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880A - 처리 설비 및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처리 설비 및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880A
KR20180091880A KR1020187019262A KR20187019262A KR20180091880A KR 20180091880 A KR20180091880 A KR 20180091880A KR 1020187019262 A KR1020187019262 A KR 1020187019262A KR 20187019262 A KR20187019262 A KR 20187019262A KR 20180091880 A KR20180091880 A KR 20180091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ing
heat transfer
circulating air
process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이그라우어
케빈 볼
디트마 빌란트
Original Assignee
듀르 시스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르 시스템스 아게 filed Critical 듀르 시스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9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13Heating with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trays or racks or receptacles, which may be connected to endless chains 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partly outside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66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2Vehicle bodies, e.g. after being pai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Furnace Detail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에너지 효율적인 공작물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처리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처리 설비는: 상기 처리 설비의 복수의 개별적인 순환 공기 모듈 중 하나와 각각 관련되는 복수의 처리 챔버 섹션을 포함하는 처리 챔버; 및 가열 가스 도관을 포함하는 가열 설비를 포함하고, 복수의 순환 공기 모듈은 특히 상기 처리 챔버 섹션을 통해 안내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가열 가스 도관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처리 설비 및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처리 설비 및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처리 설비는 코팅된 차체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특히 코팅된 차체를 건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처리 설비 및 처리 방법은 특히 EP 1 998 129 B1호, US 2006/0068094 A1호, EP 1 302 737 A2호 및 WO 02/073109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공작물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처리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가 다음:
처리 설비의 복수의 개별적인 순환 공기 모듈 중 하나와 각각 관련되는 복수의 처리 챔버 섹션을 포함하는 처리 챔버;
가열 가스 도관을 포함하는 가열 설비
를 포함하고,
복수의 순환 공기 모듈은 특히 처리 챔버 섹션을 통해 안내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가스 도관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설비는 순환 공기 모듈에 결합되는 가열 가스 도관을 갖는 가열 설비를 포함하고, 처리 챔버 섹션에 공급되는 가스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처리 설비는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특히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가열 가스 도관은 바람직하게는 독립적으로(self-contained), 예를 들어 환형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가열 가스 도관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적어도 부분적인 가스 스트림이 가열 가스 도관을 통해 여러 번 유동하게 된다.
가열 가스는 처리 챔버에서 사용되기에, 즉 처리 챔버를 통해 유동하기에 적합하고 그리고/또는 제공되는 원 가스(crude gas) 및/또는 순수한 가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처리 챔버 섹션의 바로 상류에서,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의 가스 스트림과 비교하여 증가된 온도를 갖는다.
가열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가열 설비의 가열 장치의 배기가스가 아니며, 특히 연소 배기가스가 아니다.
"독립적인 가열 가스 도관"이라 함은 특히 가열 가스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가 회로 내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 도관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관계없이, 가열 가스 스트림에 신선한 가스의 연속적인 또는 단계적인 공급 및/또는 가열 가스 스트림으로부터의 가열 가스의 제거는 또한 독립적인 가열 가스 도관에서 제공될 수 있다.
신선한 가스의 공급 및 가열 가스의 제거, 즉 가열 가스의 교환이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 도관을 통한 가열 가스 스트림의 단일 통과 시, 가열 가스 도관 내의 특정 위치를 지나 유동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적어도 4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 %, 특히 적어도 약 80 %, 예를 들어 적어도 약 90 %가 통과가 완료된 후에 상기 위치로 다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신선한 가스의 공급 및/또는 가열 가스 스트림으로부터의 가열 가스의 제거는 배타적으로 처리 설비의 처리 챔버 섹션 및/또는 순환 공기 모듈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또한 처리 챔버 섹션의 외부에서 그리고/또는 순환 공기 모듈의 외부에서, 각각 신선한 가스가 공급될 수 있게 하고 가열 가스가 가열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신선한 가스 공급 및/또는 배기가스 배출이 가열 설비와 관련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 도관의 구성 부분이다.
특히, 가열 가스는 순환 공기 모듈의 외부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의 외부에 위치하는 가열 가스 도관의 부분을 통해 (다시) 유동하기 전에 여러 번 처리 챔버 섹션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가스 도관이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 의해 섹션별로 형성되는 순환 공기 도관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서, 가스 스트림은 가열 가스 도관으로부터의 가열 가스가 공급될 수 있는 순환 공기 회로에서 안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하나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의 회로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부분적인 가스 스트림은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폐쇄 회로 내에서 가열 가스 도관에 의해 안내될 수 있고, 마지막으로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 가열 가스 스트림의 일부로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설비는 공작물이 처리 챔버로 공급될 수 있고, 처리 챔버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으로 처리 챔버를 통해 이송될 수 있게 하는 이송 장치를 포함한다.
처리 챔버 섹션 및/또는 순환 공기 모듈은 이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 공기 모듈이 서로 독립적인 순환 공기 모듈인 경우 바람직할 수 있다.
순환 공기 모듈, 특히 각각의 순환 공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포함한다:
처리 챔버 섹션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원;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부터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가스 배출구; 및/또는
(순환 공기) 가스 스트림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기 장치; 및/또는
(순환 공기)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장치;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 공급되는 (순환 공기) 가스 스트림을 가스 공급원의 복수의 입구 개구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 장치; 및/또는
가스 배출구의 복수의 출구 개구(복귀 개구)를 통해 처리 챔버로부터 제거되는 (순환 공기) 가스 스트림이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수집 장치.
각각의 순환 공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관련된 처리 챔버와 함께, 특히 처리 설비의 완전한 섹션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용어 "순환 공기"는 가스 "공기"에 반드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용어 "순환 공기"는 특히 여러 번 처리되고 그리고/또는 재사용되는 회로(순환 공기 회로)에서 안내되는 가스를 지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공급 공기", "공급 공기 스트림", "배기 공기" 및 "배기 공기 스트림"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가스 "공기"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보다 일반적으로는 순환 공기 회로(공급 공기, 공급 공기 스트림)에 공급된 가스 및 순환 공기 회로(배기 공기, 배기 공기 스트림)로부터 제거된 가스를 각각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설비가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에서 생성된 열이 가열 가스 도관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열 교환기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열 교환기는 특히 가열 장치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열을 사용하여 가열 가스를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 장치의 배기 가스관에 배치된다.
처리 설비가 가열 설비와는 상이한 그리고/또는 이와 독립적인 신선한 가스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신선한 가스 공급원에 의해 신선한 가스가 처리 챔버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신선한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 스트림과 독립적으로,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서 그리고 이에 따라 처리 챔버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신선한 가스 스트림이 에어록 가스 스트림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 챔버에 공급되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처리 설비가 신선한 가스 공급원을 포함하고, 이 신선한 가스 공급원에 의해 신선한 가스가 가열 가스 도관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신선한 가스 공급원은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에 의해, 특히 처리 챔버에서의 현재의 열 요구량에 따라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 가능하다.
적어도 대략 일정한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동을 갖는 신선한 가스 스트림이 하나 이상의 에어록, 특히 입구 에어록 및/또는 출구 에어록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변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동을 갖는 신선한 가스 스트림이 하나 이상의 에어록, 특히 입구 에어록 및/또는 출구 에어록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대략 일정한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동은 특히 처리 챔버에서의 현재의 열 요구량과 시간적으로 독립적이다.
가변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동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챔버에서의 현재의 열 요구량에 따라 적응되고 그리고/또는 제어되고 그리고/또는 조절된다.
또한 적어도 대략 일정한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동을 갖는 신선한 가스 스트림이 가열 가스 스트림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변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동을 갖는 신선한 가스 스트림이 가열 가스 스트림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대략 일정한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량을 갖는 신선한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0 %, 특히 적어도 약 40 %, 예를 들어 약 50 %의 처리 설비의 평균 신선한 공기 요구량이 커버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신선한 가스 스트림은 특히 하나 이상의 에어록에 공급되는 신선한 가스 스트림이다.
특히 가변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동을 갖는 추가의 신선한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0 %, 특히 적어도 약 40 %, 예를 들어 약 50 %의 처리 설비의 평균 신선한 공기 요구량이 커버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신선한 가스 스트림은 특히 가열 가스 스트림의 중앙에 공급되는 신선한 가스 스트림이다.
신선한 가스 공급원은 특히 가열 장치의 배기가스로부터 신선한 가스 공급원에 의해 공급되는 신선한 가스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열 교환기에 의해 가열 장치의 배기 가스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선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열 교환기는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열 교환기와 다른 열 교환기이다.
이에 대안적으로, 공통 열 교환기의 서로 다른 섹션이 한편으로는 신선한 가스를 가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열 가스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신선한 가스 공급원 및 가열 가스 도관은 특히 공통의 열 교환기를 갖는다. 특히, 그 후 열 교환기의 차가운 측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세분된다. 특히, 상호 독립적인 관류를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세그먼트가 제공된다.
처리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신선한 가스 에어록으로 구성되고 신선한 가스가 유동하거나 또는 유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에어록을 포함한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 설비가 순환 공기, 즉 회로 내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이 유동하거나 또는 유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에어록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특히 각각의 순환 공기 에어록이 순환 공기 모듈과 관련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처리 설비가 순환 공기 에어록을 포함하는 경우, 신선한 가스 스트림이 가열 가스 스트림에 직접 혼합되거나 또는 혼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신선한 가스를 처리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신선한 가스 라인이 사용될 수 있다.
가열 가스 도관이 가열 가스가 안내되거나 또는 안내될 수 있고 가열 가스 도관으로부터의 가열 가스가 복수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중앙 가열 가스 라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가열 가스는 순환 공기 모듈을 통해 각각의 처리 챔버 섹션 내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가스 도관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챔버 섹션 내의 순환 공기 회로에 공급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공기 도관을 형성한다.
가열 가스 도관이 가열 가스가 안내되거나 또는 안내될 수 있고 가스가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중앙 가열 가스 라인을 포함하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가스 도관은 회로 내의 순환 공기 모듈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배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배기 공기 도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가스 도관이 중앙 가열 가스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가열 가스 라인에 의해 가열 가스가 가열 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열 교환기로부터 복수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 그리고 다시 열 교환기로 환형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열 가스 도관이 중앙 가열 가스 라인을 포함하고, 이 중앙 가열 가스 라인에 의해, 특히 가열 가스로서 작용하는 가스가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가열을 위한 열 교환기에 공급될 수 있고, 그 후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 다시 안내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열 가스 도관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송풍기에 의해 또는 복수의 송풍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가열 가스 도관이 가열 가스 도관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을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기부 또는 브랜치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가열 가스 도관이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을 따라 연장되고 그 일부 또는 가열 가스 스트림이 분지될 수 있고 각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 공급될 수 있는 주 공급 라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주 공급 라인은 예를 들어 처리 챔버의 외부에서, 특히 모든 처리 챔버 섹션의 외부에서 그리고/또는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진행할 수 있다.
주 공급 라인은 특히 모든 순환 공기 도관에 가열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략 처리 챔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주 공급 라인이 처리 챔버 내에서 그리고/또는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공급 라인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이송 방향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이송 장치의 2개의 이송 유닛 사이의 중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주 공급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챔버의 베이스에 통합되거나 또는 처리 챔버의 베이스 바로 위에 배치된다.
주 공급 라인이 처리될 공작물 아래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처리될 공작물 아래, 특히 처리될 공작물 바로 아래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주 공급 라인은, 특히 방열에 의해 그리고/또는 대류에 의해, 처리 챔버를 통해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고 그리고/또는 처리될 공작물을 가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주 공급 라인은 특히 모든 처리 챔버 섹션을 통해 그리고/또는 모든 처리 챔버 섹션 내로 연장된다.
