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214A - 자기 영동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영동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214A
KR20180095214A KR1020170021417A KR20170021417A KR20180095214A KR 20180095214 A KR20180095214 A KR 20180095214A KR 1020170021417 A KR1020170021417 A KR 1020170021417A KR 20170021417 A KR20170021417 A KR 20170021417A KR 20180095214 A KR20180095214 A KR 20180095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er
present
magnetic particle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784B1 (ko
Inventor
구범모
임창윤
어현수
서동원
안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2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7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G02F1/09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based on magnetophoretic effect
    • G02F2001/09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제1 기재; 제2 기재; 및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구비된 표시층을 포함하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기재는 폴리 올레핀 폼층 또는 발포 고무층이며,
상기 표시층은 광흡수성 자성 입자,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 또는 광흡수성 자성 입자,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격벽으로 분리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층은 상기 제1 기재에 직접 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최소 밴딩 곡률반경은 10 R을 만족하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기 영동 표시 장치{Magnetophoretic Display}
본 발명은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기록과 소거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고, 별도의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자성을 띠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필기가 가능하고, 자성을 띠는 소거 매체를 이용하여 필기를 지우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록 매체에 의하여 흑색의 자성 입자가 표시 면에 가까이 이동함으로써 일련의 표시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소거 매체에 의하여 흑색의 자성 입자가 표시 면에서 멀리 이동하게 함으로서 표시 화상을 제거하게 된다.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경우, 흑색 입자 및 백색 입자의 분산성 및 흑색 입자의 이동성이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종이와 유사한 느낌의 백색 상태 및 필기시 흑/백의 높은 콘트라스트 비를 구현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나아가,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종이와 유사하게 구부리는 경우에도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일본 공개공보: 2002-148665
본 발명은 우수한 밴딩 내구성을 가지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제1 기재; 제2 기재; 및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구비된 표시층을 포함하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기재는 폴리 올레핀 폼층 또는 발포 고무층이며,
상기 표시층은 광흡수성 자성 입자,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 또는 광흡수성 자성 입자,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격벽으로 분리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층은 상기 제1 기재에 직접 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최소 밴딩 곡률반경은 10 R을 만족하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낮은 밴딩 곡률반경 및 우수한 밴딩 내구성을 가지므로, 종이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두께가 매우 얇아 휴대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우수한 흑/백의 콘트라스트 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표시 안정성이 우수하며, 필기 후 표시 화상이 뚜렷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세밀한 화상 표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가 없는 경우, 백색도가 우수하여 종이와 비슷한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자성 필기 도구에 의한 자성 입자의 이동 속도가 빠르므로, 필기 반응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마이크로 캡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가 구현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가 구현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제1 기재층의 단면을 확대한 이미지이다.
도 5는 10 R의 밴딩 테스트를 진행한 후의 실시예 1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확대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10 R의 밴딩 테스트를 진행한 후의 비교예 1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확대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용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제1 기재; 제2 기재; 및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구비된 표시층을 포함하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기재는 폴리 올레핀 폼층 또는 발포 고무층이며,
상기 표시층은 광흡수성 자성 입자,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 또는 광흡수성 자성 입자,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격벽으로 분리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층은 상기 제1 기재에 직접 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최소 밴딩 곡률반경은 10 R을 만족하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밴딩 곡률 반경은 1 R 이상 10 R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밴딩 곡률 반경은 4 R 이상 10 R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밴딩 곡률반경은 상기 제2 기재를 내측으로 하여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밴딩하는 경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에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의 곡률반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재는 0.2 g/㎥ 이상 0.7 g/㎥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 올레핀 폼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올레핀 폼층은 폴리 올레핀계 수지, 가교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폴리 올레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 올레핀계 수지, 가교제 및 발포제는 각각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가 상기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 올레핀 폼층인 경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밴딩시 표시층 내의 마이크로 캡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최소 밴딩 곡률 반영을 10 R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재가 상기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 올레핀 폼층인 경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밴딩시 표시층과 제1 기재의 들뜸이 방지될 수 있으며, 밴딩 후 평판 상태로 회복시 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재는 상기 폴리 올레핀 조성물을 상기 표시층 상에 직접 도포한 후 경화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재는 별도의 접착 물질 또는 접착층을 구비하지 않고, 표시층과 직접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폴리 올레핀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 올레핀 폼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재는 쇼어 A 경도 20 이상 30 이하의 발포 고무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발포 고무층은 실리콘계 발포 고무층일 수 있다.
