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753A - 차체의 애드온 부분 - Google Patents

차체의 애드온 부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753A
KR20180090753A KR1020180013243A KR20180013243A KR20180090753A KR 20180090753 A KR20180090753 A KR 20180090753A KR 1020180013243 A KR1020180013243 A KR 1020180013243A KR 20180013243 A KR20180013243 A KR 20180013243A KR 20180090753 A KR20180090753 A KR 20180090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s
reinforcing
add
reinforcing devi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515B1 (ko
Inventor
라이문트 슐라흐터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9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1Block or short strip-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1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the elements having a grid-like structure, i.e. interconnected or interwov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60J5/0448Beams with branched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ybrid, i.e. plastic moulded onto met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1) 또는 테일게이트와 같은 차체의 애드온 부분(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애드온 부분(1)은 상호연결된 안쪽 및 바깥쪽 부분들(2, 4)과 강화부들(5, 6) 및 상기 강화부들(5, 6)을 연결하는 강화 장치(7)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애드온 부분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화 장치(7)는 복수의 암(8, 9, 18, 19)을 구비하고, 암들(8, 9, 18, 19)의 단부들의 영역에서, 강화 장치(7)는 강화부들(5, 6)에 압력-끼워맞춤 및/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애드온 부분은 구조적으로 간단한 설계 및 상대적으로 낮은 중량을 갖는 한편 특히 양호한 보강 특성을 보장한다.

Description

차체의 애드온 부분{ADD-ON PART OF A VEHICLE BODY}
본 발명은, 도어 또는 테일게이트와 같은 차체의 애드온 부분으로, 상호연결된 안쪽 및 바깥쪽 부분들과 강화부들 및 상기 강화부들을 연결하는 강화 장치를 구비한 애드온 부분에 관한 것이다.
강화 또는 보강은 차량 탑승자를 위한 충격 보호의 개선을 보장하기 위해 특히 차체의 도어의 경우 특히 중요하다.
이는 또한 차체의 애드온 부분 내의 또는 애드온 부분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애드온 부분의 경우 특히 중요하다. 이를 위해, 애드온 부분에 통합되는 절연 장치를 이용한다.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애드온 부분이 DE 103 39 306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는 도어 안쪽 부분에 연결되는 도어 바깥쪽 부분이 도어 몸체의 프레임 부분들 사이의 내측에서 지지 장치에 의해 충격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정도로 충격 보호의 측면에서 최적화된 승용차 도어를 기재한다. 상세하게는, 보강 부품들로 설계되는 2개의 브래킷이 강화부들을 구비하며, 유지판으로 설계되는 강화 장치가 강화부들에 연결된다. 충격 보호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지지 장치가 또한 상기 유지판에 체결된다. 유지판은 두 브래킷 사이의 영역의 전체 면적에 걸쳐 연장되는 크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으로, 그 원위 단부들의 영역에서 짧은 견부들을 구비하며, 그 영역에서 브래킷들과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GB 2 101 535 A1은 차량 도어의 2개의 지지구 사이에 배치되는 판형 보강 지지구를 이용하는 차량 도어를 기재한다.
US 2002/0171260 A1은, 차량 도어의 경우, 차량 도어용 감쇠 요소로서 부품 지지구를 기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애드온 부분이 구조적으로 간단한 설계 및 상대적으로 낮은 중량을 갖는 한편 양호한 강화 또는 보강 특성을 갖는 방식으로,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애드온 부분을 개선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개선은 특히 상기 특히 유리한 특성이 특히 양호한 감쇠 특성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애드온 부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애드온 부분의 경우, 강화 장치가 복수의 암을 구비하고, 암들의 단부들의 영역에서, 강화 장치는 강화부들에 압력-끼워맞춤 및/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복수의 암을 갖는 강화 장치의 설계는 먼저 강화 장치를 형성하는 데에 요구되는 재료량이 감소한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암들을 갖는 강화 장치의 구성은 강화부들의 영역에서 최적으로 강화 장치를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아주 적은 공간만이 각각의 암의 영역에서 요구된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에 따르면, 암들이 서로 추가적으로 보강되는 경우, 매우 높은 강성을 갖는 강화 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강화 장치의 장착 또는 체결은 강화부들과의 압력-끼워맞춤 및/또는 형상-끼워맞춤 연결로 인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강화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료는 애드온 부분의 중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낮은 비중량을 갖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특정 개선에 따르면, 감쇠 효과를 갖는 재료 또는 영구 탄성 재료가 강화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강화 장치에 이러한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애드온 부분은 진동의 결과로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발생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재료는 특히 플라스틱 재료이다. 플라스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층의 방식으로 설계된다. 게다가, 부틸 재료가 유리한 재료로 간주된다. 부틸 재료 역시 특히 부틸층의 방식으로 사용된다.
