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469A - 유도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469A
KR20180093469A KR1020170019612A KR20170019612A KR20180093469A KR 20180093469 A KR20180093469 A KR 20180093469A KR 1020170019612 A KR1020170019612 A KR 1020170019612A KR 20170019612 A KR20170019612 A KR 20170019612A KR 20180093469 A KR20180093469 A KR 2018009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ver
upper cover
heating apparatus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윤기
정희태
박지원
이상필
김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1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469A/ko
Priority to PCT/KR2017/014395 priority patent/WO2018147540A1/ko
Publication of KR2018009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21B1/463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in a continuous process, i.e. the cast not being cut befor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8Heat 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2Covers or shie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강재를 가열하도록 상기 이동 경로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유도가열장치로서, 가열기; 및 상기 가열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가열기에 교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가열장치{Inductive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주압연(Compact Endless Cast & Rolling Mill, CEM) 공정 기술은 세계 최초의 고속 주조 기술로서 연주공정과 열연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쇳물로부터 최종 열연제품을 생산하는 동안 절단이나, 정체 없이 모든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기술이다. 이에 연주압연공정으로 제조된 제품은 품질이 매우 균일하며, 기준 열연공정만으로 생산하기 힘든 아주 얇은 열연제품을 손쉽게 대량생산할 수 있다.
연주압연공정은 크게 연주기, 조압연기, 유도 가열기, 중간 권취기, 사상압연기, 권취기 설비로 구분되어 진다. 그 중, 유도가열기는 연주기를 거쳐 생산된 70 내지 120㎜ 정도 두께의 주편과, 연주기-조압연기를 거처 생산된 10 내지 30㎜ 정도의 두께를 가진 열연 바 제품을 2차 압연을 위해서 800 내지 1200℃ 정도로 재 가열하는 공정설비로서, 2차 압연을 위해 주편과 열연 바 제품에 연성을 부여한다.
이와 같은 유도가열기는 전자기 유도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고자 하는 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강판의 상부와 하부에서 전자기 유도전류를 강판에 조사하여 강판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강판의 이송속도와 길이에 따라 유도가열기를 여러 대를 구비하여 강판을 가열할 수 있다. 여러 대의 유도가열기를 거치면서 강판의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를 위해서 유도가열기의 유도가열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자기 유도자기장이 발생되는 유도가열기의 코일과 코어를 포함하는 가열기와 강판 간의 간격을 100㎜ 이하로 좁게 설계되어 진다. 이러한 설계 요인으로 빠른 시간 안에 강판을 가열하여 최적 압연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유도가열기는 고온의 강판으로부터 복사된 열과 강판 표면에서 있던 스케일(scale)로부터 가열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가열기를 감싸는 내화물을 포함한다. 내화물은 가열기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가열기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조업 중 강판의 헤드(head)나 테일(tail)부의 휨 변형이 발생하여 강판이 유도가열기에 충돌함으로써 가열기를 감싸고 있는 내화물이 탈락되거나 소손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유도가열기 중 강판 상부측에 배치되는 유도가열기의 경우, 유도가열기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내화물이 하중과 열팽창에 의해 내화물의 중심부가 하부로 쳐지는 좌굴(buckling) 변형이 발생하고, 인장응력에 의해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조업을 중단하고 유도가열기 자체를 해체하여 외부 수리장에서 내화물을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조업 중단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594717 B KR 1998-048883 A
본 발명은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도가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도가열장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강재를 가열하도록 상기 이동 경로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유도가열장치로서, 가열기; 및 상기 가열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가열기에 교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기와 상기 커버 사이에 단열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는, 상기 이동 경로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가열기; 및 상기 이동 경로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가열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상부 가열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가열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열기에는 상기 상부 커버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가열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상부 가열기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부 가열기의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상부 가열기의 하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양쪽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부 단부가 상기 클램프와 결합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의 상부 단부에는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상부 커버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클램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제2면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제2면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하부 가열기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면과, 일측은 상기 제1면의 양쪽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면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상기 하부 가열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하부 가열기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양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하부 가열기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하부 가열기의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주압연공정에 사용되는 유도가열장치의 내화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유도가열장치의 내화물 파손 시 유도가열장치를 해체하지 않고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조업 중 발생하는 내화물의 변형, 소손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 조업 중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장치의 내화물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내화물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연주압연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도가열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도가열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커버와 클램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상부 커버와 클램프의 다양한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상부 가열기와 하부 가열기에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연주압연설비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연주압연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주압연설비는 연주기(100)와, 연주기(100)에서 주조된 주편(1)을 1차 압연하는 1차 압연기(200)와, 1차 압연된 주편(1)의 온도를 유지하는 보온장치(300)와, 1차 압연된 주편(1), 예컨대 압연바를 2차 압연하기 전 가열하기 위한 유도가열장치(400)와, 가열된 압연바를 2차 압연하여 강판(1b)을 제조하기 위한 2차 압연기(500)와, 강판(1b)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600) 및 강판(1b)을 권취하는 권취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설비와 장치 그리고 기기들은 연속 연결 배치된다.
