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351A - 전선 꼬임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꼬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351A
KR20180095351A KR1020170021723A KR20170021723A KR20180095351A KR 20180095351 A KR20180095351 A KR 20180095351A KR 1020170021723 A KR1020170021723 A KR 1020170021723A KR 20170021723 A KR20170021723 A KR 20170021723A KR 20180095351 A KR20180095351 A KR 20180095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wist
electric
twisting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671B1 (ko
Inventor
황준석
Original Assignee
황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석 filed Critical 황준석
Priority to KR102017002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6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07Details; Auxiliary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14Stranding-up by a twisting pay-off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전선가닥을 전동공구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꼬아줄 수 있도록 한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공구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내부에 삽입된 전선을 꼬는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 꼬임장치의 일단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꼬임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토션비트가 착탈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어 토션비트를 탈부착시키는 중공형상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꼬임장치{Apparatus for twisting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전선가닥을 전동공구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꼬아줄 수 있도록 한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설비 공사현장에서는 둘 이상의 전선을 꼬아 여러 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전선을 꼬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전선의 굵기로 인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 펜치(Pincers)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전선을 꼬아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모두 작업자의 힘에 의존하는 수작업 방식으로, 전선을 꼬는 힘이 불규칙하여 전선의 꼬임 간격 즉 피치가 일정하지 못하며, 과도한 힘으로 전선을 꼬는 경우 전선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과, 숙련자라 할지라도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작업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전선을 꼬아 연결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이 개발한 전선 꼬임장치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082와 등록특허공보 제10-1653874에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선 꼬임장치는 꼬임이 요구되는 두 개의 전선을 전선수용부의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전선수용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손쉽게 두 개의 전선을 꼬을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개시된 전선 꼬임장치는 전동드릴의 회전력 등에 의해 꼬임작업도중 전선이 단선될 우려가 있으며, 만일 전선이 단선되면 단선된 전선칩은 전선 꼬임장치 내측에 박혀 쉽게 빼낼 수 없게 된다. 설령 전선칩을 빼내더라도 그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전선 꼬임장치는 전선 꼬임작업시에 불측의 사유로 손으로 잡고있던 전선을 놓치거나 꼬이는 전선이 단선될 경우 전동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전선칩 등이 작업자의 신체일부로 튀게 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외상을 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전동드릴의 드릴작업과 전선의 꼬임작업의 병행시에 전동드릴의 척의 조임과 해제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종래의 전선 꼬임장치를 이용하여 전선을 꼬아 결합시킬 경우 전동드릴의 척에 물려있는 드릴작업용 툴을 제거한 뒤 전선 꼬임장치를 전동드릴의 척에 물려 사용하게 되고, 재차 전동공구의 드릴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는 전동드릴의 척에 물려있는 전선 꼬임장치를 제거한 뒤 다시 드릴작업용 툴을 전동드릴에 결합하여 드릴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드릴작업과 전선의 꼬임작업을 병행실시하게될 때 전동드릴의 척을 반복적으로 조작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08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전동공구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전선 꼬임장치에 전선을 고정하여 둘 이상의 전선가닥을 정합할 수 있고, 불측의 사유로 전선이 단선되더라도 작업자는 보다 안전하게 전선꼬임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전선의 꼬임작업시에 진동없이 안정적으로 작업을 실시함과 동시에 전선의 꼬임작업을 전동공구의 드릴작업과 용이하게 병행실시할 수 있는 전선 꼬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동공구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내부에 