특히, 재료 또는 층이 강화부들에서의 강화 장치의 장착 영역 및/또는 안쪽 부분 및/또는 바깥쪽 부분과의 접촉 영역에서 적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로써, 강화 장치가 안쪽 부분 또는 바깥쪽 부분에 놓이는 경우, 강화 장치와 강화부들 또는 강화 장치와 안쪽 부분 또는 바깥쪽 부분 사이의 감쇠의 결과로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강화 장치는, 강화 장치에 적용되는 사용 재료로 인해, 애드온 부분을 강화하거나 보강하는 기능을 얻을 뿐만 아니라, 애드온 부분의 진동의 발생 및 그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강화부들은 예를 들어 안쪽 부분 및/또는 바깥쪽 부분의 일부이다. 바람직한 대안에 따르면, 애드온 부분은 강화부들을 갖는 2개의 지지구를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2개의 추가 부품, 즉 2개의 지지구가 애드온 부분에 구비되며 애드온 부분을 강화하거나 보강하는 특정 역할을 수행한다. 원칙적으로, 제1 대안에 따르면, 이는 또한 안쪽 부분 및/또는 바깥쪽 부분의 특별한 설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지지구는 바람직하게는 안쪽 부분 및/또는 바깥쪽 부분에 연결된다. 이는 애드온 부분의 특히 높은 강성 및 그에 따른 충돌 발생 시의 특히 양호한 탑승자 보호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에 따르면, 강화 장치의 암들이 자유 단부들의 영역에서 강화부들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강화 장치는 4개의 암을 갖는 강화 지지구로 설계된다. 이와 관련하여, 2개의 암이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강화부 또는 하나의 지지구에 연결되고, 다른 2개의 암이 다른 강화부 또는 다른 지지구에 연결된다. 따라서, 강화 장치는 각각의 강화부 또는 지지구에 할당되는 암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지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애드온 부분의 강성의 최적화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개선에 따르면, 암들이, 그 자유 단부들의 영역에서, 각각의 암에 할당되는 강화부에 체결하기 위한 포크형 체결 요소들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포크형 체결 요소들은 강화부들에서의 암들의 최적의 위치지정 및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적절한 구성이 주어진 경우, 암들은 강화부들의 영역에서 암들의 더 간단한 위치지정 또는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강화부들 중 하나 또는 안쪽 부분 또는 바깥쪽 부분과의 각각의 접점으로서의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가 강화 장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핀(fin)의 형상으로 설계된다. 이로써, 지지 요소는 간단하게 설계되며 적은 구성 공간을 요구하는 한편 기능상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강화 장치의 암들의 상호 보강은 바람직하게는 강화 장치가 2개의 추가적인 교차 암을 구비한다는 점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암들은 단부측에서, 강화부들에 연결되는 강화 장치의 암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양태로부터, 강화 장치는 특히 2개의 바의 방식으로 나타나되, 바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2개의 교차 바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바들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실질적으로 명확한 구성 공간을 한정하고, 그에 따라 애드온 부분의 다른 부품들, 특히 도어의 부품들을 위한 충분한 구성 공간이 평행 바들과 교차 바들 사이에 남아있다.
2개의 지지구는 바람직하게는 비곡면으로 배치된다. 이 면은 도어의 경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게다가, 2개의 지지구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실질적으로'는 평행 배치가 아닌 2개의 지지구의 약간 수렴하는 배치가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지구들의 이러한 전술한 배치는 충돌의 발생 시 충격력이 작용할 때 애드온 부분, 특히 차량 도어의 특히 유리한 보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종속항, 첨부 도면, 및 제한의 의도 없이 도면에 재현되는 바람직한 예시적인 구현예의 설명에서 드러난다.