이와 같은 연주압연설비는 한 가지 예로서, 1차 압연기(200)와 2차 압연기(500) 사이에 중간권취기(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이 경우 1차 압연기(200)와 중간권취기 사이에 절단기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연주압연설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주기(100)는 래들과 턴디쉬, 몰드 및 냉각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용강은 래들에서 턴디쉬로 배출된 후 몰드와 냉각대를 거쳐 주편으로 주조된다.
연주기(100)에서 주조된 주편(1)은 1차 압연기(200)에서 압연되어 압연바로 제조된다. 1차 압연기(200)는 적어도 회전하는 2개의 롤을 구비하는 압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편(1)이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에 지나가게 된다. 이때, 롤의 간격을 점차 좁히면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주편(1)을 늘리거나 얇게 만들 수 있다. 즉, 도면에서는 1개의 압연부를 갖는 1차 압연기(20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많은 수의 압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1차 압연기(200)에 의해 주편(1)의 두께가 얇아지고, 그 폭이 더 넓어진 압연바(1a)가 생산된다. 이때, 압연바(1a)는 그 두께가 10 내지 30㎜ 정도일 수 있다. 이때, 주편(1)은 연주기(100)에서 주조된 후 1차 압연기(200)에서 압연되기 때문에 주편(1)은 압연 가능한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가열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보온장치(300)는 압연바(1a)를 이송시키는 동안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온하는 역할을 한다.
유도가열장치(400)는 압연바(1a)를 압연, 즉 2차 압연하기 전 압연 가능한 온도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유도가열장치(400)는 압연바(1a)의 이동 경로의 상부 및 하부에 압연바(1a)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도가열장치(400)는 이동 경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가열장치(410)와 이동 경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가열장치(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가열장치(410)는 상부 가열기(412)와, 상부 가열기(41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부 커버(416)를 포함하고, 하부 가열장치(450)는 하부 가열기(452)와, 하부 가열기(45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하부 커버(4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가열기(412)와 하부 가열기(452)는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압연바(1a)를 가열할 수 있도록 유도 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브라켓(413, 453)에 의해 압연바(1a)의 이송경로 상부 및 하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커버(416) 및 하부 커버(454)는 압연바(1a)를 가열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절연체인 동시에, 고온의 조업 환경에 적합한 내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2차 압연기(500)는 유도가열장치(400)에서 가열된 압연바(1a)를 2차 압연하여 목표로 하는 두께와 넓이를 갖는 강판(1b)을 제조할 수 있다.
절단기(600)는 2차 압연기(500)에서 제조된 강판(1b)이 권취기(700)에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하는 역할을 하며, 권취기(700)는 강판(1b)을 코일 형태로 권취하여 배출한다.
