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795A - 견인 벨트 - Google Patents

견인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795A
KR20180089795A KR1020170014561A KR20170014561A KR20180089795A KR 20180089795 A KR20180089795 A KR 20180089795A KR 1020170014561 A KR1020170014561 A KR 1020170014561A KR 20170014561 A KR20170014561 A KR 20170014561A KR 20180089795 A KR20180089795 A KR 2018008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central
pulling
connecting memb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483B1 (ko
Inventor
장기용
강민영
Original Assignee
장기용
강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용, 강민영 filed Critical 장기용
Priority to KR102017001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483B1/ko
Priority to PCT/KR2017/002630 priority patent/WO2018143508A1/en
Priority to US15/776,079 priority patent/US11304839B2/en
Priority to CN201780004953.7A priority patent/CN108697522B/zh
Publication of KR2018008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3Constructive detail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는, 팽창에 의해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을 발생시키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 및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상기 우측 연결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한 중앙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견인 벨트{LIFTING BELT}
본 발명은 견인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인부가 늑골 및 골반 사이의 몸통에 밀착되어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견인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허리 견인 벨트는 골반과 허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 인장시킴으로써 추체(centrum) 간격을 견인하여 상체의 압력을 받지 못하도록 막아주어 변형된 디스크가 원상태로 회복되게 도와주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허리 견인 벨트는 대부분 공기 주입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벨트 내측에 세로 방향의 공기 통로가 여러 개 형성된 튜브를 구비하여 수축된 튜브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튜브가 팽창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늘어나 허리를 견인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허리 견인 벨트는 공기 주입 시 수축된 튜브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내외측 방향으로도 그 부피가 커져 복부를 압박함으로써 복부가 답답하고 장이 눌려 소화불량을 발생시키고 혈액순환 장애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든 공기통로가 서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이 눌리면 다른 부분으로 공기압이 집중되어 자칫 잘못하면 오히려 디스크가 더욱 악화하고, 특히 허리를 움직일 경우 견인되었던 어느 한 부분이 다시 수축되므로 그 순간 견인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견인 벨트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2월 21일에 출원된 KR 10-2012-0017357에는 '관절을 구비한 허리 견인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견인부가 늑골 및 골반 사이의 몸통에 밀착되어 착용감을 증가시키고,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견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몸통의 중앙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견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견인부를 몸통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는 견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중앙 연결부가 견인부에 중첩되거나 좌측 연결부와 우측 연결부가 중앙 연결부 상에서 서로 중첩되게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견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는, 팽창에 의해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을 발생시키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 및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상기 우측 연결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한 중앙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중앙 연결부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른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의 연결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표시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표시 부재는 상기 중앙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좌측 연결부의 테두리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의 테두리를 지시하는 곡선 및 상기 곡선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표기하는 언어 표시(lexical indici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는, 테두리가 상기 곡선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곡선은 상기 원형의 일부인 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 제2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후크 앤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후크 부분으로 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분으로 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는, 상기 견인부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테두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표시 부재까지의 거리 및 상기 테두리 부재의 폭의 합은 상기 중앙 연결부의 총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견인부는,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체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 및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 사이에서 상기 견인부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된 복수 개의 차단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은 