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191B1 - 전선 결선공구 - Google Patents

전선 결선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191B1
KR100992191B1 KR1020090133791A KR20090133791A KR100992191B1 KR 100992191 B1 KR100992191 B1 KR 100992191B1 KR 1020090133791 A KR1020090133791 A KR 1020090133791A KR 20090133791 A KR20090133791 A KR 20090133791A KR 100992191 B1 KR100992191 B1 KR 100992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re
wire connector
tool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영
양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9013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결선공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고, 개구된 내면에는 스파이럴(spiral)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전선이 삽입 결선되는 와이어 커넥터, 일측에 상기 와이어 커넥터가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 및 단면의 외부 형상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결선공구 및 상기 결선공구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결선공구를 회전시키는 회전공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와이어 커넥터를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의 연속성을 부여하여 작업시간과 공기를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정확한 꼬임작업과 접속으로 전류의 단전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와이어 커넥터, 회전, 전선 결선

Description

전선 결선공구{TOOL FOR CONNECTING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전선 결선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피된 복수 개의 전선 단부를 전기적으로 결선시키기 위한 와이어 커넥터를 보다 용이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전선 결선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타고 흐르는 전기는 탈피된 전선의 케이블이 원활하게 꼬여지지 않거나 꼬임이 적은 상태에서 결선이 이루어질 경우 접속불량으로 단전이 발생하여 전류의 흐름이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선과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결선부가 폐회로를 형성하여 안정된 전류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탈피된 전선의 단부를 원활하게 결선시키고 각 케이블의 접속이 완벽한 상태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종래의 전선과 전선 및 전선과 콘센트, 스위치, 등기구 및 와이어 콘넥터 등과의 결선시키는 방법은 결선하고자 하는 전선의 선단부를 니퍼나 와이어 스트리퍼 등의 수동공구를 이용하여 탈피시키고 탈피된 다수의 전선 케이블 가닥을 뺀찌(펜치:pincer)로 회전시켜 꼬아서 형성된 결선부의 최선단을 전기적으로 결선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전선 결선부는 와이어 커넥터(wire connector)라고 불리우는 전선들의 접속을 위한 보조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와이어 커넥터는 내부가 길이방향에 대해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주연에 스파이럴(spiral)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전선 단부를 내부에 밀착 삽입한 후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선의 탈피된 단부를 협착하여 전기적으로 결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 처럼 와이어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선을 결선하는 종래방식은 전선 피복부를 잡고 상기 와이어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의 선단부가 전기적으로 결선되게 하는 것으로서 탈피된 전선의 선단부를 공구를 이용하여 꼬임작업을 수행할 때 회전시키는 것이 불편하고 장시간 회전 작업으로 손목의 피로도가 가중되어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곤란하며 손가락의 마디에 물집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현장의 작업인력이 부족하고 작업자의 연령이 고령화되어 감에 따라 옥내 배선작업에서 천정과 벽 등에 설치되는 전등작업 시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사다리에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의 피로도가 가중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낙하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위험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들의 선단부가 삽입된 와이어 커넥터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의 결선을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선 결선공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선들의 탈피된 단부를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와이어 커넥터와 이를 전동공구에 의해 회전시키는 결선공구를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전선 결선공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결선하기 위한 와이어 커넥터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전선 결선공구를 개시한다.
상기 와이어 커넥터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밀폐되어 그 내부가 테이퍼져 있고, 그 내주연에는 스파이럴(spiral)이 형성되어 와이어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 개의 탈피된 전선 최선단부를 꼬아 접촉되게 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결선하게 된다.
상기 결선공구는 일측에 상기 와이어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타원형상의 본체를 갖고, 상기 삽입홀의 입구 반대편 폐쇄면에는 회전자를 구비하여 전동공구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상기 결선공구의 폐쇄된 면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 커넥터가 전선에 대해 더욱 밀착 전진하여 전기적인 결선력을 높이고, 작업 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선공구는 그 삽입홀의 내주연에 상기 와이어 커넥터와 접촉하는 내면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선공구는 상기 삽입홀의 장축과 단축의 비율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여 와이어 커넥터의 직경 크기에 따라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결선공구와 와이어 커넥터 사이의 밀착력을 강화시킴으로서 결선공구 회전시 회전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공구는 전동 드라이버나 또는 전동 드릴일 수 있고, 상기 결선공구의 폐쇄면에는 렌치홈을 형성하거나 회전자를 돌설되게 발명을 개시함으로서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와이어 커넥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선 결선공구를 이용하여 와이어 커넥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발명을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커넥터의 조임력을 높여 전선간의 전기적인 결선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의 연속성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과 