주 공급 라인이 이송 방향에 수직으로 취해진 주 공급 라인의 높이의 적어도 3배, 특히 적어도 5배, 예를 들어 적어도 10배인 이송 방향에 수직으로 취해진 폭을 갖는 직사각형 채널로 구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주 공급 라인이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의 복귀 라인 내로 직접 유입 밸브를 통해 개방되면 유리할 수 있다.
분기부 또는 브랜치를 이용하여,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 가열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 공기 스트림을 궁극적으로 얻기 위해 가열 가스 스트림이 분할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가스 도관은 가열 가스 총 스트림이 제1 가열 가스 부분 스트림과 제2 가열 가스 부분 스트림으로 분할될 수 있게 하는 주 브랜치를 갖고, 여기서 제1 가열 가스 부분 스트림은 처리 설비의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에 대해, 제1 순환 공기 모듈 또는 제1 내지 제n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제1 처리 챔버 섹션 또는 제1 내지 제n 처리 챔버 섹션으로 공급될 수 있고, 제2 가열 가스 부분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다른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 배분될 수 있다면 유리할 수 있다.
제1 순환 공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챔버 섹션과 관련되는 순환 공기 모듈이다. 그러나, 상기 제1 순환 공기 모듈이 순환 공기 에어록과 관련되는 순환 공기 모듈이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가열 가스 도관이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부터 제거된 복수의 가스 스트림을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면 유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부터의 배기 공기 스트림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 총 스트림으로서 결합 가능하고 재가열 가능하며, 최종적으로 공기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 재공급될 수 있다.
가열 가스 도관이 주 접합부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주 접합부에 의해 처리 설비의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에 대한 제1 순환 공기 모듈 또는 제1 내지 제n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제1 처리 챔버 섹션 또는 제1 내지 제n 처리 챔버 섹션의 배기가스 스트림은 모든 추가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의 이미 결합된 배기가스 스트림과 결합 가능하다.
주 브랜치 및/또는 주 접합부의 사용은 특히 주 공급 라인 및/또는 주 배출 라인을 통해 하나의 단일의 유동 방향으로 전체의 가열 가스 스트림을 안내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 특히 가열 가스 라인의 주 공급 라인 및/또는 주 배출 라인의 채널 단면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각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각 처리 챔버 섹션이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 공급될 가열 가스 스트림의 체적 유량 및/또는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부터 제거된 가스 스트림의 체적 유량이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 가능하게 하는 입구 밸브 및/또는 출구 밸브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서 안내되는 순환 공기 스트림의 공급 공기 스트림 및/또는 배기 공기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 가능하다.
처리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이 제어 장치에 의해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 공급될 가열 가스 스트림의 체적 유량 및/또는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부터 제거된 가스 스트림의 체적 유량이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에 의해, 많은 가열 가스가 각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 내에서 안내되는 순환 공기 스트림의 원하는 온도가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체적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 항상 공급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기술된 기능들이 실행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기술된 파라미터들이 유지되는, 특히 적어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 설비가 가열 가스 도관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적어도 대략 일정한 체적 유량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이로써 가열 가스 스트림을 구동시키는 가열 가스 도관의 송풍기가 예를 들어 구동 파워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되고 그리고/또는 조절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열 가스 스트림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기(또는 팬이라고도 함)는 제어 또는 조절이 발생할 수 있게 하는 주파수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 설비의 총 에너지 요구량의 변동, 특히 가열 요구량의 변동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 도관의 송풍기를 제어 및/또는 조절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특히 낮은 가열 요구량의 경우, 가열 가스 스트림의 낮은 체적 유량이 설정되었다면, 예를 들어 체적 유량이 최소로 감소되었다면, 가열 가스 스트림의 온도에 대한 원하는 값 및/또는 실제 값이 적응될 수 있다.
감소된 가열 요구량의 경우에 가열 가스 스트림의 온도가 먼저 감소되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가열 가스 스트림의 온도의 특정 바닥 임계값에 도달하면, 송풍기를 적절하게 제어 및/또는 조절함으로써 체적 유량이 감소되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처리 설비가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이 제어 장치에 의해 가열 가스 도관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적어도 대략 일정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로써,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교환기를 지나 안내되는 바이패스 체적 유량이 영향을 받도록, 특히 구체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체적 유량에 대한,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교환기를 통해 안내되는 체적 유량의 비율은 가열 가스 도관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원하는 온도를 달성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가스 도관이 모든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을 우회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개별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의 바람직하지 않은 공급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 가스 스트림의 예비량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가열 가스 도관의 주 공급 라인에서의 가열 가스의 잉여량은 바이패스 라인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주 공급 라인은 이송 방향에 대해, 그 하류 단부 및/또는 그 후방 단부에서 바이패스 라인 내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라인은 이송 방향에 대해, 주 배출 라인의 상류 단부 및/또는 그 후방 단부에서 주 배출 라인 내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순환 공기 모듈에 가열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열 가스 도관의 복수의, 특히 모든 브랜치 및/또는 분기부의 상류에 바이패스 라인이 배치된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바이패스 라인이 순환 공기 모듈로부터의 가스 스트림을 결합시키기 위한 가열 가스 도관의 복수의, 특히 모든 접합부의 하류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이패스 라인이 순환 공기 모듈에 가열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열 가스 도관의 복수의, 특히 모든 브랜치 및/또는 분기부의 하류에 배치된다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바이패스 라인이 순환 공기 모듈로부터의 가스 스트림을 결합하기 위한 가열 가스 도관의 복수의, 특히 모든 브랜치의 상류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이패스 라인에 의해, 뜨거운 가스는 특히 제거 섹션에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온도를 항상 응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 라인의 제거 섹션 내로, 직접 도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 라인의 공급 섹션으로부터, 이송 방향에 대해, 가열 가스 라인의 공급 섹션의 전방 단부에서 분지되어 있다.
바이패스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이송 방향에 대해, 주 배출 라인의 하류 단부 및/또는 그 전방 단부에서 가열 가스 라인의 제거 섹션 내로 개방된다.
바이패스 라인을 통해 순환 공기 도관을 지나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체적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 가스 도관의 주 공급 라인 내의 압력이 압력 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가열 가스 요구량이 그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주 공급 라인의 결정된 압력에 따라, 가열 가스 스트림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기의 이송 파워, 특히 팬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주 공급 라인의 압력이 항상 지정된 압력 범위 이상이 되는 방식으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순환 공기 도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열 공급이 바람직하게는 보장될 수 있고, 잉여를 제공하여 이를 순환 공기 도관을 지나 바이패스 라인을 통해 안내할 필요가 없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입구 밸브의 각각의 위치 및/또는 출구 값이 센서 장치에 의해 그리고/또는 적절한 피드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어, 가열 가스 스트림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기의 이송 파워, 특히 팬 속도를 제어 및/또는 조절할 때, 고려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입구 밸브 내에서 또는 입구 밸브에서 그리고/또는 출구 밸브 내에서 또는 출구 밸브에서, 특히 입구 밸브의 바로 하류에서, 순환 공기 도관 내의 가스 스트림의 각 온도가 센서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어, 가열 가스 스트림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기의 이송 파워, 특히 팬 속도를 제어 및/또는 조절할 때, 고려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열 가스 스트림을 구동하기 위한 송풍기의 이송 파워, 특히 팬 속도를 제어 및/또는 조절함으로써, 처리 설비의 특히 효율적인 그리고/또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작동이 바람직하게는 가능하다. 또한, 바이패스 라인이 없어도, 가열 가스를 갖는 순환 공기 도관의 과량 공급 또는 공급 부족이 바람직하게는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공작물이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개별 회로에서 안내되는 복수의 가스 스트림이 처리 설비의 처리 챔버의 복수의 처리 챔버 섹션을 통해 유동하는 단계;
처리 설비의 가열 설비의 가열 가스 도관 내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에 의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설비와 관련하여 설명된 개별적인 또는 복수의 특징 및/또는 장점을 갖는다.
처리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과 관련하여 기술된 개별적 또는 복수의 특징 및/또는 장점을 더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회로에서 안내되는 복수의 가스 스트림을 가열할 목적으로, 가스 스트림의 각각의 하나의 부분 스트림이 각각의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되고 가열 가스 스트림의 부분 스트림으로 대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밸브"라 함은 본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히 라인의 유량에 영향을 주는 임의의 종류의 폐쇄 요소 또는 개방 요소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밸브는 플랩일 수 있다.
순환 공기 모듈이 각각 순환 공기 도관을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한다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순환 공기 모듈이 단지 순환 공기 도관의 일 부분, 즉 순환 공기 도관 내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을 구동하도록 역할을 하는 부분이도록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후 추가의 부분은 특히 대응하는 처리 챔버 섹션이다.
각 순환 공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 및 송풍기의 바로 상류에 배치된 흡입 챔버를 포함한다.
가열 가스 도관, 특히 주 공급 라인의 가열 가스 라인으로부터의 가열 가스가 순환 공기 모듈에 공급될 수 있게 하는 공급 채널이 바람직하게는 흡입 챔버 내로 개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열 가스는 순환 공기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에 의해 가열 가스 라인으로부터 흡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 공기 모듈에 가열 가스를 분배하기 위한 주 공급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설비의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에 평행하게 그리고/또는 처리 챔버의 적어도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주 공급 라인은 그 내부가 처리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설비가 주 배출 라인을 포함하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주 배출 라인은 처리 설비의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에 평행하게 그리고/또는 처리 챔버의 적어도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주 배출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으로부터 가스 스트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주 배출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하우징의 내부의 일부를 분할하거나 또는 분리함으로써 처리 챔버를 둘러싸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각각의 하나의 순환 공기 모듈 또는 각각의 하나의 처리 챔버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가스 스트림을 제거하기 위한 분할 벽에 배치되고, 상기 분할 벽은 하우징의 내부를 처리 챔버 및 주 배출 라인으로 세분한다.
처리 설비의 일 실시예에서, 공작물, 특히 차체의 횡 방향 이송이 바람직하게는 제공된다. 차체의 차량 종 방향 축은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에 수평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배향된다.
처리 챔버 섹션을 통해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주 유동 방향이 이송된 차체의 차량 종 방향 축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다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주 유동 방향이 차량의 종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차체가 가스 스트림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주위 유동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차체가 가스 스트림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주위 유동하도록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종 방향 축이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종 방향 이송이 처리 설비에 제공되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처리 설비가 주 처리 설비 및 전처리 설비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설비 및 처리 설비 각각은 별도의 가열 가스 도관을 포함한다.
주 처리 설비뿐만 아니라 전처리 설비도 포함하는 처리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통상적인 가열 장치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2개의 상호 독자적인, 독립적인 가열 가스 도관을 포함한다.
주 처리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주 처리 설비를 가열 장치의 배기가스 배출 라인에 열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열 교환기를 포함한다.