허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전방부터 후방까지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 중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에 가장 근접한 팽창 구획까지의 거리는 상기 중앙 연결부의 총 길이의 1/2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상기 우측 연결부는, 상기 견인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상단에 연결된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견인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하단에 연결된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1 중앙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중앙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견인부가 늑골 및 골반 사이의 몸통에 밀착되어 착용감을 증가시키고,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몸통의 중앙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견인부를 몸통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중앙 연결부가 견인부에 중첩되거나 좌측 연결부와 우측 연결부가 중앙 연결부 상에서 서로 중첩되게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의 외측면을 도시한다.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의 내측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가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의 외측면을 도시하고,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의 내측면을 도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가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브(10)는 견인부(100), 좌측 연결부(200), 우측 연결부(300) 및 중앙 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100)는 팽창에 의해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도 2a를 참조하여, 견인부(100)는 사용자의 몸통을 따라 좌우 방향(X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Y방향) 연장된 높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100)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 및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은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또는 견인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구획(110)의 일단은 견인부(100)의 상단(10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팽창 구획(110)의 타단은 견인부(100)의 하단(10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은 견인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또는 견인부(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중 일부는 견인부(100)의 좌측 단부 또는 좌측 연결부(20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중 다른 일부는 견인부(100)의 우측 단부 또는 우측 연결부(3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은 유체 주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의 팽창에 의해 견인부(100)에서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은 허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전방부터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중 일부는 허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중 나머지 일부는 허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이 팽창되는 경우 골반과 늑골 사이의 허리 옆면에 견인력을 잘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중 인접한 팽창 구획(110) 사이 공간에는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은 척추의 길이방향 또는 견인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견인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에는 유체가 주입되지 않으므로, 견인부(100)에 유체 주입 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만 팽창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및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의 배치에 의해 견인부(10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공기 기둥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 중 인접한 차단 구획(120) 사이 공간을 통하여 하나의 팽창 구획(110)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하나의 팽창 구획(110)으로 유체가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10)에서는 우측 연결부(300)에 유체 주입 부재(350)가 배치되므로, 유체 주입 부재(350)에 주입된 유체는 방향성을 갖고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술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및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은 다음과 같이 견인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크기의 직물 레이어 두 개를 겹친 후에, 일정한 위치에 고주파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이 형성되고, 직물 레이어에서 고주파에 의해 접착되지 않은 공간에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견인부(100)에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및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견인부(100)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공기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사이에서 견인부(100)의 상단에 인접하게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은 견인부(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절개 구획(130)의 절개 폭은 견인부(100)의 상단(102)으로부터 하단(104)을 향하여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은 견인부(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 사이에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팽창 구획(110)이 배치될 수 있다.
견인부(100)에 유체가 주입되면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이 견인부(100)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절개 구획(130)의 절개 폭이 좁아지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견인부(100)의 상단 길이가 견인부(200)의 하단 길이보다 짧아지게 될 수 있다.
