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236A -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236A
KR20180089236A KR1020170014099A KR20170014099A KR20180089236A KR 20180089236 A KR20180089236 A KR 20180089236A KR 1020170014099 A KR1020170014099 A KR 1020170014099A KR 20170014099 A KR20170014099 A KR 20170014099A KR 20180089236 A KR20180089236 A KR 20180089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crushing
unit
cup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혁
Original Assignee
전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혁 filed Critical 전종혁
Priority to KR102017001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236A/ko
Publication of KR20180089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송된 계란의 양측을 맞물어 계란 껍데기를 양분하여 분쇄하는 계란 파쇄부; 상기 계란 파쇄부의 일 측에 해당하는 기판에 구비되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파쇄 동작부; 상기 계란 파쇄부의 중앙부 전면에 구비된 축 지지체; 상기 축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축의 회전 및 역회전시 함께 회전 및 역회전하는 절단 칼; 및 한쪽 끝단 부는 상기 파쇄 동작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절단 칼에 연결되어 파쇄 동작부의 동력을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절단 칼에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컵 내측에 정확히 계란을 투하하고 계란 껍데기가 컵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cracking apparatus for egg of an automat for an egg cooking}
본 발명은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계란을 파쇄하는 계란 파쇄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계란의 장축방향 중앙부를 정확히 깨트려 컵의 내측으로 계란을 정확하게 투하시킴으로써 계란의 내용물이 컵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파쇄된 계란껍데기가 컵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계란요리 자동판매기는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에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면 내부에서 날계란이 투하된 후 가열장치에 의해 완숙 또는 반숙으로 익혀진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기기이다.
도 1에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표현을 생략한 내부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즉,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는 다수의 계란이 적재되는 계란 적재함(200)과, 다수의 컵이 적재되는 컵 적재함과, 컵 적재함으로부터 이송된 컵의 내부로 계란 껍데기를 파쇄한 후 내용물을 투하시키는 계란 파쇄부(300)와, 계란 내용물이 담긴 컵을 가드레일을 따라 이송시킨 후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계란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 외부를 경계 및 공유하는 도어로 크게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로 소정의 금액이 투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도면표현을 생략한 컵 적재함에 적재된 컵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 컵이 투하되고, 투하된 컵은 설정된 위치에 멈추게 되면 계란 적재함에서 공급된 계란이 컵의 상측에 위치되고 동시에 계란 파쇄부가 동작하며 계란 껍데기를 파쇄한 후 내용물만 컵의 내부로 투하시킨다.
상기와 같이 계란이 투하되면 컵은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된 후 마그네트론으로 이루어진 가열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가열되며 계란을 익히게 되고 익혀진 계란은 소비자에 의해 개방된 도어를 통하여 반출하는데 도 2에는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동작 사이클을 보이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처음,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금전투입구로 설정된 금액이 투입되면 자동판매기가 동작하며 컵 적재함에 적재된 컵(100)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 컵(100)을 도면상 "A" 위치에 투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하된 컵(100)은 "A" 위치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110)를 동작시키며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일련의 동작이 진행된다.
즉, 리미트 스위치(100)의 동작에 의해 기판(120)에 설치된 구동모터(130)가 구동하며 그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131)가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131)는 기판(120)에 축 고정되며 구동기어(131)와 이 맞물린 회전기어(140)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기어(140)는 그 상측에 고정 설치된 핑거(150)를 회전시킨다.
상기 핑거(150)는 상기 회전기어(140)와 함께 단속적으로 회전하며 그 상측에 고정설치된 핑거(150)가 컵(100)의 한쪽 원주 면을 감싼 상태에서 선회하며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가드레일(160)을 따라 컵(100)을 이송시킨 후 도면상 "B"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상기 "B" 위치에서 컵(100)이 정지되면 상기 계란 적재함(200)에 적재된 계란 중 가장 하단에 위치된 계란이 도면 표현을 생략한 계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계란 파쇄부(300)는 이송된 계란의 양측을 억지로 끼운 상태에서 껍질을 깨뜨려 계란의 내용물만 "B" 위치에 정지된 컵(100)에 투하시킨다.
