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928B1 - 전선 꼬임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꼬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928B1
KR102656928B1 KR1020230033771A KR20230033771A KR102656928B1 KR 102656928 B1 KR102656928 B1 KR 102656928B1 KR 1020230033771 A KR1020230033771 A KR 1020230033771A KR 20230033771 A KR20230033771 A KR 20230033771A KR 102656928 B1 KR102656928 B1 KR 10265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ides
twisting device
rotat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진 filed Critical 김유진
Priority to KR102023003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Landscapes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전선가닥을 별도의 공구등을 이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캡을 회전함으로서 자동으로 꼬아줄 수 있도록 한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면은 폐쇄되고 하면은 개구된 형상으로 둘레 외주면 양측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회전손잡이(100)가 구비되어 내주면 하단에는 회전레일(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레일(110)로 부터 상단 끝까지 양측에 체결돌기(120)가 구비된 캡부(10)와 전체가 라운딩 처리된 팔자를 눕힌 '∞' 형상으로서 외주면 중앙 양측에는 체결홈(200)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전선관통공(210)이 양측 중앙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면은 외곽틀(220) 및 구획틀(230)을 제외하고 개구된 상태이며 상기 외곽틀(220)의 외주면 양단에는 소정의 길이의 지지바(240)가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20)와 하면에 구비된 전선 유입준비공간부(300)의 바닥 중앙 양측으로 유입공(310)이 구비되어 있고 외주면 양측에는 고정손잡이(3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 개구된 외주면 프레임 외측 상단에는 회전돌기(330)가 구비된 본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120)와 상기 체결홈(200)은 서로 밀착되어 캡부(10)가 본체부(30)를 공회전시 상기 체결돌기(120)를 따라 상기 체결홈(200)이 승강함으로서 상기 캡부(10)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승하강부(20) 승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와,
상기 캡부(10)의 회전레일(110)을 따라 상기 본체부(30)의 회전돌기(330) 반복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와,
상기 지지바(24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서 상기 캡부(10)의 내주부를 따라 승하강시 내주면에 밀착가능하도록 외측으로 확개 형상인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와,
상기 본체부(30)의 유입공(310)의 상측에는 '∞' 형상의 돌출부(340)가 형성되어 있어 전선의 꼬임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전선을 그립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와,
상기 전선관통공(210)과 상기 유입공(310)이 같은 지름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균일하고 일정한 피치로 전선을 꼬아 주어 꼬임전선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균일한 품질을 가지게 되며, 전선의 꼬임작업시에 불측의 사유로 전선을 놓치거나, 전선이 단선되더라도 회전하는 전선이 유입공, 돌출부, 승하강부에 의해 2중 3중으로 수용됨으로서 단선된 전선이 외부로 나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게 전선꼬임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며,
또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가정이나 직장 더 나아가서, 작업 현장등에서 용이하게 전선을 손쉽게 꼬을 수 있는 것이며, 기존과 달리 기계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꼬임장치{Wire twisting device}
본 발명은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전선가닥을 별도의 공구등을 이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캡을 회전함으로서 자동으로 꼬아줄 수 있도록 한 전선 꼬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설비 공사현장에서는 둘 이상의 전선을 꼬아 여러 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전선을 꼬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전선의 굵기로 인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 펜치(Pincers)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전선을 꼬아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모두 작업자의 힘에 의존하는 수작업 방식으로, 전선을 꼬는 힘이 불규칙하여 전선의 꼬임 간격 즉 피치가 일정하지 못하며, 과도한 힘으로 전선을 꼬는 경우 전선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과, 숙련자라 할지라도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작업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전선을 꼬아 연결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이 개발한 전선 꼬임장치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082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1653874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선 꼬임장치는 꼬임이 요구되는 두 개의 전선을 전선수용부의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전선수용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손쉽게 두 개의 전선을 꼬을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개시된 전선 꼬임장치는 전동드릴의 회전력 등에 의해 꼬임작업도중 전선이 단선될 우려가 있으며, 만일 전선이 단선되면 단선된 전선칩은 전선 꼬임장치 내측에 박혀 쉽게 빼낼 수 없게 된다.