이와 같은 연주압연설비에서 유도가열장치(400)는 연주기(100)에서 제조된 주편(1)을 연속적으로 압연하여 강판(1b)으로 제조하는데 필수적인 구성으로, 유도가열장치(400)가 손상되는 경우 이를 수리하기 위해 조업을 중단하여야 한다. 특히, 압연바(1a)의 변형으로 압연바(1a)와 유도가열장치(400)가 충돌 또는 접촉하는 경우, 상부 가열기(412) 및 하부 가열기(452)를 감싸고 있는 내화물, 예컨대 상부 커버(416) 또는 하부 커버(454)의 소손이 불가피하다. 종래에는 내화물이 소손되는 경우, 조업을 중단하고 유도가열장치(400)를 해체하여 별도의 수리장으로 옮겨 수리한 후 유도가열장치(400)를 재설치한 다음, 조업을 다시 재개하였다. 이 경우, 조업 중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유도가열장치(400)의 유지보수를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내화물을 교체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내화물이 소손되는 경우, 내화물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조업 중단 기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업 중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최소화하고, 내화물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도가열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도가열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도가열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커버와 클램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부 커버와 클램프의 다양한 변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도가열장치(400)는 이동 경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가열장치(410)와 이동 경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가열장치(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가열장치(410)는 상부 가열기(412)와, 상부 가열기(41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부 커버(4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가열기(412)는 브라켓(413)에 의해 이송경로의 상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413)은 상부 가열기(412)의 양쪽 측면의 일부 및 상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에 상부 가열기(41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 가열기(412)는 압연바(1a)의 이송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가열기(412) 및 하부 가열기(452)의 길이방향은 압연바(1a)의 이송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에 대응하고, 상부 가열기(412) 및 하부 가열기(452)의 폭방향은 압연바(1a)의 폭방향, 즉 압연바(1a)의 이송방향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브라켓(413)에는 상부 커버(416)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414)가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414)는 브라켓(413)의 양쪽, 즉 상부 가열기(4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클램프(414)에는 상부 커버(416)의 적어도 일부, 후술하는 돌기(416c)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414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414a)은 돌기(416c)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프(4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416)는 상부 가열기(41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면(416a)과, 일측은 제1면(416a)의 양쪽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416b) 및 제2면(416b)의 타측에 클램프(414)의 가이드 홈(414a)에 삽입되는 돌기(41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416)는 제1면(416a)과 제2면(416b) 사이에 상부 가열기(41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부 커버(416)는 상부 가열기(412)의 양쪽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면(416b)의 타측에 형성되는 돌기(416c)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416c)는 제2면(416b)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416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416)의 외측, 예컨대 상부 가열기(412)가 수용되는 상부 커버(416) 내부 공간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412c-1)는 상부 커버(416)의 내측, 즉 상부 가열기(412)가 수용되는 상부 커버(416)의 내부 공간쪽을 향하도록 절곡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412c-2)는 상부 커버(416)의 내측 및 외측으로 절곡되어 대략 "T"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412c-3)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예컨대 제2면(416b)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돌기는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돌기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 홈(414a)의 형상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가이드 홈(414a)은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416)는 하나 이상이 클램프(414)에 연결되어 상부 가열기(412)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상부 커버(416)는 상부 가열기(412)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분할 형성되어 상부 가열기(412)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복수의 상부 커버(416) 중 적어도 일부가 소손 또는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상부 커버(416)만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416)를 분할 형성하는 경우 상부 커버(416)의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될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즉, 상부 커버(416)는 압연바(1a)의 이동 경로 상부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는데, 상부 커버(416)를 상부 가열기(412)의 길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 다시 말해서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부 커버(416)의 하중에 의해 상부 커버(416)의 길이방향으로 중심부측이 볼록하게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과 같이 상부 커버(416)를 분할 형성하면, 상부 가열기(412)의 길이보다 짧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부 커버(416)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때보다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상부 커버(416) 자체 하중에 의한 변형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하부 가열장치(450)는 하부 가열기(452)와, 하부 가열기(45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하부 커버(4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가열기(452)는 브라켓(453)에 의해 이송경로의 하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453)은 하부 가열기(452)의 양쪽 측면의 일부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에 하부 가열기(452)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 가열기(452)는 압연바(1a)의 이송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부 가열기(452)는 상부 가열기(412)의 하부에 상부 가열기(41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454)는 하부 가열기(45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면(454a)과, 일측은 제1면(454a)의 양쪽에 연결되고 타측은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454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454)는 제1면(454a)과 제2면(454b) 사이에 하부 가열기(45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대략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부 커버(454)는 하부 가열기(452)의 양쪽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부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454)는 하나 이상이 하부 가열기(452) 상부에 안착되어 하부 가열기(452)를 커버할 수 있다. 즉, 하부 커버(454)는 하부 가열기(452)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분할 형성되어 하부 가열기(452)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복수의 하부 커버(454) 중 적어도 일부가 소손 또는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하부 커버(454)만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하부 커버(454)가 하부 가열기(452) 상부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브라켓(435)에 클램프를 설치하고 상부 커버(416)처럼 제2면(454b)의 타측에 돌기를 형성하여 하부 커버(454)와 클램프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가열기(412)와 하부 가열기(452)에 상부 커버(416)와 하부 커버(454)를 각각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상부 가열기와 하부 가열기에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통상 상부 가열장치(410)와 하부 가열장치(450)는 압연바(1a)를 효율적으로 가열하기 위하여 압연바(1a)와 약 100㎜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416)를 교체하는 경우, 상부 가열기(412)의 하부측에서 상부 커버(416)를 와 하부 커버(454)를 교체할 때 상부 가열기(412)의 하부측에서 상부 커버(416)를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부 커버(416) 교체 시 상부 커버(416)에 형성된 돌기(416c)를 클램프(414)의 가이드 홈(414a)에 삽입한 후 상부 커버(416)를 상부 가열기(41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다. 물론, 상부 커버(416)의 분리는 상부 커버(416)의 설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행할 수 있다.