상기와 같이 "B" 위치에 계란이 투하되면 다시 상기 구동모터(130)가 단속적으로 구동하며 상기 가드레일(160)을 따라 계란이 투입된 컵(100)을 "C" 위치에 배치된 테이블(미도시)의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C" 위치로 이송된 컵(100)은 도면 표현을 생략한 테이블이 리프트 장치에 의해 상측에 설치된 가열부로 이동되고 가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론이 셋팅된 시간 동안 구동하며 컵에 담긴 계란을 반숙 내지 완숙으로 조리하고 셋팅된 시간이 완료되면 다시 리프트 장치는 역회전하며 계란 요리가 완료된 컵이 놓인 테이블을 "C" 위치로 하강시킨다.
연속해서 상기 구동모터(130)가 구동하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핑거(150)를 회전시켜 계란요리가 완료된 컵(100)을 "D" 위치로 이동시키며 투출구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의 동작은 도면 표현이 생략된 제어부에서 미리 프로그래밍 된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 및 동작되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동작과 다른 경로를 통해 소금 또는 토마토 캐첩과 같은 양념이 담긴 포장물과 포크 또는 스푼을 공급받아 계란 요리를 섭취하게 된다.
상기 계란 파쇄부(300)는 도 3의 A 내지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310)와, 상기 구동모터(310)와 이 맞물려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연동기어(320)와, 상기 연동기어(320)와 이 맞물려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330)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330)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기어(330)가 정, 역회전할 때 계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계란의 양측을 홀딩하는 한 쌍의 계란 홀더(340)로 구성된다.
상기 계란 홀더(340)의 내측에는 계란의 양측을 향해 오므라들며 억지로 홀딩하고 또 벌어지며 계란을 파쇄하도록 다수의 돌기(34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계란 적재함(200)에 적재된 계란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 계란이 별도의 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계란 파쇄부(300)의 중앙을 향하여 도 3의 A와 같이 이송되면 상기 구동모터(310)가 일 방향으로 구동하며 상기 연동기어(320)와 상기 종동기어(330)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종동기어(330)에 설치된 한 쌍의 계란 홀더(340)가 계란의 양측을 향해 오므라들며 도 3의 B와 같이 계란을 홀딩하고, 홀딩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모터(310)가 타 방향으로 구동하며 상기 연동기어(320)와 상기 종동기어(330)를 역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종동기어(330)에 설치된 한 쌍의 계란 홀더(340)가 도 3의 C와 같이 계란의 양측을 협지한 상태에서 벌어지며 계란 껍데기를 깨트려 그 하측에 배치된 컵에 투하하는 것이다.
물론, 계란 홀더(340)에 끼워진 계란 껍데기는 계란이 투하된 컵이 다른 경로를 통해 다음 동작을 위해 이송 후 별도의 경로를 통해 투하, 수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특히 계란 파쇄부(300)가 계란 껍데기를 깨트리는 일련의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홀더(340)가 오므라들며 계란의 양측을 협지한 상태에서 다시 계란에 압력을 가하며 계란의 양측으로 벌어지며 계란 껍데기를 파쇄하며 그 하측에 위치된 컵에 계란을 투하시킬 때 계란 껍데기가 컵의 내측으로 함께 투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완성된 계란 요리에 계란 껍데기가 유입되는 비 위생적인 문제점과, 자동 판매기의 내부가 계란의 내용물에 의해 오염되는 청결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계란의 장축 방향의 중간 부분이 정확하게 파쇄되어야만 그 하측에 위치된 컵에 계란이 투하되는데 계란의 중간 부분이 정확히 파쇄되지 않고 어느 일 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파쇄될 경우 계란의 내용물이 컵의 가장자리로 떨어지거나 컵의 내측으로 계란 껍데기가 투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은 계란 파쇄부의 홀더가 오므라들며 계란의 양측을 억지로 협지한 후 홀더가 계란의 양측에 압력을 가하며 양측으로 벌어지며 계란을 파쇄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에 기인한다.