또한, 전처리 설비는 전처리 설비를 가열 장치의 배기가스 배출 라인에 열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선한 가스를 주 처리 설비의 처리 챔버 및/또는 전처리 설비의 처리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신선한 가스 공급원이 열 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기에 의해 신선한 가스 공급원은 가열 장치의 배기가스 배출 라인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는 배기가스 배출 라인에 또는 배기가스 배출 라인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선한 가스 공급원의 열 교환기는 배기가스 배출 라인 내에서의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에 대해, 주 처리 설비의 열 교환기의 하류 또는 상류 및/또는 전처리 설비의 열 교환기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 처리 설비의 열 교환기는 바람직하게는 배기가스 배출 라인 내에서의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에 대해, 전처리 설비의 열 교환기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열 교환기가 가열 장치의 배기가스 배출 라인에 결합되어, 가열 장치로부터 제거된 배기가스가 우선 주 처리 설비의 열 교환기에 공급되거나 또는 공급될 수 있고, 이어서 전처리 설비의 열 교환기에, 그 다음에 신선한 가스 공급원의 열 교환기에 공급되거나 또는 공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전처리 설비로부터의 배기가스 및 주 처리 설비로부터의 배기가스는 바람직하게는 공동 배기가스 스트림으로서 가열 장치에 결합될 수 있고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장치의 열 교환기가 멀티 스테이지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매체는 복수의 열 전달 스테이지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전달 스테이지는 바람직하게는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매체가 열 전달 스테이지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열 교환기의 복수의 열 전달 스테이지는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매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 그리고/또는 공간적으로 연속적으로, 특히 연속적으로 병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교환기의 복수의 열 전달 스테이지가 공간적으로 연속적으로 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매체, 특히 제1 매체가 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를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열 전달 스테이지는 바람직하게는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제2 매체가 제1 매체의 관류(flow-through) 시퀀스 및/또는 제1 매체의 관류 시퀀스와 반대인 관류 시퀀스와 다른 관류 시퀀스로 열 전달 스테이지를 통해 유동하는 방식으로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열 교환기가 공동으로 열 교환기 장치를 형성하면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열 교환기는 특히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고 그리고/또는 공간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열 교환기 장치의 열 전달 섹션이다.
각각의 열 교환기 및/또는 각각의 열 전달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복수의 열 전달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열 전달 섹션, 특히 모든 열 전달 섹션의 모든 열 전달 스테이지는 바람직하게는 공간적으로 연속적으로 병렬로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매체는 직렬로 연속적으로 관류하도록 적용된다.
특히, 열 소스를 형성하는 뜨거운 가스가 모든 열 전달 섹션의 열 전달 스테이지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뜨거운 가스는 특히 가열 장치로부터의, 특히 열 배기가스 정화 장치 및/또는 복수의 가스 터빈 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이다.
열 싱크를 형성하는 다중의 매체, 특히 차가운 가스가 바람직하게는 제공되며, 이는 뜨거운 가스로부터의 열 전달에 의해 가열되어야 한다.
가열될 차가운 가스가 각각의 열 교환기 및/또는 각각의 열 전달 섹션과 관련된다면 바람직할 수 있다. 각각의 차가운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배타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별도의 열 교환기 및/또는 열 전달 섹션에 의해서만 가열될 수 있다.
차가운 가스는 예를 들어 가열 가스, 특히 원 가스, 순환 공기 등일 수 있다.
또한, 차가운 가스, 특히 추가의 차가운 가스는 신선한 공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편으로는 뜨거운 가스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가운 가스, 예를 들어 신선한 공기가, 뜨거운 가스 및 차가운 가스가 특히 복수의 열 전달 스테이지의 관류 시퀀스에 대해 역류로 열 전달 섹션을 통해 유동하는 방식으로, 열 교환기 및/또는 열 전달 섹션을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한편으로는 뜨거운 가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가운 가스가 열 교환기 및/또는 열 전달 섹션을 통해 유동할 수 있어 차가운 가스가 각각의 이전의 열 전달 스테이지에 대해 하나 이상의 보다 뜨거운 그리고 하나 이상의 보다 차가운 열 전달 스테이지를 통해 교대로 유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뜨거운 그리고 보다 차가운 열 전달 스테이지는 뜨거운 가스의 유동 경로를 따라 열 전달 스테이지의 상이한 위치로 인해 발생한다.
열 교환기 및/또는 열 교환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튜브 다발 열 교환기, 특히 조합 튜브 다발 열 교환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형성된다.
열 교환기 및/또는 열 교환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뜨거운 가스를 안내하기 위해 서로 평행하게 진행되는 복수의 중공 원통형 튜브를 포함한다. 특히 차가운 가스는 뜨거운 가스로부터 차가운 가스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튜브 둘레로 유동할 수 있다.
중공 원통형 튜브를 둘러싸는 챔버가 복수의 분할 요소에 의해 복수의 상호 분리된 열 전달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상이한 출발 온도(각각의 열 전달 영역에서 뜨거운 가스 및/또는 튜브의 온도)를 갖는 열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차가운 가스는 튜브의 종 방향 연장 방향을 따라 상이한 위치에서 튜브와 구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차가운 가스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공정, 특히 크래킹 공정 또는 다른 화학적으로 그리고/또는 열적으로 우발적인 변형을 궁극적으로 회피하기 위해, 차가운 가스의 과열이 바람직하게는 회피될 수 있다.
분할 요소는 특히 중공 원통형 튜브를 안내 및/또는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분할 플레이트이다.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분할 플레이트가 가능한 한 정확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중공 원통형 튜브 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방식으로 중공 원통형 튜브에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열 전달 영역은 특히 열 전달 스테이지를 한정하고 그리고/또는 열 전달 스테이지이다.
튜브 다발 열 교환기의 중공 원통형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상호 다른 차가운 가스용 복수의, 특히 모든 열 전달 섹션을 가로 질러 연장된다.
튜브 다발 열 교환기의 중공 원통형 튜브가 복수의, 특히 모든 열 전달 섹션의 복수의, 특히 모든 열 전달 스테이지를 가로 질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뜨거운 가스가 모든 열 전달 섹션의 모든 열 전달 스테이지를 통해 전적으로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튜브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열 전달 영역은 특히 연결 가스 도관에 의해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차가운 가스가 복수의 열 전달 영역을 통해 연속적으로 안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분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튜브의 종 방향 연장 방향을 따른 개개의 열 전달 영역 사이의 가스의 교차를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화한다.
인접한 열 전달 영역들 사이의 압력 강하가 예를 들어 팬 및/또는 송풍기를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조절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압력 제어 장치 및/또는 압력 조절기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지될 수 있다면 유리할 수 있다.
인접한 열 전달 영역들 사이의 압력 강하는 바람직하게는 응축의 위험이 보다 낮은 보다 차가운 차가운 가스가 열 전달 영역으로부터 분할 요소를 통해 응축의 위험이 보다 높은 상대적으로 보다 뜨거운 차가운 가스가 배치되는 인접한 열 전달 영역으로 유동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차가운 가스들은 특히 상호 다른 차가운 가스들이다.
응축의 위험이 보다 낮은 차가운 가스는 특히 신선한 공기 및/또는 전건조기로부터의 공기이다.
응축의 위험이 보다 높은 차가운 가스는 특히 주 건조기로부터의 공기이다.
"응축의 위험"이라는 용어는 본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각각의 현재 온도로부터 냉각될 때 가스가 부분적으로 응축되는 경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응축의 위험은 인접한 열 전달 영역으로부터의 가스와 차가운 가스의 접촉 및/또는 혼합 시 가스성 용매가 차가운 가스로부터 응축되는 위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개의 분할 요소에 의해 2개의 열 전달 영역이 서로 분리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2개의 분할 요소 사이에 갭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갭 영역에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공기, 특히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특히, 2개의 열 전달 영역들 사이의 가스의 혼합 및/또는 교차가 이로써 방지되고 그리고/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에 의해 가열 가스를 워밍하는 것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직접 가열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뜨거운 배기가스가 가스 버너 및/또는 가스 터빈, 특히 마이크로 가스 터빈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뜨거운 배기가스는 가열 가스 스트림으로서 또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구성 부분으로서 가열 가스 도관에 공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예를 들어 초기에 생성된 배기가스의 구성 성분에 대한 처리 챔버의 오염(특히 NOx 및 CO) 또는 임의의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처리 챔버의 상류에 배기가스 정화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에 대해, 직접 가열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이는 예를 들어 음극 딥-페인팅 설비(cathodic dip-painting installation)에 연결되는 전건조기에 유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특정 상황 하에서 최적화된 페인트 경화가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직접 가열을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 가스 터빈으로부터의 배기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하기 가스 스트림이 가열 가스 스트림에 공급되거나, 또는 가열 가스 스트림이 다음의 가스 스트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a) 특히 기저 부하가 커버되게 하는, 버너 장치,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가스 터빈 또는 가스 버너로부터의 배기가스;
b) 부하 변화 및/또는 부하 피크가 보상되게 하는, 보조 버너, 특히 조절 및/또는 조절 가능한 송풍기 버너, 예를 들어 소위 저NOx 버너로부터의 배기가스;
c) 특히 안전 및 냉각을 위해, 버너 장치의 하우징, 특히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가스 터빈의 하우징을 통해 안내되는 퍼지 가스, 특히 퍼지 공기. 상기 퍼지 가스는 특히 약 40 ℃ 내지 약 80 ℃의 온도를 갖는다.
이러한 가열 가스 스트림은 특히 전건조기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간접 가열은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예를 들어 음극 딥-페인팅 설비에 연결되는 주 건조기에 유익할 수 있다.
이러한 간접 가열에는, 예를 들면 열 교환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가스 도관이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에 필요하지 않았거나 또는 이들을 지나 처리 설비의 부근으로, 특히 대기로 안내되었던 특히 과량의 가열 가스를 방출하는 배기가스 송풍기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기 공기 송풍기는 바람직하게는 전건조기로부터 원하는 배기 공기 체적 유량 및/또는 배기 공기 질량 유량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직접 가열 하에 공급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체적 유량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거된 배기 공기의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량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개 이상의 체적 유량 프로브, 특히 표준 체적 유량 프로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체적 유량 프로브는 공급된 전체 가열 가스 스트림의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량을 등록하고, 그리고/또는 체적 유량 프로브는 과량의 가열 가스 스트림의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량과 처리 챔버로부터 제거된 배기 공기의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량의 합을 등록하고 그리고/또는 결정한다. 배기 공기 송풍기는 바람직하게는 공급된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량이 제거된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량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각각의 순환 공기 도관의 송풍기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인젝터 장치가 제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모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도관이 각각 하나 이상의 인젝터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인젝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가스 스트림이 처리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인젝터 노즐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젝터 노즐은 특히 인젝터 원리에 따라 처리 챔버로의 가스 스트림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공기, 특히 과열 공기이다. 예를 들어, 가스 스트림은 가열 가스 스트림이다.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 m/s,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 m/s, 예를 들어 약 20 m/s의 유량으로 인젝터 노즐에 의해 처리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다.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40 m/s,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30 m/s, 예를 들어 약 25 m/s의 유량으로 인젝터 노즐에 의해 처리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다.
가스 스트림이 최대 약 200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150 mm, 예를 들어 약 100 mm의 빔 직경을 갖는 빔으로서 인젝터 노즐에 의해 처리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가스 스트림이 적어도 약 10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 mm, 예를 들어 약 80 mm의 빔 직경을 갖는 빔으로서 인젝터 노즐에 의해 처리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0 ℃, 예를 들어 적어도 약 250 ℃의 온도로 인젝터 노즐에 의해 처리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다.
가스 스트림이 최대 약 500 ℃,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450 ℃, 예를 들어 최대 약 400 ℃의 온도로 처리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인젝터 노즐에 의해 처리 챔버에 공급되는 가스 스트림은 특히 공작물 및/또는 처리될 공작물의 내부로 유도되거나 또는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특징 및/또는 장점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후속하는 설명 및 상세한 예시의 주제이다.
