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489A - 전선 꼬임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꼬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489A
KR20160021489A KR1020140106764A KR20140106764A KR20160021489A KR 20160021489 A KR20160021489 A KR 20160021489A KR 1020140106764 A KR1020140106764 A KR 1020140106764A KR 20140106764 A KR20140106764 A KR 20140106764A KR 20160021489 A KR20160021489 A KR 2016002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re
section
cross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874B1 (ko
Inventor
이지선
Original Assignee
이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선 filed Critical 이지선
Priority to KR102014010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8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reducing the size of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9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orming corrugations on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embedding wires in plast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07Details;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동드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이 전선의 회전중심과 일치되도록 하여 전선의 꼬임 작업시 진동없이 안정적으로 작업을 실시 할 수 있도록 한 전선 꼬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전선이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용 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전동드릴과 결합되어 전동드릴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결합부로 구성된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홀은,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고정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횡단면의 면적은 전선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입구측으로부터 고정부의 안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되, 고정용 홀의 횡단면은 그 위치에 상관없이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선 상에 중심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선 꼬임장치{Apparatus for twisting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전선을 작업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전동드릴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꼬아줄 수 있도록 한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설비 공사현장에서는 둘 이상의 전선을 꼬아 여러 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전선을 꼬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전선의 굵기로 인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 펜치(Pincers)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전선을 꼬아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모두 작업자의 힘에 의존하는 수작업 방식으로, 전선을 꼬는 힘이 불규칙하여 전선의 꼬임 간격 즉 피치가 일정하지 못하며, 과도한 힘으로 전선을 꼬는 경우 전선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과, 숙련자라 할지라도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작업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전선을 꼬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전선 꼬임장치가 등록특허 제0913007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발명에 개시된 전선 꼬임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는 전선수용부(10), 전선고정부(20), 결합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선고정부에 경사면(2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1)은 전선수용부(10)의 내면과 함께 전선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전선 꼬임장치는 꼬임이 요구되는 두 개의 전선을 전선수용부의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전선수용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손쉽게 두 개의 전선을 꼬을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개시된 전선 꼬임장치는 전선의 꼬임작업을 위한 전선수용부의 회전시 전선의 편심된 위치로 인하여 진동이 쉽게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전선수용부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전선수용부로부터 전선이 이탈되거나 작업자가 전을 놓치게 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고정부(20)에 형성된 경사면(21)은 전선수용부의 좌측 상단(도 1 기준)으로부터 전선수용부의 우측 하단(도 1 기준)으로 기울어진 구조로써, 이러한 경사면(21)과 전선수용부(10)의 내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꼬임이 요구되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고정된 전선은 전선수용부의 회전중심선(S)에 그 중심이 일치하지 않고 벗어나 편심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의 끝단이 편심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전동드릴의 동력에 의해 전선 꼬임장치가 회전함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고,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전선이 이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913077호 (2009.08.2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드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이 전선의 회전중심과 일치되도록 하여 전선의 꼬임 작업시 진동없이 안정적으로 작업을 실시 할 수 있도록 한 전선 꼬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전선이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용 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전동드릴과 결합되어 전동드릴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결합부로 구성된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홀은,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고정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횡단면의 면적은 전선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입구측으로부터 고정부의 안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되, 고정용 홀의 횡단면은 그 위치에 상관없이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선 상에 중심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홀의 내면에는 고정용 홀의 내면으로부터 고정부의 바깥쪽 방향으로 함몰된 구조를 가지며, 고정용 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전선 꼬임 유도홈이 고정용 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전선 꼬임 유도홈은 4개로 구성되며, 4개의 전선 꼬임 유도홈은 상호 90의 각도 간격을 가지며 연이어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는 분할 구성되며, 상호 결합되어 전선 꼬임장치를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성기 고정부와 결합부는 나사결합, 용접, 접착 중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원형단면을 구비하여 일반 드릴척에 장착되는 원형단면부와, 다각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임팩트 드릴척에 장착되는 다각단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형단면부에는 6각형의 단면 구조를 구비하여 토션 비트의 삽입이 가능한 조립홀이 형성되어 토션 비트를 상기 다각단면부로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과 전선의 회전중심이 일치하여 전선 꼬임 작업과정에서 전동드릴 및 전선에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꼬임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전선 꼬임장치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가 임펙트 드릴에 장착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의 단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단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측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는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과 전선의 회전중심을 일치시켜 전선의 꼬임작업이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전선의 꼬임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 꼬임장치는 고정부(100)와 결합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00)에는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는 회전중심을 갖도록 전선을 지지하는 고정용 홀(110)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고정부(100)와 결합부(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꼬임이 요구되는 둘 이상의 전선을 고정한 채로 전선과 함께 회전하여 전선의 꼬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흡사 기둥과 같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는 둘 이상의 전선이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용 홀(110)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에는 원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고정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용 홀(110)은 고정부(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횡단면의 면적은 전선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입구측(100a)으로부터 고정부(100)의 안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되, 이러한 고정용 홀(110)의 횡단면은 그 위치에 상관없이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선(S)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회전중심선(S)은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시 중심이 되는 선이고, 상기 고정용 홀(110)의 횡단면 중심은 고정용 홀(110)의 횡단면이 형성하는 도형의 무게 중심에 해당하는 점이다.