KR 20-0149642 Y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계란을 파쇄하는 계란 파쇄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계란의 장축방향 중앙부를 정확히 깨트려 컵으로 투하되는 계란의 내용물이 컵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계란을 파쇄하는 계란 파쇄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계란의 장축방향 중앙부를 정확히 깨트려 컵으로 계란의 내용물이 투하될 때 컵의 내측으로 계란 껍데기가 투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송된 계란의 양측을 맞물어 계란 껍데기를 양분하여 분쇄하는 계란 파쇄부; 상기 계란 파쇄부의 일 측에 해당하는 기판에 구비되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파쇄 동작부; 상기 계란 파쇄부의 중앙부 전면에 구비된 축 지지체; 상기 축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축의 회전 및 역회전시 함께 회전 및 역회전하는 절단 칼; 및 한쪽 끝단 부는 상기 파쇄 동작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절단 칼에 연결되어 파쇄 동작부의 동력을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절단 칼에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껍데기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파쇄 동작부는 솔레노이드밸브, 전자석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절단 칼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축 지지체와 상기 파쇄 동작부가 설치된 기판의 적소에는 상기 와이어를 경유시키며 와이어의 팽팽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와이어 안내 축이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계란을 파쇄하는 계란 파쇄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계란의 장축방향 중앙부를 정확히 깨트려 컵으로 투하되는 계란의 내용물이 컵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계란요리 자동판매기 내부 환경의 청결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계란을 파쇄하는 계란 파쇄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계란의 장축방향 중앙부를 정확히 깨트려 컵으로 계란의 내용물이 투하될 때 컵의 내측으로 계란 껍데기가 투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깔끔한 계란 요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케이스를 생략한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컵이 이송되는 경로를 보인 평면도
도 3의 A 내지 C는 종래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계란 파쇄부의 동작을 보인 정면도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계란 파쇄부의 동작을 보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에서 계란 파쇄부의 동작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는 기판(10)이 설치되며, 상기 기판(10)에는 이송된 계란의 양측을 맞물어 계란 껍데기를 양분하여 분쇄하는 계란 파쇄부(20)가 설치된다.
상기 계란 파쇄부(20)는 종래의 기술에서 상세히 설명했던 바와 같이,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와 이 맞물려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연동기어(22)와, 상기 연동기어(22)와 이 맞물려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23)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23)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기어(23)가 정, 역회전할 때 계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계란의 양측을 홀딩하는 한 쌍의 계란 홀더(24)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부는, 상기 계란 파쇄부(20)의 일 측에 해당하는 기판(10)에는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파쇄 동작부(31)가 구비되고, 상기 계란 파쇄부(20)의 중앙부 전면에는 축 지지체(32)가 구비되며, 상기 축 지지체(32)에는 회전축(33)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는 점이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상기 파쇄 동작부(31)는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전자석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3)은 도면 표현이 생략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33)의 중앙에는 회전축(33)과 함께 정, 역회전하는 절단 칼(3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파쇄 동작부(31)와 상기 회전축(33) 또는 상기 절단 칼(34)은 와이어(35)에 의해 연결되어 파쇄 동작부(31)의 동작이 와이어(35)를 통해 상기 회전축(33)을 회전시켜 절단 칼(34)을 동작시키거나, 상기 와이어(35)가 상기 절단 칼(34)과 연결되어 파쇄 동작부(31)의 동작이 와이어(35)를 통해 상기 절단 칼(34)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절단 칼(34)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축 지지체(32)와 상기 파쇄 동작부(31)가 설치된 기판(10)의 적소에는 상기 와이어(35)가 경유되며 팽팽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와이어 안내 축(36)이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했던 바와 같이, 처음에 계란 적재함에 적재된 계란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 계란이 별도의 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계란 파쇄부(20)의 중앙을 향하여 도 4의 A와 같이 이송되면 상기 구동모터(21)가 일 방향으로 구동하며 상기 연동기어(22)와 상기 종동기어(23)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종동기어(23)에 설치된 한 쌍의 계란 홀더(24)가 계란의 양측을 향해 오므라들며 도 4의 B와 같이 계란을 홀딩한다.
상기와 같이 계란의 홀딩이 완료되면 도면 표현을 생략한 제어부에 의해 미리 프로그램된 동작에 의해 상기 파쇄 동작부(31)가 순간적으로 동작하며 동작부(31)와 연결된 와이어(35)를 당기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35)는 파쇄 동작부(31)가 당긴 거리만큼 당겨지며 와이어(35)의 한쪽 끝단 부에 연결된 회전축(33) 또는 절단 칼(34)을 당기며 홀더(24)의 사이, 즉, 계란의 장축방향 양측을 맞물은 홀더(24)와 홀더(24) 사이를 타격하여 계란을 깨트리게 된다.