도 1은 독립적인 가열 가스 도관 및 이로부터 독립적인 신선한 가스 공급원이 제공되는 처리 설비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가열 가스 도관의 최적화된 유동 안내가 제공되는 처리 설비의 제2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신선한 가스 공급원이 가열 가스 도관 내로 개방되는 처리 설비의 제3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처리 설비의 처리 챔버의 처리 챔버 섹션을 포함하는 처리 설비의 순환 공기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처리 챔버 섹션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순환 공기 모듈의 단면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4의 순환 공기 모듈 및 처리 챔버 섹션의 하부 구조를 통한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라인(8-8)을 따른 도 4의 순환 공기 모듈 및 처리 챔버 섹션을 통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의 라인(9-9)을 따른 도 4의 순환 공기 모듈 및 처리 챔버 섹션을 통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7의 라인(10-10)을 따른 도 4의 순환 공기 모듈 및 처리 챔버 섹션을 통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전처리 설비가 제공되는 처리 설비의 제4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바이패스 라인이 제공되는 처리 설비의 제5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바이패스 라인이 제공되는 처리 설비의 제6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대안적인 신선한 공기 공급이 제공되는 처리 설비의 제7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처리될 공작물 아래에서 그리고 처리 챔버 내에서 안내되는 주 공급 라인이 제공되는 처리 설비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가열될 차가운 가스가 보다 뜨거운 그리고 보다 차가운 열 전달 스테이지로 가변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열 교환기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2개의 열 전달 섹션이 제공되는 열 교환기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열 전달 섹션에 별도의 차가운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도 18은 3개의 열 전달 섹션이 제공되는 열 교환기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1 차가운 가스가 중간 열 전달 섹션을 통해 유동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동일한 차가운 가스가 제1 및 적어도 열 전달 섹션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도 19는 3개의 상이한 차가운 가스를 위한 3개의 열 전달 섹션이 제공되는 열 교환기 장치의 제4 실시예의 도 16에 대응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2개의 열 전달 섹션이 2개의 분할 요소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열 교환기 장치의 제5 실시예의 도 16에 대응하는 개략도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2개의 분할 요소 사이의 중간 공간이 밀봉 공기로 플러싱된다(flushed).
도 21은 열 교환기 장치의 상이한 열 전달 섹션을 분리하기 위한 복수의 열 교환기 튜브 및 복수의 분할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장치의 제6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동일한 또는 기능적 요소에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100으로 전체적으로 지시되는 처리 설비의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1 실시예는 공작물(102)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처리 설비(100)는 예를 들어 공작물(102)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설비(104)이다.
공작물(102)은 예를 들면 차체(106)이다.
처리 설비(100)는 바람직하게는 이전에 도장되거나 또는 다르게 처리된 차체(106)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작물(102)은 처리 설비(100)의 처리 챔버(112)를 통해 이송 방향(110)을 따라 처리 설비(100)의 이송 장치(108)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처리 챔버(112)는 복수의, 예를 들어 적어도 4개, 특히 적어도 6개,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7개의 처리 챔버 섹션(114)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 처리 챔버 섹션(114)에 의해 형성된다.
별도의 순환 공기 모듈(116)이 각각의 처리 챔버 섹션(114)과 관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하나의 순환 공기 모듈(116)에 의해,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회로, 특히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될 수 있고 각각의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순환 공기 모듈(116) 및 각각의 경우 하나의 처리 챔버 섹션(114)은 바람직하게는 순환 공기 도관(118)을 형성한다.
각각의 순환 공기 모듈(116)은 바람직하게는 회로 내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각각의 처리 챔버 섹션(114)은 입구 밸브(122) 및 출구 밸브(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 밸브(122)에 의해, 공급 공기 스트림으로서 작용하는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으로 안내될 수 있다.
출구 밸브(124)에 의해,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일부가 바람직하게 제거될 수 있다.
입구 밸브(122) 및 출구 밸브(124)에 의해,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교환이 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상기 교환은 특히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특정 파라미터를 제어 및/또는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온도가 이로써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순환 공기 도관(118)에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이 가열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가열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열 입력은 처리될 공작물(102)을 가열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차체(106)의 형태의 공작물(102)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하나의 순환 공기 도관(118)에 공급되는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처리 설비(100)의 가열 설비(126)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가열 가스이다.
가열 설비(126)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열 배기가스 정화 장치(130)의 형태인 가열 장치(128)를 포함한다.
가열 장치(128)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배기가스 배출 라인(132)을 통해 가열 장치(128)로부터 제거 가능한 뜨거운 배기가스가 생산될 수 있다.
가열 설비(126)는 배기가스의 열을 사용하여 추가의 매체를 가열하기 위해 배기가스 배출 라인(132)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열 교환기(13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의 매체는 예를 들어, 폐쇄된 가열 가스 도관(136)에서 안내되거나 또는 안내될 수 있는 가열 가스이다.
가열 가스 도관(136)은 특히 그 내부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의 적어도 대부분이 회로 내에서 안내되거나 또는 안내될 수 있는 순환 공기 도관이다.
가열 가스 도관(136)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 라인(138) 및 가열 가스 라인(138)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를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를 포함한다.
가열 설비(126)의 열 교환기(134)에 의해, 가열 장치(128)의 배기가스 배출 라인(132)은 가열 가스 라인(138)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가스 라인(138)은 열 교환기(134)를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114)에 연결시키는 공급 섹션(1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열된 가열 가스는 가열 가스 라인(138)의 공급 섹션(140)을 통해 순환 공기 도관(118) 및 이에 따라 처리 챔버 섹션(114)으로 공급될 수 있다.
가열 가스 라인(138)은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부터 제거된 가스가 제거 가능하고 그 재가열을 위해 열 교환기(134)에 공급 가능하게 하는 제거 섹션(142)을 더 포함한다.
가열 가스 라인(138)의 공급 섹션(140)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브랜치(144) 또는 분기부(146)를 포함하여 가열 가스 총 스트림을 개개의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114)에 분배한다.
제거 섹션(142)은 바람직하게는 다중 접합부(148)를 포함하여,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부터 제거된 개개의(부분적인) 가스 스트림을 결합하고 이들을 공동 가스 스트림으로서 열 교환기(134)로 재공급할 수 있게 한다.
가열 가스 도관(136)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바이패스 라인(150)을 더 포함하고, 이 바이패스 라인에 의해 가열 가스 라인(138)의 공급 섹션(140)에 의해 순환 공기 도관(118)에 공급되는 가열 가스 총 스트림의 부분적인 가스 스트림은 모든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114)을 지나서 안내될 수 있고, 제거 섹션(142)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 라인(150)을 사용함으로써,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가열 가스 요구가 요동하는 경우에도, 이용 가능한 충분한 양의 가열 가스를 항상 갖기 위해, 잉여의 가열 가스가 순환 공기 도관(118) 이전에 바람직하게는 제공될 수 있다.
바이패스 라인(150)을 통해 순환 공기 도관(118)을 지나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체적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바이패스 밸브(152)에 의해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 가능하다.
가열 가스 도관(136)은 바이패스 라인(150)의 송풍기(120) 및/또는 입구 밸브(122) 및/또는 출구 밸브(124) 및/또는 바이패스 밸브(152)를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15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154)에 의해, 특히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의 가열 가스 스트림의 분배가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 가능하다.
또한, 전체 체적 유량 및/또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온도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154)에 의해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 가능하다.
가열 가스 도관(136)은 또한 열 교환기(134)의 영역에 바이패스 라인(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라인(150)에 의해 그리고 이 바이패스 라인(150)과 관련되는 바이패스 밸브(152)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 총 스트림의 부분 체적 유량이 열 교환기(134)를 통해 안내되거나 또는 상기 가열 가스 총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해 이를 지나 안내되도록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 가능하다. 특히, 열 교환기(134) 및 바이패스 라인(150)의 하류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118)의 상류의 가열 가스 스트림의 일정한 온도가 이로써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될 수 있다.
처리 설비(100)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 가스 라인(138), 특히 가열 가스 라인(138)의 공급 섹션(140)이 주 공급 라인(156)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 공급 라인(156)은 바람직하게는 이송 방향(110)에 평행하게 처리 챔버(112)의 외부에서 연장된다. 주 공급 라인(156)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순환 공기 도관(118)에 가열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대략 처리 챔버(1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가열 가스 라인(138), 특히 가열 가스 라인(138)의 제거 섹션(142)은 바람직하게는 주 배출 라인(158)을 포함한다.
주 배출 라인(158)은 처리 챔버(112)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 내부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주 배출 라인(158)이 이송 방향(110)에 평행하게 그리고/또는 적어도 대략 처리 챔버(1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부터 제거된 모든(부분적인) 가스 스트림은 이로써 제거될 수 있다.
모든 순환 공기 도관(118)을 우회하기 위한 바이패스 라인(150)은 이송 방향(110)에 대해 주 공급 라인(156) 및/또는 주 배출 라인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 설비(100)는 신선한 가스를 처리 챔버(112)에 공급하기 위한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을 더 포함한다.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은 신선한 가스 라인(162)에서 신선한 가스 스트림을 구동하기 위한 신선한 가스 라인(162) 및 송풍기(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은 가열 장치(128)의 신선한 가스 라인(162)과 배기가스 배출 라인(132)이 서로 열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열 교환기(13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을 통해 공급된 신선한 가스는 이로써 처리 챔버(112)에 공급되기 전에 가열될 수 있다.
신선한 가스 라인(162)은 바람직하게는 공작물(102)이 처리 챔버(112) 내로 도입되는 유입 섹션(164)의 영역에서 그리고/또는 공작물(102)이 처리 챔버(112)로부터 제거되는 유출 섹션(166)의 영역에서 처리 챔버(112) 내로 개방된다.
특히, 유입 섹션(164)의 영역 내의 입구 에어록(168) 및/또는 유출 섹션(166)의 영역 내의 출구 에어록(170)이 이로써 제공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중간 에어록이 제공될 수 있다.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을 통해 공급된 신선한 가스는 특히 에어록 가스로서 작용하며, 이에 의해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된 가스가 유입 섹션(164) 및/또는 유출 섹션(166)을 통해 처리 설비(100)의 부근으로 바깥쪽으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신선한 가스 스트림의 체적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유입 섹션(164) 및/또는 유출 섹션(166)에서 시작하여, 이송 방향(110)을 따라 또는 이에 대항하여 그리고 이에 따라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에 대해 횡 방향으로 유동하는 횡 방향 스트림이 발생하도록 선택된다. 이는 특히 처리 챔버(112)의 중간을 향해 증가하는 오염물 및/또는 다른 물질, 예를 들어 용매 증기 등으로 처리 챔버(112)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로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처리 설비(100)의 배기가스 배출구(172)의 상류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이송 방향(1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중간에서 처리 챔버(112) 상에 제공된다.
특히, 배기가스 스트림은 배기가스 배출구(172)를 통해 처리 챔버(112)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가열 장치(128)에 직접 공급 가능하다.
특히, 처리 챔버(112)로부터 제거된 배기가스가 용매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배기가스에 포함되고 그리고/또는 연소 시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가열 장치(128)에 의해 배기가스의 정화가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처리 설비(100)는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공작물(102)을 가열 및/또는 건조시키기 위해, 이들은 이송 장치(108)에 의해 입구 에어록(168)을 통해 처리 챔버(112) 내로 이송된다. 처리 챔버(112)에서는, 공작물(102)이 연속적으로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과한다.
회로 내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은 개별적인, 복수의 또는 모든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유동하고, 이 가스 스트림은 공작물(102)의 온도에 대해 증가된 온도를 가지므로, 공작물(102)은 그 주위에서 또는 거기에서 유동하는 가스 스트림으로 인해 가열되거나 또는 특정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처음에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작물(102)은 특히 이송 방향(110)에 대해 제1 처리 챔버 섹션(114)에서 최대량의 열을 수용하여, 이 제1 처리 챔버 섹션(114)의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118)이 가장 큰 가열 출력을 산출해야 한다. 후속 처리 챔버 섹션(114)은 연속적으로 더 낮은 가열 출력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설비(126)로부터의 가열 가스가 각각의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각각의 처리 챔버 섹션(114)에 공급되므로 각각의 가열 출력이 산출된다.