상부 커버(416)는 적어도 하나 이상, 즉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부 커버(416)는 상부 가열기(412)의 길이에 맞게 순차적으로 클램프(414)와 연결되어 상부 가열기(412)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커버(454)는 하부 가열기(452)에 하부 커버(454)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하부 커버(454)를 하부 가열기(45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부 가열기(452)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 커버(454)는 하부 가열기(452)를 고정하고 있는 브라켓(453)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453)에 안착될 수 있다. 하부 커버(454)는 적어도 하나 이상, 즉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하부 커버(454)는 하부 가열기(452)의 길이에 맞게 하부 가열기(452)와 압연바(1a)의 이동 경로 하부 사이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하부 가열기(452)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하부 커버(454)에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가열기(452)에 클램프(414)가 설치된 경우, 상부 커버(416)의 교체 또는 분리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교체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부 커버(416)와 하부 커버(454)를 설치할 때, 상부 커버(416)와 상부 가열기(412) 사이, 하부 커버(454)와 하부 가열기(452) 사이에는 단열재(460a, 460b)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단열재(460a, 460b)는 고온의 압연바(1a)에 의해 상부 가열기(412) 및 하부 가열기(452)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부 가열기(412)와 하부 가열기(452)를 보호하기 위한 내화물, 즉 상부 커버(416)와 하부 커버(454)를 완성된 제품으로 마련해 놓고 필요에 따라 상부 커버(416)와 하부 커버(454)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부 커버(416)와 하부 커버(454)는 변형된 압연바(1a)와의 충돌이나 접촉에 의해 견딜 수 있도록 고강도 및 내마모성을 가져야 하고, 고온의 조업 환경에 견딜 수 있는 내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부 커버(416)는 하부 커버(454)에 비해 압연바(1a)와의 충돌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는데, 상부 커버(416)는 압연바(1a)와 충돌 시 18 내지 34MPa 정도의 충격 에너지를 받는다. 그러나 실제 조업에서는 압연바(1a)가 상부 커버(416)를 충격하는 일은 거의 없고, 접촉하거나 긁고 지나가는 정도에 그친다. 이 경우, 상부 커버(416)가 받는 충격 에너지는 압연바(1a)가 상부 커버(416)를 실제 충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의 약 60% 정도이다. 따라서 상부 커버(416)는 적어도 20MPa 이상의 강도, 예컨대 압축강도를 갖도록 제조되는 것이 좋다.
또한, 클램프(414)를 이용하여 상부 커버(416)를 지지하는 경우, 클램프(414)에 가해지는 상부 커버(416)의 하중과 열변형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 상부 커버(416)의 열전도율이 5W/mK(at 500℃) 이하일 때 열에 의한 상부 커버(416)의 변형률은 약 0.2%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발생하는 상부 커버(416)의 변형은 상부 커버(416) 자체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부 커버(416)의 하중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부 커버(416)를 분할하여 복수개로 구성하였으며, 각 상부 커버(416)는 20㎏ 미만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상부 커버(416)와 하부 커버(454)는 압연바(1a)를 원활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10 내지 20㎜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하였다.