설령 전선칩을 빼내더라도 그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전선 꼬임장치는 전선 꼬임작업시에 불측의 사유로 손으로 잡고 있던 전선을 놓치거나 꼬이는 전선이 단선될 경우 전동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전선칩 등이 작업자의 신체일부로 튀게 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외상을 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전동드릴의 드릴작업과 전선의 꼬임작업의 병행시에 전동드릴의 척의 조임과 해제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종래의 전선 꼬임장치를 이용하여 전선을 꼬아 결합시킬 경우 전동드릴의 척에 물려있는 드릴작업용 툴을 제거한 뒤 전선 꼬임장치를 전동드릴의 척에 물려 사용하게 되고, 재차 전동공구의 드릴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는 전동드릴의 척에 물려있는 전선 꼬임장치를 제거한뒤 다시 드릴작업용 툴을 전동드릴에 결합하여 드릴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드릴작업과 전선의 꼬임작업을 병행실시하게될 때 전동드릴의 척을 반복적으로 조작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8082호 한국특허등록 제10-1653874호 한국특허등록 제10-0913077호 한국특허등록 제10-20153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키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수작업에 의해 전선을 꼬는 작업을 별도의 공구 예를들면 전동공구 등을 활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단순히 캡의 회전으로 전선 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선 꼬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은 폐쇄되고 하면은 개구된 형상으로 둘레 외주면 양측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회전손잡이(100)가 구비되어 내주면 하단에는 회전레일(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레일(110)로 부터 상단 끝까지 양측에 체결돌기(120)가 구비된 캡부(10)와 전체가 라운딩 처리된 팔자를 눕힌 '∞' 형상으로서 외주면 중앙 양측에는 체결홈(200)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전선관통공(210)이 양측 중앙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면은 외곽틀(220) 및 구획틀(230)을 제외하고 개구된 상태이며 상기 외곽틀(220)의 외주면 양단에는 소정의 길이의 지지바(240)가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20)와 하면에 구비된 전선 유입준비공간부(300)의 바닥 중앙 양측으로 유입공(310)이 구비되어 있고 외주면 양측에는 고정손잡이(3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 개구된 외주면 프레임 외측 상단에는 회전돌기(330)가 구비된 본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120)와 상기 체결홈(200)은 서로 밀착되어 캡부(10)가 본체부(30)를 공회전시 상기 체결돌기(120)를 따라 상기 체결홈(200)이 승강함으로서 상기 캡부(10)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승하강부(20) 승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와,
상기 캡부(10)의 회전레일(110)을 따라 상기 본체부(30)의 회전돌기(330) 반복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와,
상기 지지바(24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서 상기 캡부(10)의 내주부를 따라 승하강시 내주면에 밀착가능하도록 외측으로 확개 형상인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와,
상기 본체부(30)의 유입공(310)의 상측에는 '∞' 형상의 돌출부(340)가 형성되어 있어 전선의 꼬임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전선을 그립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와,
상기 전선관통공(210)과 상기 유입공(310)이 같은 지름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균일하고 일정한 피치로 전선을 꼬아 주어 꼬임전선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균일한 품질을 가지게 되며, 전선의 꼬임작업시에 불측의 사유로 전선을 놓치거나, 전선이 단선되더라도 회전하는 전선이 유입공, 돌출부, 승하강부에 의해 2중 3중으로 수용됨으로서 단선된 전선이 외부로 나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게 전선꼬임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가정이나 직장 더 나아가서, 작업 현장등에서 용이하게 전선을 손쉽게 꼬을 수 있는 것이며, 기존과 달리 기계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본체부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승하강부의 사시도 및 저면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캡부의 사시도 및 저면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캡부를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도 8의 평면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캡부를 회전하여 승하강부가 캡부의 내주 상면에 접한 즉, 전선이 완전히 꼬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본체부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승하강부의 사시도 및 저면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캡부의 사시도 및 저면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도 6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캡부를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도 8의 평면 사용 상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서 캡부를 회전하여 승하강부가 캡부의 내주 상면에 접한 즉, 전선이 완전히 꼬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전선 꼬임장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지시부호 10은 캡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캡부(10)는 도 1, 도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은 폐쇄되고 하면은 개구된 형상으로 둘레 외주면 양측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회전손잡이(100)가 구비되어 내주면 하단에는 회전레일(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레일(110)로 부터 상단 끝까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체결돌기(120)가 구비된 구조이다.
