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522B1 - 견인 벨트 - Google Patents

견인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522B1
KR101958522B1 KR1020160135230A KR20160135230A KR101958522B1 KR 101958522 B1 KR101958522 B1 KR 101958522B1 KR 1020160135230 A KR1020160135230 A KR 1020160135230A KR 20160135230 A KR20160135230 A KR 20160135230A KR 101958522 B1 KR101958522 B1 KR 10195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traction
rti
tow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937A (ko
Inventor
장기용
강민영
Original Assignee
장기용
강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용, 강민영 filed Critical 장기용
Priority to PCT/KR2016/01402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16692A1/en
Priority to US15/777,913 priority patent/US11123213B2/en
Priority to CN201680074859.4A priority patent/CN108430399B/zh
Publication of KR2018001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는, 팽창에 의해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을 발생시키는 견인부; 및 상기 견인부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연결 가능한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견인 벨트{LIFTING BELT}
본 발명은 견인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 주입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척추가 견인되고, 사용자의 허리 굴곡 또는 허리 움직임에 대응하여 탄력 있게 변형되어 허리 주변 근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견인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허리 견인 벨트는 골반과 허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 인장 시킴으로써 추체(centrum) 간격을 견인하여 상체의 압력을 받지 못하도록 막아주어 변형된 디스크가 원상태로 회복되게 도와주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허리 견인 벨트는 대부분 공기 주입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벨트 내측에 세로 방향의 공기 통로가 여러 개 형성된 튜브를 구비하여 수축된 튜브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튜브가 팽창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늘어나 허리를 견인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허리 견인 벨트는 공기 주입 시 수축된 튜브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수직 방향뿐 아니라 내외측 방향으로도 그 부피가 커져 복부를 압박함으로써 복부가 답답하고 장이 눌려 소화불량을 발생시키고 혈액순환 장애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든 공기통로가 서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이 눌리면 다른 부분으로 공기압이 집중되어 자칫 잘못하면 오히려 디스크가 더욱 악화하고, 특히 허리를 움직일 경우 견인되었던 어느 한 부분이 다시 수축되므로 그 순간 견인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견인 벨트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2월 21일에 출원된 KR 10-2012-0017357에는 '관절을 구비한 허리 견인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척추가 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유체 압력 또는 견인력이 상하 방향으로만 전달되어 사용자의 상반신의 무게를 수직으로 견인할 수 있는 견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척추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견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허리 굴곡 또는 허리 움직임에 대응하여 탄력 있게 변형되어 허리 주변 근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견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유체 주입에 의해 견인부의 상하단의 테두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복부에 전달되는 압박을 해소할 수 있는 견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바람직한 착용 위치를 제시하여, 척추의 견인 효과 및 허리 주변 근육의 지지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견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수술 전후의 허리 디스크 환자, 급성/만성 염좌 환자, 장시간 좌식 생활을 하여 자세 교정이 필요한 수험생/직장인/운전자 또는 재활이 필요한 운동선수 등과 같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적용되어 디스크의 보호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견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는, 팽창에 의해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을 발생시키는 견인부; 및 상기 견인부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연결 가능한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의 상단의 길이는 하단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체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 사이에서 상기 견인부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절개 구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 구획의 절개 폭은 상기 견인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의 팽창에 의해 상기 절개 구획의 절개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 사이에서 상기 견인부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된 복수 개의 차단 구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견인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의 총 높이는 상기 견인부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견인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플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 부재는, 상기 견인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견인부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랩 부재; 및 상기 견인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견인부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우측 연결부는, 상기 견인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주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주입 부재의 하단 형상은 타원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유체 주입 부재의 하단에서 장축은 상기 견인부의 상단 또는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는, 상기 견인부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견인부의 형상 변화에 의해 변형 또는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는 상기 견인부를 기준으로 서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탈부착 가능한 중앙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상기 우측 연결부는 복수 개의 지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시 부재는, 상기 좌측 연결부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1 지시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부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2 지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부재 및 상기 제2 지시 부재 사이에 상기 중앙 연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에 의하면, 척추가 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유체 압력 또는 견인력이 상하 방향으로만 전달되어 사용자의 상반신의 무게를 수직으로 견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에 의하면, 척추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견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허리 굴곡 또는 허리 움직임에 대응하여 탄력 있게 변형되어 허리 주변 근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에 의하면, 유체 주입에 의해 견인부의 상하단의 테두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복부에 전달되는 압박을 해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바람직한 착용 위치를 제시하여, 척추의 견인 효과 및 허리 주변 근육의 지지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에 의하면, 수술 전후의 허리 디스크 환자, 급성/만성 염좌 환자, 장시간 좌식 생활을 하여 자세 교정이 필요한 수험생/직장인/운전자 또는 재활이 필요한 운동선수 등과 같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적용되어 디스크의 보호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를 도시하고, 이때 견인부에 유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2a 및 2b는 중앙 연결부 일체형 및 중앙 연결부 분리형을 도시한다.