상기 가열 가스는 순환 공기 도관(118) 및 이에 따라 또한 공작물(102)에서 안내되는 전체 가스 스트림을 궁극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에 비해 증가된 온도를 갖는다.
가열 장치(128)로부터의 뜨거운 배기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열 교환기(134)에 의해 가열되므로 가열 가스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로써 가열 가스가 적어도 약 20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50 ℃, 예를 들어 약 270 ℃의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하나의 순환 공기 도관(118)에 공급되는 가열 가스 체적 유량을 보상하기 위해,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대응하는 부분 가스 체적 유량이 바람직하게는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부터 제거된다.
모든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부터의 상기 제거된 가스 스트림은 결합되어 재워밍을 위해 그리고 그에 따라 가열된 가열 가스를 제공하기 위해 열 교환기(134)에 공급된다.
특히, 공작물(102)이 건조 시 건강 관련 물질을 방출하는 경우, 이의 과도하게 높은 농도 및 주변으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방출을 피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신선한 가스가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을 통해 처리 챔버(112)로 공급되고, 건강 관련 물질이 로딩된 가스는 배기가스 배출구(172)를 통해 제거된다.
제거된 배기가스는 그 후 가열 장치(128)에서, 특히 내부에 함유된 물질을 연소시킴으로써 정화된다.
가열 장치(128)로부터의 배기가스는 그 후 배기가스 배출 라인(132)을 통해 제거된다.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된 열은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 및/또는 가열 가스 도관(136)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를 통해 공급된 신선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된다.
처리 설비(100)의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가열 가스 라인(138)이 주 브랜치(180) 및/또는 주 접합부(18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주 브랜치(180)는 특히 주 공급 라인(156)에 이미 공급될 때, 가열된 가열 가스 총 스트림을 이송 방향(110)에 대해 일 측에서는 제1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 그리고 다른 측에서는 나머지 모든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 분배하도록 역할을 한다. 그 결과, 특히 주 공급 라인(156)의 유동 단면이 최소화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모든 순환 공기 도관(118)에 대한 전체 가열 가스 스트림이 주 공급 라인(156)을 통해 예를 들어 이송 방향(110)을 따라 안내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송 방향(110)에 대한, 제1 순환 공기 도관(118)에 대한 가열 가스 부분 체적 유량 - 상기 제1 순환 공기 도관(118)은 다른 순환 공기 도관(118)과 비교하여 가장 큰 열 출력을 산출해야 함 - 이 분지되어 이송 방향(110)에 대해 상기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 공급된다.
주 접합부(182)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다른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부터 제거된 부분적인 가스 스트림과, 이송 방향(110)에 대해, 제1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부터 제거된 부분적인 가스 스트림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주 공급 라인(158)의 라인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최소화될 수 있다.
다른 모든 점에서, 처리 설비(100)의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대응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처리 설비(100)의 도 3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이 가열 가스 도관(136) 내로 직접 개방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처리 챔버(112)에 공급되는 신선한 가스는 처리 설비(100)의 도 3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이에 따라 순환 공기 도관(118)에 공급될 수 있고, 따라서 가열 가스 라인(138)을 통해 각각의 처리 챔버 섹션(114), 특히 가열 가스 라인(138)의 공급 섹션(140)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 공기는 바람직하게는 입구 에어록(168) 및 출구 에어록(170)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각각의 인접한 처리 챔버 섹션(114)의 별도의 순환 공기 모듈(116) 또는 순환 공기 모듈(116)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입구 에어록(168) 및 출구 에어록(170)과 관련된다.
다른 모든 면에서, 도 3에 도시되는 제3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대응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설명된 모든 실시예에서, 추가의, 특히 컨디셔닝된 또는 비-컨디셔닝된 신선한 공기 또는 다른 신선한 가스가 유입 섹션(164) 및/또는 유출 섹션(166)에 공급되도록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처리 챔버(112)로부터의 바람직하지 않은 가스 유출이 바람직하게는 방지된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컨디셔닝된 또는 비-컨디셔닝된 신선한 공기 또는 다른 신선한 가스가 특히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교환기(134)의 바로 상류 및/또는 가열 가스 도관(136) 내의 가열 가스 스트림을 구동시키기 위한 송풍기(120)의 바로 상류의 가열 가스 스트림에 공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신선한 가스 도관(160)이 이로써 최소로 감소되거나 또는 완전히 회피될 수 있다. 특히, 유입 섹션(164) 및/또는 유출 섹션(166)에 신선한 공기 또는 다른 신선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채널, 라인 및/또는 절연체가 절약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순환 공기 도관(118)의 일 실시예는 도 1, 도 2, 도 3 또는 도 11에 따른 처리 설비(100)의 순환 공기 도관(118)의 예이다.
따라서, 순환 공기 도관(118)의 순환 공기 모듈(116)은 순환 공기 도관(118)의 처리 챔버 섹션(114)과 관련되어, 순환 공기 회로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이 상기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특히 도 4, 도 6 및 도 8 내지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114)에 의해 형성된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118)에 가열 가스를 공급할 수 있기 위해, 순환 공기 모듈(116)은 처리 설비(100)의 주 공급 라인(156)에 결합된다.
순환 공기 모듈(116)은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가스 스트림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를 포함한다.
순환 공기 도관(118)은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 압력 챔버(190), 처리 챔버 섹션(114), 복귀 라인(192) 및/또는 흡입 챔버(19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챔버(190)는 특히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의 바로 하류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처리 챔버 섹션(114)에 공급되는 가스 스트림을 균질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스 스트림을 처리 챔버 섹션(114)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 개구(196)에 가스 스트림을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 개구(196)를 통해 처리 챔버 섹션(114) 내로 도입된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복귀 개구(198)를 통해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복귀 라인(192)을 통해 흡입 챔버(194)에 공급될 수 있다.
공급 개구(196)를 통해 처리 챔버 섹션(114)에 공급되는 가스 스트림의 다른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부터 그리고 처리 챔버 섹션(114)으로부터 배출 개구(200)를 통해 제거될 수 있고 주 배출 라인(158)에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급 개구(196), 복귀 개구(198) 및/또는 배출 개구(200)는 바람직하게는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적어도 대부분이 공작물(102)의 측면 상에 공급되거나 또는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공작물의 다른 측면 상의 처리 챔버 섹션(11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제거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처리 챔버 섹션(114)의 최적화된 관류 및 공작물(102)의 최적화된 가열이 발생한다.
특히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처리 챔버(114)의 측벽에 배치된 공급 개구(196)에 추가하여 추가의 공급 개구(196)가 제공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추가의 공급 개구(196)는 처리 챔버 섹션(114)을 바닥으로 한정하는 베이스(202) 내에 배치된다. 공작물(102)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의 공급 개구(196)에 의해 아래로부터 유동될 수 있다. 특히 도 4,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202)에 배치된 공급 개구(196)로의 가스 스트림의 공급은 베이스(202) 아래에서 또는 베이스(202) 내에서 진행하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채널(204)을 통해 압력 챔버(190)로부터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가스 스트림을 추가의 공급 개구(196)에 공급하기 위해 2개의 이러한 베이스 채널(204)이 제공된다.
상기 2개의 베이스 채널(204)은 바람직하게는 복귀 라인(192)의 양 측에 배치된다(특히 도 7 참조).
흡입 챔버(194)는 바람직하게는 흡입 챔버(194)에 위치한 가스가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의 바로 상류에 배치된다.
복귀 라인(192)은 흡입 챔버(194) 내로 개방된다. 흡입 챔버(194)가 하류에 배치된 복귀 라인(192)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주 공급 라인(156)으로부터 순환 공기 도관(118) 내로의 가열 가스의 공급은 바람직하게는 흡입 챔버(194)를 통해 발생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주 공급 라인(156)을 흡입 챔버(194)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공급 채널(206)이 제공된다.
밸브, 특히 입구 밸브(122)는 바람직하게는 공급 채널(206) 또는 그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 배치된다(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되지 않음). 순환 공기 도관(118)에 공급되는 가열 가스의 양(체적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밸브에 의해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 가능하다.
여기서 공급 채널(206)은 바람직하게는 흡입 챔버(194) 내로 개방되고, 주 공급 라인(156)으로부터의 가열 가스는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에 의해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으로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에 혼합될 수 있다. 이어서 압력 챔버(190)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를 통해 유동시킴으로써, 공급된 가열 가스 및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잔류 가스 스트림의 균일한 혼합이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장된다.
따라서, 처리 챔버 섹션(114)에 공급되는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의 혼합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온도를 갖는 균질한 가스 스트림이다.
처리 설비(100)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118)의 (도시되지 않은) 추가 실시예에서, 추가의 공급 개구(196)에 의해 나머지 영역보다 처리 챔버 섹션(114) 및/또는 공작물(102)의 개별 영역을 궁극적으로 더욱 강하게 가열하기 위해, 주 공급 라인(156)으로부터의 가열 가스가 베이스 채널(204) 내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 배출 라인(158)은 처리 챔버 섹션(114)을 둘러싸는 하우징(208) 내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08)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행 육면체로 구성된다. 주 배출 라인(158)은 예를 들어 하우징(208)의 평행 육면체 내부의 일부를 분할함으로써 형성된다. 특히, 이로써 주 공급 라인(158)을 생성하기 위해 하우징(208) 내부의 상부 코너 영역이 처리 챔버 섹션으로부터 분할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주 공급 라인(156)은 하우징(208)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또한, 주 공급 라인(156)이 또한 하우징(208)의 내부 영역을 분할함으로써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순환 공기 모듈(116) 및 순환 공기 도관(118)은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구현한다: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송풍기(120)에 의해 우선 압력 챔버(190)로 구동되어 공급된다.
가스 스트림은 선택적으로 밸브가 제공될 수 있는 공급 개구(196)를 통해 처리 챔버 섹션(114) 내로 도입된다.
상기 처리 챔버 섹션(114) 내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102)이 배치되고, 이 적어도 하나의 공작물은 그 주위로 유동하는 가스 스트림에 의해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열을 받아 이로써 가열된다. 특히, 공작물(102)은 이로써 건조된다.
처리 챔버(114)를 통해 안내된 가스는 하나 이상의 복귀 개구(198) 및 복귀 라인(192)을 통해 제거되고 흡입 챔버(194)에 공급된다. 흡입 챔버(194)에 위치되는 가스는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에 의해 최종적으로 다시 그로부터 인출되어,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안내되는 가스에 대한 회로가 형성된다.
처리 설비(100)의 작동에서, 특히 공작물(102)로의 열 전달 때문에, 회로에서 안내되는 가스는 냉각된다.
따라서 열은 지속적으로 또는 정기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는 가열 설비(126)로부터의 가열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발생하고, 상기 가열 가스는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에 비해 가열된다.
상기 가열 가스는 주 공급 라인(156)을 통해 제공되고, 필요에 따라, 공급 채널(206)을 통해 분지되어 흡입 챔버(194)로 공급된다. 특히, 가열 가스는 필요에 따라 공급 채널(206)과 흡입 챔버(194)의 연결을 통해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에 의해 주 공급 라인(156)으로부터 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일부는 특히 밸브,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출구 밸브(124)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 개구(200)를 통해 순환 공기 도관(118)으로부터 제거된다. 특히,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전체 체적 유량은 가열 가스의 공급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거된 가스는 주 배출 라인(158)을 통해 제거된다.
