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360A -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360A
KR20120074360A KR1020100136166A KR20100136166A KR20120074360A KR 20120074360 A KR20120074360 A KR 20120074360A KR 1020100136166 A KR1020100136166 A KR 1020100136166A KR 20100136166 A KR20100136166 A KR 20100136166A KR 20120074360 A KR20120074360 A KR 20120074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deck
lifting device
kit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6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4360A/ko
Publication of KR2012007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2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maintaining the platforms horizontal during mov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와 축조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는, 전로 내부에 연와를 축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데크; 상기 데크에 결합되고, 상기 연와를 축저하기 위한 축조기; 및 상기 데크에 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리프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 FOR CONSTRUCTING FIRE BRICK IN CONVERTER}
본 발명은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제철소의 전로 내부에 연와를 축조하기 위한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는 철광석에서 철을 뽑아내어 강판, 강관 등의 철재를 생산하는 곳이다. 철의 생산에는 여러 공정이 필요하지만, 크게 나누어 제선 공정, 제강 공정, 연속주조 공정, 및 압연 공정의 4단계로 나뉘며, 철을 만드는 순서는 제선-제강-연주-압연 순서로 이루어진다.
① 제선 공정 : 철광석과 소결 공장에서 분광 석을 사전 처리하여 만든 소결광 그리고 코크스 공장에서 건류한 코크스, 및 석회를 용광로에 장입한 다음, 열을 가하여 철광석을 녹여서 용선을 만드는 공정이다. 이때, 코크스는 열풍에 의해 연소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가 철광석과 환원 반응을 일으키면서 쇳물이 생성되며, 코크스는 철광석을 녹이는 열원 역할과 산화철인 철광석에서 산소와 쇳물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로의 출력 향상을 위한 공정인 철광석 소결공정, 코크스 제조 공정도 포함하고 있다. 고로의 크기는 고로 내용적으로 산출되며, 능력은 일일 출선량으로 나타낸다.
② 제강 공정 : 제선공정을 통해 나온 선철은 탄소함유량이 많고 인, 황, 규소와 같은 불순물이 상당량 함유되어 경도가 높고 취약한 성질이 있다. 이러한 선철을 정련하여 탄소의 양을 감소시키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제강공정이 수행된다. 제강공정에는 평로, 전로 및 전기로 등이 적용되며, 고로에서 이송되는 용선, 고철 및 부원료를 전로에 장입한 후, 산소를 불어 넣어 용선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필요한 성분을 첨가하여 원하는 성분과 적정 온도의 용강을 만드는 공정이다. 용융된 선철에 함유된 탄소, 망간, 규소, 인, 황 등이 산화 연소되고, 산화물은 석회에 의해 슬래그화하여 제거되며, 탈인과 탈산이 병행되므로 인과 산소 함유량이 낮은 강이 제조된다.
③ 연속주조 공정 : 제강 공정에서 생산된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하고 연속적으로 인발 하여 냉각시켜 직접 소정의 반제품 슬래브(Slab), 블롬(Bloom), 빌릿(Billet) 등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은 종래의 조괴-분괴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고, 균질의 반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현재는 일부 고급합금강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강 종을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하고 있다.
④ 압연 공정 : 압연 공정은 연속 주조에서 생산된 반제품을 열연, 후판, 선재, 형강, 봉강 공장으로 이송시켜 재 가열한 후, 각각의 열연 압연기에서 소정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즉, 반제품을 가열하여 두 개의 롤(Roll)사이에 밀어 넣고 압착시켜 여러 가지 형태의 강재를 만드는 공정이다. 형태에 따라 판재 압연과 봉재, 선재 압연으로 나누고, 압연 온도에 따라 열간 압연, 냉간 압연으로 나뉜다
이때, 전로는 공정의 특성상 대단히 높은 고온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로의 철제 외피의 용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제 외피의 내측에는 고온을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을 갖는 내화 벽돌, 즉 연와를 축조하여 전로를 보호한다. 연와는 고온으로부터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으로서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며, 용강 또는 슬래그와의 화학 반응으로 인한 마모 및 고온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일정 기간 사용 후에 교체하여야 한다. 수명이 다한 연와를 파쇄하여 전로로부터 제거하고 전로를 정립하여 수평을 유시시킨 후, 전로 내부 바닥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와 축조를 실시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연와 축조 장치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데크(Deck)(40)는 작업자가 작업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축조기(30)는 데크(40)에 결합되어 연와(20)를 운반 및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50)는 데크(40)의 하부에 위치하여 데크(4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데크(40)에서 축조기(30)를 이용하여 전로(10) 내부에 연와(20)를 축조할 수 있다.