삽입된 전선을 꼬는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 꼬임장치의 일단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꼬임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토션비트가 착탈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어 토션비트를 탈부착시키는 중공형상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꼬임구와 삽입구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와 꼬임구의 중심은 동심원상에 위치하며, 상기 꼬임구에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파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돌기는 상기 꼬임구의 직경을 반경으로 하는 4개의 부채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내측으로 둘 이상의 전선이 삽입고정되는 꼬임구가 마련된 헤드; 및 상기 헤드의 단부에서 연장설치되며, 토션비트를 고정하는 중공형상의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와 홀더는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분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슬라이더는 중공형상의 바디; 상기 바디의 내주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요입된 수용홈; 및 홀더의 외주둘레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구에서 삽입되서 일면은 상기 수용홈에 수납되고 타측면은 토션비트의 체결홈에 접하는 체결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선의 꼬임작업시에 불측의 사유로 전선을 놓치거나, 전선이 단선되더라도 회전하는 전선이 이탈방지부에 수용됨과 동시에 파지돌기에 지지되면서 단선된 전선과 전선칩이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게 전선꼬임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전선 꼬임장치를 전동공구의 척에 장착된 토션비트에 용이하게 분리결합시킬 수 있어 전동공구의 드릴작업과 전선 꼬임작업을 병행실시할 때 전동공구의 척을 매번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전동공구의 빠른 회전속도나 전선의 부적절한 취급 등에 의해 전선의 결합부가 고정측에 낀 상태로 절단되더라도, 전선배출통로를 통해 절단된 전선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파지돌기가 커버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헤드에서 커버가 헛돌거나 탈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절개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온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꼬임구를 형성하기 위한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작동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전선 꼬임장치는 전동공구(A), 예컨대 범용 핸드드릴의 척이나 횡단면이 6각으로 형성된 토션비트(T)를 툴로 사용하는 임펙드릴의 척에 물려 사용되며, 회전하는 상기 전동공구(A)의 회전축과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을 일치시켜 전선을 꼬게 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전선의 꼬임 작업시에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전선의 꼬임 작업이 가능해진다.
상기 특징을 구현하는 본 발명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꼬임구(1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토션비트(T)가 착탈될 수 있는 삽입구(121)가 형성된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의 타단에 결합되어 토션비트(T)를 탈부착시키는 중공형상의 슬라이더(200)로 구성된다.
이때, 몸체(100)는 둘 이상의 전선을 삽입시켜 고정한 채로 전동공구(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력에 의해 고정된 둘 이상의 전선이 서로 꼬이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원형 또는 다각의 외형을 이루는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원통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100)는 헤드(110) 및 홀더(120)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10)와 몸체(100)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서로 나사치합에 의해 분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선반의 총형절삭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헤드(110)와 홀더(120)를 개별적으로 가공한 후 레이저용접 등을 통해 서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10)는 내측으로 둘 이상의 전선이 삽입고정되는 꼬임구(111)가 형성된다. 이때, 꼬임구(111)는 전선이 삽입되는 입구측(111a)으로부터 홀더(120)가 설치되는 고정측(111b)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으로 구성되되, 꼬임구(111)의 중심은 몸체(100)의 중심 및 전동공구(A)의 회전축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꼬임구(111)의 횡단면은 대략 원형이며, 꼬임구(111)의 둘레를 따라 파지돌기(113)가 형성된다. 이때, 파지돌기(113)는 꼬임구(111)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파지돌기(113)를 형성된다. 이하 설명에서 4개의 파지돌기(113)를 형성하는 일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돌기(113)는 꼬임구(111)의 직경을 반경으로 하는 4개의 부채꼴에 의해 형성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형상으로 가공된 파이프에 도 5d에 도시된 꼬임구(111)의 직경(E)을 반경으로 하는 부채꼴을 가공한다. 다음으로, 도 5b, 5c, 5d에 도시된 순서대로 부채골을 90도 등간격으로 회전배치시켜 가공하게 되면, 도 5d에 도시된 것처럼, 부채꼴이 형성된 곳을 제외한 부분에 파지돌기(113)가 요철의 형상으로 남게된다. 