처리 설비(100)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11 중 하나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114) 중 복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순환 공기 도관(118)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은 이송 방향(110)에 수직으로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유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118) 사이의 횡 방향 유동은 바람직하게는 최소이다.
이송 방향(110)에 평행한 성분을 갖는 횡 방향 유동은 바람직하게는 단순히 처리 챔버(112)에 공급된 신선한 가스로 인해 그리고/또는 처리 챔버(112)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제거로 인해 발생한다(특히 도 1 및 도 2 참조).
처리 설비(100) 및/또는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118)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114)의 기술된 실시예는 공작물(102), 특히 차체(106)가 처리 챔버(112)를 통해 이송 방향(110)에 횡 방향으로, 특히 수직으로 이송되는 특히 소위 횡 방향 안내 방식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차량의 종 방향 축은 이로써 이송 방향(110)에 대해 수평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그러나, 기술된 실시예는 또한 차량 종 방향이 이송 방향(110)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공작물(102)의 소위 종 방향 이송에 사용될 수 있다.
처리 설비(100)의 도 11에 도시된 제4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처리 설비(100)가 주 처리 설비(220) 및 전처리 설비(22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주 처리 설비(220)는 예를 들어 주 건조기(224)이다. 전처리 설비(222)는 예를 들어 전건조기(226)이다.
주 처리 설비(220)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처리 설비의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처리 설비(222)는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 특히 제1 실시예에 따른 처리 설비(100)에 대한 선택적인 추가물이다.
전처리 설비는 실질적으로 또한 기술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특히 제1 실시예에 따른 처리 설비(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처리 설비(222)가 주 처리 설비(220)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 설비(222)가 주 처리 설비(220)보다 작은 처리 챔버(112)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더 적은 처리 챔버 섹션(114)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 장치(222)가 단지 3개 또는 4개의 처리 챔버 섹션(114)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전처리 설비(222)는 바람직하게는 주 처리 설비(220)의 가열 가스 도관(136)과 상이한 그리고/또는 독립적인 가열 가스 도관(136)을 포함한다.
가열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주 처리 설비(220)의 가열 가스 도관(136)과 독립적으로, 전처리 설비(222)의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114)에 공급될 수 있다.
전처리 설비(222)의 가열 가스 도관(136)은 별도의 열 교환기(134)에 의해 가열 장치(128)의 배기가스 배출 라인(132)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처리 설비(222)를 가열 장치(128)의 배기가스 배출 라인(132)에 열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열 교환기(134)는 배기가스 배출 라인(132) 내의 가열 장치(128)의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에 대해, 주 처리 설비(220)를 가열 장치(128)의 배기가스 배출 라인(132)에 열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열 교환기(134)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처리 설비(222)의 열 교환기(134)는 주 처리 설비(220)의 열 교환기(134)의 하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을 가열 장치(128)의 배기가스 배출 라인(132)에 결합하기 위한 열 교환기(134)는 바람직하게는 주 처리 설비(220)의 열 교환기(134)의 하류에 그리고/또는 전처리 설비(222)의 열 교환기(134)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장치(128)의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열의 사용은 이로써 주로 낮은 신선한 가스 온도(신선한 공기 온도)로 인해 최적화될 수 있다.
전체 처리 설비(100)는 하나의 단일의 가열 장치(12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열은 주 처리 설비(220)의 가열 가스 도관(136)에 대해 그리고 전처리 설비(222)의 가열 가스 도관(136)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처리 설비(100)는 주 처리 설비(220)의 처리 챔버(112) 및 전처리 설비(222)의 처리 챔버(112)에 신선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유되는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안적으로, 처리 설비(100)가 2개의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을 포함하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은 주 처리 설비(220)와 관련되고, 다른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은 전처리 설비(222)(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관련된다.
전처리 설비(222)로부터의 배기가스는 전처리 설비(222)의 배기가스 배출구(172)에 의해 주 처리 설비(220)의 배기가스 배출구(172)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처리 설비(222)로부터의 배기가스는 주 처리 설비(220)로부터 공통 가열 장치(128)로의 배기가스와 함께 공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될 공작물(102)은 바람직하게는 우선 전처리 설비(222)의 처리 챔버(112)를 통해 이어서 주 처리 설비(220)의 처리 챔버(112)를 통해 이송 장치(108), 특히 하나의 단일의 이송 장치(108)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도 11에서, 전처리 설비(222) 및 주 처리 설비(220)는 서로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단지 기능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또한 전처리 설비(222) 및 주 처리 설비(220)가 바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간 에어록으로서 구성된 에어록이 그렇지 않으면 바로 인접하는 처리 챔버(112)를 서로 유체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간 에어록은 처리 설비(222)의 출구 에어록(170) 및 주 처리 설비(220)의 입구 에어록(168) 둘 모두를 형성한다.
여기서, 전처리 설비(222)가 주 처리 설비(220)에 추가하여 제공되고 별도의 가열 가스 도관(136)을 포함하며, 특히 공작물(102)로부터의 상당한 증발의 경우 또는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다른 현저한 오염의 경우에, 처리 설비(100)에 완전히 속하는 처리 챔버(112)의 간단하고 효율적인 세분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모든 측면에서, 개별적으로 각각 취해진 처리 설비(100), 특히 주 처리 설비(220) 및 전처리 설비(22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대응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처리 설비(100)의 도 12에 도시된 제5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가열 가스 라인(138)의 공급 섹션(140)을 통해 순환 공기 도관(118)에 공급되는 가열 가스 총 스트림의 부분적인 가스 스트림이 모든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처리 챔버 섹션(114)을 지나 안내될 수 있고 제거 섹션(142)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게 하는 가열 가스 도관(136)이 추가의 바이패스 라인(15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추가의 바이패스 라인(150)은 특히 주 공급 라인(156)의 상류, 특히 모든 브랜치(144) 및/또는 분기부(146)의 상류에서, 가열 가스 라인(138)의 공급 섹션(140)으로부터 분지된다.
추가의 바이패스 라인(150)은 이송 장치(108)의 이송 방향(110)에 대해, 즉 바람직하게는 처리 설비(100)의 유입 섹션(164)의 영역에서 주 공급 라인(156) 및/또는 주 배출 라인(158)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라인(150)을 통해 순환 공기 도관(118)을 지나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의 체적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바이패스 밸브(152)에 의해 제어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조절 가능하다.
추가의 바이패스 라인(150)은 특히 주 배출 라인(158)의 하류, 예를 들어 모든 접합부(148)의 하류에서, 제거 섹션(142) 내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가의 바이패스 라인(150)을 사용함으로써, 공급 섹션(140)으로부터의 부분 가스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주 공급 라인(156) 및 주 배출 라인(158)을 우회함으로써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순환 공기 도관(118)을 지나 안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뜨거운 가스는 제거 섹션(142)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도록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해 제거 섹션(142) 내로 직접 도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 스트림은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응축의 형성을 방지하는 온도로 가열된다.
제어 장치(154)에 의해, 바이패스 라인(150)의 바이패스 밸브(152) 및 이에 따라 제거 섹션(142)으로의 뜨거운 가스의 공급은 바람직하게는 제거 섹션(142)에서 안내되는 가스 스트림의 실제 온도가 항상 응축 온도보다 높게 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특히 규정된 최소한의 원하는 온도 값을 기초로 한 조절이 제공된다.
모든 다른 면에서, 처리 설비(100)의 도 12에 도시된 제5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대응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처리 설비(100)의 도 13에 도시된 제6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 대응하여 추가의 바이패스 라인(150)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따라서, 처리 설비(100)의 제6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기본 구성 및 기본 기능에 대해 대응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추가의 바이패스 라인(150)과 관련하여, 처리 설비(100)의 제6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 대응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추가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개별 또는 복수의 바이패스 라인(150)은 필요에 따라 보충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설비(100)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 따라, 필요에 따라 추가의 바이패스 라인(15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처리 설비(100)의 도 14에 도시된 제7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신선한 가스 라인(162)이 다른 체적 유량 및/또는 질량 유량의 신선한 가스가 선택적으로 에어록 가스로서 또는 가열 가스 스트림에 추가하여 공급되는 신선한 가스로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분기부(146)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3에 도시된 제6 실시예와 상이하다.
그로 인해, 신선한 가스 라인(162)은 일 측에서 입구 에어록(168) 및 출구 에어록(170) 내로 개방되고, 다른 측에서는 가열 가스 도관(136) 내로, 예를 들어 가열 가스 도관(136)의 제거 섹션(142) 내로 개방된다.
일정한 신선한 가스 스트림이, 이러한 신선한 가스 공급원(160)에 의해, 에어록 가스로서 사용되어 이로써 처리 챔버(112)에 공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처리 챔버(112)에서 변화하는 파라미터들에 의존하는 공급된 신선한 가스의 가변량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스 도관(136) 내의 가열 가스 스트림에 공급된다. 특히, 가열 가스 도관(136)의 송풍기(120) 및/또는 열 교환기(134)의 상류의 공급원은 이로써 처리 챔버(112)에 공급되기 전에, 신선한 가스와 혼합된 가열 가스 스트림을 컨디셔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
모든 다른 면에서, 처리 설비(100)의 도 14에 도시된 제7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제6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대응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처리 설비(100)의 도 15에 도시된 제8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실질적으로 가열 가스 도관(136)의 주 공급 라인(156)이 처리 챔버(112) 내에서 진행한다는 점에서,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따라서, 주 공급 라인(156)은 특히 처리될 공작물(102) 아래에서 연장된다.
주 공급 라인(156)은 특히 예를 들어 편평한 직사각형 채널로서 구성되고 처리 챔버(112)의 베이스(202)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상술한 주 공급 라인(156)의 단열을 가능하게 한다.
간단한 혼합 플랩은 주 공급 라인(156)과 각 하나의 순환 공기 모듈(116)의 복귀 라인(192) 사이에 입구 밸브(122)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공급 채널(206)이 또한 소모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주 공급 라인(156)은 이송 장치(108)의 2개의 재료 취급 스트랜드 사이에 배치된다.
주 공급 라인(156)은 예를 들어 처리 챔버(112) 내에서 공작물(102)을 가열하기 위한 복사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
주 공급 라인(156)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의 유동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이송 장치(108)의 이송 방향(110)에 대응한다.
모든 다른 면에서, 처리 설비(100)의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대응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6 내지 도 21에는, 열 교환기 장치(300)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이전에 기술된 열 교환기들(134)의 개별 또는 복수를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교체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열 교환기(134) 중 복수가 후술되는 열 교환기 장치(300) 중 하나에 의해 공동으로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16에 도시된 제1 실시예는 가열될 차가운 가스가 연속적으로 안내될 수 있는 복수의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포함한다.
또한, 열-방출 뜨거운 가스가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뜨거운 가스는 예를 들어 4개의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선형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어 복수의 중공 원통형 튜브(304)를 통해 유동한다.
따라서, 열 전달 스테이지(302)는 예를 들어 제1 열 전달 스테이지(302a), 제2 열 전달 스테이지(302b), 제3 열 전달 스테이지(302c) 및 제4 열 전달 스테이지(302d)이다.
차가운 가스는 중공 원통형 튜브(304)를 둘러싸는 챔버(306)를 통해 유동한다.
중공 원통형 튜브(304)를 둘러싸는 챔버(306)는 복수의 분할 요소(308)에 의해 세분되어, 서로 분할된 열 전달 스테이지(302)가 발생한다.
분할 요소(308)는 특히 중공 원통형 튜브(304)의 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열-방출 뜨거운 가스 및 열 흡수 차가운 가스는 한편으로는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특히 교차-유동으로 유동한다.