공기를 단축되게 함으로서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커넥터에 의해 전선간의 전기적인 결선력을 높이고 전선과 와이어 커넥터간의 결합이 증대되어 전선에서 와이어 커넥터가 이탈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와이어 커넥터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결선공구를 파지하고 회전시킬 수 있어 전선 결선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결선공구의 내측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어, 와이어 커넥터의 크기에 따라 결선공구를 교체하지 않고 연속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커넥터와 결선공구의 밀착력을 높여 회전시 회전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선공구를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선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결선공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선 결선공구(100)는 타원형상의 본체(1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10)는 일측이 개구되어 삽입홀(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폐쇄된 폐쇄면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본체(110)의 폐쇄면에 회전자(111)를 구비하여 전동공구에 의해 전선 결선공구(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회전자(111)는 폐쇄면에 돌설된 형태로 렌치홈을 형성하여 렌치홈 내부에서 회전력이 전달되게 하거나 또는 그 외형을 6각형으로 형성하여 외측에서 전동공구의 회전력이 결선공구(100)에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선 결선공구(100)를 수작업에 의해 조작할 수도 있고,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선 결선공구(100)는 본체(110)의 삽입홀(120) 내주연에 결합되고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삽입홀(120)의 단축방향에 서로 대향하여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고 상기 본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의 외주연과 반대의 기울기로 테이퍼져 있고, 그 내주연이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의 외주연 곡률과 거의 동일한 곡률로 성형되며, 그 재질은 천연고무, 인조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30)는 상기한 재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한 탄성재질 이외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탄성체라면 그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선 결선공구(100)는 본체(110)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작업시 파지력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결선공구(100)를 회전시킬 경우 작업자의 조임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손으로부터 슬립과 와이어 커넥터와 전선 결선공구 사이의 회전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부호 200은 와이어 커넥터(wire connector)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는 전선(1)들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과 외측이 길이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다.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는 전선(1) 단부에 대해 조임력을 높일 수 있도록 그 내주연이 암나사산 모양의 스파이럴(spiral)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에 복수 개의 전선(1)을 수용하고 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 커넥터(200)가 스파이럴의 안내에 따라 상기 전선(1)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전선(1)들의 탈피된 단부는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의 내부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그 결선력이 향상되고, 더불어 와이어 커넥터(200)는 전선(1)으로부터 견고하게 밀착되어 진동이나 외부 토크에 의한 간섭에도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는 상기 전선(1)들을 전기적으로 결선하면서도 간략하게 정리하기 위하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선 결선공구(100)를 설계할 때 본체(110)의 단축방향 길이를 와이어 커넥터(200)의 최대 직경에 대응하여 설계하거나 또는 삽입홀(12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30)의 두께를 설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전선(1)들을 전기적으로 결선하고자 할 경 우, 이를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에 밀착시켜 삽입한 후 다시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를 상기 결선공구(100)의 삽입홀(120)에 구비된 탄성부재(130) 사이에 밀접하게 끼움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전선 결선공구(100)를 전선(1)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전선 결선공구(100)는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상에서 상기 탄성부재(130)의 협착력에 의해 슬립되지 않고 회전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는 내주연에 형성된 스파이럴을 따라 전선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전선(1)들의 단부는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의 내부공간 깊숙한 위치까지 도달하여 서로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전선(1)들간의 전기적인 결선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선공구(100)는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의 외주면을 감싸 협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와이어 커넥터(200) 보다 크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를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고 회전시키는 것보다, 상기 전선 결선공구(100)를 파지하고,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를 회전시키는 것이 상대적으로 전선(1)의 단부를 와이어 커넥터(200) 깊숙이 밀착시켜 전기적인 결선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 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결선공구(100)를 조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동공구 비트를 회전자(111)의 렌치홈에 삽입하거나 또는 회전자를 비트홈에 삽입하여 회전력을 가하게 되면, 전동공구의 회전력이 회전자(111)를 통해 본체(110)에 전달되기 때문에 수작업시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선 결선작업시 설계상 상기 전선(1)들의 굵기나 수량에 따라 그 직경과 크기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선 결선공구(10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120)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를 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선 결선공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결선공구(100)는 타원형 본체(110) 외측에 상기 본체(110)의 단축방향 지름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14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조절부재(140)는 상기 타원본체(110)의 단축방향 외주면에 구비되고, 외부의 누름압력에 의해 작용된 탄성력에 의해 본체(110)의 단축방향 지름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그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140)는 본체(110)를 관통하여 일측이 본체(110)의 내주연과 결합하는 한쌍의 지지바(141), 상기 지지바(141)의 타측 자유단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142), 상기 브릿지(142)상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하는 나선봉(143) 및 상기 나선봉(143)을 회전시켜 전후진시킴으로서 상기 본체(110)의 단축방향 지름을 조절하는 회전핸들(144)을 포함한다.