전술된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에 의해 견인 벨트(1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 허리 위쪽 부분 또는 복부 위쪽 부분에서 견인부(100)에 의한 압박이 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a를 참조하여, 견인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는 견인부(10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플랩 부재(140)가 견인부(10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경우, 복수 개의 플랩 부재(140) 중 하나는 견인부(100)의 상단(102)으로부터 견인부(100)의 중앙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플랩 부재(140) 중 다른 하나는 견인부(100)의 하단(104)으로부터 견인부(100)의 중앙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플랩 부재(140)가 견인부(10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경우, 하나의 플랩 부재(140)는 견인부(100)의 상단(102)으로부터 하단(104)을 향하여 연장되거나, 견인부(100)의 하단(104)으로부터 상단(102)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2a를 다시 참조하여, 견인부(100)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내에서 팽창 구획(110)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의 팽창에 의해 인장 변형되고, 탄성 부재(150)의 수축에 의해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가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견인부(100)의 좌우측에는 각각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연결부(200)는 견인 벨트(10)가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우측 연결부(300)는 견인 벨트(10)가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는 견인부(100)를 기준으로 서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연결부(200)는 견인부의 좌측에서 상단에 연결된 제1 좌측 연결 부재(210) 및 견인부의 좌측에서 하단에 연결된 제2 좌측 연결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측 연결부(300)는 견인부의 우측에서 상단에 연결된 제1 우측 연결 부재(310) 및 견인부의 우측에서 하단에 연결된 제2 우측 연결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10)는 좌측 연결부(200)가 제1 좌측 연결 부재(210) 및 제2 좌측 연결 부재(220)를 포함하고, 우측 연결부(300)가 제1 우측 연결 부재(310) 및 제2 우측 연결 부재(320)를 포함하는 더블 벨트 타입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몸통에 최대한 밀착되게 착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허리 굴곡에 의해서 허리 위쪽 부분의 둘레가 허리 아래쪽 부분의 둘레보다 작기 때문에, 견인부(100)의 상단 길이와 견인부(200)의 하단 길이가 같게 되면, 견인부(100)의 상단이 허리 위쪽 부분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견인부(100)에서 발생된 견인력이 사용자에게 잘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 좌측 연결 부재(210) 및 제1 우측 연결 부재(310)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견인부(100)의 상단 총 길이가 허리 위쪽 부분의 둘레에 대응되게 하고, 제2 좌측 연결 부재(220) 및 제2 우측 연결 부재(320)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견인부(100)의 하단 총 길이가 허리 아래쪽 부분의 둘레에 대응되게 함으로써 견인부(100)를 허리 부분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고, 견인부(100)에서 발생된 견인력이 사용자에게 잘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도 2a를 참조하여, 좌측 연결부(200) 또는 우측 연결부(300)는 견인부(100)의 상단(102) 및 하단(104)으로부터 연장되어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좌측 테두리 부재(230) 및 우측 테두리 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테두리 부재(230)는 견인부(100)의 상단(102) 및 하단(104)으로부터 연장되어 좌측 연결부(200), 예를 들어 제1 좌측 연결부(210) 및 제2 좌측 연결부(220)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고, 우측 테두리 부재(330)는 견인부(100)의 상단(102) 및 하단(104)으로부터 연장되어 우측 연결부(300), 예를 들어 제1 우측 연결부(310) 및 제2 우측 연결부(320)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3a를 참조하여, 좌측 연결부(200) 또는 우측 연결부(300)는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부재는 후크 앤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에서 후크 부분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좌측 연결부(200)에 구비된 제1 좌측 고정 부재(240) 및 우측 연결부(300)에 구비된 제1 우측 고정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좌측 고정 부재(240)는 제1 좌측 연결 부재(210)의 내측면 및 제2 좌측 연결 부재(220)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제1 우측 고정 부재(340)는 제1 우측 연결 부재(310)의 내측면 및 제2 우측 연결 부재(320)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좌측 고정 부재(240) 및 제1 우측 고정 부재(340)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연결부(200)에 구비된 좌측 테두리 부재(230)의 일부는 제1 좌측 고정 부재(240)의 테두리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 연결부(200)의 단부 곡률이 제1 좌측 고정 부재(240)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측 연결부(300)에 구비된 우측 테두리 부재(330)의 일부는 제1 우측 고정 부재(340)의 테두리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 연결부(300)의 단부 곡률이 제1 우측 고정 부재(340)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중앙 연결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연결부(400)는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앙 연결 부재(410)는 제1 좌측 연결 부재(210) 및 제1 우측 연결 부재(3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중앙 연결 부재(420)는 제2 좌측 연결 부재(220) 및 제2 우측 연결 부재(32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는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몸통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2b를 참조하여,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의 양단부는 곡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곡선 형상의 곡률은 제1 좌측 고정 부재(240) 및 제1 우측 고정 부재(340)의 테두리 곡률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중앙 연결부(400), 예를 들어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의 외측면에는 제2 고정 부재(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430)는 