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081A - 전선 트위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트위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081A
KR20150108081A KR1020140030789A KR20140030789A KR20150108081A KR 20150108081 A KR20150108081 A KR 20150108081A KR 1020140030789 A KR1020140030789 A KR 1020140030789A KR 20140030789 A KR20140030789 A KR 20140030789A KR 20150108081 A KR20150108081 A KR 20150108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me
rotation
electric wire
wi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966B1 (ko
Inventor
유영롱
Original Assignee
유영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롱 filed Critical 유영롱
Priority to KR1020140030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96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Abstract

본발명에 따르면, 전동드릴장치의 드릴척에 결합되어 복수의 전선을 트위스트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는 드릴척에 결합되는 결합부, 결합부와 연결되고, 드릴척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회전판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전선을 고정시키는 복수의 전선 고정부, 회전판과 전선 고정부를 베어링 연결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며, 드릴척의 회전시 연동되어 상기 결합부, 회전판, 및 베어링 연결된 복수의 전선 고정부가 회전되어 복수의 전선 고정부에 고정된 전선들을 하나로 트위스트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트위스트 장치{Twisting Apparatus for Electric Wire}
전동드릴장치를 이용하여 고정된 복수의 전선을 트위스트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전선 가닥은 트위스트하여 피복을 입혀 이용한다. 종래에는 복수의 전선 가닥을 손으로 직접 트위스트하여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전선을 트위스트하는 힘이 불규칙하게 적용되어 전선의 꼬임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되며,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전선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동으로 전선을 트위스트 작업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국내등록특허 10-0913077(이하, 인용발명)과 같은 전선 꼬임장치가 개시되었다.
한편, 인용발명의 전선 꼬임장치의 전선 고정부는 전선고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회전시 전선이 전선수용부(10) 및 전선캡(40) 등에 의해 마모되어 끊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동드릴장치를 이용하여 회전판 및 회전판에 베어링 연결된 복수의 전선고정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선고정부에 고정된 전선들을 자동으로 트위스트할 수 있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동드릴장치의 드릴척에 결합되어 복수의 전선을 트위스트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는 상기 드릴척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드릴척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는 복수의 전선 고정부; 상기 회전판과 전선 고정부를 베어링 연결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릴척의 회전시 연동되어 상기 결합부, 회전판, 및 베어링 연결된 복수의 전선 고정부가 회전되어 상기 복수의 전선 고정부에 고정된 전선들을 하나로 트위스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선 고정부는, 중공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홀을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암나사산과 치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삽입홀에 상기 전선이 삽입되면, 상기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을 치합시켜 상기 삽입된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선 고정부는,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는 걸림턱, 상기 걸림턱에 연결되어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연결되어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태의 축 연결부, 상기 축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방된 일측의 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한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편심된 위치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편심축을 포함하는 편심회전부; 상기 편심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편심축 결합부 상기 편심축 결합부와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편심축 결합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편심축을 고정시키는 마감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시작점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각도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중심프레임 내지 제3중심프레임을 포함하는 중심프레임; 및 상기 제1중심프레임 내지 제3중심프레임의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볼트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 내지 제3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고정부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 내지 제3연결프레임과 베어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프레임은, 시작점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연결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제1결합홈을 구비하는 상부 수평프레임 및 하부 수평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부채꼴 형태로, 상기 중심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제2결합홈을 구비하며, 중심각 및 호의 길이는 상기 중심프레임의 이격된 각도 및 수직프레임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볼베어링이며, 내측링 내부로 상기 전선 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외측링의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은 상기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 삽입된 돌출부가 회전가능한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 트위스트 장치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중공부를 통해 회전된 돌출부를 상기 회전판의 외측에서 고정결합시키는 회전판 고정부; 및 상기 내측링에 삽입되어 고정된 전선 고정부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는 끝단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 트위스트 장치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트위스트 장치는 전동드릴장치를 이용하여 회전판 및 회전판에 베어링 연결된 복수의 전선고정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선고정부에 고정된 전선들을 자동으로 트위스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선 고정부는 볼트 결합 또는 레버부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전선을 고정 