이와 같은 고정용 홀(110)의 내면에는 고정부(100)의 회전시 전선이 고정부(100)와 함께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꼬임 유도홈(120)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선 꼬임 유도홈(120)은 고정용 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고정용 홀(110)의 내면으로부터 고정부(100)의 바깥쪽으로 함몰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전선 꼬임 유도홈(120)은 다수개가 고정용 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의 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 꼬임 유도홈(120)은 4개로 구성되며, 4개의 전선 꼬임 유도홈(120)은 상호 90˚의 각도 간격을 갖도록 고정용 홀(110)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측에 형성되되, 4개의 전선 꼬임 유도홈(120)이 연이어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전선 꼬임 유도홈(120)들의 사이에는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전선이 중심축에서 일측으로만 삽입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꼬여지면 꼬여지는 과정에서 편심이 발생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선 꼬임 유도홈(120)은 홀수로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선 꼬임 유도홈(120)을 2개로 하면 전선이 꼬이는 과정에서 제대로 걸리지 않고, 6개가 되면 가공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홀(110)은 전선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입구측(100a)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고정용 홀(110)로 삽입되는 전선은 그 직경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끼워져 고정되며, 이처럼 고정용 홀(110)에 고정된 전선은 고정부(100)의 회전시 전선 꼬임 유도홈(120)에 삽입되거나 전선 꼬임 유도홈(120) 사이에 형성된 걸림턱(121)에 걸리게 되므로, 고정부(100)의 회전에 의한 전선의 꼬임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0)는 전동드릴에 마련된 척에 결합되어 전동드릴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고정부(10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부(100)의 한쪽 끝단에 마련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200)는 고정부(100)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제작되거나, 분할된 구조로 제작되어 조립작업에 의해 고정부(1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후자와 같이 분할된 구조로 구성된다.
이는 전선 꼬임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용 홀(110)의 경우 크기가 가장 작은 부분은 그 직경(폭)이 대략 1mm 정도에 불과하므로 주물로는 제작이 어렵다.
따라서, 고정부(100)와 결합부(200)를 각기 따로 제작한 후 결합하되, 고정부(10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고정용 홀(110)을 와이어 방전가공을 통하여 가공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고정부(100)의 제작을 위하여 준비된 소재의 중앙부에 고정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가공한다. 이때 구멍의 직경은 고정용 홀(110)의 최소 직경 보다 작은 크기 즉, 1mm 미만의 직경을 갖는다.
이후 방전가공장비에 마련된 와이어가 소재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소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하 이형가공을 통하여 점차적으로 횡단면이 감소하는 구조를 갖는 고정용 홀(110)을 가공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를 이용한 방전가공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가공방법으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각기 제작된 고정부(100)와 결합부(200)는 수나사(101)와 암나사(201)에 의한 나사결합, 용접, 접착 중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전선 꼬임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200)는 원형단면을 구비하여 일반적인 드릴척, 즉 3~4개의 조우(Jaw)를 갖는 드릴척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원형단면을 구비하여 일반 드릴척에 장착되는 원형단면부(210)와, 다각형의 단면의 구비하여 임팩트 드릴척에 장착되는 다각단면부(220)로 구성되어 일반 전동드릴이나 임팩트 드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단면부(210)와 다각단면부(220)는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거나, 기존의 토션 비트를 원형단면부(210)에 조립하여 토션 비트를 다각단면부(220)로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원형단면부(210)에 토션 비트의 단면 구조에 대응하는 6각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조립홀(211)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홀(211)에 기존 토션 비트를 삽입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복잡한 제조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원형단면부(210)와 다각단면부(220)로 이루어진 결합부(200)를 손쉽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선 꼬임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전선을 꼬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가 갖는 작용효과를 명확히 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장치가 임펙트 드릴에 장착된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전선 꼬임장치를 전동드릴에 구비된 드릴척에 장착한다.
한편, 전동드릴이 3-4개의 조우(jaw)를 구비하는 드릴척을 갖는 일반 전동드릴인 경우에는 원형단면부(210)를 이용하여 장착하고, 다각형의 홈을 구비하는 드릴척을 갖는 임팩트 드릴인 경우에는 다각단면부(220)를 이용하여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 꼬임장치가 준비되면, 꼬임이 요구되는 전선(W1,W2)들의 끝단을 고정용 홀(110)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며, 이때 각 전선의 끝단이 고정용 홀(110)에 끼어 전선(W1,W2)의 고정이 이루어제 된다.
한편, 상기 고정용 홀(110)의 횡단면은 위치에 상관없이 그 중심이 항상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므로, 특별히 고정용 홀(110)의 중심으로 전선을 삽입하지 않더라도 전선의 끝단은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에 고정된다.
