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412A -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 - Google Patents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412A
KR20180095412A KR1020170021898A KR20170021898A KR20180095412A KR 20180095412 A KR20180095412 A KR 20180095412A KR 1020170021898 A KR1020170021898 A KR 1020170021898A KR 20170021898 A KR20170021898 A KR 20170021898A KR 20180095412 A KR20180095412 A KR 20180095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egg
substrate
stopp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혁
Original Assignee
전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혁 filed Critical 전종혁
Priority to KR102017002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5412A/ko
Publication of KR2018009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일 측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그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 상기 기판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이 맞물리는 회전 기어를 갖춘 회전 판; 상기 회전 판을 에워싸며 상기 기판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컵을 안내하는 가드레일; 일 측은 상기 회전 판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가드레일의 원주방향에 위치되며 가드레일을 따라 컵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핑거;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이 가드레일을 따라 이송 후 정지되는 원반 테이블이 구비된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핑거와 인접한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구비되며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브라켓; 상기 원반 테이블과 인접한 상기 기판에 축설되며 일 측은 이동된 상기 계란이 담긴 컵의 원주 면을 지지하고 타 측은 상기 브라켓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컵 스토퍼; 상기 컵 스토퍼의 일 측 하방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ON 되거나 OFF 되며 작동봉을 돌출 및 출몰시키는 솔레노이드; 일 측은 상기 작동봉과 연결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컵 스토퍼의 타 측을 지지하는 가이드 스토퍼; 상기 컵 스토퍼와 인접한 상기 기판에 축설되며 일단 부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 부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와 탄력 지지되는 스프링;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핑거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정, 역회전 시키는 제1,2 센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a cup in an egg stop apparatus for an automat for an egg cooking}
본 발명은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의 상측으로 이동될 때 계란이 담긴 컵을 이송시키는 핑거의 원심력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의 무게에 의해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의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고 원반 테이블의 중심에서 정지되도록 한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계란요리 자동판매기는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에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면 내부에서 날계란이 투하된 후 가열장치에 의해 완숙 또는 반숙으로 익혀진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기기이다.
도 1에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표현을 생략한 내부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즉,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는 다수의 계란이 적재되는 계란 적재함(200)과, 다수의 컵이 적재되는 컵 적재함과, 컵 적재함으로부터 이송된 컵의 내부로 계란 껍데기를 파쇄한 후 내용물을 투하시키는 계란 파쇄부(300)와, 계란 내용물이 담긴 컵을 가드레일을 따라 이송시킨 후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계란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 외부를 경계 및 공유하는 도어로 크게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로 소정의 금액이 투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도면표현을 생략한 컵 적재함에 적재된 컵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 컵이 투하되고, 투하된 컵은 설정된 위치에 멈추게 되면 계란 적재함에서 공급된 계란이 컵의 상측에 위치되고 동시에 계란 파쇄부가 동작하며 계란 껍데기를 파쇄한 후 내용물만 컵의 내부로 투하시킨다.
상기와 같이 계란이 투하되면 컵은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된 후 마그네트론으로 이루어진 가열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가열되며 계란을 익히게 되고 익혀진 계란은 소비자에 의해 개방된 도어를 통하여 반출하는데 도 2에는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동작 사이클을 보이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처음,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금전투입구로 설정된 금액이 투입되면 자동판매기가 동작하며 컵 적재함에 적재된 컵(100)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 컵(100)을 도면상 "A" 위치에 투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하된 컵(100)은 "A" 위치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110)를 동작시키며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일련의 동작이 진행된다.
즉, 리미트 스위치(100)의 동작에 의해 기판(120)에 설치된 구동모터(130)가 구동하며 그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131)가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131)는 기판(120)에 축 고정되며 구동기어(131)와 이 맞물린 회전기어(140)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기어(140)는 그 상측에 고정 설치된 핑거(150)를 회전시킨다.
상기 핑거(150)는 상기 회전기어(140)와 함께 단속적으로 회전하며 그 상측에 고정설치된 핑거(150)가 컵(100)의 한쪽 원주 면을 감싼 상태에서 선회하며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가드레일(160)을 따라 컵(100)을 이송시킨 후 도면상 "B"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상기 "B" 위치에서 컵(100)이 정지되면 상기 계란 적재함(200)에 적재된 계란 중 가장 하단에 위치된 계란이 도면 표현을 생략한 계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계란 파쇄부(300)는 이송된 계란의 양측에 억지로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껍질을 깨뜨려 계란의 내용물만 "B" 위치에 정지된 컵(100)에 투하시킨다.