도 3은 유체 주입 부재에 유체 주입 장치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a 및 4b는 유체 주입 부재의 하단 형상이 각각 원형 및 타원형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를 도시하고, 이때 견인부에 유체가 주입된 상태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를 도시하고, 이때 견인부에 유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이고, 도 2a 및 2b는 중앙 연결부 일체형 및 중앙 연결부 분리형을 도시하고, 도 3은 유체 주입 부재에 유체 주입 장치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a 및 4b는 유체 주입 부재의 하단 형상이 각각 원형 및 타원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를 도시하고, 이때 견인부에 유체가 주입된 상태이다.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10)는 견인부(100), 좌측 연결부(200), 우측 연결부(300) 및 중앙 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10)의 외측면을 도시하고,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10)의 내측면을 도시하며,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10)에서 우측 연결부(300)와 중앙 연결부(400)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견인부(100)는 유체가 주입되기 전 전체적으로 주름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견인부(100)의 상단(102) 및 하단(104)은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압력을 주지 않도록 파이핑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견인부(100)는 사용자의 몸통을 따라 좌우 방향(X축)으로 연장된 길이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Y축)으로 연장된 높이를 구비할 수 있다.
견인부(100)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 및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은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또는 견인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구획(110)의 일단은 견인부(100)의 상단(10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팽창 구획(110)의 타단은 견인부(100)의 하단(10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은 견인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또는 견인부(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중 일부는 견인부(100)의 좌측 단부 또는 좌측 연결부(20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중 다른 일부는 견인부(100)의 우측 단부 또는 우측 연결부(3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은 유체 주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의 팽창에 의해 견인부(100)에서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중 인접한 팽창 구획(110) 사이 공간에는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은 척추의 길이방향 또는 견인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견인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1a에는 인접한 팽창 구획(110) 사이 공간에 세 개 또는 네 개의 차단 구획(120)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차단 구획(120)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된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에는 유체가 주입되지 않으므로, 견인부(100)에 유체 주입 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만 팽창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및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의 배치에 의해 견인부(10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공기 기둥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 중 인접한 차단 구획(120) 사이 공간을 통하여 하나의 팽창 구획(110)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하나의 팽창 구획(110)으로 유체가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10)에서는 우측 연결부(300)에 유체 주입 부재(320)가 배치되므로, 유체 주입 부재(320)에 주입된 유체는 방향성을 갖고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술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및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은 다음과 같이 견인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크기의 직물 레이어 두 개를 겹친 후에, 일정한 위치에 고주파를 이용하여 접착함으로써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이 형성되고, 직물 레이어에서 고주파에 의해 접착되지 않은 공간에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견인부(100)에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및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견인부(100)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공기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사이에서 견인부(100)의 상단에 인접하게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은 견인부(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절개 구획(130)의 절개 폭은 견인부(100)의 상단(102)으로부터 하단(104)을 향하여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은 견인부(1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 사이에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팽창 구획(110)이 배치될 수 있다.