도 1은 강화 장치를 구비한, 승용차의 도어의 몸체의 외부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강화 장치의 영역에 대한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부분 영역을 도시한다.
도 3은 강화 장치의 암의 하단부에 대한 강화 장치의 제1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암 단부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강화 장치의 암의 상단부에 대한 강화 장치의 제1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암 단부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하부 암 단부와 지지구의 연결 영역의 제1 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결 영역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상부 암 단부와 지지구의 연결 영역의 제1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연결 영역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은 차체의 애드온 부분(1)을 도시하는데, 상기 애드온 부분은 승용차의 두 번째 줄 좌석의 도어(1), 결과적으로 후방 도어(1)이다. 애드온 부분 또는 도어(1)는 일체형 윈도우 프레임(3)을 갖는 안쪽 부분(2), 및 바깥쪽 부분(4)을 구비한다. 윈도우 프레임(3)의 영역의 외부에서, 안쪽 부분(2) 및 바깥쪽 부분(4)은 서로 연결된다. 안쪽 부분(2) 및 바깥쪽 부분(4)은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압축 부분들이다. 2개의 지지구(5, 6)가 바깥쪽 부분(4)에 대향하는 측에서 안쪽 부분(2)에 연결되되, 상기 지지구들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안쪽 부분(2)에 나사결합되거나 용접된다. 상부 지지구(5)는 도어(1)의 배향에 대해 만곡된 설계로 이루어지고, 하부 지지구(6)는 직선형으로 구성된다. 지지구들(5, 6)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바라볼 때 분기 방식으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2개의 지지구(5, 6)를 갖는 설계로 인해, 도어(1)는 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2개의 지지구(5, 6)에 의해 형성되는 강화부들을 구비한다. 원칙적으로, 상기 강화부들은 또한 안쪽 부분(2) 및/또는 바깥쪽 부분(4)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부분들의 연결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도어(1)는 2개의 강화부 또는 2개의 지지구(5, 6)를 연결하는 강화 장치(7)를 구비한다.
강화 장치(7)는 4개의 암(8, 9, 18, 19)을 구비한다. 각각의 2개의 암(8, 9 또는 18, 19)은 각각의 경우 바를 형성한다. 2개의 바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2개의 교차 암(10, 11)의 방식으로 X자형 장치에 의해 추가로 보강된다. 상기 2개의 암(10, 11)은 단부측에서 암들(8, 9, 18, 19)에 그 단부들의 영역에서 연결된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되는 강화 장치(7)는 높은 힘을 흡수하기에 적합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일편 부품을 형성한다.
암들(8, 18)의 상단부들(13) 및 암들(9, 19)의 하단부들(12)의 영역에서, 강화 장치(7)는 지지구들(5, 6)에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암들(9, 19)은, 그 하단부들(12)의 영역에서, 하부 지지구(6)에 체결하기 위한 동일하게 구성된 포크형 체결 요소들(14)을 구비한다. 포크형 체결 요소들(14)의 상세한 구성은 도 3 및 도 4의 도해에서 확인할 수 있고, 포크형 체결 요소들(14)과 하부 지지구(6)의 상호작용은 도 7 및 도 8의 도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암들(9, 19)의 하단부들은 2개의 견부(15)를 구비하되, 이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S자형으로 만곡된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대 견부(16)가 상기 2개의 견부(15) 사이에서 견부들(15)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각각의 암(9, 19)의 하단부(13)는 하부 지지구(6)의 상향 돌출 웨브(17) 상에 포크형 체결 요소들(14)을 압입함으로써 끼워지고, 그에 따라 2개의 탄성 가요성 견부(15) 및 상대 견부(16)는 견부들(15)과 상대 견부(16) 사이에 웨브(17)를 클램핑한다. 또한, 강화 장치(7)는 각각의 포크형 체결 요소(14)의 영역에서 지지 요소(20)를 구비하는데, 이는 또한 도어 부분, 예를 들어 바깥 부분(4)과의 접점의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은 상부 영역 및 그에 따른 암들(8, 18)의 영역에서 강화 장치(7)를 도시한다. 암들(9, 19)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 암들은 또한 견부들(15) 및 상대 견부(16)를 갖는 포크형 체결 요소들(14) 및 지지 요소(20)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 암들은 강화 장치(7)의 영역에서 안쪽 부분(2)의 수정된 기하학적 비율에 대응하여 수정된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암들(9, 19)의 설계와 비교할 때, 암들(8, 18)의 경우에는 상대 견부(16)가 더 긴 설계로 이루어지며 지지 요소(20)가 더 긴 길이와 함께 더 편평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각각의 암(8 또는 18)의 각각의 견부(15)는 또한 더 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그에 따라 각각의 견부(15) 상에는 장착 방향으로 앞으로 진행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된다.