상기 쇼어 A 경도는 쇼어 경도 측정기(du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발포 고무층은 실리콘 고무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고무는 PDMS(Polydimethylsiloxan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고무 조성물은 중공 미소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 및 중공 미소구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가 상기 범위 내의 경도를 가지는 발포 고무층인 경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밴딩시 표시층 내의 마이크로 캡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최소 밴딩 곡률 반영을 10 R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재가 상기 범위 내의 경도를 가지는 발포 고무층인 경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밴딩시 표시층과 제1 기재의 들뜸이 방지될 수 있으며, 밴딩 후 평판 상태로 회복시 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재는 상기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상기 표시층 상에 직접 도포한 후 경화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재는 별도의 접착 물질 또는 접착층을 구비하지 않고, 표시층과 직접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포 고무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재는 상기 표시층 상에 직접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표시층을 접합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재의 두께는 100 ㎛ 이상 5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재의 두께는 100 ㎛ 이상 2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에서 상기 제1 기재는 화상 표시시, 상기 마이크로 캡슐 또는 상기 픽셀에 대한 국부적인 압력을 완화하여 표시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 범위에서 상기 제1 기재는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밴딩시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재는 투명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재는 상기 표시층의 상면에 구비되어, 표시층에 표시된 화상이 나타나는 표면 기재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재는 상기 표시층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안티 글래어 코팅이 되어 광택도가 낮은 기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재는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스필름,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 염화비닐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필름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기재는 비자성 기재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재는 화상 표시시, 자성 필기 도구와 직접 접하거나 이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화상 표시시 압력을 일부 흡수하여 표시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재의 두께는 50 ㎛ 이상 300 ㎛ 이하, 구체적으로, 80 ㎛ 이상 1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에서 상기 제2 기재는 상기 표시층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표시부에서 구현된 화상 표시를 외부에 잘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표시층의 두께는 150 ㎛ 이상 550 ㎛ 이하, 구체적으로 200 ㎛ 이상 400 ㎛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표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표시층은 우수한 흑백의 콘트라스트 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박형의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층의 두께가 150 ㎛ 미만인 경우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에서 충분한 부착력을 얻을 수 없으며, 상기 표시층의 두께가 550 ㎛를 초과하는 경우 자성입자가 필기 속도를 따라오지 못하는 문제 및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말았을 때 충분한 곡률반경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표시층은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복수의 상기 마이크로 캡슐이 분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표시층은 수계형 고분자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계형 고분자는 상기 표시층의 매트릭스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수계형 고분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vinyl acetate)계 고분자, 폴리 비닐 알코올(PVA: poly Vinyl alcohol)계 고분자,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NBR: butadiene acrylonitrile)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캡슐과 상기 수계형 고분자의 중량비는 10:1 내지 10: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수계형 고분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vinyl acetate)계 고분자, 폴리 비닐 알코올(PVA: poly Vinyl alcohol)계 고분자를 1: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캡슐 조성물은 상기 마이크로 캡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vinyl acetate)계 고분자 및 폴리 비닐 알코올(PVA: poly Vinyl alcohol)계 고분자의 중량비를 10:1:1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표시층은 고분자 격벽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픽셀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총 두께는 0.5 ㎜ 이상 1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박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밴딩 내구성도 우수하여 종이와 유사하게 거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 및 상기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중 적어도 1종은 표면에 불소계 화합물로 개질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 및/또는 상기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의 표면 리간드에 치환되어 결합함으로서, 상기 입자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 및/또는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의 표면에 결합되어, 상기 입자들의 분산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마이크로 캡슐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 및/또는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가 서로 뭉치거나, 마이크로 캡슐의 내벽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백색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백색도가 우수하여 종이와 비슷한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화합물로 표면 개질된 광흡수성 자성 입자는 상기 마이크로 캡슐 내에서 뭉침 없이 빠른 이동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또는 화상 소거시 