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761A -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761A
KR20180094761A KR1020170035996A KR20170035996A KR20180094761A KR 20180094761 A KR20180094761 A KR 20180094761A KR 1020170035996 A KR1020170035996 A KR 1020170035996A KR 20170035996 A KR20170035996 A KR 20170035996A KR 20180094761 A KR20180094761 A KR 20180094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llumination
illuminance
individual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010B1 (ko
Inventor
김규영
박종민
신경욱
고윤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8009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05B37/0218
    • H05B37/02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은 점등신호를 릴레이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장치로 이루어지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으로서, 메모리부, 통신부, 및 판단부를 포함한다. 메모리부는 조명장치 각각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부는 조명장치의 개별 정보를 수신하며, 판단부는 고유 정보와 개별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명그룹에 포함된 조명장치의 고유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수신한 현재 개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다수의 조명등이 포함된 조명그룹에서도 이상이 발생한 조명등 및 그 이상 형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LIGHTING GROUP}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 사이의 통신을 이용하여 다수의 조명등을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공간의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으로는 형광램프, 백열전구 및 할로겐램프와 같은 실내 조명등이 실내의 천장 혹은 벽면에 부착되어 사용되었지만, 에너지 효율과 전력 소모 감소의 장점을 가지는 LED 조명으로 점차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의 수가 많을수록 각각의 조명을 점등 및 소등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위치가 벽면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거나 전체 또는 일부를 일괄하여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복수의 스위치가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조명등의 스위치를 숙지해야 하고, 일괄 스위치가 설치되는 경우는 임의로 조명등을 선택하여 온/오프할 수 없다.
최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박스를 설치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 박스도 구역별 벽면에 설치되며, 더욱이 유선의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 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복수의 조명등 각각에 무선 통신 모듈을 설치하고, 조명등 사이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수의 조명등을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종래 조명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서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 조명등이(10-1) 조명 그룹 내의 인접한 조명등(10-2)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조명환경에 따라 동일한 조명그룹에 많은 수의 조명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체 조명그룹에서 일부 조명등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어떤 조명등에서 어떤 이상이 발생하였는 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대응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조명등이 포함된 조명그룹에서 이상이 발생한 조명등 및 그 이상 형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이상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은 점등신호를 릴레이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장치로 이루어지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으로서, 메모리부, 통신부, 및 판단부를 포함한다.
메모리부는 조명장치 각각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부는 조명장치의 개별 정보를 수신하며, 판단부는 고유 정보와 개별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명그룹에 포함된 조명장치의 고유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수신한 현재 개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다수의 조명등이 포함된 조명그룹에서도 이상이 발생한 조명등 및 그 이상 형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유 정보는 조명장치 각각에 설정된 최초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개별 정보는 각각의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된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며, 판단부는 최초 어드레스 정보와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의 통신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조명장치의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조명장치의 통신 상태 이상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최초 어드레스 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조명장치로 어드레스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 각각의 조명장치로부터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조명장치에 대해 통신 이상 상태를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부는 조명그룹으로 어드레스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 조명그룹 선단에 배치된 조명장치에서 인접한 조명장치로 릴레이 방식으로 축차 전송하여 조명그룹 후단에 배치된 조명장치로부터 수집된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명장치의 통신 이상 상태를 전체 조명그룹에 대해 일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장치는 각각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구비하고, 고유정보는 조명장치 각각의 최초 조도 정보를 포함하고, 개별 정보는 각각의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된 개별 조도 정도를 포함하며, 판단부는 최초 조도 정보와 개별 조도 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의 조명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조명장치의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조명장치의 조명 상태 이상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장치의 최초 조도 정보와 개별 조도 정보는 해당 조명장치를 점등시키고 나머지 조명장치는 소등시킨 상태에서 해당 조명장치의 조도센서가 획득한 조도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명 장치 제조시의 조도가 아니라 배치 이후의 조도를 획득하여 최초 조도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도 개별 조명 장치에 대한 조명 상태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판단부는 개별 조도 정보가 최초 조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미리 설정된 최소 조도 레벨 미만인 경우 조명 이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최소 조도 레벨은 최초 조도 정보에 해당하는 조도의 70~95%일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 각각은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최초 조도 정보는 조명장치의 최대 출력에 따른 조도보다 낮게 설정하며, 판단부가 조명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해당 조명장치의 조도 상승을 위한 조도 조절신호를 전송하는 조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최초 조도 정보는 최대 출력에 따른 조도의 60~9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도에 이상이 발생한 조명장치의 검지는 물론 이상 발생에 대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장치는 각각 미리 설정된 주변 상태 감지 정보를 감지하는 주변 