상부 지지구(5)는 판금부들의 영역에서 삽입부들(21)의 통과를 위한 2개의 개구(22)를 구비하고, 그에 따라 삽입된 단부 위치의 암들(8, 18)은 삽입부들(21)의 자유 단부들의 영역에서 도어의 판금부(23) 상에 지지되는 것을 도 9 및 도 10의 도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암들(8, 18)은 상대 견부들(16)이 상부 지지구(5)에 놓이며 거기서 지지된다. 도 9 및 도 10은 이러한 지지 단부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암들(8, 18)을 도시한다.
강화 장치(7)는 상대 견부들(16)이 상부 지지구(5)에 놓일 때까지 먼저 개구들(22)에 상부 암들(8, 18)을 삽입함으로써 장착된다. 이후, 하단부를 갖는 강화 장치(7)는 하부 지지구(6)를 향해 피벗되고, 하부 지지구(6)는 이에 대향하는 경사면의 영역에서 지지 요소(20)와 접촉하며, 지지 요소(20)는 강화 장치(7)의 추가적인 내향 피벗 중에 하부 지지구(6)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그에 따라 하부 지지구(6)는 상대 견부(16)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각각의 암(9, 19)의 상대 견부(16)와 2개의 견부(15) 사이의 래칭 위치로 이동한다.
본 사례에서는 승용차의 도어(1)인 이제까지 설명된 애드온 부분의 경우, 지지구들(5, 6)은 도어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강화 장치(7)는 도어(1)를 추가적으로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1) 또는 도어(1)의 부품들의 진동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이러한 이점을 달성하도록 도어(1)의 경우 추가 조치가 취해진다. 그러므로, 감쇠 효과를 갖는 재료 또는 영구 탄성 재료가 강화 장치(7)에 적용된다. 특히, 이러한 재료는 2개의 지지구(5, 6)에서의 강화 장치(7)의 장착 영역 및 강화 장치(7)와 도어의 다른 부분들, 예를 들어 안쪽 부분(2)과의 접촉 영역에서 적용된다. 이러한 재료는 특히 플라스틱 재료이다. 플라스틱 재료는 플라스틱층의 방식으로 적용된다. 부틸 재료도 재료로서 고려될 수 있다. 부틸 재료는 또한 부틸층의 방식으로 적용된다. 도 3 내지 도 6은 암들(8, 18)에 적용되는 부틸층의 스트립들(24)을 도시하는데, 상기 스트립들은, 견부들(15)로부터 분기되고, 중간에 상대 견부(16)를 수용하며, 추가로 중간에 지지 요소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암(8 또는 18)의 영역 내로 연장되되, 상기 영역은 상기 상대 견부(16)의 반대편을 향한다. 이는 다른 암들(9, 19)의 영역에서의 부틸층의 배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포크형 스트립들(24)이 결합된 후에, 특히 도 1의 도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암들(8, 9 또는 18, 19) 사이의 강화 장치(7)의 부분 영역들 내로 계속되는데, 상기 부분 영역들은 참조부호 25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부분 영역들(25) 내의 부틸층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방식으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강화 장치(7) 및 이와 상호작용하는 도어의 하나 이상의 부분, 특히 도어(1)의 안쪽 부분(2)의 감쇠 접촉이 상기 영역들에서 보장된다.