높은 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화합물로 표면 개질된 광흡수성 자성 입자 및/또는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는 서로 엉겨붙지 않으므로, 우수한 흑/백의 콘트라스트 비를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필기 후 표시 화상이 뚜렷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세밀한 화상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자기 영상 표시 장치는 선명한 화상 표시의 기록 및 소거가 가능하고, 실제 필기하는 것과 같은 빠른 기록 및 소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과불화(perfluorinated)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과불화 화합물은 과불화기[CF3(CF2)n (n = 1 이상의 정수)]를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과불화 실란 화합물 및 과불화 인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과불화 실란 화합물은 퍼플루오로옥틸 트리에톡시실란(Perfluorooctyl triethoxysilane), 및 퍼플루오로옥틸 에틸 트리메톡시실란(perfluorooctyl ethyl trimethoxy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과불화 인산 화합물은 1H,1H,2H,2H-퍼플루오로-n-옥틸포스폰산(1H,1H,2H,2H-Perfluoro-n-octylphosphonic acid), 1H,1H,2H,2H-퍼플루오로-n-헥실포스폰산(1H,1H,2H,2H-Perfluoro-n-hexylphosphonic acid), 및 2-(퍼플루오로알킬)에틸 알콜 인산염(2-(perfluoroalkyl)ethyl alcohol phosph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입경은 100 ㎛ 이상 5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입경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자기 영상 표시 장치는 선명한 화상 표시의 기록 및 소거가 가능하고, 화상 표시 시 높은 흑백의 콘트라스트 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의 입경이 100 ㎛ 미만인 경우 충분한 백색도를 얻을 수 없으며, 350 ㎛를 초과하는 경우 자성입자가 필기 속도를 따라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는 적색, 흑색, 갈색 등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흑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는 산화철, 이산화 크롬 및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는 흑색 산화철, 다공성 산화철, 이산화 망간 함유 산화철, 이산화 크롬, 페라이트, 철 또는 니켈의 미립자 및 철-니켈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Fe3O4로 표시되는 자성 산화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의 입경은 0.1 ㎛ 이상 1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의 입경은 0.1 ㎛ 이상 7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는 입경이 0.1 ㎛ 이상 0.4 ㎛ 이하의 입자를 50 % 이상 또는 70 %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의 입경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우수한 필기 선명도 및 빠른 응답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는 상기 분산매에 대하여 0.5 wt% 이상 10 wt%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은 상기 분산매에 대하여 1 wt% 이상 5 wt%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화상 구현시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화상 소거 시 높은 백색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성 자성 입자는 백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는 산화티탄, 리토폰, 아연화, 백연 및 유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의 입경은 0.1 ㎛ 이상 1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의 입경은 0.1 ㎛ 이상 0.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의 입경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화상 표시의 소거 시 우수한 백색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는 상기 분산매에 대하여 5 wt% 이상 50 wt%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는 상기 분산매에 대하여 10 wt% 이상 40 wt%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우수한 백색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화상 표시 시 우수한 흑백의 콘트라스트 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분산매는 물, 글리콜류 등의 극성 분산매; 유기용매, 유류, 지방족 탄화수소 등의 무극성 용제; 및 글리콜류나 알코올류 등의 극성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매는 이소파라핀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캡슐 또는 상기 픽셀은 분산제; 침강 방지제; 대전 방지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로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음이온계 지방족 에스테르 혼합물, 폴리카르복실산 아민염, 소르비탄 트리오 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및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유기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는 각각 상기 분산매에 대하여 0.1 wt% 이상 10 wt%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침강 방지제는 무수 규산, 함수 규산, 규산나트륨, 규산 칼륨, 규산 알루미늄, 규산 칼슘, 미분 알루미나 및 실리카 분말, 알킬렌비스-12-히드록시 스테아린산 아미드 및/또는 페닐렌비스-12-히드록시 스테아린산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침강 방지제, 대전 방지제 및 산화 방지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마이크로 캡슐(100)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마이크로 캡슐 막(500) 내에 광흡수성 자성 입자(200),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300) 및 분산매(400)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은 도 1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의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가 구현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제1 기재(600)와 제2 기재(700) 사이에 구비된 마이크로 캡슐(100)을 포함하는 표시층(800)을 포함하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가 자성 필기 도구(900)에 의하여 화상 기록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가 구현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제1 기재(600)와 제2 기재(700) 사이에 구비된 픽셀(110)을 포함하는 표시층(800)을 포함하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가 자성 필기 도구(900)에 의하여 화상 기록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a) 흑색 유체의 제조
산화철(Sigama Aldrich) 을 1 M 의 HCl 수용액에 넣고 30분간 초음파 처리를 하여 표면 개질 시키고, 0.1 M의 Perfluorooctyl triethoxysilane를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여 30분간 초음파 처리를 하여 광흡수성 자성 입자의 표면에 불소계 처리를 하였다. 그 후, 에탄올로 씻어내고 130 ℃의 오븐에서 약 2시간 이상 건조시켜 표면처리 된 흑색의 광흡수성 자성 입자를 얻었다.
