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575A -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575A
KR20180090575A KR1020170015592A KR20170015592A KR20180090575A KR 20180090575 A KR20180090575 A KR 20180090575A KR 1020170015592 A KR1020170015592 A KR 1020170015592A KR 20170015592 A KR20170015592 A KR 20170015592A KR 20180090575 A KR20180090575 A KR 20180090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passenger
unauthorized
gate
passe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998B1 (ko
Inventor
박창식
Original Assignee
박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식 filed Critical 박창식
Priority to KR102017001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9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2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교통 수단의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수단, 게이트의 입구와 출구에 배치되어 승객이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 결제수단에 의해 결제가 되지 않았는데 상기 센서가 승객이 통과하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경고를 하는 경고수단, 복수 개의 게이트를 동시에 촬영하며, 무단패스를 감지하였을 때 무단패스가 감지된 상기 게이트와 무단패스를 한 승객을 집중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무단패스한 승객의 얼굴을 캡쳐하고, 외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상기 무단패스한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확인된 무단패스한 승객의 무단패스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패스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단패스를 하는 승객을 감소시켜 손실액을 줄일 수 있고, 시민들의 의식을 개선할 수 있고, 상습적으로 무단패스하는 승객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완전한 무인화가 가능하고 소수의 인원으로 운영 가능하게 되고, 게이트 근처에서 신발끈을 묶는 행동과 같은 행동에 의해 생기는 시스템의 잘못된 판단에 의한 오해를 쉽게 해결할 수 있고, 요금 결제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발생한 응급상황 또는 사고를 카메라를 통해 확인 후 빠른 조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Illegal passengers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객의 무단패스 상황을 판단하여 객체인식 기술을 통해 상황을 분석하고 서버에 저장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명이 발달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도로 및 교통수단이다. 실제로 세계적으로 발달한 도시는 도로 상황과 교통수단이 다른 도시에 비해 월등히 발달해 있다. 현대 문명에서 대도시의 대중교통수단으로는 버스, 택시는 기본으로 갖추고 있고 지하철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지하철은 한 번에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교차로가 없기 때문에 막힘 현상이 없고 사고가 적어 다른 대중교통에 비해 빠를 수 있어 많은 사람이 이용한다.
지하철을 타기 위해서는 들어가는 입구에서 반드시 요금을 결제해야 하며, 이를 위해 게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보통 게이트는 입구 하나에 최소 7~8개씩 있는데 무단패스 관련 관리자가 없거나 혼자서 한다. 이를 이용해 뛰어넘거나 밑으로 통과해 무단패스하는 승객이 있다. 특히 출퇴근 시간에는 다른 시간에 비해 훨씬 많은 승객이 몰리는데, 이를 이용하여 무단패스를 하는 사람들에 의해 손해액이 상당히 크다.
게이트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11578호 "오픈 게이트를 이용한 부정승차 방지 시스템 및 부정승차 방지 게이트"가 있다. 선행기술은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승객이 무단으로 게이트를 통과했는지 감지하고, 무단으로 패스했을 경우 표시부를 적색으로 표시하고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은 상습적으로 무단패스를 하는 승객을 잡거나 감소시킬 수 없고 전적으로 기계에 의존하기 때문에 기계의 오류에 의한 오작동 때문에 생기는 곤란한 상황을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과 같은 무인으로 요금을 받은 후 통과시키는 게이트를 구비한 지하철 또는 공항, 보안시설 등과 같이 제한된 인원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를 구비한 시설에서 무단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중교통 수단의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수단, 게이트의 입구와 출구에 배치되어 승객이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 결제수단에 의해 결제가 되지 않았는데 상기 센서가 승객이 통과하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경고를 하는 경고수단, 복수 개의 게이트를 동시에 촬영하며, 무단패스를 감지하였을 때 무단패스가 감지된 상기 게이트와 무단패스를 한 승객을 집중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무단패스한 승객의 얼굴을 캡쳐하고, 외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상기 무단패스한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확인된 무단패스한 승객의 무단패스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패스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경고수단은 스피커를 포함하고, 게이트는 마이크를 포함하며,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해 관리자와 승객이 대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단패스를 하는 승객을 감소시켜 손실액을 줄일 수 있고, 시민들의 의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습적으로 무단패스하는 승객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완전한 무인화가 가능하고 소수의 인원으로 운영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게이트 근처에서 신발끈을 묶는 행동과 같은 행동에 의해 생기는 시스템의 잘못된 판단에 의한 오해를 쉽게 해결할 수 있고, 요금 결제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발생한 응급상황 또는 사고를 카메라를 통해 확인 후 빠른 조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을 하면, 지하철 및 공항 등과 같은 제한된 인원만 출입 가능하도록 통제하는 게이트를 무단패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영상을 분석해 무단패스하는 승객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게이트는 지하철 및 공항 등과 같은 보안시설의 입구를 촬영하는 카메라(20), 무단패스를 감지하였을 때 경고를 하는 발광부(30)와 스피커(40)를 포함하는 경고수단, 마이크(50) 그리고 카메라(20), 경고수단 및 마이크(50)를 연동하여 제어하며, 무단패스 승객이 발생하였을 때 카메라(20)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 및 저장하는 서버(10)를 포함한다. 또한, 게이트의 입구와 출구에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센서는 승객이 게이트를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며, 게이트에 구비된 결제수단에 의해 결제가 감지되지 않았는데 승객이 통과한 것을 감지할 경우에는 무단패스로 판단할 수 있다.