2개의 지지구(5, 6)는 바람직하게는 비곡면으로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1 애드온 부분/도어
2 안쪽 부분
3 윈도우 프레임
4 바깥쪽 부분
5 지지구(상부)
6 지지구(하부)
7 강화 장치
8 암
9 암
10 암
11 암
12 하단부
13 상단부
14 체결 요소
15 견부
16 상대 견부
17 웨브
18 암
19 암
20 지지 요소
21 삽입부
22 개구
23 판금부
24 스트립
25 부분 영역

Claims (15)

  1. 도어(1) 또는 테일게이트와 같은 차체의 애드온 부분(1)으로, 상호연결된 안쪽 및 바깥쪽 부분들(2, 4)과 강화부들(5, 6) 및 강화부들(5, 6)을 연결하는 강화 장치(7)를 구비한 애드온 부분(1)에 있어서,
    강화 장치(7)는 복수의 암(8, 9, 18, 19)을 구비하고, 암들(8, 9, 18, 19)의 단부들의 영역에서, 강화 장치(7)는 강화부들(5, 6)에 압력-끼워맞춤 및/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2. 제1항에 있어서,
    강화 장치(7)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감쇠 효과를 갖는 재료 또는 영구 탄성 재료가 강화 장치(7)에 적용되고, 특히 강화부들(5, 6)에서의 강화 장치(7)의 장착 영역 및/또는 안쪽 부분(2) 및/또는 바깥쪽 부분(4)과의 접촉 영역에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특히 플라스틱층 방식의 플라스틱 재료이거나, 특히 부틸층(24) 방식의 부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부들은 안쪽 부분(2) 및/또는 바깥쪽 부분(4)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애드온 부분(1)은 상기 강화부들을 형성하는 2개의 지지구(5, 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7. 제6항에 있어서,
    2개의 지지구(5, 6)는 안쪽 부분(2) 및/또는 바깥쪽 부분(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화 장치(7)는 서로 보강되는 복수의 암(8, 9, 18, 1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화 장치(7)는 4개의 암(8, 9, 18, 19)을 갖는 강화 지지구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들(8, 9, 18, 19)은, 그 자유 단부들의 영역에서, 상기 각각의 암에 대향하는 강화부(5, 6)에 체결하기 위한 포크형 체결 요소들(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화부들(5, 6) 중 하나 또는 안쪽 부분(2) 또는 바깥쪽 부분(4)과의 각각의 접점으로서의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20)가 강화 장치(7)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12. 제11항에 있어서,
    지지 요소(20)는 핀(fin)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들(8, 9, 18, 19)의 상호 보강을 위해, 강화 장치(7)는 2개의 추가적인 교차 암(10, 11)을 구비하고, 암들(10, 11)은 단부측에서, 강화부들(5, 6)에 연결되는 강화 장치(7)의 암들(8, 9, 18, 1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14.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지지구(5, 6)는 비곡면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15. 제6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지지구(5, 6)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온 부분.
KR1020180013243A 2017-02-03 2018-02-02 차체의 애드온 부분 KR102053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2177.9A DE102017102177A1 (de) 2017-02-03 2017-02-03 Anbauteil einer Fahrzeugkarosserie
DE102017102177.9 2017-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753A true KR20180090753A (ko) 2018-08-13
KR102053515B1 KR102053515B1 (ko) 2019-12-06

Family

ID=6291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243A KR102053515B1 (ko) 2017-02-03 2018-02-02 차체의 애드온 부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89604B2 (ko)
KR (1) KR102053515B1 (ko)
CN (1) CN108382462A (ko)
DE (1) DE102017102177A1 (ko)
RU (1) RU267621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7172B1 (fr) 2018-10-11 2020-12-25 Plastic Omnium Cie Panneau de carrosserie comportant des elements de rigidification rapportes
KR102621230B1 (ko) * 2019-01-24 2024-01-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US11065945B2 (en) * 2019-06-05 2021-07-20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632A (ja) * 2000-04-28 2001-11-06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ドア構造
US6502821B2 (en) * 2001-05-16 2003-01-07 L&L Products, Inc. Automotive body panel damping system
JP2008201246A (ja) * 2007-02-20 2008-09-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ドア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29016A (fr) * 1962-04-25 1963-06-07 Chausson Usines Sa Procédé pour la rigidification de tôles plates et son application à la fabrication d'éléments de carrosserie en caisson
GB2101535A (en) 1981-05-12 1983-01-19 Bl Tech Ltd Vehicle door
CA1322209C (en) * 1988-05-18 1993-09-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lso Trading As Honda Motor Co., Ltd .) Automotive sound-proof materials and damping materials therefor
DE4008111A1 (de) 1990-03-14 1991-09-19 Audi Ag Fahrzeugtuere
JPH04300715A (ja) 1991-03-28 1992-10-23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ドアの補強構造
US5908216A (en) 1995-12-22 1999-06-01 Joalto Design, Inc. Side intrusion beam with four points of connection