상기와 같이 "B" 위치에 정지된 컵(100)으로 계란이 투하되면 다시 상기 구동모터(130)가 단속적으로 구동하며 상기 가드레일(160)을 따라 계란이 투입된 컵(100)을 "C" 위치에 배치된 원반 테이블(170)의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C" 위치로 이송된 컵(100)은 원반 테이블(170)이 리프트 장치에 의해 그 상방에 설치된 가열부로 계란이 담긴 컵을 승강시키고 가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이 셋팅된 시간 동안 구동하며 컵에 담긴 계란을 반숙 내지 완숙으로 조리하고 셋팅된 시간이 완료되면 다시 리프트 장치는 역회전하며 계란 요리가 완료된 컵이 놓인 원반 테이블(170)을 "C" 위치로 하강시킨다.
연속해서 상기 구동모터(130)가 구동하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핑거(150)를 회전시켜 계란요리가 완료된 컵(100)을 "D" 위치로 이동시키며 투출구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의 동작은 도면 표현이 생략된 제어부에서 미리 프로그래밍 된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 및 동작되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동작과 다른 경로를 통해 소금 또는 토마토 캐첩과 같은 양념이 담긴 포장물과 포크 또는 스푼을 공급받아 계란 요리를 섭취하게 된다.
한편, 상술했던 바와 같이,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특히 상기 "C" 위치에 설치된 원반 테이블(170)의 상측으로 계란이 담긴 컵(100)이 이동 후 정지되면 도면 표현을 생략한 리프트 장치에 의해 원반 테이블(170)이 그 상측에 설치된 가열부로 이동되고, 가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이 셋팅된 시간 동안 구동하며 컵에 담긴 계란을 반숙 내지 완숙으로 조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진행하는 동안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핑거(150)에 의해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170)의 상측으로 이동될 때 핑거(150)의 원심력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의 무게에 의해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170)의 중심에 위치되지 않고 그 중심 밖으로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원반 테이블(170)이 계란이 담긴 컵을 원반 테이블(170)의 중심에서 안정되게 지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가열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 중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170)과 함께 상측으로 승강하지 못하고 원반 테이블(170)이 위치되어 있던 "C" 위치로 낙하하며 내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170)의 중심을 벗어나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가열부를 향하여 이동할 경우 가열부의 가열 영역을 벗어나 계란의 한 부분은 충분히 익는 반면 다른 부분은 덜 익게 되므로 소비자가 원하는 계란 요리를 즐길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계란 요리의 반숙 내지 완숙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의 기호에 부응하는 반숙 또는 완숙된 계란 요리를 제대로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불만을 초래하며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KR 20-0149642 Y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의 상측으로 이동될 때 계란이 담긴 컵을 이송시키는 핑거의 원심력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의 무게에 의해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의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고 원반 테이블의 중심에서 정지되도록 한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반 테이블의 중앙 부분에 계란이 담긴 컵이 안정되게 정지한 상태에서 가열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계란 컵 정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의 중앙 부분에 정지한 상태에서 가열부를 향하여 이동토록 함으로써 가열부에서 컵에 담긴 계란을 골고루 익혀 소비자가 원하는 반숙, 완숙의 계란 요리를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일 측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그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 상기 기판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이 맞물리는 회전 기어를 갖춘 회전 판; 상기 회전 판을 에워싸며 상기 기판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컵을 안내하는 가드레일; 일 측은 상기 회전 판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가드레일의 원주방향에 위치되며 가드레일을 따라 컵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핑거;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이 가드레일을 따라 이송 후 정지되는 원반 테이블이 구비된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핑거와 인접한 상기 회전 판의 하측에 구비되며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브라켓; 상기 원반 테이블과 인접한 상기 기판에 축설되며 일 측은 이동된 상기 계란이 담긴 컵의 원주 면을 지지하고 타 측은 상기 브라켓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컵 스토퍼; 상기 컵 스토퍼의 일 측 하방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ON 되거나 OFF 되며 작동봉을 돌출 및 출몰시키는 솔레노이드; 일 측은 상기 작동봉과 연결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컵 스토퍼의 타 측을 지지하는 가이드 스토퍼; 상기 컵 스토퍼와 인접한 상기 기판에 축설되며 일단 부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 부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와 탄력 지지되는 스프링;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핑거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정, 역회전시키는 제1,2 센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의 상측으로 이동될 때 계란이 담긴 컵을 이송시키는 핑거의 원심력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의 무게에 의해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의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고 원반 테이블의 중심에서 정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열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계란요리 자동판매기 내부의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의 중앙 부분에 정지한 상태에서 가열부를 향하여 이동토록 함으로써 가열부에서 컵에 담긴 계란을 골고루 익혀 소비자가 원하는 반숙, 완숙의 계란 요리를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케이스를 생략한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컵이 이송되는 경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컵이 이송되는 경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에 정지된 상태를 요부사시도와 함께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계란 요리가 완료된 컵을 이송시키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컵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계란이 담긴 컵이 원반 테이블에 정지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계란 요리가 완료된 컵을 이송시키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는 기판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10)에는 도면 표현을 생략한 다수의 기계, 전자 그리고 전기 부품이 장착되고 그 일 측에는 구동모터(20)와 그 축에 구동기어(21)가 설치된다.