분산매인 ISOPAR-M (Exxon mobile chemical社) 94 중량부에, 침강 방지제로 지방산 비스아미드 HS-Thickener 4060K (San nopco社)를 2 중량부 넣어 90도 중탕과 초음파 처리로 녹인 후, 상기 제조한 흑색의 광흡수성 자성 입자 4 중량부 넣고 지르코니아 비드밀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분산시킨 후 필터링하여 흑색 유체를 얻었다.
(b) 백색 유체의 제조
분산매인 ISOPAR-M (Exxon mobile chemical社) 74 중량부에 산화티탄 Ti-Pure R103(Chemours) 25 중량부, 분산제 KF-6038(Shin-Etsu Chemical) 1 중량부를 넣고 지르코니아 비드밀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분산시킨 후 필터링하여 백색 유체를 얻는다.
(c) 자기영동 표시장치 제작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색 유체 및 백색 유체를 1.13 : 1의 비율로 섞고 약 12시간 동안 교반시켜 자성입자 분산액을 얻었다. 나아가, 복합 코아세르베이션법으로 자성입자 분산액을 심물질(Core Material)로 하는 투명한 젤라틴 마이크로 캡슐을 제작한 후, 마이크로 캡슐, PVA 및 EVA를 10:1: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조성물을 PET 필름 상에 코팅한 후 경화하여 표시층을 형성하였다. 나아가, 상기 표시층 상에 PDMS 및 발포제(제조사: 신에츠화학공업)를 포함하는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상기 표시층 상에 코팅한 후 경화하여 발포 고무층을 형성하여,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이 제조된 자기 영동 표시 장치에 대하여 10 R의 밴딩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마이크로 캡슐입자가 손상되지 않았다.
도 5는 10 R의 밴딩 테스트를 진행한 후의 실시예 1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확대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실시예 1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최소 곡률 반경이 10 R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표시층을 제조하고, 실시예 1과 같은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별도로 발포 고무층을 제조한 후, 아크릴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표시층과 발포 고무층을 합지하여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과 같이 제조된 자기 영동 표시 장치에 대하여 밴딩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실시예 1과 달리 손상된 마이크로 캡슐입자가 다수 발견되었다.
도 6은 10 R의 밴딩 테스트를 진행한 후의 비교예 1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를 확대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따르면, 비교예 1에 따른 자기 영동 표시 장치는 최소 곡률 반경이 10 R을 만족하지 못하며, 10 R의 밴딩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표시층 내의 마이크로 캡슐 입자의 손상이 상당히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0: 마이크로 캡슐
110: 픽셀
200: 광흡수성 자성 입자
300: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400: 분산매
500: 마이크로 캡슐 막
600: 제1 기재
700: 제2 기재
800: 표시층
900: 자성 필기 도구

Claims (11)

  1. 제1 기재; 제2 기재; 및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 사이에 구비된 표시층을 포함하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기재는 폴리 올레핀 폼층 또는 발포 고무층이며,
    상기 표시층은 광흡수성 자성 입자,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 또는 광흡수성 자성 입자,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및 분산매를 포함하는 격벽으로 분리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층은 상기 제1 기재에 직접 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최소 밴딩 곡률반경은 10 R을 만족하는 자기 영동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는 0.2 g/㎥ 이상 0.7 g/㎥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 올레핀 폼층인 것인 자기 영동 표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는 쇼어 A 경도 20 이상 30 이하의 발포 고무층인 것인 자기 영동 표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의 두께는 100 ㎛ 이상 500 ㎛ 이하인 것인 자기 영동 표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층의 두께는 150 ㎛ 이상 550 ㎛ 이하인 것인 자기 영동 표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재는 투명 수지 필름이고, 두께는 50 ㎛ 이상 300 ㎛ 이하인 것인 자기 영동 표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 영동 표시 장치의 총 두께는 0.5 ㎜ 이상 1 ㎜ 이하인 것인 자기 영동 표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성 자성 입자 및 상기 광반사성 비자성 입자 중 적어도 1종은 표면에 불소계 화합물로 개질된 것인 자기 영동 표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과불화(perfluorinated) 화합물인 것인 자기 영동 표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과불화 실란 화합물 및 과불화 인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자기 영동 표시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 또는 상기 픽셀은 분산제; 침강 방지제; 대전 방지제; 및 산화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기 영동 표시 장치.