및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판, 볼베어링, 전선고정부는 분리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 교체필요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 상부에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감지하여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전선의 트위스트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드릴장치에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트위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선 트위스트 장치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트위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트위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선고정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전선고정부의 언락(unlock)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전선고정부의 락(lock)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트위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중심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연결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전동드릴장치에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트위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2를 참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선 트위스트 장치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전선 트위스트 장치(1000)는 회전판(100), 결합부(200), 연결부(210), 전선 고정부(300), 센서부(미도시), 표시부(400), 베어링부(500), 회전판 고정부(550a,550b) 및 끝단 고정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00)는 일측이 회전판(100)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결부(210)를 통해 고정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00)는 타측이 전동드릴장치(10)의 드릴척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판(100)은 원판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선고정부(300)와 베어링부(500)를 통해 베어링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부(500)는 볼베어링이 될 수 있으며, 내측링(미도시)의 내부로 전선고정부(300)가 삽입되어 내측링과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선고정부(300)의 일측 끝단은 회전판(100)의 하부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끝단 고정부(550)와 고정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500)의 외측링(520)의 끝단 일측에 복수의 돌출부(540a,540b)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회전판(100)은 전선고정부(300) 및 베어링부(500)가 삽입되는 삽입부(미도시), 돌출부(540a, 540b)가 삽입되는 삽입홀(11), 삽입된 돌출부(540a, 540b)가 회전가능한 중공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부(500)는 돌출부(540a,540b)가 삽입홀(11)에 삽입된 후, 중공부(12)를 통해 일정각도 회전한 후, 회전판(100)의 하부면 외측에서 삽입되는 회전판 고정부(550a, 550b)에 의해 회전판(10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판 고정부(550a, 550b)는 회전판(1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돌출부(540a, 540b)와 고정결합되는 볼트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부(500) 또는 전선 고정부(300)의 교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선 고정부(300)는 일측 끝단이 베어링부(500)를 통해 회전판(100)과 베어링 연결되어 끝단고정부(55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선 고정부(300)는 타측 끝단이 회전판(10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트위스트하기 위한 복수의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전선 고정부(300)는 복수 개가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선 고정부(300)의 개수를 3개인 경우로, 제1전선고정부(310) 내지 제3전선고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선고정부(300)의 개수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의 구조 또는 도 4의 실시예의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트위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전선고정부(300)는 제1전선고정부(310) 내지 제3전선고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전선고정부(310) 내지 제3전선고정부(330)는 바디부(311a) 및 헤드부(312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1a)는 베어링부(500)의 내측링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측 끝단이 끝단 고정부(55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311a)는 중공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311a)의 측면을 관통하는 전선 삽입홀(20)을 구비하여 전선을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헤드부(312a)는 바디부(311a)의 암나사산과 치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나사가 될 수 있다.
전선고정부(300)는 전선 삽입홀(20)에 전선이 삽입되면, 헤드부(312a)의 수나사산을 암나사산과 치합시켜 삽입된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트위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의 전선고정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전선 고정부(300)는 본체부(311b) 및 레버부(31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버부(312b)는 고정부(316), 편심회전부(317), 손잡이부(319) 및 마감캡(322a,322b)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1b)는 레버부(312b)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311b)는 고정부(316) 및 편심회전부(317)가 삽입되어 회전운동가능한 제1삽입공간(40)을 구비하며, 편심회전부(317)와 손잡이부(319) 및 마감캡(322a,322b)을 결합시킬 수 있는 제2삽입공간(30a,30b)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11b)는 상부면의 제1삽입공간(40) 입구의 일측에 요홈이 형성된 오목부(5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316)는 전선을 고정시키는 걸림턱(313), 걸림턱(313)에 연결되어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바(314), 수직바(314)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태의 축 연결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313)은 하부면에 돌출된 볼록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볼록부(60)는 오목부(5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편심회전부(317)는 중심축(317a) 및 편심축(317b)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축(317a)은 일측에 돌출된 돌출 프레임(61)을 구비하며, 축 연결부(315)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중심축(317a)은 돌출 프레임(61)에 의해 축 연결부(315)의 개방된 일측의 공간 내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중심축(317a)은 손잡이부(319)의 이동에 의해 편심회전될 수 있다.
