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928A - 수형 접촉부를 위한 측면방향 보유 블레이드를 갖는 암형 접촉부 그리고 그러한 암형 및 수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형 접촉부를 위한 측면방향 보유 블레이드를 갖는 암형 접촉부 그리고 그러한 암형 및 수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3928A KR20180093928A KR1020187016621A KR20187016621A KR20180093928A KR 20180093928 A KR20180093928 A KR 20180093928A KR 1020187016621 A KR1020187016621 A KR 1020187016621A KR 20187016621 A KR20187016621 A KR 20187016621A KR 20180093928 A KR20180093928 A KR 201800939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ge
- contact
- tongue
- blade
- fema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수형 접촉부의 설부(3)를 수납하는 케이지(4)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위한 암형 전기 접촉부가 제공된다. 케이지(4)는 설부(3)의, 특히 진동의 영향 하에서의, 측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2개의 측면방향 탄성 보유 블레이드(16)를 포함한다. 이들 탄성 보유 블레이드(16)는 케이지(4)를 포위하는 보호 슬리브(6) 상에서 케이지(4)의 슬리브(6) 내에서의 이동을 제한할 목적으로 또한 지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자동차를 위한 전기 커넥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특히 내연 기관 상에 장착되는 커넥터에는 강력한 진동(예를 들어 60 G 내지 1000 Hz)이 가해질 수 있다. 이들 커넥터의 수형 및 암형 접촉부가 장기적으로, 가능하면 최소의 저항을 갖는 전기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그것들이 아킹 또는 과도한 가열의 원인으로 되지 않고, 그것들이 프레팅 부식의 발생장소로 되지 않는 것이 그에 따라 중요하다.
케이지 및 슬리브를 포함하는, 제US5681190호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암형 전기 접촉부가 제안되었다. 그러한 암형 전기 접촉부는 유전체 재료로 제조되는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공동 내에 수납되도록 의도된다. 케이지는 스탬핑된 그리고 벤딩된 시트 금속으로부터 제조된다. 그것은,
- 수형 접촉부의 설부(tongue)가 케이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제공되는 정합 단부(mating end)와,
- 접촉부가 케이블이 예를 들어 용접 또는 크림핑에 의해, 고정 및 전기 연결될 수 있는 고정 부분의 형태로 연장하는 고정 단부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케이지는 정합 및 고정 단부의 각각에서 개방되는 기본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고, 그에 따라 4개의 벽을 갖는 튜브를 형성한다. 그것은 그에 따라 저부 벽, 상부 벽 그리고 저부 벽과 상부 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2개의 측벽을 포함한다. 이들 저부 벽, 상부 벽 및 측벽은 정합 단부에서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수형 접촉부의 설부를 수용 및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한정한다. 상부 벽 및 저부 벽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접촉 블레이드는 탄성이고, 케이지로부터 자유 단부를 향해, 길이 방향에 횡단방향으로, 연장한다.
나아가, 슬리브는 저부 벽, 상부 벽 및 측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지의 외측 상에서, 포위한다.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수형 접촉부에 맞게 이러한 형태의 암형 접촉부를 사용하는 것이, 각각의 형상 또는 크기의 수형 접촉부를 끼우도록 조정되는 암형 접촉부를 설계 및 제조하지 않아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형 형상의 설부를 갖는 수형 접촉부의 경우에, 접촉 블레이드가 압력을 (케이지의 상부 및 저부 벽에 기본적으로 평행한) 설부의 주 표면 상에 가하고, 그에 따라 그 사이의 전기 접촉을 설정한다. 그러나, 진동으로 인해 설부가 접촉 블레이드들 사이에서, 저부 및 상부 벽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이동 및 진동할 수 있다. 그러한 이동은 이처럼 연결된 수형 및 암형 접촉부 사이의 전기 접촉의 품질에 불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고 수형 및 암형 접촉부 사이의 더 길게 지속되는 양호한 품질의 접촉을 보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슬리브를 갖거나 갖지 않고, 측벽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보유 블레이드를 갖는, 위에서 설명된 형태의 암형 전기 접촉부가 제조된다. 이러한 보유 블레이드는 탄성이고, 측벽으로부터 절결된다. 그것은 그것이 절결되는 측벽에, 접합부에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접합부는 고정 단부보다 정합 단부에 근접한다. 보유 블레이드는 접합부로부터 정합 단부보다 고정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자유 단부를 향해 연장한다. 자유 단부는 내부 공간 내로 돌출한다.