KR1020170021417A 2017-02-17 2017-02-17 자기 영동 표시 장치 KR102034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17A KR102034784B1 (ko) 2017-02-17 2017-02-17 자기 영동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17A KR102034784B1 (ko) 2017-02-17 2017-02-17 자기 영동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214A true KR20180095214A (ko) 2018-08-27
KR102034784B1 KR102034784B1 (ko) 2019-10-21

Family

ID=6345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417A KR102034784B1 (ko) 2017-02-17 2017-02-17 자기 영동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7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470A (ja) * 1995-02-27 1996-11-12 Chemitec Kk マイクロカプセル磁気表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48665A (ja) 2000-11-15 2002-05-22 Tdk Corp 磁気泳動表示装置
JP2002365669A (ja) * 2001-06-12 2002-12-18 Tdk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84267A (ja) * 2003-09-05 2005-03-31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004718B2 (ja) * 1999-07-09 2007-11-07 ケミテック株式会社 薄型マイクロカプセル磁気泳動表示シート
US20080316583A1 (en) * 2002-05-17 2008-12-25 Ying-Syi Li Fluorinated silicon phthalocyanines and naphthalocyanines for electrophoretic display
JP2009294554A (ja) * 2008-06-09 2009-12-17 Nippon Capsule Products:Kk マイクロカプセル磁気泳動ディスプレ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7470A (ja) * 1995-02-27 1996-11-12 Chemitec Kk マイクロカプセル磁気表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004718B2 (ja) * 1999-07-09 2007-11-07 ケミテック株式会社 薄型マイクロカプセル磁気泳動表示シート
JP2002148665A (ja) 2000-11-15 2002-05-22 Tdk Corp 磁気泳動表示装置
JP2002365669A (ja) * 2001-06-12 2002-12-18 Tdk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316583A1 (en) * 2002-05-17 2008-12-25 Ying-Syi Li Fluorinated silicon phthalocyanines and naphthalocyanines for electrophoretic display
JP2005084267A (ja) * 2003-09-05 2005-03-31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294554A (ja) * 2008-06-09 2009-12-17 Nippon Capsule Products:Kk マイクロカプセル磁気泳動ディスプレ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784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042350A (en) Electrophoretic liquid, image display mediu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2215835A (ja) 書換え可能な記録媒体、書換え可能な記録媒体の製造方法、画像記録セット、及び画像記録方法
JP2022075875A (ja) 可撓性カプセル型電気光学媒質
JP5294715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磁気泳動ディスプレー
KR102044257B1 (ko) 자기 영동 표시 장치
US20150168798A1 (en) Recording medium and image recording set
KR20180095214A (ko) 자기 영동 표시 장치
US10698265B1 (en) Quantum dot film
KR101856224B1 (ko) 폴리에스테르-나노복합체 기판을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JP2826301B2 (ja) 磁気泳動表示用パネル
JP4051940B2 (ja) 画像表示媒体
US9122121B2 (en) Recording medium and image recording set
TW526347B (en) Thin microcapsule magnetic flowing display plate and its using method
JP2850056B2 (ja) 磁気ディスプレーシステム
JP2014137539A (ja) 透過型スクリーン積層体
JP4571726B2 (ja) 磁性体反転表示パネル
JP2012063437A (ja) マイクロカプセル型電気泳動式表示パネル
WO2020092190A1 (en) Electro-optic medium and writable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JP4675059B2 (ja) 電気泳動表示用液、それを用いた表示媒体及び表示装置
EP0436262B1 (en) Magnetic display system
JPWO2005033790A1 (ja) 磁気泳動反転表示パネルおよび磁気泳動反転表示方法
US20210356834A1 (en) Multi-color electro-optic media
JP2002148665A (ja) 磁気泳動表示装置
JP3650340B2 (ja) 磁気泳動表示装置
JP3964373B2 (ja) ファクシミリ送信用マイクロカプセル磁気記録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