전술된 제1 좌측 고정 부재(240) 및 제1 우측 고정 부재(340)와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 부재(430)는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분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의 외측면 전체가 루프 부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반면, 도 3b를 참조하여,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몸통과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요철 없이 매끄러운 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의 양단부 곡률과 제1 좌측 고정 부재(240) 및 제1 우측 고정 부재(340)의 테두리 곡률이 서로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의 외측면 전체에 제2 고정 부재(430)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되도록 제1 좌측 고정 부재(240) 및 제1 우측 고정 부재(340)와 제2 고정 부재(430)를 부착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사이즈 조절 시에 사용자의 몸통 중앙에 정확한 정렬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때, 제1 좌측 고정 부재(240) 및 제1 우측 고정 부재(340)가 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제1 좌측 고정 부재(240) 및 제1 우측 고정 부재(340)와 제2 고정 부재(430)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다시 도 2b를 참조하여,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에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른 좌측 연결부(도 2a의 200) 또는 우측 연결부(도 2의 300)의 연결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부재(44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표시 부재(440)는 중앙 연결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 개의 표시 부재(440)가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에 모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 중 하나에만 구비되거나, 제1 중앙 연결 부재(410)의 양단부 중 어느 한 단부 또는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의 양단부 중 어느 한 단부에만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표시 부재(440)는 좌측 연결부(200)의 테두리 또는 우측 연결부(300)의 테두리를 지시하는 제1 곡선(442) 및 상기 곡선(442)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표기하는 언어 표시(lexical indicia; 44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곡선(442)은 좌측 연결부(200)의 좌측 테두리 부재(230) 또는 우측 연결부(300)의 우측 테두리 부재(330)가 연결되어야 하는 위치를 지시하고, 제1 곡선(442)은 원형의 일부인 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곡선(442)의 곡률은 좌측 연결부(200)의 양단부의 곡률 또는 우측 연결부(300)의 양단부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곡선(442)의 곡률은 제1 좌측 고정 부재(240) 및 제1 우측 고정 부재(340)의 곡률과도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어 표시(444)는 예를 들어 27인치, 28인치, 29인치, 30인치 등과 같이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를 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 표시(444)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게다가, 표시 부재(440)는 제2 곡선(4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곡선(446)는 제1 좌측 고정 부재(240) 및 제1 우측 고정 부재(340)에서 견인부(100)에 인접하는 테두리가 연결되는 위치를 지시하며, 제2 곡선(446)의 곡률은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의 양단부 곡률에 대응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중앙 연결부(400)가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중앙 연결부(400)에 표시 부재(440)가 포함됨으로써 견인 벨트(10)를 중앙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게다가,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중앙 연결부(400)의 단부로부터 표시 부재(440)까지의 거리(L1) 및 테두리 부재(230, 330)의 폭(L2)의 합은 중앙 연결부(400)의 총 길이(L3)의 1/2보다 작거나 같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연결부(400)의 단부로부터 복수 개의 표시 부재(440) 중 최소 사이즈를 나타내는 표시 부재(440)까지의 거리 및 테두리 부재(230, 330)의 폭의 합은 중앙 연결부(400)의 총 길이(L3)의 1/2와 같게 될 수 있고, 중앙 연결부(400)의 단부로부터 복수 개의 표시 부재(440) 중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나타내는 표시 부재(440)까지의 거리 및 테두리 부재(230, 330)의 폭의 합은 중앙 연결부(400)의 총 길이(L3)의 1/2보다 작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견인 벨트(10)가 최소 사이즈로 장착되는 경우,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가 서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착용감 및 밀착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연결부(200) 또는 우측 연결부(300)의 단부로부터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중 좌측 연결부(200) 또는 우측 연결부(300)에 가장 근접한 팽창 구획까지의 거리(L4)는 중앙 연결부(400)의 총 길이(L3)의 1/2보다 크거나 같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견인 벨트(10)가 최소 사이즈로 장착되는 경우, 중앙 연결부(400)와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이 서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또한 착용감 및 밀착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견인부(100)에 의해 발생된 견인력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10)가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제1 좌측 연결 부재(210) 및 제1 우측 연결 부재(310)가 제1 중앙 연결 부재(410)에 부착되고, 제2 좌측 연결 부재(220) 및 제2 우측 연결 부재(320)가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앙 연결 부재(410)에서 외부에 노출된 길이가 제2 중앙 연결 부재(410)에서 외부에 노출된 길이보다 짧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좌측 연결 부재(210) 및 제1 우측 연결 부재(310)가 제1 중앙 연결 부재(410)에 부착된 후에 제2 좌측 연결 부재(220) 및 제2 우측 연결 부재(320)를 아래로 잡아 당겨서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에 부착시켜, 사용자의 골반과 늑골 사이 허리 옆면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의 외측면에 구비된 표시 부재(440)에 의해 중앙 배치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제1 중앙 연결 부재(410) 및 제2 중앙 연결 부재(420)의 외측면에 제2 고정 부재(430)가 구비되어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와 중앙 연결부(400)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견인 벨트