이들 조건에 의해, 각각의 측면 보유 블레이드는 수형 접촉부의 설부의 모서리와 탄성적으로 상호작용하고, 그에 따라 설부의 그것이 수납되는 암형 접촉부 내에서의 이동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보유 블레이드는 수형 접촉부의 설부의 (주 표면에 기본적으로 직각인) 모서리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케이지 내에서의, 저부 및 상부 벽에 평행한 그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전기 접촉부는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과 조합하여 취해지는, 아래의 특징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있다.
- 그것은 저부 벽, 상부 벽 및 측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지의 외측 상에서, 포위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 보유 블레이드는 접촉부가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면, 수형 접촉부의 설부가 케이지 내에 수납될 때에, 슬리브 상에서 지지되거나, 암형 접촉부가 일편으로 형성되면, 케이지가 삽입되는 하우징 공동의 내측 면 상에서 지지되는 압력 영역을 포함하고;
- 슬리브 및/또는 케이지는 각각이 케이지의 내측 및/또는 외측을 향해 벤딩되는, 2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이들 2개의 램프는 케이지의 측벽 및 내부 공간을 향해, 그 정합 단부에서, 벤딩되고;
- 상부 벽 및 저부 벽에 대응하는 접촉 블레이드는 그 자유 단부에서, 저부 벽 및 상부 벽에 평행한 평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2개의 표면 사이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 상부 벽 및 저부 벽에 대응하는 접촉 블레이드는 측벽에서 케이지에 연결되고;
- 케이지는 일편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 케이지의 상부 벽은 벤딩된 블랭크의 2개의 모서리 사이의 접합 라인을 포함하고;
- 접합 라인은 케이지의 상부 벽 위에서 그리고 그것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그 양쪽 측면 상에서, 측벽에 평행하게, 벤딩되는 슬리브의 연속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연결 조립체는 전기 커넥터 및 카운터-커넥터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예를 들어, 2개의 보유 블레이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전기 접촉부, 그리고 길이 방향에 직각이고 저부 벽 및 상부 벽에 평행한 설부를 갖는 수형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설부는 케이지의 대응하는 내부 치수보다 작고, (응력을 받지 않을 때, 즉 설부의 케이지 내로의 삽입 전에) 보유 블레이드의 자유 단부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연결 조립체는 평탄형 평행육면체의 단면 형상을 갖는 설부를 임의로 포함하고, 보유 블레이드 각각은 이러한 평행육면체의 짧은 측면에 해당하는 설부의 모서리 상에서 각각 지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에 그리고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수형 접촉부 및 암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암형 접촉부의 케이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기본적으로 전방으로부터 관찰될 때의, 도 2의 케이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기본적으로 위로부터 관찰될 때의, 도 2 및 도 3의 케이지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기본적으로 위로부터 관찰될 때의, 도 2 및 도 3의 케이지의, 슬리브가 케이지 주위에 있고 수형 접촉부의 설부가 케이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암형 접촉부의 케이지 내에 삽입되는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수형 접촉부의 설부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암형 접촉부의 케이지의 변형예의, 수형 접촉부의 설부가 케이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암형 접촉부의 케이지의 또 다른 변형예의, 수형 접촉부의 설부가 케이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은 수형 접촉부 및 암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암형 접촉부의 케이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기본적으로 전방으로부터 관찰될 때의, 도 2의 케이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기본적으로 위로부터 관찰될 때의, 도 2 및 도 3의 케이지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기본적으로 위로부터 관찰될 때의, 도 2 및 도 3의 케이지의, 슬리브가 케이지 주위에 있고 수형 접촉부의 설부가 케이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암형 접촉부의 케이지 내에 삽입되는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수형 접촉부의 설부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암형 접촉부의 케이지의 변형예의, 수형 접촉부의 설부가 케이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암형 접촉부의 케이지의 또 다른 변형예의, 수형 접촉부의 설부가 케이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이러한 문서에서, 용어 "전방", "후방", "위", "아래" 등은 순수하게 관례에 따르고, 적절한 경우에,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향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연결 조립체(100)는 암형 접촉부(1) 및 수형 접촉부(2)(그 설부(3)만이 도면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암형 접촉부(1)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접촉부와 함께, 전기 절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커넥터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형 접촉부(2)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접촉부와 함께, 암형 접촉부(1)를 수용하는 커넥터에 결합되도록 설계되는 전기 절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카운터-커넥터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암형 접촉부(1) 및 수형 접촉부(2)는 설부(3)를 암형 접촉부(1)의 케이지(4) 내로, 수형 접촉부(2) 및 암형 접촉부(1)의 길이 방향(L)에 기본적으로 평행한 삽입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 또는 정합된다.