지시부호 20은 승하강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하강부(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체가 라운딩 처리된 팔자를 눕힌 '∞' 형상으로서 외주면 중앙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체결홈(200)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전선관통공(210)이 양측 중앙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면은 외곽틀(220) 및 구획틀(230)을 제외하고 개구된 상태이며 상기 외곽틀(220)의 외주면 양단에는 소정의 길이의 지지바(24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지시부호 30은 본체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구비된 전선 유입준비공간부(300)의 바닥 중앙 양측으로 유입공(310)이 구비되어 있고 외주면 양측에는 고정손잡이(3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 개구된 외주면 프레임 외측 상단에는 회전돌기(330)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캡부(10)의 회전레일(110)을 따라 상기 본체부(30)의 회전돌기(330) 반복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지지바(24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서 상기 캡부(10)의 내주부를 따라 승하강시 내주면에 밀착가능하도록 외측으로 확개 형상인 것이다.
다음, 상기 본체부(30)의 유입공(310)의 상측에는 '∞' 형상의 돌출부(340)가 형성되어 있어 전선의 꼬임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전선을 그립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고,
상기 체결돌기(120)와 상기 체결홈(200)은 서로 밀착되어 캡부(10)가 본체부(30)를 공회전시 상기 체결돌기(120)를 따라 상기 체결홈(200)이 승강함으로서 상기 캡부(10)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승하강부(20) 승강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전선관통공(210)과 상기 유입공(310)이 같은 지름을 갖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C는 전선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0) 내주부로 승하강부(20)를 결합하되 상기 캡부(10)의 체결돌기(120)와 상기 승하강부(20)의 체결홈(200)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캡부(10)의 회전손잡이(100)를 이용하여 회전시 상기 승하강부(20)는 체결돌기(120)에 체결홈(20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캡부(10)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부(20)가 캡부(10)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C)을 유입공(310)에 삽입 관통하여 승하강부(20)의 전선관통공(210)을 관통하여 위치시킨 후 상기 캡부(10)을 회전하면 이때 회전시 캡부(10)의 회전레일(110)을 따라 본체부(30)의 회전돌기(330)가 반복 회전하는 구조이며 이와 같이 반복하여 회전하면, 상기 캡부(10)의 내주면에 지지바(240)에 의해 상기 캡부(10)와 밀착됨과 동시에 체결홈(200)과 체결돌기(120)가 긴밀하게 체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캡부(10)의 회전손잡이(100)를 회전하면 상기 승하강부(20)가 회전하면서 체결돌기(120)를 따라 승강 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0)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승하강부(20)의 하측인 즉, 유입공(310)에 고정된 전선(C)의 상부가 꼬여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안정적인 꼬임 현상을 위해 본체부(30)에 돌출부(340)를 이용하여 전선(C)을 소정의 길이만큼 그립하여 둔 상태에서 전선(C)을 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함으로서 본 발명은,
균일하고 일정한 피치로 전선을 꼬아 주어 꼬임전선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균일한 품질을 가지게 되며, 전선의 꼬임작업시에 불측의 사유로 전선을 놓치거나, 전선이 단선되더라도 회전하는 전선이 유입공, 돌출부, 승하강부에 의해 2중 3중으로 수용됨으로서 단선된 전선이 외부로 나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게 전선꼬임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며,
또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가정이나 직장 더 나아가서, 작업 현장등에서 용이하게 전선을 손쉽게 꼬을 수 있는 것이며, 기존과 달리 기계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캡부 20 : 승하강부
30 : 본체부 100 : 회전손잡이
110 : 회전레일 120 : 체결돌기
200 : 체결홈 210 : 전선관통공
220 : 외곽틀 230 : 구획틀
240 : 지지바 300 : 전선 유입준비 공간부
310 : 유입공 320 : 고정손잡이
330 : 회전돌기 340 : 돌출부
C : 전선

Claims (6)

  1. 상면은 폐쇄되고 하면은 개구된 형상으로 둘레 외주면 양측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회전손잡이(100)가 구비되어 내주면 하단에는 회전레일(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레일(110)로 부터 상단 끝까지 양측에 체결돌기(120)가 구비된 캡부(10)와 전체가 라운딩 처리된 팔자를 눕힌 '∞' 형상으로서 외주면 중앙 양측에는 체결홈(200)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전선관통공(210)이 양측 중앙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면은 외곽틀(220) 및 구획틀(230)을 제외하고 개구된 상태이며 상기 외곽틀(220)의 외주면 양단에는 소정의 길이의 지지바(240)가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20)와 하면에 구비된 전선 유입준비공간부(300)의 바닥 중앙 양측으로 유입공(310)이 구비되어 있고 외주면 양측에는 고정손잡이(3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면 개구된 외주면 프레임 외측 상단에는 회전돌기(330)가 구비된 본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120)와 상기 체결홈(200)은 서로 밀착되어 캡부(10)가 본체부(30)를 공회전시 상기 체결돌기(120)를 따라 상기 체결홈(200)이 승강함으로서 상기 캡부(10)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승하강부(20) 승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10)의 회전레일(110)을 따라 상기 본체부(30)의 회전돌기(330) 반복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4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서 상기 캡부(10)의 내주부를 따라 승하강시 내주면에 밀착가능하도록 외측으로 확개 형상인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0)의 유입공(310)의 상측에는 '∞' 형상의 돌출부(340)가 형성되어 있어 전선의 꼬임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전선을 그립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통공(210)과 상기 유입공(310)이 같은 지름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전선 꼬임장치.