100: 견인부
102: 상단
104: 하단
110: 복수 개의 팽창 구획
120: 복수 개의 차단 구획
130: 복수 개의 절개 구획
140: 복수 개의 플랩 부재
200: 좌측 연결부
210: 제1 좌측 연결 부재
220: 제2 좌측 연결 부재
230: 좌측 테두리 부재
240: 제1 좌측 고정 부재
300: 우측 연결부
310: 제1 우측 연결 부재
320: 제2 우측 연결 부재
330: 우측 테두리 부재
340: 제1 우측 고정 부재
350: 유체 주입 부재
400: 중앙 연결부
410: 제1 중앙 연결 부재
420: 제2 중앙 연결 부재
430: 제2 고정 부재
440: 표시 부재
442: 제1 곡선
444: 언어 표시
446: 제2 곡선

Claims (14)

  1. 팽창에 의해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을 발생시키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 및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상기 우측 연결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한 중앙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견인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결부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른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의 연결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부재를 포함하는 견인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표시 부재는 상기 중앙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견인 벨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부재는 상기 좌측 연결부의 테두리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의 테두리를 지시하는 곡선 및 상기 곡선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표기하는 언어 표시(lexical indicia)를 포함하는 견인 벨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는,
    테두리가 상기 곡선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제1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견인 벨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곡선은 상기 원형의 일부인 호 형상으로 마련되는 견인 벨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 제2 고정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견인 벨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후크 앤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후크 부분으로 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후크 앤 루프 패스너의 루프 부분으로 되는 견인 벨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는,
    상기 견인부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테두리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표시 부재까지의 거리 및 상기 테두리 부재의 폭의 합은 상기 중앙 연결부의 총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은 견인 벨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체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 및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 사이에서 상기 견인부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된 복수 개의 차단 구획;
    을 포함하는 견인 벨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은 허리의 측면을 중심으로 전방부터 후방까지 배치되는 견인 벨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 중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상기 우측 연결부에 가장 근접한 팽창 구획까지의 거리는 상기 중앙 연결부의 총 길이의 1/2보다 크거나 같은 견인 벨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상기 우측 연결부는,
    상기 견인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상단에 연결된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견인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하단에 연결된 제2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견인 벨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1 중앙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중앙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견인 벨트.
KR1020170014561A 2017-02-01 2017-02-01 견인 벨트 KR10196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561A KR101965483B1 (ko) 2017-02-01 2017-02-01 견인 벨트
PCT/KR2017/002630 WO2018143508A1 (en) 2017-02-01 2017-03-10 Lifting belt
US15/776,079 US11304839B2 (en) 2017-02-01 2017-03-10 Lifting belt
CN201780004953.7A CN108697522B (zh) 2017-02-01 2017-03-10 提升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561A KR101965483B1 (ko) 2017-02-01 2017-02-01 견인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95A true KR20180089795A (ko) 2018-08-09
KR101965483B1 KR101965483B1 (ko) 2019-04-03

Family

ID=6304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561A KR101965483B1 (ko) 2017-02-01 2017-02-01 견인 벨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04839B2 (ko)
KR (1) KR101965483B1 (ko)
CN (1) CN108697522B (ko)
WO (1) WO2018143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4337S1 (en) * 2021-10-14 2024-04-23 Thomas LIZOTTE Pectus carinatum br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3620A (en) * 1994-07-01 1996-04-02 Charm-Tex Inc. Back support belt apparatus and method
US20030149390A1 (en) * 2002-01-17 2003-08-07 Diane Lee Specific pelvic compression belt
KR20070018407A (ko) * 2005-08-10 2007-02-14 장익춘 상하 테두리단이 외측으로 벌이짐을 방지토록 되는허리벨트
KR20120110814A (ko) * 2011-03-30 2012-10-10 현대메디칼 주식회사 디스크 치료용 벨트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1067A (en) * 1917-11-27 1918-12-05 Frederic Georges Baugatz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bdominal Belts or Bands.