암형 접촉부(1)는 케이지(4)로부터 그 후방을 향해, 길이 방향(L)으로, 연장하는 고정 부분(5)을 또한 포함한다. 고정 부분(5)은 이러한 경우에 케이블의 단부(도시되지 않음)를 그 내에 수용 및 크림핑하도록 설계된다. 암형 접촉부(1)는 보호 슬리브(6)를 또한 포함한다.
케이지(4)는 전도성 재료(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로 제조되는 시트 금속을 스탬핑 및 벤딩함으로써 획득된다. 슬리브(6)도 또한 전도성 재료(예를 들어, 강철)로 제조되는 시트 금속을 스탬핑 및 벤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4)는 기본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그것은 방향(L)에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전방을 향한, 정합 단부(7)와 후방을 향한, 고정 단부(8) 사이에서, 연장한다. 케이지(4)는 (벽 내의 절결부를 고려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의 튜브를 형성한다. 이러한 튜브는 그에 따라 기본적으로 4개의 벽, 즉 저부 벽(9), 상부 벽(10) 및 2개의 측벽(11)을 갖는다. 그것은 그 길이방향 단부(7, 8)의 각각에서 개방된다. 정합 단부(7)의 측면 상에, 수형 접촉부(2)의 설부(3)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있다. 저부 벽(9), 상부 벽(10) 및 측벽(11)은 그에 따라 설부(3)를 수용 및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한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설명되는 실시예에 대해, 케이지(4)는 스탬핑된 형상부를, 길이 방향(L)에 평행하게, 벤딩하고 스탬핑된 블랭크의 모서리를, 실질적으로 케이지(4)의 상부 벽(10)의 중간 접합 라인(12)에서, 접합함으로써, 일편으로 형성된다. 접합 라인(12)은 케이지(4)의 상부 벽(10) 위에서 그리고 그것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슬리브(6)의 연속 부분(24)(도 1 참조)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인다. 이러한 연속 부분(24)은 그 양쪽 측면 상에서, 측벽(11)에 평행하게, 벤딩된다. 그것은 케이지(4)의 모서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상부 벽(10) 및 저부 벽(9) 각각은 2개의 접촉 블레이드(13)를 포함하고, 접촉 블레이드(13)는 탄성이고, 케이지(4)로부터 자유 단부(14)를 향해, 길이 방향(L)에 횡단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경우에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상부 벽(10) 및 저부 벽(9)에 대응하는 접촉 블레이드(13)는 측벽(11)에서 케이지에 연결된다. 비교적 넓은 절결부가 이들 접촉 블레이드(13) 주위에 형성되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도가 케이지(4)에 부여되고 그에 따라 진동 에너지의 일부를 감쇠시키는 것을 가능케 하고, 설부(3)와 접촉 블레이드(13) 사이에서의 임의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은 양호한 내진동성, 및 동시에 양호한 전기 성능을 보증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블레이드(13)는 그 자유 단부(14)에, 저부 벽(9) 및 상부 벽(10)에 평행한 평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2개의 표면 사이의 모서리(15)를 포함한다. 각각의 모서리(15)는 길이 방향(L)에 평행한 직선에 기본적으로 접한다. 