하지만, 연와(20) 축조가 진행됨에 따라 쌓이는 연와(20)의 높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더 이상 연와(20) 축조 작업이 불가능해 진다. 따라서, 도 1b와 같이 데크(40) 및 축조기(30)를 지지부(50)로부터 분리하여 전로(10)로부터 제거한 후, 지지부(50)를 추가 조립하여 높이를 증가시키고, 도 1c와 같이 제거하였던 데크(40) 및 축조기(30)를 지지부(50)에 재조립하여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데크(40)의 분리 및 재조립 작업은 전로(10)의 크기와 연와(20) 시공 높이 등에 따라 수차례 반복된다.
하지만, 종래의 연와(20) 시공에 따르면, 데크(40)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축조기(30)와 데크(40)를 분리 및 재조립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의 작업이 여러 차례 반복되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작업 비용 또한 증가하며, 분리 및 재조립의 반복에 따른 안전 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와(20) 시공 기간 중에는 전로(10)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작업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에 제철소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더하여, 전로(10) 내부 공간은 협소하고, 외부에 비하여 작업 환경이 좋지 않으므로 작업자들의 작업이 어려운 바, 장시간 연와(20) 축조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 작업자들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분리 및 재조립 없이 데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와 축조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분리 및 재조립에 따른 안전 사고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는, 전로 내부에 연와를 축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데크; 상기 데크에 결합되고, 상기 연와를 축저하기 위한 축조기; 및 상기 데크에 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리프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팅부는, 길이의 신장 또는 단축이 가능한 신축부; 상기 신축부에 연결되고, 상기 신축부를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부는, 관형상을 가지고 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복수의 슬라이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드관을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슬라이드관을 각각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글라이드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신축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는, 장치의 분리 및 재조립 없이 데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연와 축조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연와 축조 높이 증가에 대응하는 장치의 분리 및 재조립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작업량을 감소시켜 안전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연와 축조 장치 및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의 리프팅부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의 리프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는, 축조기(30), 데크(40), 및 리프팅부(100)를 포함한다.
전로(10) 내부에 위치하는 데크(Deck)(40)는 작업자가 작업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축조기(30)는 데크에 결합되어 연와(10)를 운반 및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리프팅부(100)는 베이스부(160),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관(110, 120, 130, 140) 및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드관(110) 및 제2 슬라이드관(120)은 원형 관형상을 가지고, 제1 슬라이드관(1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슬라이드관(120)이 제1 슬라이드관(110)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3 슬라이드관(130)은 제2 슬라이드관(120)에, 그리고 제4 슬라이드관(140)은 제3 슬라이드관(130)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베이스부(160)는 제1 슬라이드관(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베이스부(160)와 제1 슬라이드관(110)은 복수의 구동부에 의해 서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는 실린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라이드관(110)은 실린더(150)의 구동에 따라 베이스부(160)에 대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슬라이드관(120)과 제1 슬라이드관(110)은 복수의 실린더(150)에 의해 서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2 슬라이드관(120)은 실린더(150)의 구동에 따라 제1 슬라이드관(110)에 대하여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슬라이드관(130) 및 제4 슬라이드관(140) 또한, 복수의 실린더(150)가 연결되어 서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실린더(150)의 구동에 따라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관(110, 120, 130, 140)이 슬라이딩 이동하고, 리프팅부(100)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전로(10) 내부의 연와(20) 시공 공정 진행에 따라 리프팅부(1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축조기(30)와 데크(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축조 장치의 분리 및 재조립 없이 연와(20) 축조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는 