US4135503A (en) * 1977-01-05 1979-01-23 Romano Nicholas A Orthopedic device
US4178922A (en) * 1977-09-23 1979-12-18 Curlee James D Therapeutic belt
US4836194A (en) * 1986-08-29 1989-06-06 Safeguard Industrial Corporation Therapeutic lumbosacral appliance
AU622098B3 (en) * 1991-08-09 1992-02-13 James Gregory A sports support belt
US5728055A (en) * 1996-01-30 1998-03-17 Fisher Scientific Company Therapeutic lumbosacral appliance
GB2339140A (en) * 1998-06-07 2000-01-19 William Duffy Lumbar support belt
KR200193763Y1 (ko) 2000-03-10 2000-08-16 송일한 허리치수가 표시되는 다이어트 벨트
US20070073204A1 (en) * 2005-09-23 2007-03-29 Daniel Suarez Orthopedic brace with improved closure
FR2910270B1 (fr) * 2006-12-20 2012-11-16 Paul Hartmann Sa Ceinture orthopedique, en particulier ceinture lombaire, munie de moyens d'indication de taille
US8012113B2 (en) * 2007-03-12 2011-09-06 Disc Disease Solutions, Inc. Spinal brace
US9136891B2 (en) * 2011-12-12 2015-09-15 John W. Bogdan Adaptive data decoding
CN104068954B (zh) * 2009-02-26 2017-09-19 欧苏尔公司 用于治疗背部的矫形装置
US20100262056A1 (en) * 2009-04-09 2010-10-14 X-Back Bracing Services, Inc. Back brace
KR100997574B1 (ko) * 2010-01-20 2010-11-30 김진열 디스크 치료용 벨트
CN105395300B (zh) * 2011-01-11 2018-05-22 王江 单侧回缩的膨胀带及其制作方法
US8864695B2 (en) * 2011-04-04 2014-10-21 Todd M. Thornton Adjustable brace apparatus
FR2975894B1 (fr) * 2011-05-31 2013-06-14 Pierre Chabloz Corset pour lombalgie
KR101340377B1 (ko) 2012-02-21 2013-12-16 유인섭 관절을 구비한 허리 견인 벨트
FR2992168B1 (fr) * 2012-06-21 2015-07-17 Thuasne Dispositif de serrage d'un vetement medical et systeme orthopediqu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 serrage
US9655761B2 (en) * 2012-11-12 2017-05-23 Djo, Llc Orthopedic back brace
US10143583B2 (en) * 2015-01-16 2018-12-04 Corflex, Inc. Lumbar brace
CN104800045A (zh) * 2015-05-05 2015-07-29 王文军 一种腰椎牵引固定腰带
KR101563149B1 (ko) 2015-05-11 2015-10-27 (주)메이드원 의료용 복대
KR101958522B1 (ko) * 2016-07-22 2019-03-14 장기용 견인 벨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3620A (en) * 1994-07-01 1996-04-02 Charm-Tex Inc. Back support belt apparatus and method
US20030149390A1 (en) * 2002-01-17 2003-08-07 Diane Lee Specific pelvic compression belt
KR20070018407A (ko) * 2005-08-10 2007-02-14 장익춘 상하 테두리단이 외측으로 벌이짐을 방지토록 되는허리벨트
KR20120110814A (ko) * 2011-03-30 2012-10-10 현대메디칼 주식회사 디스크 치료용 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483B1 (ko) 2019-04-03
US11304839B2 (en) 2022-04-19
CN108697522A (zh) 2018-10-23
US20200281752A1 (en) 2020-09-10
CN108697522B (zh) 2021-08-13
WO2018143508A1 (en)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522B1 (ko) 견인 벨트
JP5356475B2 (ja) 位置保持の改良された圧縮スリーブ
US11547153B2 (en) Athletic garment with integral cup assembly
CN100409805C (zh) 箍带装置和包括该箍带装置的血压计
CN104936559A (zh) 膝盖骨保持设备和膝盖矫正器
EP3088258B1 (en) Air belt and air belt device
JP2011011046A (ja) イモビライザー機能を有する医療用ポジショナー
US20120272440A1 (en) Athletic garment with integral cup assembly
KR101965483B1 (ko) 견인 벨트
CN104800045A (zh) 一种腰椎牵引固定腰带
CN117679228A (zh) 用于支架的可调节支撑物
CN201519219U (zh) 一种腰部牵引固定器
KR20120110814A (ko) 디스크 치료용 벨트
EP3265039B1 (en) Limb support and limb support fastening arrangement
JP2016060978A (ja) 骨盤サポート装具
JP2014061134A (ja) 筋力補助具
JPWO2018173098A1 (ja) 骨盤用ベルト
JP2017038815A (ja) 身体装着用具
CN215019899U (zh) 骨折牵引支具
JP2773832B2 (ja) 骨盤の矯正補助具
JPH11253474A (ja) コルセットベルト
CN217566500U (zh) 一种髋关节约束装置
TW202317049A (zh) 改良頸部固定裝置
TWM646056U (zh) 用於脊椎矯正之氣囊結構
JP2022108369A (ja) 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