상태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고유정보는 구비된 주변 상태 감지 센서의 최초 주변 상태 감지 정보를 포함하고, 개별 정보는 각각의 주변 상태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개별 주변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판단부는 최초 주변 상태 감지 정보와 개별 주변 상태 감지 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 주변의 이상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장소에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 장치를 통해 조명 장치 주변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상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주변 상태 감지 정보는 조명 장치 주변의 온도, 화재, 외부 침입, 지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지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그룹에 포함된 조명장치의 고유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수신한 현재 개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다수의 조명등이 포함된 조명그룹에서도 이상이 발생한 조명등 및 그 이상 형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조명장치의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조명장치의 통신 상태 이상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장치의 통신 이상 상태를 전체 조명그룹에 대해 일괄적 또는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 장치 제조시의 조도가 아니라 배치 이후의 조도를 획득하여 최초 조도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도 개별 조명 장치에 대한 조명 상태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도에 이상이 발생한 조명장치의 검지는 물론 이상 발생에 대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장소에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 장치를 통해 조명 장치 주변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상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종래 조명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조명장치의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의 통신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
도 4 및 도 5는 각각 조명장치의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의 조명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100)은 메모리부(110), 통신부(120), 판단부(130), 및 조도 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조명장치(210)을 포함하는 조명그룹(200)과 통신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조명 장치는 각각 점등신호를 릴레이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212), 조도센서(214), 조도 조절부(216), 및 주변 상태 감지 센서(218)를 포함하고 있으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100)과 통신하고 있다.
이때, 조명장치(210) 사이의 무선 통신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외선 광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10)는 조명장치 각각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부(120)는 조명장치의 개별 정보를 수신하며, 판단부(130)는 고유 정보와 개별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210)의 이상 여부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명그룹(200)에 포함된 조명장치의 고유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통신을 통해 수신한 현재 개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다수의 조명등이 포함된 조명그룹에서도 이상이 발생한 조명등 및 그 이상 형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유 정보는 조명장치(210) 각각에 설정된 최초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개별 정보는 각각의 조명장치(210)로부터 수신된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판단부(130)는 최초 어드레스 정보와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210)의 통신 이상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조명장치의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210)의 통신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에서, 메모리부(110)는 모든 조명장치(210)의 어드레스 정보(1 ~ 6)를 포함하는 최초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신부(120)는 조명 장치(210)의 개별 어드레스 정보(1, 2, 3, 5, 6)를 수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부(130)는 최초 어드레스 정보와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210-4)의 개별 어드레스 정보(4)가 수신되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 어드레스 정보(4)에 대응하는 조명장치(210-4)의 통신모듈(212)의 이상을 판단하게 된다.
즉, LED 시스템 조명 관리 서버로 구현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100)은 조명 각각의 어드레스를 수신하고, 조명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미수신 어드레스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조명을 통신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신부(120)를 통해 획득되는 조명장치(210)의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조명장치(210)의 통신 상태 이상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조명그룹(200)으로 어드레스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 조명그룹 선단에 배치된 조명장치(210-6)에서 인접한 조명장치(210-5)로 릴레이 방식으로 축차 전송하여 조명그룹(200) 후단에 배치된 조명장치(210 -1)로부터 수집된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명장치(210)의 통신 이상 상태를 전체 조명그룹(200)에 대해 일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부(130)는 최초 어드레스 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조명장치(210)로 개별적으로 어드레스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 각각의 조명장치(210)로부터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조명장치(210)에 대해 조명 이상 상태를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조명장치(210)로부터의 개별 어드레스 정보 수신은 상기 일괄 방식과 개별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일괄 방식으로 수집 이후 누락된 어드레스의 조명장치(210)에 대해서만 개별 방식을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형태로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고유정보는 조명장치(210) 각각의 최초 조도 정보를 포함하고, 개별 정보는 각각의 조명장치(210)로부터 수신된 개별 조도 정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단부(130)는 최초 조도 정보와 개별 조도 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210)의 조명 이상 여부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신부(130)를 통해 획득되는 조명장치(210)의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조명장치(210)의 조명 상태 이상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장치(210)의 최초 조도 정보와 개별 조도 정보는 해당 조명장치(210)를 점등시키고 나머지 조명장치는 소등시킨 상태에서 해당 조명장치(210)의 조도센서(214)가 획득한 조도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명 장치(210) 제조시의 조도가 아니라 배치 이후의 조도를 획득하여 최초 조도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도 개별 조명 장치(210)에 대한 조명 상태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조명장치의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의 조명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에서 조명장치(210-1)를 제외한 나머지 조명장치(210-2 ~ 210-6)는 소등 상태이고, 조명장치(210-1)의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장치(210-1)의 조도를 측정한다.