각각의 모서리(15)는 그에 따라 접촉 블레이드(13)가 설부(3)를 구성하는 재료 내로, 그것이 케이지(4) 내에 삽입될 때에, 결합되게 하고, 그에 따라 접촉 블레이드(13)와 설부(3) 사이의 가능하면 최소의 저항을 갖는 전기 접촉을 설정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각각의 모서리(15)는 설부(3)를 접촉 블레이드(13) 사이에 더 양호하게 고정하고 상부 벽(10) 및 저부 벽(9)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의 케이지(4)에 대한 설부(3)의 상대적인 이동을 최대한 제한하려는 마찰력을 설부(3) 상에 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측벽(11) 각각은 탄성이고 측벽으로부터 절결되는 보유 블레이드(16)를 포함하고, 보유 블레이드(16)는 접합부(17)에서 측벽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각각의 보유 블레이드(16)는 그에 따라 접합부(17)로부터 자유 단부(18)까지 연장한다. 각각의 보유 블레이드(16)는 케이지(4)의 후방을 향해, 즉 고정 단부(5)를 향해 벤딩되어 정합 단부(7)에 대응하는 개구로부터 케이지(4) 내로의 설부(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가장 잘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설부(3)가 케이지(4) 내에 삽입되지 않을 때에, 보유 블레이드(16)는 케이지(4)의 내부 공간 내에서 대체로 횡단방향으로, 그것들이 그 중심에서 거의 만날 수 있는 정도까지, 연장한다. 보유 블레이드(16)의 길이 및 형상은 그 형상이 많은 형상의 설부(3)에 맞게, 즉 그 모서리(19)가 도 6a에서와 같이, 평행하거나, 도 6b에서와 같이, 경사형인지에 따라 조정되게 한다.
각각의 측벽(11)은 각각의 보유 블레이드(16)를 형성하도록 절결되는 케이지(4)의 부분에 대응하는 창(20)을 갖는다.
각각의 보유 블레이드(16)는 "S자" 형상부를, 길이방향 단면도에서, 저부 벽(9) 및 상부 벽(10)에 평행하게,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S자" 형상부의 일부는 설부(3)의 길이방향 모서리(19)와 그것이 케이지(4) 내에 삽입될 때에 접촉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S자" 형상부의 또 다른 부분은 슬리브(6)의 내측 면과 접촉하도록 의도된다. "S자" 형상부의 이러한 또 다른 부분은 수형 접촉부(2)의 설부(3)가 케이지(4) 내에 수납될 때에 슬리브(6) 상에서 지지되는 압력 영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보유 블레이드(16)는 설부(3)를 케이지(4) 내에 안내 및 보유하고, 또한 한편으로, 케이지(4)에 대한 설부(3)의 (상부 벽(10) 및 저부 벽(9)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의) 횡단방향 이동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슬리브(6)에 대한 케이지(4)의 이동을 제한한다. 나아가, 슬리브(6)의 내측 면에 대한 보유 블레이드(16)의 압력은 설부(3) 상에 보유 블레이드(16)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설부(3)의 케이지(4) 내로의 더 양호한 보유에 기여한다.
특히 도 5에서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6)는 2개의 램프(21)를 포함한다. 각각의 램프(21)는 케이지(4)의 내부 공간을 향해 그 정합 단부(7)에서 벤딩된다. 그것들은 설부(3)를 그것이 케이지(4) 내로 삽입될 때에 안내한다. 이들 램프(21)는 슬리브(6)를 케이지(4) 내에 부착하고 케이지(4)의 슬리브(6) 내에서의, 길이 방향(L)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나아가, 이들 램프(21) 각각은 케이지(4)에 대한 설부(3)의 (상부 벽(10) 및 저부 벽(9)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의) 횡단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또한 돕는 지지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리브(6)는 그 내측 면 상에, 케이지(4)의 측벽(11)의 외부 표면을 차단하고 케이지(4)에 대한 설부(3)의 (상부 벽(10) 및 저부 벽(9)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의) 횡단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또한 돕는 리브(rib)(22)를 또한 갖는다.