상기 파지돌기(113) 또한, 꼬임구(111)의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인접한 파지돌기(113)의 사이에는 이탈방지부(11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파지돌기(113)를 형성하게 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돌기(113)를 이루는 두 변이 이루는 각(θ)은 예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각(θ)이 둔각으로 형성될 경우, 커버(C)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없으며, 전선의 꼬임작업시에 불측의 사유로 손에 파지하고 있던 전선을 놓치게 되거나 전선이 단선될 경우 꼬임구(111)에서 전선이 튕겨 나가 작업자에게 외상을 가할 우려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각(θ)을 예각으로 형성할 경우 손에서 놓친 전선이 이탈방지부(115)에 수용됨과 동시에 파지돌기(113)에 지지되면서 단선된 전선이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다 안전하게 전선꼬임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며, 파지돌기(113)를 통해 커버(C)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헤드(110)에서 커버(C)가 헛돌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파지돌기(113)는 둘 이상의 전선을 꼬아 결속시킨 다음 결속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C)를 부가적으로 결합시키게 될 때 고무나 합성수지재의 커버(C)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한 전선의 꼬임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돌기(113)가 커버(C)를 충분히 파지할 수 있도록 꼬임구(111)에 커버(C)를 억지끼움시킨 후 꼬임작업이 완료된 전선을 재차 커버(C)의 내측으로 투입시켜 전동공구(A)를 회전시키게 되면, 커버(C)가 전선들의 결속부위에 정합되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는 중공형상으로 헤드(110)의 단부에서 연장설치되며, 슬라이더(20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토션비트(T)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토션비트(T)를 수용할 수 있도록 토션비트(T)와 대응되는 단면, 예컨대 6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삽입구(121)가 홀더(120)의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외주둘레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23)가 형성된다. 관통구(123)에는 후술되는 체결볼(230)이 삽입된다. 이에 더하여, 홀더(120)는 총형가공에 의해 외주면의 직경을 단차지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된 단차부(125)에 후술되는 탄성부재(240)의 선단이 지지된다.
도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10)의 꼬임구(111)와 홀더(120)의 삽입구(121)는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꼬임구(111)의 고정측(111b)에는 전선배출통로(117)가 형성된다. 한편, 전선꼬임작업은 서로 결합시킬 둘 이상의 전선을 고정측(111b)으로 밀어넣은 후 전동공구(A)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선을 꼬게 되는데, 이때, 전동공구(A)의 부적당한 회전속도나 전선의 부적절한 취급 등에 의해 전선의 결합부가 고정측(111b)에 낀 상태로 전선의 경로가 절단되는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때, 헤드(110)와 홀더(120)를 분리시킨 후 상기 전선배출통로(117)를 통해 절단된 전선을 배출시키거나 헤드(110)와 홀더(120)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의 경우, 홀더(120)의 삽입구(121) 측에서 전선배출통로(117)를 향해 가느다란 도구를 밀어넣은 후 절단된 전선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더(2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바디(210), 수용홈(220), 체결볼(230) 및 탄성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바디(210)는 슬라이더(200)의 몸통을 구성하며, 내측으로 홀더(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더삽입구(211)가 바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통공된다. 또한, 바디(2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후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널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홈(220)은 상기 바디(210)의 내주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요입된 형상으로, 후술되는 체결볼(230)의 일부를 수용한다. 아울러, 바디(210)의 내주둘레에는 수용홈(220)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홀더삽입구(21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단턱부(2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213)에는 후술될 탄성부재(240)의 후단이 지지된다.
또, 체결볼(230)은 홀더(120)의 관통구(123)에 삽입되서 일면은 수용홈(220)에 수납되고 타측면은 토션비트(T)의 체결홈(T')에 접하는 구의 형상으로. 이때, 체결볼(2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체결볼(230)을 채용하여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아울러, 도 3b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123)의 일단에는 삽입된 체결볼(230)이 홀더(120)의 삽입구(121)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돌기(12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탄성부재(240)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와 슬라이더(200)의 사이에 탄지되는 스프링으로 선단은 단차부(125)에, 후단은 단턱부(213)에 의해 지지되며, 단차부(125)와 단턱부(213) 사이에서 슬라이더(200)의 축방향 운동에 의해 신장 및 압축된다.