열 전달 스테이지(302)는 예를 들어 특히 중공 원통형 튜브(304)를 따른 분할 요소(308)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좁은 제1 열 전달 스테이지(302a)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3개의 더 크거나 또는 더 넓은 열 교환기 스테이지(302b, 302c, 302d)가 연결된다.
중공 원통형 튜브(304)를 둘러싸고 분할 요소(308)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열 전달 스테이지(302), 특히 열 전달 스테이지(302)의 챔버(306)는, 예를 들어 차가운 가스가 특정 시퀀스로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스 도관(310)에 의해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1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차가운 가스가 우선 제1 열 전달 스테이지(302a)를 통해 유동하고 그 후 제4 열 전달 스테이지(302d)를 통해, 그 후 제3 열 전달 스테이지(302c)를 통해,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2 열 전달 스테이지(302b)를 통해 연속적으로 안내되도록 제공된다.
뜨거운 가스가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오름 시퀀스로 유동하기 때문에, 온도는 열 전달 스테이지(302)에서, 제1 열 전달 스테이지(302a)로부터 시작하여 제4 열 전달 스테이지(302d)로 감소한다. 따라서 차가운 가스는 우선 가장 뜨거운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유동하고 그 후 나머지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연속적으로 온도 레벨이 증가하여 유동한다.
열 교환기 장치(300)의 적절한 설계에 의해, 가열될 차가운 가스의 바람직하지 않은 과열이 특히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차가운 가스의 개별 구성 성분의 물성 변형의 위험이 감소되거나 또는 완전히 회피될 수 있다.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17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열 교환기 장치(300)가 2개의 별도의 열 전달 섹션(312)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따라서, 가열될 상이한 차가운 가스가 각 열 전달 섹션(312)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전달 섹션(312)이 뜨거운 가스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류에 제공된다. 그로부터 하류에는, 예를 들어 신선한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전달 섹션(312)이 제공된다.
열 전달 섹션(312)은 그 자체로 각각 3개의 열 전달 스테이지(302)로 세분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열 가스는, 가열 가스가 제1 열 전달 스테이지(302a), 그 후 제3 열 전달 스테이지(302c) 및 마지막으로 제2 열 전달 스테이지(302b)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방식으로,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전달 섹션(312)을 통해 유동한다.
그러나, 뜨거운 가스 및 차가운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신선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해 열 전달 섹션(312)의 열 전달 스테이지(302), 즉 연속적으로 제1 열 전달 스테이지(302a), 그 후 제2 열 전달 스테이지(302b) 및 마지막으로 제3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동일한 시퀀스로 유동한다.
따라서,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17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특히 2개의 상이한 차가운 가스가 하나의 단일의 뜨거운 가스를 사용하여 가열될 수 있게 하는 콤보 열 교환기이다.
도 17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 교환기 장치(300)가 예를 들어 뜨거운 가스가 하나 이상의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지나 안내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라인(150)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차가운 가스 스트림이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라인(150)에 의해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지나 안내될 수 있도록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바이패스 체적 스트림을 제어하기 위해 바이패스 밸브(152)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모든 면에서,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17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대응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18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차가운 가스, 특히 신선한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2개의 열 전달 섹션(312)이 제공되고, 이 2개의 열 전달 섹션(312) 사이에는 다른 차가운 가스, 특히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전달 섹션(312)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1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따라서, 추가의 열 전달 섹션(312)의 양 측에 배치되는 2개의 열 전달 섹션(312)은 차가운 가스, 특히 신선한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함께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열 전달 스테이지(302a)는 예를 들어, 뜨거운 가스 스트림에 대해,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전체 열 전달 섹션(312)의 상류에 배치되고, 신선한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2개의 추가의 열 전달 스테이지(302b, 302c)는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전달 섹션(312)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뜨거운 가스 스트림이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기 전에 우선 신선한 가스 스트림으로 냉각된다는 점에서, 가열 가스 스트림의 과열이 도 18에 따른 설계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다른 모든 면에서,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18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도 1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대응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19에 도시된 제4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3개의 상이한 차가운 가스에 대한 3개의 열 전달 섹션(312)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1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각각의 열 전달 섹션(312)은 2개의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뜨거운 가스의 유동 방향에 관련해서는, 주 건조기에 대한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전달 섹션(312), 전건조기에 대한 가열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전달 섹션(312), 및 마지막으로 신선한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기 위한 열 전달 섹션(312)이 연속적으로 계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공 원통형 튜브(304)를 둘러싸는 전체 챔버(306) 내의 전체 열 교환기 장치(300) 내의 압력 강하는 바람직하게는 열 전달 스테이지(302)로부터 인접하는 열 전달 스테이지로 분할 요소(308)를 통해 유동하는 가능한 누설 스트림이 바람직하지 않은 응축을 일으키지 않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중간 열 전달 섹션(312)에서 안내되는 차가운 가스, 특히 전건조기에 대한 가열 가스 스트림이 인접한 열 전달 섹션(312)으로 유입되고 그 반대가 되지 않도록, 중간 열 전달 섹션(312) 내의 압력이 인접한 열 전달 섹션(312)에서보다 더 높게 선택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응축 위험이 높은 뜨거운 가스가 열 교환기 장치(300)의 더 차가운 영역(열 전달 스테이지(302))에 유입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른 모든 면에서,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19에 도시된 제4 실시예는 도 1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대응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20에 도시된 제5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2개의 분할 요소(308)가 2개의 인접하는 열 전달 섹션(3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9에 도시된 제4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후 2개의 분할 요소(308) 사이의 갭 영역(314)은 예를 들어 밀봉 가스, 예를 들어 밀봉 공기, 특히 신선한 가스로 플러싱될(flushable)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접하는 열 전달 섹션(312) 사이의 원하지 않는 가스 교환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다른 모든 면에서,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20에 도시된 제5 실시예는 도 19에 도시된 제4 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대응되므로, 그 점에 대해서는 선행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열 교환기 장치(3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단지 예로서, 상기 도면은 분할 요소(308)뿐만 아니라 중공 원통형 튜브(304)도 포함한다.
따라서, 분할 요소(308)는 중공 원통형 튜브(304)를 위한 통로(316) 및/또는 수용부(318)를 구비한다. 특히, 분할 요소(308)는 중공 원통형 튜브(304)의 다발 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분할 요소(308)는 특히 플레이트 형상 및 평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열 교환기 장치(300)의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는 특히 튜브 다발 열 교환기(320)이며, 설명된 모든 열 교환기(134) 및/또는 열 교환기 장치(300)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100)에 있어서,
    - 상기 처리 설비(100)의 복수의 개별적인 순환 공기 모듈(116) 중 하나와 각각 관련되는 복수의 처리 챔버 섹션을 포함하는 처리 챔버;
    - 가열 가스 도관(136)을 포함하는 가열 설비(126)
    를 포함하고,
    복수의 순환 공기 모듈(116)은 특히 상기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안내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가열 가스 도관(136)에 결합되는, 처리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설비(126)는 가열 장치(128)와, 상기 가열 장치(128)에서 생성된 열이 상기 가열 가스 도관(136)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에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열 교환기(134)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기(134)는 멀티 스테이지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134)의 복수의 열 전달 스테이지(302)는 예를 들어 열을 방출하는 연소 장치로부터의 배기 가스와 같은 뜨거운 가스가 일 방향으로 상기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일 방향으로 공간적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연소 장치로부터의 배기 가스와 같은 뜨거운 가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가열될 가열 가스와 같은 차가운 가스는, 상기 차가운 가스가 상기 각각의 선행하는 열 전달 스테이지(302)에 대해 하나 이상의 보다 뜨거운 그리고 하나 이상의 보다 차가운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교대로 유동하는 방식으로 열 교환기(134) 및/또는 열 교환기(134)의 열 전달 섹션(312)을 통해 유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설비(100)의 복수의 열 교환기(134)는 열 교환기 장치(300)를 공동으로 형성하고, 상기 열 교환기(134)는 서로 공간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열 교환기 장치(300)의 열 전달 섹션(3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예를 들어 열 소스를 형성하는 연소 장치로부터의 배기 가스와 같은 뜨거운 가스가 모든 열 전달 섹션(312)의 상기 열 전달 스테이지(302)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동할 수 있고, 열 싱크를 형성하고 상기 뜨거운 가스로부터의 열 전달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복수의 차가운 가스가 제공되고, 각각의 경우에 가열될 하나의 차가운 가스는 각각의 열 전달 섹션(312)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차가운 가스는 가열 가스이고; 그리고/또는
    차가운 가스는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도관(118) 및/또는 순환 공기 모듈(116)의 순환 공기이고; 그리고/또는
    차가운 가스는 신선한 가스, 특히 신선한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134) 및/또는 열 교환기 장치(300)는 복수의 중공 원통형 튜브(304)를 포함하는 튜브 다발 열 교환기(320)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원통형 튜브(304)를 둘러싸는 챔버(306)는 복수의 분할 요소(308)에 의해 복수의 상호 분리된 열 전달 영역 및/또는 열 전달 섹션(312) 및/또는 열 전달 스테이지(302)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압력 제어기 및/또는 압력 조절기에 의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풍기(120)를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응축의 위험이 보다 낮으며 더 차가운 차가운 가스가 열 전달 영역 및/또는 열 전달 섹션(312) 및/또는 열 전달 스테이지(302)로부터 분할 요소(308)를 통해 응축의 위험이 보다 높으며 비교적 더 따뜻한 차가운 가스가 배치되어 있는 인접한 열 전달 영역 및/또는 열 전달 섹션(312) 및/또는 열 전달 스테이지(302)로 유동하는 방식으로 인접한 열 전달 영역 및/또는 열 전달 섹션(312) 및/또는 열 전달 스테이지(302) 사이의 압력 강하가 생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2개의 열 전달 영역 및/또는 열 전달 섹션(312) 및/또는 열 전달 스테이지(302)는 2개의 분할 요소(308)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2개의 분할 요소(308) 사이에 갭 영역(314)이 형성되고, 상기 갭 영역(314)에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공기, 특히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128)는 상기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안내된 가스를 직접 가열하기 위한 연소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 장치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가열 가스 스트림 또는 상기 가열 가스 스트림의 일부로서 상기 처리 챔버 섹션(114)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장치는 배기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가스 버너 및/또는 가스 터빈, 특히 마이크로 가스 터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모듈(11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순환 공기 도관(118) 각각은 특히 인젝터 원리에 따라 가열 가스 스트림을 상기 처리 챔버(112)에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인젝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가스 스트림은 적어도 약 10 m/s,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 m/s, 및/또는 최대 약 40 m/s,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30 m/s, 예를 들어 약 20 m/s 내지 약 25 m/s의 유량을 갖는 각각의 인젝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인젝터 노즐에 의해 상기 처리 챔버(112) 내로 도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가스 스트림은 적어도 10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 mm 및/또는 최대 약 200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150 mm, 예를 들어 약 80 mm 내지 약 100 mm의 빔 직경을 갖는 각각의 인젝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인젝터 노즐에 의해 상기 처리 챔버(112) 내로 도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가스 스트림은 적어도 약 15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0 ℃, 및/또는 최대 약 500 ℃,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450 ℃, 예를 들면 약 250 ℃ 내지 약 400 ℃의 온도를 갖는 상기 각각의 인젝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인젝터 노즐에 의해 상기 처리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설비.