보유 블레이드(16)에 의해, 설부(3)의 케이지(4) 내에서의 횡단방향 상대 이동을 0.8 ㎛ 이하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정 예에 대해, 설부의 평균 폭은 약 1.2 mm이고, 케이지의 폭은 1.8 mm이다.
위의 실시예의 변형예가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7a 및 도 7b의 변형예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보유 블레이드(16)가 그 자유 단부(18)를 창에 통과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그 길이를 따라 중간에서, 벤딩되고 그에 따라 상기 단부가 슬리브(6)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고 그 상에서 지지된다는 점에서 위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각각의 보유 블레이드(16)에서 (실질적으로 그 중간에서) 벤딩되는 부분은 설부(3)가 케이지(4) 내로 삽입될 때에 설부(3)의 길이방향 모서리(19)와 접촉한다. 이러한 형상은 위의 실시예에 비해, 더 큰 강성을 보유 블레이드(16)에 부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의 변형예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보유 블레이드(16)가 벤딩된 부분 대신에 그 자유 단부(18)를 통해 슬리브(6)의 내측 표면 상에서 지지된다는 점에서 위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자유 단부(18)는 슬리브(6)를 구성하는 재료 내로 결합되고 그에 따라 설부(3)가 상부 벽(10) 및 저부 벽(9)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횡단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에 보유 블레이드(16)와 슬리브(6)의 내측 표면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모서리(23)를 통해 슬리브(6)의 내측 표면 상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접촉부는 측면 블레이드(들)의 탄성 덕분에, 암형 접촉부(1) 및 수형 접촉부(2)에 진동이 가해질 때에 성능을 유지하면서 그리고 심지어 개선하면서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설부(3)를 수용할 수 있다.
임의로, 암형 접촉부가 슬리브에 의해 포위되지 않고 암형 접촉부가 일편으로 형성되면, 슬리브(6)와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설명된 것은 암형 접촉부(1)가 수납되는 하우징의 내측 표면으로 치환될 수 있다.
Claims (11)
- 케이지(4)를 포함하는 암형 전기 접촉부(1)이며, 케이지는,
- 정합 단부(7), 정합 단부에는 수형 접촉부(2)의 설부(3)가 케이지(4) 내로 이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제공됨, 와
- 고정 단부(8), 암형 접촉부(1)는 케이블이 고정 및 전기 연결될 수 있는 고정 부분(5)의 형태로 고정 단부로부터 연장함,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케이지(4)는 저부 벽(9), 상부 벽(10) 그리고 저부 벽(9)과 상부 벽(10) 사이에서 연장하는 2개의 측벽(11)을 포함하고, 상기 저부 벽(9), 상부 벽(10) 및 측벽(11)은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수형 접촉부(2)의 설부(3)를 수용 및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고, 상부 벽(10) 및 저부 벽(9)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 블레이드(13)를 포함하고, 접촉 블레이드(13)는 탄성이고, 케이지(4)로부터 자유 단부(14)를 향해, 길이 방향(L)에 횡단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촉부에 있어서, 측벽(11)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 블레이드(16)를 갖고, 상기 보유 블레이드는 탄성이고, 고정 단부(8)보다 정합 단부(7)에 더 근접한 접합부(17)에서 측벽(11)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측벽(11) 내로 절결되고, 상기 보유 블레이드는 정합 단부(7)보다 고정 단부(8)에 더 근접하여 위치되는 자유 단부(18)를 향해 접합부(17)로부터 연장하고, 자유 단부(18)는 내부 공간 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접촉부. - 제1항에 있어서, 저부 벽(9), 상부 벽(10) 및 측벽(1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지(4)의 외측 상에서, 포위하는 슬리브(6)를 포함하는, 암형 전기 접촉부.