이후, 전동드릴의 작동시켜 전선 꼬임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선(W1,W2)의 꼬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전선의 끝단은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과정에서 진동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선을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 전선의 꼬임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부 110: 고정용 홀
120: 전선 꼬임 유도홈 200: 결합부
210: 원형단면부 211: 조립홀
220: 다각단면부

Claims (7)

  1. 둘 이상의 전선이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용 홀(110)이 형성된 고정부(100)와, 전동드릴과 결합되어 전동드릴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부(100)를 회전시키는 결합부(200)로 구성된 전선 꼬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홀(110)은,
    상기 고정부(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고정부(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횡단면의 면적은 전선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입구측(100a)으로부터 고정부(100)의 안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되, 고정용 홀(110)의 횡단면은 그 위치에 상관없이 전선 꼬임장치의 회전중심선(S) 상에 중심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홀(110)의 내면으로부터 고정부(100)의 바깥쪽 방향으로 함몰된 구조를 가지며, 고정용 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전선 꼬임 유도홈(120)이 고정용 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전선 꼬임 유도홈(120)은 4개로 구성되며, 4개의 전선 꼬임 유도홈(120)은 상호 90˚의 각도 간격을 가지며 연이어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와 결합부(200)는 분할 구성되며, 상호 결합되어 전선 꼬임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성기 고정부(100)와 결합부(200)는 나사결합, 용접, 접착 중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0)는 원형단면을 구비하여 일반 드릴척에 장착되는 원형단면부(210)와, 다각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임팩트 드릴척에 장착되는 다각단면부(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형단면부(210)에는 6각형의 단면 구조를 구비하여 토션 비트의 삽입이 가능한 조립홀(211)이 형성되어 토션 비트를 상기 다각단면부(220)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꼬임장치.
KR1020140106764A 2014-08-18 2014-08-18 전선 꼬임장치 KR10165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64A KR101653874B1 (ko) 2014-08-18 2014-08-18 전선 꼬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64A KR101653874B1 (ko) 2014-08-18 2014-08-18 전선 꼬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489A true KR20160021489A (ko) 2016-02-26
KR101653874B1 KR101653874B1 (ko) 2016-09-02

Family

ID=5544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764A KR101653874B1 (ko) 2014-08-18 2014-08-18 전선 꼬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8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351A (ko) * 2017-02-17 2018-08-27 황준석 전선 꼬임장치
KR20200011797A (ko) * 2018-07-25 2020-02-04 김정태 와이어 로타리 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350B1 (ko) * 2017-07-04 2019-10-21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KR102656928B1 (ko) 2023-03-15 2024-04-11 김유진 전선 꼬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181Y1 (ko) * 2007-06-07 2008-07-28 남진우 전선 결속부용 트위스트기구
KR100913077B1 (ko) 2008-12-19 2009-08-21 라순채 전선 꼬임장치
KR100992191B1 (ko) * 2009-12-30 2010-11-04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 결선공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181Y1 (ko) * 2007-06-07 2008-07-28 남진우 전선 결속부용 트위스트기구
KR100913077B1 (ko) 2008-12-19 2009-08-21 라순채 전선 꼬임장치
KR100992191B1 (ko) * 2009-12-30 2010-11-04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 결선공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351A (ko) * 2017-02-17 2018-08-27 황준석 전선 꼬임장치
KR20200011797A (ko) * 2018-07-25 2020-02-04 김정태 와이어 로타리 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874B1 (ko)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082Y1 (ko) 전선 꼬임장치
KR101653874B1 (ko) 전선 꼬임장치
CA2863269C (en) Screw-in tool and tool holder for such a screw-in tool
US8381834B2 (en) Drive system for interconnecting attachment devices and handheld rotary power tools
JP2010089232A (ja) 管状体内除錆装置
CN109070244A (zh) 孔锯组件
JP2011237034A (ja) コンクリート用タップねじ
US20140290036A1 (en) Tool that strips and twists or pigtails the ends of electrical wires in residential or commercial installations
KR101804846B1 (ko) 드릴 작업용 센터링 가이드 지그
US6968761B2 (en) Device for machining the ends of pipes
JP2005034952A (ja)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用クラッキング溝の加工装置
CN105290520B (zh) 由毛坯制造齿轮的滚齿装置和方法
KR20180095351A (ko) 전선 꼬임장치
KR100913077B1 (ko) 전선 꼬임장치
CN106141275A (zh) Z形钻铣头
KR20130099540A (ko) 이물질 제거용 공구
KR101106985B1 (ko) 컴비네이션 드릴
JP2007181381A (ja) 回転電機ロータのき裂補修方法、回転電機ロータのき裂進展防止方法、回転電機ロータおよび回転電機
KR101117287B1 (ko) 슈팅형 스크류 체결 장치
CN207414840U (zh) 绝缘座嵌件装夹装置
CN105108213B (zh) 具有安全锁结构的弹性卡簧和刀具固定结构
JP3808455B2 (ja) タップ立て用切り屑分断工具、およびめねじ加工方法
CN208628597U (zh) 一种螺丝攻
KR101302738B1 (ko) 케이블꼬임장치
KR100918517B1 (ko) 공작기계용 공구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