삭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회전핸들(144)을 시계방향(a)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나선봉(143)이 전진하면서 상기 결선공구(100)의 본체(110) 외주면을 단축방향의 축선방향(a’)으로 압착함으로서 상기 삽입홀(120)의 단축지름이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상기 회전핸들(144)을 반대방향(b)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나선봉(143)이 후진하면서 상기 결선공구(100)의 본체(110) 외주면에 가해졌던 압착력이 해제되고, 결국 본체(110)는 축선방향과 반대방향(b’)으로 그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상기 회전핸들(144)의 회전방향에 따라 나선봉(143)을 전후진 시킴에 따라, 상기 삽입홀(120) 내부 타원형상의 단축(m)과 장축(l)의 비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와이어 커넥터(200)의 외적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부재(140)를 조작함으로서 타원형상의 단축(m)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 결과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결선공구(100)를 교체할 필요없이 상기 삽입홀(120)의 내측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연속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와 상기 결선공구(100)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본 발명에 따른 결선공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참조하면, 전체 부호 100으로 표시한 결선공구는 본체(110)의 폐쇠면 두께를 연장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접면하고, 그 중심에 렌치홈(151)을 형성한 회전자(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150)는 상기 결선공구(100)의 삽입홀(120)의 반대측 폐쇄면에 구비되고, 그 중앙에는 렌치홈(151)이 형성되어 상기 결선공구(100)를 회전시키는 전동공구(300)의 렌치비트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결선공구(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전동공구(300)는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전동 드릴이나 또는 전동드라이버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전동공구(300)의 척에 렌치비트나 또는 비트소켓을 고정하여, 상기 렌치비트를 렌치홈(151)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동공구(300)를 기동시키면, 그 회전에 의해 상기 결선공구(100)가 회전하면서, 내부에 협착되어 있는 와이어 커넥터(200)를 전선(1)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전선(1)들의 탈피된 단부가 와이어 커넥터(200)의 내부 깊숙한 곳까지 도달하여 밀착됨으로써 전선(1)들끼리 전기적으로 결선시킬 수 있고, 전선(1)으로부터 와이어 커넥터(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선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선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체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결선공구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결선공구(100)는 단면이 타원으로 형성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본체(110)를 갖고,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은 개구되어 삽입홀(120)이 형성되며, 타측은 폐쇄되어 그 폐쇄면의 중앙에 돌설되어 외주연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자(17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170)는 전동공구(300)의 비트소켓(310)에 삽입 결합이 가능하도록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렌치홈을 형성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선공구(100)는 삽입홀(120)의 내측면에 부호 200으로 표시된 와이어 커넥터의 외주연과 접면하는 탄성부재(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30)는 본체(110)의 내주연 단축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길이방향으로 와이어 커넥터(200)와 반대로 내부로 갈수록 단축의 지름이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형상은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의 외주연 테이퍼와 대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강도와 탄성을 갖는 천연고무, 인조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결선공구(100)를 구성하고 있는 본체(110)의 단축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장축방향 끝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한 쌍의 자유단이 형성되게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선공구(100)는 상기 본체(110)의 자유단에 조절부재(160) 를 구비하여 상기 자유단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삽입홀(120)의 단축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발명을 개시함으로서 와이어 커넥터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160)는 회전핸들(161)이 구비된 나선봉(162)이 자유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회전핸들(161)의 회전방향에 따라 나선봉(162)이 전후진 하면서 상기 본체(110)의 자유단을 협착 또는 복원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삽입홀(120)의 단축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렌치홈이 구비된 회전자나또는 돌설된 회전자를 육각형으로 함몰된 형상이나 또는 육각기둥으로 개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결선공구(100)에 상기 회전공구(300)의 회전력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결합 형상이면 자유롭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결선공구는 복수 개의 전선들을 상기 와이어 커넥터(200)를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기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1)들을 견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결선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자가 구비된 결선공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선공구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선 100: 결선공구
110: 본체 120: 삽입홀
130: 탄성부재 140,160: 조절부재
141: 지지바 142: 브릿지
143: 회전핸들 150: 회전자
200: 와이어 커넥터 210: 스파이럴
300: 전동공구