KR1020230033771A 2023-03-15 2023-03-15 전선 꼬임장치 KR10265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771A KR102656928B1 (ko) 2023-03-15 2023-03-15 전선 꼬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771A KR102656928B1 (ko) 2023-03-15 2023-03-15 전선 꼬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928B1 true KR102656928B1 (ko) 2024-04-11

Family

ID=9066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771A KR102656928B1 (ko) 2023-03-15 2023-03-15 전선 꼬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9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198B1 (ko) * 1992-07-11 1999-01-15 허버트 킹 쥬니어 로이드 꼬임전선커넥터 및 그 꼬임전선커넥터주위에서 실런트함유셸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13077B1 (ko) 2008-12-19 2009-08-21 라순채 전선 꼬임장치
KR200478082Y1 (ko) 2015-05-15 2015-08-25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101653874B1 (ko) 2014-08-18 2016-09-02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20180095351A (ko) * 2017-02-17 2018-08-27 황준석 전선 꼬임장치
KR102015350B1 (ko) 2017-07-04 2019-10-21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198B1 (ko) * 1992-07-11 1999-01-15 허버트 킹 쥬니어 로이드 꼬임전선커넥터 및 그 꼬임전선커넥터주위에서 실런트함유셸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13077B1 (ko) 2008-12-19 2009-08-21 라순채 전선 꼬임장치
KR101653874B1 (ko) 2014-08-18 2016-09-02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200478082Y1 (ko) 2015-05-15 2015-08-25 이지선 전선 꼬임장치
KR20180095351A (ko) * 2017-02-17 2018-08-27 황준석 전선 꼬임장치
KR102015350B1 (ko) 2017-07-04 2019-10-21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710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CN104379866B (zh) 用于在钻机中把持钻柱部件的设备和方法以及钻机
KR200478082Y1 (ko) 전선 꼬임장치
CN112531368B (zh) 一种电控接地线夹
KR102656928B1 (ko) 전선 꼬임장치
CN111864501A (zh) 一种用于电力行业的带电搭火绝缘操作系统
CN111864502B (zh) 一种用于带电接引流线的绝缘作业系统
US20060169492A1 (en) Ice auger cordless drill adaptor
KR101947671B1 (ko) 전선 꼬임장치
KR101653874B1 (ko) 전선 꼬임장치
KR100913077B1 (ko) 전선 꼬임장치
KR102015350B1 (ko)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CN215558351U (zh) 一种具有防脱钩保护的抓具
CN211366505U (zh) 一种缠绕式环体线材立式释放器
CN211342825U (zh) 一种接头上卸装置
CN114362035A (zh) 一种耐张绝缘子更换装置
US2145066A (en) Elevator
CN207548663U (zh) 一种用于高空更换节能灯泡的工具
CN211073446U (zh) 套管护丝卸扣器
JP2774744B2 (ja) 架線ケ−ブル捻回装置
KR102177294B1 (ko) 업퍼툴에 수용된 모터 코일의 리드선 정렬을 위한 정렬유닛
CN206643828U (zh) 防打滑活动扳手
CN210264606U (zh) 一种隧道取芯用提芯器
KR101302738B1 (ko) 케이블꼬임장치
CN210939105U (zh) 吊环螺栓取出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