경고수단은 발광부(30)와 스피커(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30)는 무단패스가 감지되었을 때 경고하기 위해 작동하며, 눈에 잘 띄는 빨간색 또는 노란색 계열이 적합하다. 멀리서도 관리자가 발견할 수 있도록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스피커(40)는 소리를 통한 경고를 하며, 무단패스를 실수로 할 때와 일부러 했을 때 서로 다른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결제를 권유하기 위한 사람의 음성이 출력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멀리 있는 관리자도 들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경고수단으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무단패스를 한 영상을 띄워 결제를 유도할 수 있으며, 평소에는 광고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영상 일측에는 경고문 또는 결제를 유도하는 글이 출력될 수 있다.
카메라(20)는 복수 개의 게이트를 동시에 촬영하며, 무단패스가 감지되었을 때 해당되는 게이트를 집중 촬영할 수 있다. 또는 발광부(30)와 스피커(40)를 포함하는 경고수단이 작동하였을 때 해당 게이트를 집중 촬영할 수 있다. 관리자는 카메라를 제어하여 게이트뿐만 아니라 다른 구역도 촬영할 수 있다. 집중촬영은 무단패스가 감지된 게이트를 촬영하는 것이다. 하지만, 관리자가 카메라를 제어하여 원하는 위치를 집중촬영 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카메라(20)를 구비할 경우 각각의 카메라(20)는 평상시에는 서로 같은 곳을 촬영하지 않도록 설정 가능하며, 집중촬영을 하게 될 경우 다른 카메라가 집중촬영으로 인해 촬영하지 못하는 게이트를 대신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움직이는 승객 또는 물체를 따라가며 집중촬영 할 수 있다.
게이트는 마이크(5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마이크를 통해 승객과 관리자가 대화할 수 있다. 게이트 주변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거나 기계의 오작동으로 인해 게이트를 출입할 수 없게 되거나, 무단패스가 아닌데 기계의 오작동에 의해 무단패스로 인식되었을 때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한 대화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서버(10)는 카메라(20), 경고수단을 제어할 수 있으며, 무단패스가 감지되었을 때 카메라(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서버(10)는 센서가 무단패스를 감지하였을 때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객체인식하여 승객의 얼굴을 캡쳐하고, 외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윤곽선 변화를 통해 신장 변화를 분석하여 무단패스 방식을 판단하고, 무단패스한 승객의 무단패스 횟수를 누적할 수 있다. 누적 횟수에 따라 지하철 이용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신고 등을 할 수 있다. 외형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은 머리의 길이 및 체형을 통해 남녀를 구분하고, 옷의 색과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여 무단패스한 승객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함이다. 분석한 정보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무단패스한 승객을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노인 인증 카드를 통해 무료로 승차할 수 있는 복지서비스가 있다. 이를 악용하여 만 65세 이상의 노인이 아닌 자가 노인 인증 카드를 얻어 무단패스하는 승객이 있을 수 있다. 결제수단이 노인 인증 카드를 인식했을 때 카메라(20)는 자동으로 승객의 외형을 파악하여 노인인지 파악하여 경고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부정확한 판단이 되므로 경고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관리자에게 알려 정확한 판단 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을 안거나 목줄을 이용해 데리고 탑승하는 승객은 다른 승객들에게 피해를 주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뱀이나 이구아나같이 많은 사람이 싫어하는 동물과 함께 탑승하게 되면 다른 승객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카메라(20)는 승객뿐만 아니라 애완동물도 인식하여 관리자에게 알려 탑승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20)는 만취한 승객이나 몸이 불편한 승객을 인식하여 관리자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무단패스 뿐만 아니라 역의 규정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거나 도움이 필요한 승객을 인식하여 관리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순서를 설명하도록 한다. 센서가 무단패스를 감지하면 경고수단을 통해 경고를 하고, 관리자에게 상황을 알린다. 경고는 스피커(40)를 통해 사람의 목소리로 경고하여 요금 결제를 권유할 수 있다. 무단패스한 승객이 경고 후에도 요금 결제를 하지 않았을 경우 카메라(20)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고, 승객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한 영상 및 정보는 서버에 저장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서버 20: 카메라
30: 발광부 40: 스피커
50: 마이크

Claims (2)

  1. 대중교통 수단의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요금 결제를 위한 결제수단;
    게이트의 입구와 출구에 배치되어 승객이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