- 제2항에 있어서, 슬리브(6)는 2개의 램프(21)를 포함하고, 램프 각각은 케이지(4)의 측벽(11) 및 내부 공간을 향해, 그 정합 단부(7)에서, 벤딩되는, 암형 전기 접촉부.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유 블레이드(16)는 수형 접촉부(2)의 설부(3)가 케이지(4) 내에 수납될 때에 슬리브(6) 상에서 지지되는 압력 영역을 포함하는, 암형 전기 접촉부.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벽(10) 및 저부 벽(9)에 대응하는 접촉 블레이드(13)는 그 자유 단부(14)에서, 저부 벽(9) 및 상부 벽(10)에 평행한 평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2개의 표면 사이의 모서리(15)를 포함하는, 암형 전기 접촉부.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벽(10) 및 저부 벽(9)에 대응하는 접촉 블레이드(13)가 측벽(11)에서 케이지(4)에 연결되는, 암형 전기 접촉부.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지(4)는 일편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암형 전기 접촉부.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지(4)의 상부 벽(10)은 벤딩된 블랭크의 2개의 모서리 사이의 접합 라인(12)을 포함하는, 암형 전기 접촉부.
- 제8항에 있어서, 제2항과 조합되어, 접합 라인(12)은 케이지(4)의 상부 벽(10) 위에서 그리고 그것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그 양쪽 측면 상에서, 측벽(11)에 평행하게, 벤딩되는 슬리브의 연속 부분(2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 암형 전기 접촉부.
- 연결 조립체이며,
2개의 보유 블레이드(16)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암형 전기 접촉부(1) 그리고 길이 방향(L)에 직각이고 저부 벽(9) 및 상부 벽(10)에 평행한 설부(3)를 갖는 수형 전기 접촉부(2)를 포함하고, 상기 설부는 케이지(4)의 대응하는 내부 치수보다 작고, 보유 블레이드(16)의 자유 단부(18) 사이의 간격보다 큰 치수를 갖는, 연결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설부(3)는 평탄형 평행육면체의 단면 형상을 갖고, 보유 블레이드(16) 각각은 이러한 평행육면체의 짧은 측면 상에서 각각 지지되는, 연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1562689A FR3045964B1 (fr) | 2015-12-17 | 2015-12-17 | Contact femelle avec lames laterales de maintien pour contact male et ensemble de connexion comportant de tels contacts femelle et male |
FR1562689 | 2015-12-17 | ||
PCT/EP2016/080791 WO2017102725A1 (fr) | 2015-12-17 | 2016-12-13 | Contact femelle avec lames latérales de maintien pour contact mâle et ensemble de connexion comportant de tels contacts femelle et mâ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928A true KR20180093928A (ko) | 2018-08-22 |
Family
ID=5564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6621A KR20180093928A (ko) | 2015-12-17 | 2016-12-13 | 수형 접촉부를 위한 측면방향 보유 블레이드를 갖는 암형 접촉부 그리고 그러한 암형 및 수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2) | US20180375241A1 (ko) |
EP (1) | EP3391474B1 (ko) |
JP (1) | JP2018537832A (ko) |
KR (1) | KR20180093928A (ko) |
CN (1) | CN108370112B (ko) |
FR (1) | FR3045964B1 (ko) |
WO (1) | WO20171027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25721B (zh) * | 2020-01-22 | 2021-04-21 |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 導電端子 |
TWI802862B (zh) * | 2021-04-01 | 2023-05-21 |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 連接器組合、母頭連接器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60806A (en) * | 1970-10-07 | 1972-05-02 | Thomas & Betts Corp | Connector |
FR2749440B1 (fr) * | 1996-06-03 | 1998-10-30 | Framatome Connectors Int | Born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de type a cage renforcee |
DE19734523C2 (de) * | 1997-08-08 | 1999-07-29 | Framatome Connectors Int | Steckverbinderhülse |
ATE360272T1 (de) * | 2000-12-07 | 2007-05-15 | Framatome Connectors Int | Buchsenkontakt mit käfigstruktur mit einem klingenhaltermodul |
JP2003022859A (ja) * | 2001-07-06 | 2003-01-24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ソケットコンタクト |