이하, 슬라이더(200)의 작동예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0)의 우측 단부가 홀더(120)의 우측 단부와 일치된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긴 후 삽입구(121)를 향해 토션비트(T)를 삽입시킨다. 이때, 삽입되는 토션비트(T)의 외주면이 체결볼(230)과 접함과 동시에 체결볼(230)을 슬라이더(200)의 수용홈(220) 측으로 밀면서 토션비트(T)가 홀더(120)에 삽입된다. 토션비트(T)가 삽입구(121)에 일정깊이 삽입이 되면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토션비트(T)의 체결홈(T')을 향해 체결볼(230)이 이동됨과 동시에 탄성부재(2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200)가 도 3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홀더(120)에서 토션비트(T)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200)의 작동예를 반대로 실시할 경우 토션비트(T)를 홀더(120)에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토션비트(T)를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에서 쉽게 탈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비트(T)가 장착된 전동드릴에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전동드릴에 장착된 전선 꼬임장치가 마련되면, 꼬임이 요구되는 둘 이상의 전선 끝단을 헤드(110)의 꼬임구(111)로 밀어넣게 되면 각 전선의 끝단이 꼬임구(111)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한편, 꼬임구(111)의 중심은 항상 전선 꼬임장치의 중심과 동심원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특별히 꼬임구(111)의 중심을 향해 전선을 투입하지 않더라도 전선의 끝단은 항상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전동공구(A)를 작동시켜 전선 꼬임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선의 꼬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전선의 끝단은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선을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 전선의 꼬임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토션비트(T)가 장착된 전동드릴로 드릴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전선 꼬임장치를 전동드릴에 장착된 토션비트(T)에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드릴작업과 전선의 꼬임작업을 수월하게 병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100: 몸체
110: 헤드
111: 꼬임구
113: 파지돌기
115: 이탈방지부
117: 전선배출통로
120: 홀더
121: 삽입구
123: 관통구
125: 단차부
200: 슬라이더
210: 바디
220: 수용홈
230: 체결볼
240: 탄성부재
T: 토션비트
C: 커버
A: 전동공구

Claims (5)

  1. 전동공구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내부에 삽입된 전선을 꼬는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 꼬임장치의 일단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꼬임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토션비트가 착탈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어 토션비트를 탈부착시키는 중공형상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꼬임구와 삽입구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꼬임구의 중심은 동심원상에 위치하며,
    상기 꼬임구에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파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돌기는 상기 꼬임구의 직경을 반경으로 하는 4개의 부채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측으로 둘 이상의 전선이 삽입고정되는 꼬임구가 마련된 헤드; 및
    상기 헤드의 단부에서 연장설치되며, 토션비트를 고정하는 중공형상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중공형상의 바디;
    상기 바디의 내주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요입된 수용홈; 및
    홀더의 외주둘레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구에서 삽입되서 일면은 상기 수용홈에 수납되고 타측면은 토션비트의 체결홈에 접하는 체결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KR1020170021723A 2017-02-17 2017-02-17 전선 꼬임장치 KR101947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23A KR101947671B1 (ko) 2017-02-17 2017-02-17 전선 꼬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723A KR101947671B1 (ko) 2017-02-17 2017-02-17 전선 꼬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351A true KR20180095351A (ko) 2018-08-27
KR101947671B1 KR101947671B1 (ko) 2019-05-10

Family