실린더(15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관(110, 120, 130, 1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종래의 연와(20) 시공 공정에 따르면, 데크(40)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축조기(30)와 데크(40)를 분리 및 재조립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의 작업이 여러 차례 반복되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작업 비용 또한 증가하며, 분리 및 재조립의 반복에 따른 작업량이 증가하는 만큼 안전 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와(20) 시공 기간 중에는 전로(10)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작업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에 제철소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더하여, 전로(10) 내부 공간은 협소하고, 외부에 비하여 작업 환경이 좋지 않으므로 작업자들의 작업이 어려운 바, 장시간 연와(20) 축조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 작업자들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는, 장치의 분리 및 재조립 없이 데크(4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연와(20) 축조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분리 및 재조립이 필요없어 작업량이 감소하는 만큼 안전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와(20) 축조 작업 시간 감소에 따라 전로(10) 비가동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제철소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리프팅부 110: 제1 슬라이드관
120: 제2 슬라이드관 130: 제3 슬라이드관
140: 제4 슬라이드관 150: 실린더
160: 베이스부

Claims (6)

  1. 전로 내부에 연와를 축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데크;
    상기 데크에 결합되고, 상기 연와를 축조하기 위한 축조기; 및
    상기 데크에 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리프팅부
    를 포함하는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길이의 신장 또는 단축이 가능한 신축부;
    상기 신축부에 연결되고, 상기 신축부를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관형상을 가지고 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복수의 슬라이드관
    을 포함하는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드관을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슬라이드관을 각각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글라이드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신축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베이스부에는 연결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KR1020100136166A 2010-12-28 2010-12-28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KR20120074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166A KR20120074360A (ko) 2010-12-28 2010-12-28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166A KR20120074360A (ko) 2010-12-28 2010-12-28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360A true KR20120074360A (ko) 2012-07-06

Family

ID=4670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166A KR20120074360A (ko) 2010-12-28 2010-12-28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43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5714A (zh) * 2014-11-11 2015-04-29 杨鑫泉 一种台车式热处炉料盘出炉吊链待位立式上下双钩
KR20210041769A (ko) 2019-10-08 2021-04-16 권만석 작업용 확장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5714A (zh) * 2014-11-11 2015-04-29 杨鑫泉 一种台车式热处炉料盘出炉吊链待位立式上下双钩
KR20210041769A (ko) 2019-10-08 2021-04-16 권만석 작업용 확장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361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ollow ingot for retaining ring of large generator by electroslag remelting
CN101967597B (zh) 一种大厚度z向钢板的生产方法
CN109112408B (zh) 大规格p92耐热钢锻件的制造方法
CN104175062B (zh) 全纤维组织大型双法兰电机主轴锻造方法
US20160215358A1 (en) Non quenched and tempered steel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CN1864878A (zh) 紧凑型中宽带钢生产工艺
CN103589951B (zh) 大断面h型钢的生产方法
CN110935827B (zh) 一种较大规格细晶奥氏体不锈钢SNCrW棒材的锻造方法
CN101788227A (zh) 感应加热超高温连续碳化炉
CN103789684A (zh) 核电站控制棒驱动机构驱动杆及其制备方法
CN102581187B (zh) 一种利用万能锤头锻造扁钢的方法
CN105671257A (zh) 一种冷装电工钢的加热方法
KR20120074360A (ko) 전로의 연와 축조용 리프팅 장치
CN201978963U (zh) 一种黄铜合金冷凝管水平连铸-轧制-退火-拉伸设备
CN104278195A (zh) 一种345MPa级低屈强比H型钢及其制备方法
CN103316910A (zh) 一种Cr12MoV扁钢的轧制方法
CN106670230A (zh) 开坯、连轧和控冷相结合的大规格矩形钢生产工艺
KR101219598B1 (ko) 스트립 정렬 장치
CN108620518B (zh) 一种降低卷取机卷筒用拱形板锻件重量的锻造方法
CN103801856B (zh) 一种高延伸率易拉拔焊丝
CN202046818U (zh) 一种高炉砌炉吊装设备
CN109014100A (zh) 一种提高钢质薄板坯连铸过程拉钢速度的方法
CN102310078A (zh) 利用钢水余热生产型材棒线材的连铸连轧方法
CN212833848U (zh) 一种捅高炉风口的活动锤装置
CN104878307A (zh) 一种贝氏体耐磨用热轧无缝钢管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