이외에도 상부 커버(416) 및 하부 커버(454)는 1200℃에서 1.0% 이하의 열팽창률과 2.6g/㎤ 이하의 비중 또는 밀도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부 커버(416)와 하부 커버(454)는 형상을 다르지만 제조되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상부 커버(416)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부 커버(416)는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및 칼시아(CaO)를 포함하는 내화재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펄라이트(pearlite)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3성분을 이용하여 상부 커버(416)를 제조하는 경우, 알루미나 60 내지 63중량%, 실리카 34 내지 35중량%, 칼시아 3 내지 5중량%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펄라이트를 추가로 사용하는 경우, 알루미나 60 내지 62중량%, 실리카 33 내지 35중량%, 칼시아 2 내지 3중량% 및 펄라이트 1 내지 2중량%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부 커버(416)가 알루미나, 실리카, 칼시아, 펄라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전술한 상부 커버(416) 및 하부 커버(454)의 성능과 물성을 만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화재는 분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입자 크기는 5㎜ 미만인 것이 좋다. 이는 상부 커버(416) 및 하부 커버(454)가 10 내지 20㎜ 정도, 바람직하게는 16㎜ 두께로 제조되기 때문에 상부 커버(416)와 하부 커버(454)의 비중과 기공률을 조절하여 물성, 예컨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내화재의 입자 크기는 5㎜ 미만인 것이 좋다. 즉, 내화재의 입자 크기가 5㎜ 이상인 경우에는 내화재 입자 간 거리가 증가하여 제조되는 상부 커버(416) 및 하부 커버(454)의 기공률 및 비중이 증가할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상부 커버(416) 및 하부 커버(454)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이때, 상부 커버(416) 및 하부 커버(454)의 기공률은 15 내지 20% 정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기공률과 단열(열전도도) 간의 관계는 서로 반비례관계에 있고, 기공률과 강도 역시 반비례 관계에 있다. 그리고 열응력 역시 기공률과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최적 기공률은 필요한 강도를 가지고 내화물, 즉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열변형을 줄이며, 단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화재가 마련되면, 내화재에 물과 경화재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이때, 물은 내화재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5.5 내지 6.3중량% 정도 첨가할 수 있다. 물의 양이 제시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화재, 물 및 경화재를 혼합한 혼합물의 유동성이 떨어져서 시공이 어려우며, 물의 양이 제시된 범위보다 많은 경우에는 혼합물의 유동성은 증가하지만 미반응된 수분이 존재하여 후속 건조 공정에서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내에 불규칙적인 기공이 발생하여 건조 중 크랙이 발생하거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경화재는 LiCO3와 Ca(O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속 양생 공정 시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강도를 빠른 시간 내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경화재는 내화재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화재가 제시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양생시간이 증가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시된 범위보다 많은 경우에는 혼합물이 지나치게 빨리 경화되어 원하는 강도를 얻기 어려우며 양생 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혼합물이 마련되면, 미리 준비된 거푸집에 혼합물을 충진하고 약 24시간 정도 양생하여 성형체, 즉 상부 커버(416)를 제조한다.
이후, 거푸집으로부터 상부 커버(416)를 분리하고, 분리된 상부 커버(416)를 가열로에 넣고 건조시킨다. 이때, 건조 공정은 상부 커버(416) 내부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3단계에 걸쳐 수행할 수 있다.
1단계 건조 공정은 150℃ 정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부 커버(416) 내 수분을 30% 이상을 제거할 수 있다. 1단계 건조 공정에서는 상부 커버(416) 내 존재하는 수분이 가장 많이 제거되는 단계로 수분이 상부 커버(416) 내부에서 물리적 흡착이 끊어지며 건조되는 단계이다. 그리고 2단계 건조 공정은 250℃ 정도에서 수행될 수 있고, 수화 반응된 결정수가 건조되는 단계로서, 건조 수축 및 기공 닫힘 등으로 발생된 내부 증기압으로 인해 폭열이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1단계 건조 공정에서 2단계 건조 공정을 수행할 때 온도를 단계적으로 승온하여 건조 수축 및 기공 닫힘 현상이 급격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3단계 건조 공정은 600℃ 정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부 커버(416)의 강도와 물성을 완성시킬 수 있는 단계로 상부 커버(416) 내부에 수분이 80% 이상 건조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커버(416)의 건조 공정이 완료되면, 가열로 내부에서 상부 커버(416)를 서냉시킨 후 가열로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상부 커버(416) 및 하부 커버(454)는 별도의 저장공간에 마련해놓았다가 조업 사고로 사용 중인 상부 커버 또는 하부 커버가 소손 또는 파손된 경우 교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연주기 200: 1차 압연기
300: 보온장치 400: 유도가열장치
410: 상부 가열장치 412: 상부 가열기
414: 클램프 416: 상부 커버
450: 하부 가열장치 452: 하부 가열기
454: 하부 커버

Claims (12)

  1.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강재를 가열하도록 상기 이동 경로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유도가열장치로서,
    가열기; 및
    상기 가열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가열기에 교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유도가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커버 사이에 단열재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상기 이동 경로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가열기; 및
    상기 이동 경로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가열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상부 가열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가열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유도가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열기에는 상기 상부 커버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상부 가열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클램프를 설치하는 유도가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상부 가열기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부 가열기의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복수개로 구비하는 유도가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상부 가열기의 하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양쪽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부 단부가 상기 클램프와 결합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의 상부 단부에는 돌기를 형성하는 유도가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상부 커버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클램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2면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2면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하부 가열기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면과,
    일측은 상기 제1면의 양쪽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면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상기 하부 가열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유도가열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하부 가열기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양단부가 개방되는 유도가열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하부 가열기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하부 가열기의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복수개로 구비하는 유도가열장치.
