일 구조물은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된 레일을 포함하고;
    인장 매스는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고;
    마찰 댐퍼는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된 레일과 마찰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
  6. 카운터웨이트 및 엘리베이터 카를 매다는 엘리베이터 로프에 대한 장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카운터웨이트 및 엘리베이터 카에 보상 로프를 결합하는 단계;
    인장 시브 주위에 보상 로프를 감는 단계;
    인장 방향으로 인장 시브를 가압하기 위하여 인장 시브에 인장 매스를 결합하는 단계; 및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기 위해 마찰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기 위해 마찰을 사용하는 단계는 마찰 표면과 정지 표면 사이의 마찰이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정지 표면과 접촉하게 마찰 댐퍼의 마찰 표면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정지 표면은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 구조물 상에 있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마찰 댐퍼는 암의 제1 단부 근처에서 인장 매스와 연결된 암을 포함하고;
    마찰 표면은 암의 제2 대향 단부 근처에서 암 상에 지지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된 레일이 제공되고;
    인장 매스는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고;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기 위해 마찰을 사용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된 레일과 마찰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 상에 마찰 표면을 지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카;
    카운터웨이트;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결합하는 하중 지지 조립체;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하중 지지 조립체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야기하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카 및 카운터웨이트에 결합된 보상 로프;
    인장 시브 - 보상 로프는 보상 로프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하여 인장 시브 주위에 감겨짐;
    인장 방향으로 인장 시브를 가압하는 웨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장 시브와 결합된 인장 매스;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 구조물; 및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연속적으로 저항하는 마찰 댐퍼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마찰 댐퍼는 마찰 표면과 정지 표면 사이의 마찰이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지 표면과 접촉하게 위치된 하나 이상의 마찰 표면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정지 표면은 레일 구조물 상에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마찰 댐퍼는 암의 제1 단부 근처에서 인장 매스와 연결된 암을 포함하고;
    마찰 표면은 암의 제2 대향 단부 근처에서 암 상에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레일 구조물은 인장 매스의 수직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 배향된 레일을 포함하고;
    인장 매스는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를 포함하고;
    마찰 댐퍼는 하나 이상의 레일과 마찰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레일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하중 지지 조립체는 복수의 둥근 로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하중 지지 조립체는 복수의 평평한 벨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180014897A 2017-02-17 2018-02-07 마찰 댐핑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 KR201800954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35,872 2017-02-17
US15/435,872 US20180237265A1 (en) 2017-02-17 2017-02-17 Elevator rope tension assembly with frictional dam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448A true KR20180095448A (ko) 2018-08-27

Family

ID=6124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897A KR20180095448A (ko) 2017-02-17 2018-02-07 마찰 댐핑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237265A1 (ko)
EP (1) EP3372548A1 (ko)
KR (1) KR20180095448A (ko)
CN (1) CN1084554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5081B (zh) * 2017-01-10 2021-08-03 奥的斯电梯公司 升降机轿厢的稳定装置及其控制方法、升降机系统
US11524872B2 (en) * 2020-04-22 2022-12-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ensation assembly monitor
CN112723088A (zh) * 2020-12-03 2021-04-30 安徽中旭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升降机对重制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2871U (ko) * 1973-10-16 1975-06-07
JPS601778U (ja) * 1983-06-17 1985-01-08 フジテツク株式会社 エレベ−タ用つり合ロ−プの張り車
JP2760676B2 (ja) * 1991-07-23 1998-06-04 株式会社東芝 高速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55407A (zh) 2018-08-28
US20180237265A1 (en) 2018-08-23
EP3372548A1 (en)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299B2 (en) Elevator with compensating device
JP5161563B2 (ja) エレベータ
KR101552758B1 (ko) 엘리베이터의 텐셔닝 쉬브장치
US9321610B2 (en) Frictional damper for reducing elevator car movement
CN101100259B (zh) 电梯限速器装置的张紧器
KR20010007506A (ko) 수직 컨베이어의 하중 운반수단이 수직 변위 및 수직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50166304A1 (en) Elevator rope sway mitigation
KR20180095448A (ko) 마찰 댐핑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로프 인장 조립체
JP4351211B2 (ja) 緩衝懸架装置
EP1460021A1 (en) Elevator device
JPS5841275B2 (ja) ケンインクドウソウチ
US9764927B2 (en) Elevator
JP49922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MXPA05005630A (es) Dispositivo autocentrante para cables o cadenas de compensacion de un ascensor.
JP6678814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060243540A1 (en) Elevator
WO2011037557A1 (en) Elevator governor tension device
US20190002242A1 (en) Multiple leaders for load bearing member sway reduction
JPWO20150156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7465315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の据付方法
CN105621190A (zh) 电梯的安全装置
JP2619060B2 (ja) エレベータ
KR20180110770A (ko) 승강기 안전장치의 일면 쇄기식 점차 비상정지장치
JP2020066487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エレベータ
KR20050123146A (ko) 이동 평형추가 없는 승강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