US6790101B1 (en) * | 2003-07-15 | 2004-09-14 | Molex Incorporated | Female terminal with sacrificial arc discharge contacts |
US6945830B2 (en) * | 2003-10-20 | 2005-09-20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Connector system having opposing biasing beam and lance |
JP2008140589A (ja) * | 2006-11-30 | 2008-06-19 | Yazaki Corp | 雌型端子 |
DE102009030463A1 (de) * | 2009-06-25 | 2010-12-30 | Lapp Engineering & Co.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
JP5720507B2 (ja) * | 2011-05-19 | 2015-05-20 | 住友電装株式会社 |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
JP2014053076A (ja) * | 2012-09-05 | 2014-03-20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雌型端子 |
CN203826623U (zh) * | 2014-02-14 | 2014-09-10 | 萧至仁 | 中空端子结构 |
CN203942065U (zh) * | 2014-07-07 | 2014-11-12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母型端子和电连接器 |
EP3240114B1 (en) * | 2016-04-25 | 2019-01-23 | Aptiv Technologies Limited |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nd method to manufacture the same |
-
2015
- 2015-12-17 FR FR1562689A patent/FR3045964B1/fr active Active
-
2016
- 2016-12-13 WO PCT/EP2016/080791 patent/WO2017102725A1/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2-13 US US16/062,381 patent/US2018037524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12-13 CN CN201680071349.1A patent/CN108370112B/zh active Active
- 2016-12-13 EP EP16810358.8A patent/EP3391474B1/fr active Active
- 2016-12-13 JP JP2018531641A patent/JP2018537832A/ja active Pending
- 2016-12-13 KR KR1020187016621A patent/KR20180093928A/ko unknown
-
2019
- 2019-11-07 US US16/677,058 patent/US20200076106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R3045964A1 (fr) | 2017-06-23 |
EP3391474A1 (fr) | 2018-10-24 |
US20180375241A1 (en) | 2018-12-27 |
WO2017102725A1 (fr) | 2017-06-22 |
FR3045964B1 (fr) | 2018-06-15 |
US20200076106A1 (en) | 2020-03-05 |
CN108370112A (zh) | 2018-08-03 |
CN108370112B (zh) | 2020-05-12 |
JP2018537832A (ja) | 2018-12-20 |
EP3391474B1 (fr) | 2021-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43689B2 (en) | Terminal crimped wire | |
WO2017090682A1 (ja) |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 |
WO2013046663A1 (en) | Female terminal | |
JP4493590B2 (ja) | コネクタ | |
JP6860836B2 (ja) | コネクタ | |
KR101738396B1 (ko) | 커넥터 단자 | |
JP2007165194A (ja) | コネクタ | |
JP2007287360A (ja) | バネ出し雌端子 | |
JP6579438B2 (ja) |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 |
US20180183158A1 (en) | Terminal block | |
JP2016009527A (ja) | コネクタ | |
JP2014032867A (ja) | 雌端子金具 | |
KR20180093928A (ko) | 수형 접촉부를 위한 측면방향 보유 블레이드를 갖는 암형 접촉부 그리고 그러한 암형 및 수형 접촉부를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 | |
WO2013046665A1 (en) | Female terminal | |
KR200432451Y1 (ko) | 리셉터클 터미널 | |
JP6599149B2 (ja) | コネクタ | |
JP6143194B2 (ja) | 雄端子金具 | |
CN111384608B (zh) | 基板用连接器 | |
JP5564277B2 (ja) | 雌型端子金具 | |
JP5941393B2 (ja) | コネクタハウジング内における雌端子金具の位置決め構造 | |
KR102338051B1 (ko) | 동축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 | |
JP6280257B1 (ja) |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 |
US20210159617A1 (en) | Contact and Connector | |
KR20090073779A (ko) | 리셉터클 터미널 | |
JP5999504B2 (ja) | 絶縁トロリーシステ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