편심축(317b)은 중심축(317a)의 편심된 위치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319)는 본체부(311b)의 제2삽입공간(30a,30b)을 관통한 편심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양측의 편심축 결합부(320a,320b)와 양측의 편심축 결합부(320a,320b)를 연결한 손잡이(321)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319)는 편심회전부(317)를 편심회전시켜 고정부(316)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걸림턱(313)이 오목부(50)에 고정 및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마감캡(322a,322b)은 편심축 결합부(320a,320b)의 외측에 구비되어 제2삽입공간(30a,30b) 및 편심축 결합부(320a,320b)를 관통한 편심축(317b)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전선 고정부(300)의 동작은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전선고정부의 언락(unlock)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전선고정부의 락(lock)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손잡이부(319)가 위쪽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돌출 프레임(61)의 이동공간내에서 중심축(317a)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편심회전부(317)의 편심회전에 의해, 걸림턱(313)이 오목부(50)로부터 이탈된 언락(unlock)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313)의 볼록부(60)와 본체부(311b)의 오목부(50) 사이에 전선을 구비하고, 도 7과 같이 손잡이부(319)를 아래방향으로 회전시켜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손잡이부(319)가 아래쪽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돌출 프레임(61)의 이동공간내에서 중심축(317a)이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편심회전부(317)의 편심회전운동에 의해, 걸림턱(313)이 오목부(50)에 치합된 락(lock)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이하게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전선 고정부(300)에 전선이 각각 고정되면, 전동드릴장치(10)를 구동시켜 전선을 트위스트시킬 수 있다. 전동드릴장치(10)의 구동시, 드릴척에 연결된 결합부(200), 결합부(200)에 연결된 회전판(100), 회전판(100)과 베어링 연결된 전선고정부(300)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고정부(300)에 고정된 복수의 전선들이 하나로 트위스트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회전부(100)의 일측에 부착되어, 회전판(100)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선 고정부(300)에도 부착되어, 전선 고정부(300)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도 있다.
표시부(400)는 회전판(10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센서부(미도시)로부터 감지된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이를 통해 전선의 트위스트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트위스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전선 트위스트 장치의 회전판(100)의 구조를 변형시킨 것으로, 그외의 구성들의 구조 및 기능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서는 결합부(200), 연결부(210), 전선 고정부(300), 센서부(미도시), 표시부(400), 베어링부(500), 회전판 고정부(550a,550b) 및 끝단 고정부(550)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중심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연결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따르면, 회전판(100)은 중심프레임(110) 및 연결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프레임(110)은 연결부(210)를 중심으로 결합된 제1중심프레임 내지 제3중심프레임(111 내지 113)을 포함하며, 연결프레임(120)은 제1연결프레임(121 내지 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회전판(100)은 탄소섬유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중심프레임 내지 제3중심프레임(111 내지 113)은 연결부(210)를 시작점으로 각각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일정각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제1중심프레임(111)은 중심의 수직프레임(2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상부 수평프레임(22a,22b) 및 하부 수평프레임(22c,22d)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평프레임 및 하부 수평프레임(22a 내지 22d)에는 연결프레임(120)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제1결합홈(71)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중심프레임(112) 및 제3중심프레임(113)도 제1중심프레임(111)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연결프레임(120)은 부채꼴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각(θ) 및 호의 길이는 결합되는 제1중심프레임 내지 제3중심프레임(111 내지 113)의 이격된 각도 및 중심프레임(110)의 연장된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120)은 상부 및 하부에 중심프레임(110)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제2결합홈(7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따르면, 제1연결프레임 및 제3연결프레임(121 내지 123)은 제1중심프레임 내지 제3중심프레임(111 내지 113)의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제1결합홈(71) 및 제2결합홈(72)을 통해 볼트결합(70)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프레임(110) 및 연결프레임(120)의 교체필요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선고정부(300)는 제1연결프레임 내지 제3연결프레임(111 내지 113)과 베어링부(5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선고정부(300)은 도 3의 실시예 또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0 : 전선 트위스트 장치 10 : 전동드릴장치
100 : 회전판 200 : 결합부
210 : 연결부 300 : 전선고정부
311a : 바디부 312a : 헤드부
311b : 본체부 312b : 레버부
400 : 표시부 500 : 베어링부
550a,550b : 회전판 고정부 550 : 끝단고정부

Claims (9)

  1. 전동드릴장치의 드릴척에 결합되어 복수의 전선을 트위스트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척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드릴척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는 복수의 전선 고정부;
    상기 회전판과 전선 고정부를 베어링 연결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릴척의 회전시 연동되어 상기 결합부, 회전판, 및 베어링 연결된 복수의 전선 고정부가 회전되어 상기 복수의 전선 고정부에 고정된 전선들을 하나로 트위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선 고정부는,
    중공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홀을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암나사산과 치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삽입홀에 상기 전선이 삽입되면, 상기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을 치합시켜 상기 삽입된 전선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선 고정부는,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는 걸림턱, 상기 걸림턱에 연결되어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태의 축 연결부;
    상기 축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방된 일측의 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한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편심된 위치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편심축을 포함하는 편심회전부;
    상기 편심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편심축 결합부 상기 편심축 결합부와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편심축 결합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편심축을 고정시키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시작점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각도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중심프레임 내지 제3중심프레임을 포함하는 중심프레임; 및
    상기 제1중심프레임 내지 제3중심프레임의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볼트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 내지 제3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고정부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 내지 제3연결프레임과 베어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프레임은,
    시작점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연결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제1결합홈을 구비하는 상부 수평프레임 및 하부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트위스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부채꼴 형태로, 상기 중심프레임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제2결합홈을 구비하며, 중심각 및 호의 길이는 상기 중심프레임의 이격된 각도 및 수직프레임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볼베어링이며, 내측링 내부로 상기 전선 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외측링의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은 상기 베어링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 삽입된 돌출부가 회전가능한 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트위스트 장치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중공부를 통해 회전된 돌출부를 상기 회전판의 외측에서 고정결합시키는 회전판 고정부; 및
    상기 내측링에 삽입되어 고정된 전선 고정부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는 끝단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트위스트 장치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트위스트 장치.