상기 기판(10)의 중앙에는 상기 구동기어(21)와 이 맞물리며 회전하는 회전기어(31)를 갖춘 회전 판(3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판(30)을 에워싸며 상기 기판(10)의 원주방향으로는 컵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C)을 안내하는 가드레일(40)이 구비된다.
또 일 측은 상기 회전 판(3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가드레일(40)의 원주방향에 위치되며 가드레일(40)을 따라 컵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핑거(50)가 구비되며, 계란이 담긴 컵(C)의 이송 경로인 상기 가드레일(40)의 적소, 즉,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가열부의 위치에는 계란이 담긴 컵(C)이 이송 후 정지되는 원반 테이블(60)이 구비되는데 이들 구성은 종래의 기술에서 상세히 설명했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특징부는, 상기 핑거(50)와 인접한 상기 회전 판(30)의 하측에는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브라켓(70)이 구비되며 상기 원반 테이블(60)과 인접한 상기 기판(10)에는 일 측은 이동된 상기 계란이 담긴 컵의 원주면을 지지하고 타 측은 상기 브라켓(70)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컵 스토퍼(80)가 축설된다는 점이다.
또 상기 컵 스토퍼(80)의 일 측 하방에는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ON 되거나 OFF 되며 작동봉(91)을 돌출 및 출몰시키는 솔레노이드(90)가 구비되고, 일 측은 상기 작동봉(91)과 연결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기판(10)을 관통하여 상기 컵 스토퍼(80)의 타 측을 지지하는 가이드 스토퍼(100)가 구비되며, 상기 컵 스토퍼(80)와 인접한 상기 기판(10)에는 일단 부는 상기 기판(10)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 부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80)와 탄력 지지되는 스프링(110)이 더 구비된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도 상세히 설명했던 바와 같이,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처음 컵(미도시)이 투하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L)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 모터(20)를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 모터(20)의 축에 설치된 구동 기어(21)가 회전하며 구동 기어(21)와 이 맞물린 회전기어(31)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판(30)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30)에 고정 설치된 상기 핑거(50)가 회전하며 계란이 투하된 컵의 원주 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가드레일(40)을 따라 이송시킨 후 컵 스토퍼(80)가 대기하고 있는 상기 원반 테이블(60)로 보낸다.
이때 상기 컵 스토퍼(80)의 타 측은 상기 솔레노이드(90)가 오프된 상태이므로 상기 브라켓(70)과 상기 가이드 스토퍼(100)의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된 계란이 담긴 컵을 상기 원반 테이블(60)의 중앙 부분에 안정되게 정지시킨다.