    상기 결제수단에 의해 결제가 되지 않았는데 상기 센서가 승객이 통과하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경고를 하는 경고수단;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를 동시에 촬영하며, 무단패스를 감지하였을 때 무단패스가 감지된 상기 게이트와 무단패스를 한 승객을 집중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서 상기 무단패스한 승객의 얼굴을 캡쳐하고, 외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상기 무단패스한 승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단패스한 승객의 무단패스 이력을 업데이트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패스 감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는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해 관리자와 승객이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KR1020170015592A 2017-02-03 2017-02-03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KR10200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92A KR102004998B1 (ko) 2017-02-03 2017-02-03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92A KR102004998B1 (ko) 2017-02-03 2017-02-03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575A true KR20180090575A (ko) 2018-08-13
KR102004998B1 KR102004998B1 (ko) 2019-10-01

Family

ID=6325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592A KR102004998B1 (ko) 2017-02-03 2017-02-03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7531A (zh) * 2018-12-29 2019-05-17 三石量子(苏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人脸识别门禁系统
CN110782627A (zh) * 2019-09-23 2020-02-11 武汉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多人人脸识别的防走失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465A (ja) * 1997-04-10 1998-10-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定期券および定期券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
JP2002298168A (ja) * 2001-03-30 2002-10-11 Jr East Mechatronics Co Ltd 改札用受付端末
KR20030091547A (ko) * 2002-05-28 2003-12-03 안필현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JP2009205495A (ja) * 2008-02-28 2009-09-10 Omron Corp ゲー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465A (ja) * 1997-04-10 1998-10-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定期券および定期券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
JP2002298168A (ja) * 2001-03-30 2002-10-11 Jr East Mechatronics Co Ltd 改札用受付端末
KR20030091547A (ko) * 2002-05-28 2003-12-03 안필현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JP2009205495A (ja) * 2008-02-28 2009-09-10 Omron Corp ゲー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7531A (zh) * 2018-12-29 2019-05-17 三石量子(苏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人脸识别门禁系统
CN110782627A (zh) * 2019-09-23 2020-02-11 武汉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多人人脸识别的防走失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998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23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ke license plates of vehicles, 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JP6565083B2 (ja) 制限区域アクセスに対する制御および監視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148065B2 (ja) 顔認証システム
US20120076356A1 (en) Anomaly detection apparatus
KR102256802B1 (ko) 반사경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주차 불법 꼬리물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7534717B (zh) 图像处理装置及具有该图像处理装置的交通违章管理系统
KR101153980B1 (ko) 차량 감시 장치
JP201812051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BR102017028328A2 (pt) Processo de segurança e torre de segurança controlando veículos chegando em ponto de verificação
KR101538592B1 (ko) 차량번호 오인식 자동제어 주차관리시스템
KR20180090575A (ko) 무단패스 방지 시스템
KR101432111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장치 및 그 방법
JP6509691B2 (ja) 改札監視システム
KR101200028B1 (ko) 초소형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임승차자 추적 시스템
US10600264B2 (en) Tracked ticket validation and feedback system
JP6016411B2 (ja) 進入者検知システム、進入者検知方法、および進入者検知プログラム
KR101372365B1 (ko) 현금 인출기용 부정 금융 거래 시도 판단 장치
CN115690967A (zh) 门禁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994399B (zh) 访客管理系统和访客管理方法
JP2009205494A (ja) ゲート装置
US202203715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CN113744443B (zh) 一种闸机通道防欺骗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39404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5763967B2 (ja) 改札システム
KR101040791B1 (ko) 부정승하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