  17. 공작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개별 회로에서 안내되는 복수의 가스 스트림이 처리 설비(100)의 처리 챔버(112)의 복수의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유동하는 단계;
    - 상기 처리 설비(100)의 가열 설비(126)의 가열 가스 도관(136)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에 의해 상기 가스 스트림을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가스 도관(136)에서 안내되는 가열 가스 스트림은 가열을 위해 열 교환기(134)의 복수의 열 전달 스테이지(302)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연소 장치로부터의 배기 가스 스트림은 상기 처리 챔버 섹션(114)을 통해 안내되는 가스를 직접 가열하기 위해, 가열 가스 스트림 또는 상기 가열 가스 스트림의 일부로서 상기 처리 챔버 섹션(114)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19262A 2015-12-10 2016-12-12 처리 설비 및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KR201800918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24916.6A DE102015224916A1 (de) 2015-12-10 2015-12-10 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DE102015224916.6 2015-12-10
EPPCT/EP2016/075206 2016-10-20
PCT/EP2016/075206 WO2017097483A1 (de) 2015-12-10 2016-10-20 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PCT/EP2016/080699 WO2017098056A1 (de) 2015-12-10 2016-12-12 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880A true KR20180091880A (ko) 2018-08-16

Family

ID=5718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262A KR20180091880A (ko) 2015-12-10 2016-12-12 처리 설비 및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80356154A1 (ko)
EP (7) EP3730885B1 (ko)
JP (1) JP6959233B2 (ko)
KR (1) KR20180091880A (ko)
CN (6) CN108369066A (ko)
DE (1) DE102015224916A1 (ko)
ES (3) ES2965861T3 (ko)
FI (3) FI3730886T3 (ko)
HU (3) HUE055544T2 (ko)
PL (4) PL3730884T3 (ko)
PT (4) PT3730884T (ko)
WO (2) WO20170974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4706A1 (de) 2015-07-31 2017-02-02 Dürr Systems Ag 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DE102015214711A1 (de) 2015-07-31 2017-02-02 Dürr Systems Ag 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DE102016125060B4 (de) * 2016-12-21 2023-02-16 Eisenmann Gmbh Vorrichtung zum Temperieren von Gegenständen
DE102018113685A1 (de) * 2018-06-08 2018-08-23 Eisenmann Se Anlage zum Trocknen von Fahrzeugkarosserien
JP6796874B2 (ja) * 2018-12-11 2020-12-09 株式会社桂精機製作所 乾燥装置
JP6765621B1 (ja) * 2020-01-29 2020-10-07 株式会社N‘studio 乾燥炉
DE102020213945A1 (de) * 2020-11-05 2022-05-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ocknen eines Werkstücks mit kaskadierender Wärmezufuhr
CN114076513A (zh) * 2021-11-26 2022-02-22 南京佩尔哲汽车内饰系统有限公司 基于汽车复合内饰板料的双面加热装置
CN115111899A (zh) * 2021-12-01 2022-09-27 安徽唯甜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回转式甜叶菊叶片烘干箱
DE102022106284A1 (de) * 2022-03-17 2023-09-21 Dürr Systems Ag 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DE102022113076A1 (de) 2022-05-24 2023-11-30 Dürr Systems Ag Behandlungsanlage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und ein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DE102022113071A1 (de) 2022-05-24 2023-11-30 Dürr Systems Ag Umluftanlage, 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Umluftanlage
DE102022113079A1 (de) 2022-05-24 2023-11-30 Dürr Systems Ag Umbausatz für eine 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Umbau einer Behandlungsanlage
DE102022131532A1 (de) 2022-11-29 2024-05-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handlungsanlage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und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0811A (en) * 1958-01-06 1961-02-07 Combustion Eng Self protecting air heater
US4140467A (en) * 1975-06-09 1979-02-20 Kenneth Ellison Convection oven and method of drying solvents
US4132007A (en) * 1977-08-17 1979-01-02 Voorheis James T Single burner heater and incinerator
DE3222700C1 (de) * 1982-06-16 1983-11-17 Otmar Dipl.-Ing. 8000 München Schäfer Anlage mit einem Trockner fuer organische Stoffe
JPS6150671A (ja) * 1984-08-20 1986-03-12 Mazda Motor Corp 塗装用乾燥炉
FR2644879B1 (fr) * 1989-03-24 1991-06-14 Knipiler Gaston Rechauffeur d'air tri etage a haute temperature
DE9109134U1 (ko) * 1991-07-24 1991-10-02 Herrmann, Johannes, 8490 Cham, De
NL9101408A (nl) * 1991-08-20 1993-03-16 Stork Contiweb Brandereenheid.
DE4326877C1 (de) * 1993-08-11 1994-10-13 Babcock Bsh Ag Verfahren zum Trocknen von Platten und Trockner
US5456023A (en) * 1994-06-28 1995-10-10 Ransburg Corporation Advance cure paint spray booth
US5477846A (en) * 1994-08-17 1995-12-26 Cameron; Gordon M. Furnace-heat exchanger preheating system
JP3251157B2 (ja) * 1995-10-03 2002-01-28 株式会社大氣社 塗装乾燥炉
DE19644717A1 (de) * 1996-10-28 1998-04-30 Schlierbach Gmbh Verfahren zum Trocknen von dünnen Schicht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0849001A1 (de) * 1996-12-20 1998-06-24 Robert sen. Wälti Spritzkabine und Luftzirkulationssystem für einen Arbeitsraum
GB9702473D0 (en) * 1997-02-07 1997-03-26 Junair Spraybooths Ltd Spraybooth
US5868565A (en) * 1997-06-17 1999-02-09 Nowack; William C. Method of heat treating articles and oven therefor
DE19735322A1 (de) * 1997-08-14 1999-02-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Durchlauflufttrocknungsanlage
US6062850A (en) * 1997-11-21 2000-05-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aint curing oven
EP1076800B1 (en) * 1998-05-07 2004-09-29 Megtec Systems, Inc. Web dryer with fully integrated regenerative heat source
DE19941184A1 (de) * 1999-08-30 2001-03-01 Flaekt Ab Lacktrockner und Lacktrockneranlage
DE20104204U1 (de) 2001-03-12 2001-07-19 Duerr Systems Gmbh Heißlufttrockner für eine Beschichtungsanlage
DE10125771C1 (de) * 2001-05-26 2002-11-21 Eisenmann Kg Maschbau Trockner
DE10151645A1 (de) 2001-10-12 2003-06-18 Duerr Systems Gmbh Heisslufttrockner für eine Beschichtungsanlage
WO2006041451A1 (en) 2004-09-29 2006-04-20 Durr Industries, Inc. Production paint shop design
JP4964556B2 (ja) * 2006-10-12 2012-07-04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装設備
DE102007024745A1 (de) 2007-05-26 2008-11-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von lackierten Fahrzeugkarosserien
DE102008012792B4 (de) * 2008-03-05 2013-01-03 Eisenmann Ag Trockner für Lackieranlage
DE102009021004A1 (de) * 2009-04-24 2010-10-28 Dürr Systems GmbH Trocknungs- und/oder Härtungsanlage
DE102010001234A1 (de) * 2010-01-26 2011-07-28 Dürr Systems GmbH, 74321 Anlage zum Trocknen von Karossen mit Gasturbine
DE102011076469A1 (de) * 2011-01-26 2012-07-26 Dürr Systems GmbH Oberflächenbehand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Oberflächenbehandlungsvorrichtung
DE202011104983U1 (de) * 2011-08-25 2012-11-26 Crone Wärmetechnik GmbH Trocknungssystem zur Lacktrocknung
DE102011119436B4 (de) * 2011-11-25 2020-08-06 Eisenmann Se Vorrichtung zum Temperieren von Gegenständen
DE102012007769A1 (de) * 2012-04-20 2013-10-24 Eisenmann Ag Anlage zum Behandeln von Gegenständen
DE102012207312A1 (de) * 2012-05-02 2013-11-07 Dürr Systems GmbH Prozesskammer mit Vorrichtung zum Einblasen von gasförmigem Fluid
DE102013203089A1 (de) * 2013-02-25 2014-08-28 Dürr Systems GmbH Verbrennungsanlage, Werkstück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erbrennungsanlage
DE102013004131B4 (de) * 2013-03-09 2022-07-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r Beschichtung einer Fahrzeugkarosserie
DE102013004136A1 (de) * 2013-03-09 2014-09-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Trocknen eines Werkstücks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CN103822510B (zh) * 2014-03-07 2016-04-13 中石化上海工程有限公司 多壳程列管式换热器
PL2924380T3 (pl) * 2014-03-28 2017-06-30 Sabine Schindler Palnik dodatkow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69065A (zh) 2018-08-03
DE102015224916A1 (de) 2017-06-14
CN117804186A (zh) 2024-04-02
EP3730885B1 (de) 2023-09-27
PT3730884T (pt) 2023-11-27
EP3730884B1 (de) 2023-09-27
PL3730885T3 (pl) 2024-02-26
EP3387354B1 (de) 2021-07-07
EP3730886A1 (de) 2020-10-28
PT3730885T (pt) 2023-11-20
PT3387354T (pt) 2021-07-30
JP6959233B2 (ja) 2021-11-02
CN116809351A (zh) 2023-09-29
EP3730886B1 (de) 2023-11-29
EP3745066A2 (de) 2020-12-02
EP3387355A1 (de) 2018-10-17
PL3387354T3 (pl) 2022-03-21
JP2019505754A (ja) 2019-02-28
EP4306889A3 (de) 2024-04-17
EP3387355B1 (de) 2021-08-25
FI3730884T3 (en) 2023-12-14
EP3730885A1 (de) 2020-10-28
WO2017097483A1 (de) 2017-06-15
CN108369066A (zh) 2018-08-03
HUE064175T2 (hu) 2024-02-28
ES2966617T3 (es) 2024-04-23
EP3387354A1 (de) 2018-10-17
WO2017098056A1 (de) 2017-06-15
ES2965861T3 (es) 2024-04-17
ES2884305T3 (es) 2021-12-10
US20180356154A1 (en) 2018-12-13
HUE055544T2 (hu) 2021-12-28
PL3730886T3 (pl) 2024-04-22
EP3745066A3 (de) 2021-02-24
EP3730884A1 (de) 2020-10-28
EP4306889A2 (de) 2024-01-17
FI3730885T3 (fi) 2023-12-01
PT3730886T (pt) 2024-01-16
PL3730884T3 (pl) 2024-04-08
FI3730886T3 (fi) 2024-02-14
HUE064310T2 (hu) 2024-03-28
CN117804187A (zh) 2024-04-02
CN117824325A (zh)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1880A (ko) 처리 설비 및 공작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CN104056765B (zh) 用于干燥工件的装置和用于运行这种装置的方法
FI114631B (fi) Menetelmä ja laite lasilevyjen lämmittämiseksi karkaisua varten
CN110274314B (zh) 调温调湿设备、具有该设备的处理设施及其运行方法
US20140352169A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objects
US4780965A (en) Method for the thermal cleaning of exhaust gases of a heat treatment apparatus
CN111113869B (zh) 膜拉伸设备
KR101237340B1 (ko) 공기압축장치를 이용한 고함수 물질 건조시스템 및 그 건조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방법
US20230055615A1 (en) Temperature treatment system
US20220341665A1 (en) Separating device, treatment system, method for separating two spatial regions, and method for treating workpieces
CN114930103A (zh) 调温设备
KR20180076919A (ko) 선박의 공조 시스템
CN220195445U (zh) 用于处理工件的处理设备
CN117203480A (zh) 工件加工设施和用于制造和运行这种工件加工设施的方法
CN117980659A (zh) 用于加热过程空气的过程空气装置
KR20240018459A (ko) 세정액을 포함하는 용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 장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5254556A (zh) 用于处理工件的处理设备和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