US6196619B1 (en) * 1995-12-22 2001-03-06 Joalto Design, Inc. Vehicle closure panel having an intrusion beam as primary structure
US5795013A (en) * 1996-06-20 1998-08-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nergy absorbing trim,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GB2321660B (en) 1997-01-29 2000-10-11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door module
US6196633B1 (en) * 1998-02-24 2001-03-06 Nsk Ltd. Retractor for a seat belt
JP3410372B2 (ja) * 1998-08-31 2003-05-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操作システム及び該ドアロック操作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用ドア
US6205714B1 (en) * 1998-12-16 2001-03-27 Delphi Technologies, Inc. Modular vehicle door
GB9919297D0 (en) * 1999-08-17 1999-10-2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oor reinforcement device
US20040011345A1 (en) * 2002-07-17 2004-01-22 Ralph Egusquiza Archery bow string release accessory
US20040113455A1 (en) * 2002-10-17 2004-06-17 Schmidt Glen D. Energy absorbing impact deflector incorporating a thermoformed outer panel and an expanded foam insert
DE10339306B4 (de) 2003-08-27 2005-11-03 Dr.Ing.H.C. F. Porsche Ag Tür für ein Kraftfahrzeug
RU56854U1 (ru) * 2006-02-26 2006-09-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Дверь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070267889A1 (en) * 2006-03-23 2007-11-22 Flendrig Joseph G M Door assembly with core module having integrated belt line reinforcement
JP5035218B2 (ja) * 2007-12-27 2012-09-26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
US8033592B2 (en) * 2008-08-27 2011-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assembly and method for a vehicle
FR2953770B1 (fr) * 2009-12-16 2011-11-25 Renault Sas Porte de coffr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11106151B3 (de) * 2011-06-30 2012-07-19 Daim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ßenmoduls mit einer Außenbeplankung für eine modular aufgebaute Gehäusekomponente
DE102013106080A1 (de) * 2013-06-12 2014-12-18 Leichtbau-Zentrum Sachsen Gmbh Schutzvorrichtung zur Anordnung im Vorder- oder Hinterwagenbereich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Unterboden aus faserverstärktem Kunststoff
JP6156291B2 (ja) * 2014-09-01 2017-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632A (ja) * 2000-04-28 2001-11-06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ドア構造
US6502821B2 (en) * 2001-05-16 2003-01-07 L&L Products, Inc. Automotive body panel damping system
JP2008201246A (ja) * 2007-02-20 2008-09-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ド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82462A (zh) 2018-08-10
US10589604B2 (en) 2020-03-17
KR102053515B1 (ko) 2019-12-06
US20180222295A1 (en) 2018-08-09
DE102017102177A1 (de) 2018-08-09
RU2676212C1 (ru)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6877B (zh) 抵抗侧面撞击的强化车辆门
JP2010052729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20180090753A (ko) 차체의 애드온 부분
US20100026046A1 (en) Stiffe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017136947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US8408566B2 (en) Subframe
US8118350B2 (en) Vehicle body with a floor-side reinforcement
KR101856248B1 (ko) 측면충돌에 대한 보강부재를 구비한 2도어 또는 3도어 차량
KR100974748B1 (ko) 자동차의 범퍼 백빔 구조
JP2015024706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US8016346B2 (en) Vehicle body
KR101882496B1 (ko) 플로어패널의 보강구조
US9457755B2 (en) One piece instrument panel with molded upper bin
KR20190040745A (ko) 차체 측방 보강구조
JP2019038301A (ja) 車体構造
KR100978216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WO2008066041A1 (fr) Structure avant pour véhicule
KR102142729B1 (ko) 차량의 사이드실 보강구조물
JP6172046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20060055530A (ko) 유틸리티 차량용 운전실
US20150191204A1 (en) Support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KR100997375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20090064056A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0996589B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JP6614698B2 (ja)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