또한, 도 5에서 조명장치(210-2)를 제외한 나머지 조명장치(210-1 ~ 210-6)는 소등 상태이고, 조명장치(210-2)의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장치(210-2) 조도를 측정한다. 이때, 각 조명장치(210)의 점등 및 재소등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구현되거나, 제어 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판단부(130)는 개별 조도 정보가 최초 조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미리 설정된 최소 조도 레벨 미만인 경우 조명 이상 상태로 판단하며, 최소 조도 레벨은 최초 조도 정보에 해당하는 조도의 70~95%일 수 있다.
즉, 설정된 시간에 소등된 조명들은 개별 온(On)되며, 조명이 온(On)되었을 때 조도센서(214)를 이용해 조도값을 측정하며, 측정된 조도값은 최초 설치시 저장된 조도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 일정범위 이상을 벗어난다면 조명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조도 제어부(140)는 판단부(130)가 조명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해당 조명장치(210)의 조도 상승을 위한 조도 조절신호를 조명장치(210)의 조도 조절부(216)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각 조명장치(210)의 조도 조절부(216)는 각각의 조명장치(210)의 조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도에 이상이 발생한 조명장치(210)의 검지는 물론 이상 발생에 대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최초 조도 정보는 조명장치(210)의 최대 출력에 따른 조도보다 낮게 설정하고, 최초 조도 정보는 최대 출력에 따른 조도의 60~90%일 수 있다.
또한, 고유정보는 주변 상태 감지 센서(218)의 최초 주변 상태 감지 정보를 포함하고, 개별 정보는 각각의 주변 상태 감지 센서(218)로부터 수신된 개별 주변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단부(130)는 최초 주변 상태 감지 정보와 개별 주변 상태 감지 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210) 주변의 이상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주변 상태 감지 센서(218)는 미리 설정된 주변 상태 감지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조명 장치(210)에 구비되는 센서로서, 미리 설정된 주변 상태는 조명 장치(210) 주변의 온도, 화재, 외부 침입, 지진 등과 같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최초 주변 상태 감지 정보는 조명 장치(210) 제조시가 아니라 배치 이후의 감지 상태를 획득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도 각각의 조명 장치(210) 주변에 대한 이상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 장치(210)의 제조자 또는 설치자는 조명 장치(210) 배치 장소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센서(218)를 선택적으로 조명 장치(210)에 설치하여 조명 장치(210) 배치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상 상황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조명 장치(210)는 실내외를 막론하고 다양한 장소에 거쳐 다수가 설치되므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재나 범죄 등의 이상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별도의 다른 감지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장소에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조명 장치(210) 주변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상 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00: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110: 메모리부
120: 통신부
130: 판단부
140: 조도 제어부
200: 조명그룹
210: 조명장치
212: 통신모듈
214: 조도센서
216: 조도 조절부
218: 주변 상태 감지 센서

Claims (12)

  1. 점등신호를 릴레이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장치로 이루어지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명장치 각각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조명장치의 개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고유 정보와 상기 개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조명장치 각각에 설정된 최초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정보는 각각의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된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최초 어드레스 정보와 상기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의 통신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최초 어드레스 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조명장치로 어드레스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 각각의 조명장치로부터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조명그룹으로 어드레스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조명그룹 선단에 배치된 조명장치에서 인접한 조명장치로 릴레이 방식으로 축차 전송하여 상기 조명그룹 후단에 배치된 조명장치로부터 수집된 개별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각각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조명장치 각각의 최초 조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정보는 상기 각각의 조명장치로부터 수신된 개별 조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최초 조도 정보와 상기 개별 조도 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의 조명 이상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최초 조도 정보와 개별 조도 정보는 해당 조명장치를 점등시키고 나머지 조명장치는 소등시킨 상태에서 해당 조명장치의 조도센서가 획득한 조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개별 조도 정보가 상기 최초 조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미리 설정된 최소 조도 레벨 미만인 경우 조명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최소 조도 레벨은 최초 조도 정보에 해당하는 조도의 7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 각각은 조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초 조도 정보는 상기 조명장치의 최대 출력에 따른 조도보다 낮게 설정하고,
    상기 판단부가 조명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해당 조명장치의 조도 상승을 위한 조도 조절신호를 전송하는 조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최초 조도 정보는 상기 최대 출력에 따른 조도의 6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각각 미리 설정된 주변 상태 감지 정보를 감지하는 주변 상태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주변 상태 감지 센서의 최초 주변 상태 감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정보는 상기 각각의 주변 상태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개별 주변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최초 주변 상태 감지 정보와 상기 개별 주변 상태 감지 정보를 비교하여 조명장치 주변의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변 상태 감지 정보는 상기 조명 장치 주변의 온도, 화재, 외부 침입, 지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KR1020170035996A 2017-02-16 2017-03-22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KR102015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092 2017-02-16