Claims (5)

  1. 복수 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와이어 커넥터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공구로서,
    일측이 개구되어 삽입홀을 형성하고, 타측이 폐쇄된 타원 형상의 본체; 및
    상기 삽입홀의 단축면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커넥터를 협착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를 손으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 커넥터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결선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선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상기 본체의 단축방향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단축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선공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본체를 관통하여 내주연과 결합하는 한쌍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타측 자유단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상기 브릿지상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하는 나선봉; 및
    상기 나선봉을 회전시켜 전후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의 단축방향 지름 을 조절하는 회전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선공구.
  4. 복수 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와이어 커넥터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공구로서,
    일측이 개구되어 삽입홀을 형성하고, 장축방향의 일측 끝단부가 개구되어 자유단이 형성된 타원 형상의 본체;
    상기 삽입홀의 단축면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커넥터를 협착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의 자유단을 제어하여 단축지름을 조절하는 조절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를 손으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 커넥터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선들을 전기적으로 결선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선공구.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폐쇄면 외측면 중심에 다각형 형상으로 돌설되거나 또는 중앙부가 다각형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회전자를 더 포함하여 전동공구에 의해 상기 본체를 기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선공구.
KR1020090133791A 2009-12-30 2009-12-30 전선 결선공구 KR100992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791A KR100992191B1 (ko) 2009-12-30 2009-12-30 전선 결선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791A KR100992191B1 (ko) 2009-12-30 2009-12-30 전선 결선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191B1 true KR100992191B1 (ko) 2010-11-04

Family

ID=4340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791A KR100992191B1 (ko) 2009-12-30 2009-12-30 전선 결선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1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82Y1 (ko) 2015-05-15 2015-08-25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20160021489A (ko) * 2014-08-18 2016-02-26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20180095351A (ko) * 2017-02-17 2018-08-27 황준석 전선 꼬임장치
KR20190004450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KR20230135834A (ko) * 2022-03-17 2023-09-26 김영찬 전선 꼬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294Y1 (ko) 2004-03-17 2004-06-29 백기훈 전원단자 결선 전 합선작업 보조기구
US20050067183A1 (en) 2003-09-25 2005-03-31 Peter Hamann Tool for clamping and twisting of wires or conductors or connectors
KR200389587Y1 (ko) 2005-04-18 2005-07-14 이성복 체결지그가 구비된 와이어 콘넥타 조립구조
KR200441181Y1 (ko) 2007-06-07 2008-07-28 남진우 전선 결속부용 트위스트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7183A1 (en) 2003-09-25 2005-03-31 Peter Hamann Tool for clamping and twisting of wires or conductors or connectors
KR200354294Y1 (ko) 2004-03-17 2004-06-29 백기훈 전원단자 결선 전 합선작업 보조기구
KR200389587Y1 (ko) 2005-04-18 2005-07-14 이성복 체결지그가 구비된 와이어 콘넥타 조립구조
KR200441181Y1 (ko) 2007-06-07 2008-07-28 남진우 전선 결속부용 트위스트기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489A (ko) * 2014-08-18 2016-02-26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101653874B1 (ko) 2014-08-18 2016-09-02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200478082Y1 (ko) 2015-05-15 2015-08-25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20180095351A (ko) * 2017-02-17 2018-08-27 황준석 전선 꼬임장치
KR101947671B1 (ko) 2017-02-17 2019-05-10 황준석 전선 꼬임장치
KR20190004450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KR102015350B1 (ko) 2017-07-04 2019-10-21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KR20230135834A (ko) * 2022-03-17 2023-09-26 김영찬 전선 꼬임장치
KR102640860B1 (ko) 2022-03-17 2024-02-23 김영찬 전선 꼬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191B1 (ko) 전선 결선공구
CA2522454C (en) Twist-on connector
US5910643A (en) Screw-on electrical wire connector
US5379809A (en) Wire twisting device
US8668419B2 (en) Shearable fastening device with force transmission element
US5023401A (en) Twist-on spring connector with breakaway wings
TW201633622A (zh) 電連接器組件及電力線纜彎頭連接器組件
US6198049B1 (en) Torque limiting socket for twist-on wire connectors
WO2013009167A1 (en) Device for twisting wires
US20110146834A1 (en) Wire Nut Driver Tool
WO2000065693A1 (en) Electrical end terminal connector for use with no tool
US20150273669A1 (en) Tool Extensions
CN209981692U (zh) 一种接线钳子
TWI807649B (zh) 具有成角度的壓接開口的鉗子
JP2007128800A (ja) 間接活線作業用縁スリーブ
KR200200732Y1 (ko) 플렉시블 케이블 수공구
KR20010017628A (ko) 플렉시블 케이블 수공구
JP5017371B2 (ja) 携帯式電動工具用の多心ケーブル
US10218139B2 (en) Twist-on wire connector and application tool therefor
US20100005933A1 (en) Wire nut tool
JP5089302B2 (ja) 電線挿入作業用具
JP4370174B2 (ja) Laコネクタ用着脱工具
US20050067183A1 (en) Tool for clamping and twisting of wires or conductors or connectors
BR102017015712A2 (pt) Terminal conector maciço com parafuso manivela auto quebrante e processo de fabricação por usinagem
KR200338680Y1 (ko) 전선휴즈 압착겸용 펜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