동시에 계란 파쇄부(20)의 구동모터(21)는 역회전으로 구동하며 그 구동력을 상기 연동기어(22)와 종동기어(23) 그리고 홀더(20)로 전달하여 계란을 양분하게 된다.
따라서, 양분된 계란껍데기의 사이로 계란이 투하되며 그 하방에 배치된 미도시한 컵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다음 경로로 이동되는 것이다.
물론, 계란 홀더(24)에 끼워진 계란 껍데기는 계란이 투하된 컵이 다음 동작을 위해 다른 경로를 통해 이송된 후 별도의 경로를 통해 투하, 수거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파쇄 동작부(31) 그리고 절단 칼(34)에 의해 계란의 장축 방향 중간 부분을 정확하게 파쇄하므로 그 하측에 위치된 컵의 내측으로 계란을 정확하게 투하시키므로 계란의 중간 부분이 정확히 파쇄되지 않고 어느 일 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파쇄되어 계란의 내용물이 컵의 가장자리로 떨어지거나 컵의 내측으로 계란 껍데기가 투하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은 적극적으로 해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기판 20 ; 계란 파쇄부
21 ; 구동모터 22 ; 연동 기어
23 ; 종동 기어 31 ; 파쇄 동작부
32 ; 축 지지체 33 ; 회전축
34 ; 절단 칼 35 ; 와이어
36 ; 와이어 안내축

Claims (3)

  1.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송된 계란의 양측을 맞물어 계란 껍데기를 양분하여 분쇄하는 계란 파쇄부;
    상기 계란 파쇄부의 일 측에 해당하는 기판에 구비되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파쇄 동작부;
    상기 계란 파쇄부의 중앙부 전면에 구비된 축 지지체;
    상기 축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축의 회전 및 역회전시 함께 회전 및 역회전하는 절단 칼; 및
    한쪽 끝단 부는 상기 파쇄 동작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절단 칼에 연결되어 파쇄 동작부의 동력을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절단 칼에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껍데기 파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 동작부는 솔레노이드밸브, 전자석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껍데기 파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 칼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축 지지체와 상기 파쇄 동작부가 설치된 기판의 적소에는 상기 와이어를 경유시키며 와이어의 팽팽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와이어 안내 축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껍데기 파쇄장치.


KR1020170014099A 2017-01-31 2017-01-31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 KR20180089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99A KR20180089236A (ko) 2017-01-31 2017-01-31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99A KR20180089236A (ko) 2017-01-31 2017-01-31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236A true KR20180089236A (ko) 2018-08-08

Family

ID=6322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099A KR20180089236A (ko) 2017-01-31 2017-01-31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2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642Y1 (ko) 1995-10-26 1999-06-15 김종구 계란자동판매기의 계란껍질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642Y1 (ko) 1995-10-26 1999-06-15 김종구 계란자동판매기의 계란껍질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2230B1 (en) Food vending machine particularly for warm food such as toasts, sandwiches, pizzas and brioches
US3340790A (en) Dispensing apparatus
US3928045A (en) Automatic cooking and vending machine for boiled noodles
AU777677B2 (en) Vending apparatus for dispensing hot pizzas
US3667373A (en) Automatic machine for vending fried foods
US2363724A (en) Wiener vending machine
JP5626695B2 (ja) パスタなどの完成した食品を高速で用意するための機械
US3702583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US3391633A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dispensing food articles
US20080314918A1 (en) Vending apparatus for dispensing made-to-order salads
JP5349586B2 (ja) 自動販売機のトレイから製品を送り出す方法
JP2005538468A (ja) 食品分配マシン及び使用方法
US3482509A (en) Sandwich cooking and dispensing machine
CN113226129B (zh) 用于根据顾客订单处理不同类型和数量的面点的自动面点处理系统
US2337117A (en) Food preparing and vending machine
KR102085149B1 (ko) 가공식품 조리 자판기
KR101990686B1 (ko)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KR20180089236A (ko) 계란요리 자동판매기의 계란 파쇄장치
WO1992018043A1 (en) Token- or coin-, or the like, operate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rying eggs, in particular for canteens, institutions, and the like
KR101063118B1 (ko) 커피 자판기
US3117511A (en) Hot dog dispensing machine
US3416429A (en) Food dispensing machine
US2794384A (en) Vending machine
EP1119831B1 (en) Hot food vending machines
US6401600B1 (en) Device for preparing foodstuff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