KR20170021092 2017-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761A true KR20180094761A (ko) 2018-08-24
KR102015010B1 KR102015010B1 (ko) 2019-08-27

Family

ID=6345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996A KR102015010B1 (ko) 2017-02-16 2017-03-22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870B1 (ko) * 2020-09-16 2021-03-26 주식회사 리산테크 터널등 제어 회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232865B1 (ko) * 2020-09-16 2021-03-26 주식회사 리산테크 터널등 및 상기 터널등을 제어하기 위한 터널등 컨트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939B1 (ko) 2018-10-23 2020-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8873A (ja) * 1999-05-31 2000-1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4171314A (ja) * 2002-11-21 2004-06-17 Akira Taguchi 設備機器の監視装置及び設備機器の監視システム
JP2009251059A (ja) * 2008-04-01 2009-10-29 Sharp Corp 検査装置、検査システム、検査装置の制御方法、検査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1096415A (ja) * 2009-10-27 2011-05-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11138727A (ja) * 2010-01-04 2011-07-14 Hitachi Ltd 位相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2012104348A (ja) * 2010-11-10 2012-05-31 Irf:Kk 照明灯の劣化判定装置、照明灯の保守管理システム及びトンネル照明灯の保守管理システム
KR101190063B1 (ko) 2011-01-12 2012-10-16 (주)오로라 디자인랩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389102B1 (ko) 2013-05-30 2014-04-25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적외선 통신 센서, 이를 이용하여 그룹 단위로 조명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41208A (ko) * 2013-10-04 2015-04-16 주식회사 유티솔 복합 센서 기반의 지능형 통합 디밍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8873A (ja) * 1999-05-31 2000-1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4171314A (ja) * 2002-11-21 2004-06-17 Akira Taguchi 設備機器の監視装置及び設備機器の監視システム
JP2009251059A (ja) * 2008-04-01 2009-10-29 Sharp Corp 検査装置、検査システム、検査装置の制御方法、検査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1096415A (ja) * 2009-10-27 2011-05-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11138727A (ja) * 2010-01-04 2011-07-14 Hitachi Ltd 位相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2012104348A (ja) * 2010-11-10 2012-05-31 Irf:Kk 照明灯の劣化判定装置、照明灯の保守管理システム及びトンネル照明灯の保守管理システム
KR101190063B1 (ko) 2011-01-12 2012-10-16 (주)오로라 디자인랩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389102B1 (ko) 2013-05-30 2014-04-25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적외선 통신 센서, 이를 이용하여 그룹 단위로 조명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41208A (ko) * 2013-10-04 2015-04-16 주식회사 유티솔 복합 센서 기반의 지능형 통합 디밍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870B1 (ko) * 2020-09-16 2021-03-26 주식회사 리산테크 터널등 제어 회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232865B1 (ko) * 2020-09-16 2021-03-26 주식회사 리산테크 터널등 및 상기 터널등을 제어하기 위한 터널등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010B1 (ko)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6610B2 (en) Electric load control system including remote override function
US9750114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ambient lighting conditions
JP566206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ユニット
US9913348B2 (en) Light fixtures, systems for controlling light fixtur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fixtur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ing control systems
US96268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egress and monitoring system
US20120032601A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EP3261415B1 (en) Automatic sensing system and automatic sensing control method for led lighting
CN110677957A (zh) 具有响应于外部传感器受控的照亮部分的控制装置
US11700681B2 (en) Self-test procedure for a control device
KR102015010B1 (ko)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KR20130143265A (ko) 조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JP605722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ユニット
JP2010176912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765033B1 (ko) Rf감지신호의 수신감도에 의해 점등되는 주차장등
JP2014170756A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ユニット
KR20130033852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4641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led 가로등 mtf 제어장치
WO2019192966A1 (en) Luminaire for indoor or outdoor lighting
KR20140091319A (ko) Led 조명등 제어장치
JP200722710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0739873B1 (ko) 비상조명등 원격점검 시스템
KR200432455Y1 (ko) 비상조명등 원격점검 시스템
JP2018142445A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4988419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16152124A (ja) 照明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