KR1020170019612A 2017-02-13 2017-02-13 유도가열장치 KR20180093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612A KR20180093469A (ko) 2017-02-13 2017-02-13 유도가열장치
PCT/KR2017/014395 WO2018147540A1 (ko) 2017-02-13 2017-12-08 유도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612A KR20180093469A (ko) 2017-02-13 2017-02-13 유도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469A true KR20180093469A (ko) 2018-08-22

Family

ID=6310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612A KR20180093469A (ko) 2017-02-13 2017-02-13 유도가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93469A (ko)
WO (1) WO201814754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883U (ko) 1996-12-30 1998-10-07 양재신 자동차의 접촉 경보 장치
KR101594717B1 (ko) 2014-12-24 2016-02-1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방법,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713B2 (ja) * 1986-06-25 1994-10-05 川鉄鋼板株式会社 金属ストリツプの連続塗覆装ラインにおける誘導加熱炉
JP4295141B2 (ja) * 2004-03-12 2009-07-15 株式会社吉野工作所 ワーク加熱装置及びワーク加熱方法
KR101428178B1 (ko) * 2012-07-30 2014-08-07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금속판 가열 시스템
KR101461761B1 (ko) * 2012-12-27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 장치
KR101531287B1 (ko) * 2014-08-29 2015-06-24 에이브이엘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식 led 모듈을 이용한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883U (ko) 1996-12-30 1998-10-07 양재신 자동차의 접촉 경보 장치
KR101594717B1 (ko) 2014-12-24 2016-02-1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방법,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540A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1617B2 (ja) ローラーハース炉及び旋回テーブルを備えたcsp連続鋳造設備
JP4560474B2 (ja) ガラスブロックをキャスト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380680A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nozzle heating device
RU25164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ливки
JP5473259B2 (ja) 鋳片の冷却方法
RU25477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KR20180093469A (ko) 유도가열장치
CN106799477B (zh) 一种非晶合金互感器磁芯带材加工系统
JP2006257486A (ja) 方向性電磁鋼板の焼鈍方法及び方向性電磁鋼板のバッチ焼鈍用インナーカバー
WO2008111233A1 (ja) 熱間圧延設備およびそれを用いた鋼材の製造方法
JP6343949B2 (ja) 鋳片引抜装置および鋳片引抜方法
JP5803223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仕上焼鈍用インナーケースと仕上焼鈍方法
CN214270953U (zh) 一种防护性能强的金属表面热处理加工装置
JP6452037B2 (ja) 鋳造方法および鋳造装置
KR101938583B1 (ko) 가열로용 대차
KR101504399B1 (ko) 압연재의 보온장치
JP2017124411A (ja) 連続鋳造スラブの切断後の加熱方法および加熱設備
JP2006122942A (ja) 円筒部材を鋳ぐるむ鋳造方法及び誘導加熱装置
KR20160105424A (ko) 연주압연장치 및 방법
JPS6019795Y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保熱装置
CN107447079B (zh) 一种中高碳钢连铸钢坯退火的方法
WO2022014288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KR20120074360A (ko)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JP5458672B2 (ja) 方向性電磁鋼板用スラブの竪型誘導加熱炉
JP3370862B2 (ja) 熱延鋼帯コイル結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89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06

Effective date: 2019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