KR1020140030789A 2014-03-17 2014-03-17 전선 트위스트 장치 KR101663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789A KR101663966B1 (ko) 2014-03-17 2014-03-17 전선 트위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789A KR101663966B1 (ko) 2014-03-17 2014-03-17 전선 트위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081A true KR20150108081A (ko) 2015-09-25
KR101663966B1 KR101663966B1 (ko) 2016-10-11

Family

ID=5424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789A KR101663966B1 (ko) 2014-03-17 2014-03-17 전선 트위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9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351A (ko) * 2017-02-17 2018-08-27 황준석 전선 꼬임장치
CN108597688A (zh) * 2018-03-24 2018-09-28 浙江海宁普赛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工机械专用自动化的绞线机
CN110504071A (zh) * 2019-08-28 2019-11-26 江苏艮德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可调节线束扭线装置
CN113130137A (zh) * 2021-04-20 2021-07-16 李漠 一种低烟无卤铝合金电缆生产加工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2575A (ja) * 1999-04-08 2002-12-10 シュロニガー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ケーブル加工装置の制御方法、ケーブル加工装置及びケーブル加工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
KR200441181Y1 (ko) * 2007-06-07 2008-07-28 남진우 전선 결속부용 트위스트기구
JP2009129729A (ja) * 2007-11-26 2009-06-11 Toyota Motor Corp ツイスト線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2575A (ja) * 1999-04-08 2002-12-10 シュロニガー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ケーブル加工装置の制御方法、ケーブル加工装置及びケーブル加工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
KR200441181Y1 (ko) * 2007-06-07 2008-07-28 남진우 전선 결속부용 트위스트기구
JP2009129729A (ja) * 2007-11-26 2009-06-11 Toyota Motor Corp ツイスト線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351A (ko) * 2017-02-17 2018-08-27 황준석 전선 꼬임장치
CN108597688A (zh) * 2018-03-24 2018-09-28 浙江海宁普赛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工机械专用自动化的绞线机
CN110504071A (zh) * 2019-08-28 2019-11-26 江苏艮德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可调节线束扭线装置
CN113130137A (zh) * 2021-04-20 2021-07-16 李漠 一种低烟无卤铝合金电缆生产加工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966B1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966B1 (ko) 전선 트위스트 장치
US9718165B2 (en) Shaft for rotationally coupling a main device to a tubular device
KR20150108833A (ko) 교환가능한 커팅부를 갖춘 드릴 비트
KR20150095913A (ko) 교환가능한 커팅부를 갖춘 드릴 비트
JP2003136310A (ja) ドリリング装置
US20180202481A1 (en) Fastening device
US9377037B2 (en) Lock device and method of use
JP2014205234A (ja) 第1連結部及び工具連結器
KR101959350B1 (ko) 치과용 핸드피스
CA2830704C (en) Alpine anchor for anchoring threaded rods in soil or rock
JP5421579B2 (ja) 携帯可能な工具装置のための装置連結器を有する装置スタンド
KR20160067896A (ko) 직선 운동과 회전 운동의 변환 기구
CN105459052A (zh) 批头自由锁取装置
CN100586390C (zh) 骨固定装置
US20160305484A1 (en) Connection of a Tubular Device to a Shaft
JP5918573B2 (ja) ソケット回転レンチ
US853570A (en) Turret-head.
JP6987894B2 (ja) 設置工具、設置工具システム用セット及び設置工具システム
TWI622465B (zh) Screw drive for use with impact drives
CN102006827B (zh) X射线透视摄像装置
CN212399389U (zh) 一种组合式阀门扳手
KR102397072B1 (ko) 회전식 길이 측정장치
CN110065023A (zh) 用于手持式工具机的保持装置
ES2670829T3 (es) Herramienta,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el enroscado de resortes helicoidales de compresión para formar un resorte helicoidal de disco
CN213259262U (zh) 一种电除尘高分子绝缘棒拔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