ID=6345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723A KR101947671B1 (ko) 2017-02-17 2017-02-17 전선 꼬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6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0995A (zh) * 2019-09-26 2019-12-13 张艳 一种漆包线用手持式绞线机
CN111332871A (zh) * 2020-03-23 2020-06-26 郭新红 一种金属丝线多股绞合加工方法
CN112562924A (zh) * 2020-12-10 2021-03-26 湖南鑫亿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生产用绞线装置
KR102656928B1 (ko) * 2023-03-15 2024-04-11 김유진 전선 꼬임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497U (ja) * 2006-08-16 2007-01-18 株式会社兼古製作所 プラスチック被包部を有するトーションビット
KR200441181Y1 (ko) * 2007-06-07 2008-07-28 남진우 전선 결속부용 트위스트기구
KR100992191B1 (ko) * 2009-12-30 2010-11-04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 결선공구
JP3189981U (ja) * 2014-01-27 2014-04-10 株式会社ベストツール 回転工具用ソケット
JP2014213554A (ja) * 2013-04-26 2014-11-17 Fsテクニカル株式会社 拡径用ドリルビット
KR200478082Y1 (ko) 2015-05-15 2015-08-25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20150108081A (ko) * 2014-03-17 2015-09-25 유영롱 전선 트위스트 장치
KR20160021489A (ko) * 2014-08-18 2016-02-26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981B2 (ja) * 1991-12-05 2001-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制動装置
JP3128497B2 (ja) 1995-12-27 2001-01-29 三洋電機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497U (ja) * 2006-08-16 2007-01-18 株式会社兼古製作所 プラスチック被包部を有するトーションビット
KR200441181Y1 (ko) * 2007-06-07 2008-07-28 남진우 전선 결속부용 트위스트기구
KR100992191B1 (ko) * 2009-12-30 2010-11-04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 결선공구
JP2014213554A (ja) * 2013-04-26 2014-11-17 Fsテクニカル株式会社 拡径用ドリルビット
JP3189981U (ja) * 2014-01-27 2014-04-10 株式会社ベストツール 回転工具用ソケット
KR20150108081A (ko) * 2014-03-17 2015-09-25 유영롱 전선 트위스트 장치
KR20160021489A (ko) * 2014-08-18 2016-02-26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200478082Y1 (ko) 2015-05-15 2015-08-25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0995A (zh) * 2019-09-26 2019-12-13 张艳 一种漆包线用手持式绞线机
CN111332871A (zh) * 2020-03-23 2020-06-26 郭新红 一种金属丝线多股绞合加工方法
CN112562924A (zh) * 2020-12-10 2021-03-26 湖南鑫亿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生产用绞线装置
KR102656928B1 (ko) * 2023-03-15 2024-04-11 김유진 전선 꼬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671B1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671B1 (ko) 전선 꼬임장치
US8061718B2 (en) Toolless bitholder for spiral saws
US8893820B2 (en) Drive system for interconnecting attachment devices and handheld rotary power tools
US5062749A (en) Tool coupler
JP2011101945A (ja) 切り屑除去機械加工用回転工具及びそのためのルーズトップと基体
IE49746B1 (en) Drill bit with fastener-driving collar assembly
AU2008200635B2 (en) Drill bit screw tip
EP2845673B1 (en) Arb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JP3335637B2 (ja) 切削工具用チャック装置
US11878406B2 (en) Holder for a bit of a tool
KR20190004450A (ko)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US20060192352A1 (en) Self-centering drill bit chuck
CN104440149A (zh) 用于切削工具的螺钉头楔形夹具组件
WO2012154283A1 (en) Dual blade hole saw
US11219987B2 (en) Tool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retention knobs
US7628571B2 (en) Tool chucking apparatus
US20230118707A1 (en) Handle device for a hand-held power tool
US20090278324A1 (en) Tool chucking apparatus
CN207521774U (zh) 新型钻夹头
KR101895336B1 (ko) 태핑모드용 보조장치를 구비한 전동공구
US7137633B1 (en) Wrench-free manual chuck turbine
CN113334990B (zh) 车辆用的车轮保持件
CN210732331U (zh) 电极帽拆卸工具
CN211332965U (zh) 伸缩螺丝刀
CN211439823U (zh) 取管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