동시에 상기 제2 센서(130)는 상기와 같이 핑거(50)가 그 상측에 위치된 것을 감지하여, 즉, 핑거(50)에 의해 계란이 담긴 컵을 상기 원반 테이블(60)의 상측에 이송시킨 상태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90)를 동작시켜 상기 브라켓(70)을 기판의 하측으로 잡아당기고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1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컵 스토퍼(80)는 상기 원반 테이블(60)의 밖으로 벗어나게 되고 상기 구동 모터(20)와 상기 구동 기어(21)가 역회전하며 상기 회전판(30)을 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판(30)의 하측에 구비된 브라켓(70)이 상기 컵 스토퍼(80)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원반 테이블(60)과 상기 가드레일(40)을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에서 계란 요리가 완료되면 상기 원반 테이블(60)은 최초의 위치로 하강하고 상기 구동 모터(20)는 다시 정 회전하며 상기 계란 요리가 완료된 컵을 투출구를 향하여 투출시킨다.
물론, 계란 요리가 완료된 컵을 투출구로 투출시킨 후 상기 구동 모터(20)와 상기 솔레노이드(90)는 상기의 동작을 역순으로 진행하며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기판 20 ; 구동 모터
21 ; 구동 기어 30 ; 회전판
31 ; 회전 기어 40 ; 가드 레일
50 ; 핑거 60 ; 원반 테이블
70 ; 브라켓 80 ; 컵 스토퍼
90 ; 솔레노이드 100 ; 가이드 스토퍼
110 ; 브라켓 120, 130 ; 제1,2 센서

Claims (1)

  1.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일 측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그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
    상기 기판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이 맞물리는 회전 기어를 갖춘 회전 판;
    상기 회전 판을 에워싸며 상기 기판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컵을 안내하는 가드레일;
    일 측은 상기 회전 판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가드레일의 원주방향에 위치되며 가드레일을 따라 컵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핑거; 그리고
    계란이 담긴 컵이 가드레일을 따라 이송 후 정지되는 원반 테이블이 구비된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핑거와 인접한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구비되며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브라켓;
    상기 원반 테이블과 인접한 상기 기판에 축설되며 일 측은 이동된 상기 계란이 담긴 컵의 원주 면을 지지하고 타 측은 상기 브라켓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컵 스토퍼;
    상기 컵 스토퍼의 일 측 하방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ON 되거나 OFF 되며 작동봉을 돌출 및 출몰시키는 솔레노이드;
    일 측은 상기 작동봉과 연결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컵 스토퍼의 타 측을 지지하는 가이드 스토퍼;
    상기 컵 스토퍼와 인접한 상기 기판에 축설되며 일단 부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다른 끝단 부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와 탄력 지지되는 스프링;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핑거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정, 역회전시키는 제1,2 센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
KR1020170021898A 2017-02-17 2017-02-17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 KR20180095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898A KR20180095412A (ko) 2017-02-17 2017-02-17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898A KR20180095412A (ko) 2017-02-17 2017-02-17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412A true KR20180095412A (ko) 2018-08-27

Family

ID=6345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898A KR20180095412A (ko) 2017-02-17 2017-02-17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54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642Y1 (ko) 1995-10-26 1999-06-15 김종구 계란자동판매기의 계란껍질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642Y1 (ko) 1995-10-26 1999-06-15 김종구 계란자동판매기의 계란껍질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5018B2 (en) Automatic meal serving system
CA2327225C (en) Vending apparatus for dispensing hot pizzas
CN104323698B (zh) 一种自助式鲜榨果汁机自动落杯压盖装置
KR200282531Y1 (ko) 컵라면 자동판매기의 컵라면 이송트레이
WO2011016164A1 (ja) 自動販売機一体型テーブル
KR101389538B1 (ko)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
USRE23103E (en) Product vending machine
KR20180095412A (ko)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
EP1119831B1 (en) Hot food vending machines
JP2021121305A (ja) 食材自動供給ユニット、食材自動供給方法及び調理システム
KR20180089237A (ko)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컵 스토퍼
KR20110004638A (ko) 구이류 식품 자동판매기
KR101341528B1 (ko) 식품 자판기
KR101854043B1 (ko) 식품 자동판매 및 조리장치
WO2018095896A1 (en) Dispenser for continuously feeding frying machines
KR20180090500A (ko)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무게 측정장치
KR102038288B1 (ko)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CN209879632U (zh) 智能售卖装置
JP2003529824A (ja) 自動販売機
JPH07334753A (ja) 電子レンジ内蔵の自動販売機
KR20180089236A (ko)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
KR20230067858A (ko)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컵 정지장치
JP4003701B2 (ja) 飲料供給機のカップ搬送装置
JP3189831U (ja) 自動販売機一体型テーブル
JPH06348949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