견인부(100)에 유체가 주입되면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이 견인부(100)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절개 구획(130)의 절개 폭이 좁아지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견인부(100)의 상단 길이가 견인부(100)의 하단 길이보다 짧아지게 될 수 있다.
전술된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에 의해 견인 벨트(1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 허리 위쪽 부분 또는 복부 위쪽 부분에서 견인부(100)에 의한 압박이 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허리 굴곡에 의해서 허리 위쪽 부분의 둘레가 허리 아래쪽 부분의 둘레보다 작기 때문에, 견인부(100)의 상단 길이와 견인부(100)의 하단 길이가 같게 되면, 견인부(100)의 상단이 허리 위쪽 부분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견인부(100)에서 발생된 견인력이 사용자에게 잘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견인부(100)의 상단 길이가 견인부(100)의 하단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필요성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10)는 견인부(100)의 상단에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을 형성함으로써 견인부(100)의 상단 길이가 견인부(100)의 하단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게 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견인부(100)의 상단 길이가 견인부(100)의 하단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견인부(100)의 상단에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을 오므려서 견인부(100)의 상단을 파이핑 처리함으로써 견인부(100)의 상단 길이가 견인부(100)의 하단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여, 견인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는 견인부(10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플랩 부재(140)가 견인부(10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경우, 복수 개의 플랩 부재(140)는 견인부(100)의 상단(102)으로부터 견인부(100)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랩 부재(142) 및 견인부(100)의 하단(104)으로부터 견인부(100)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랩 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플랩 부재(140)가 견인부(10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경우, 하나의 플랩 부재(140)는 견인부(100)의 상단(102)으로부터 하단(104)을 향하여 연장되거나, 견인부(100)의 하단(104)으로부터 상단(102)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의 총 높이는 견인부(100)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의 총 높이는 예를 들어, 제1 플랩 부재(142) 및 제2 플랩 부재(144)의 높이의 합 또는 하나의 플랩 부재(140)의 전체 높이를 가리키고, 견인부(100)의 높이는 견인부(100)에 유체가 주입되기 전 또는 견인부(100)에 유체가 주입된 후 견인부(100)의 상하 방향 높이를 가리킬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의 총 높이는 견인부(100)에 유체가 주입되기 전 견인부(100)의 높이, 즉 견인부(100)의 상단(102)과 하단(104)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는 견인 벨트(10) 착용 시 사용자가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의 울퉁불퉁함에 의해 느끼는 불편함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만약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의 총 높이가 견인부(10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 견인부(100)의 팽창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가 오버랩된 상태여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불편함은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압박 또는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140)는 예를 들어 세무 재질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몸통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견인부(100)는 견인부(100)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견인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견인부(100)의 상단(102)으로부터 하단(104)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50)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 내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의 팽창에 의해 인장 변형되고, 탄성 부재(150)의 수축에 의해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전술된 견인부(100)의 좌우측에는 각각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연결부(200)는 견인부(100)의 좌측에 연결될 수 있고, 우측 연결부(300)는 견인부(100)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는 중앙 연결부(40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는 견인부(100)를 기준으로 서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앙 연결부(400)는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탈부착될 수 있다. 중앙 연결부(400)에 좌측 연결부(200) 또는 우측 연결부(300)가 탈부착되는 위치에 따라서 중앙 연결부(400)가 외부에 노출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연결부(200)와 중앙 연결부(400)가 일체형으로 마련된 경우, 중앙 연결부(400)의 외측면과 우측 연결부(300)의 내측면에 벨크로(V)가 구비되어, 중앙 연결부(400)의 외측면에 구비된 벨크로(V)에 우측 연결부(300)의 내측면에 구비된 벨크로(V)가 부착됨으로써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앙 연결부(400)를 분실할 위험이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연결부(200)와 중앙 연결부(400)가 분리형으로 마련된 경우, 중앙 연결부(400)의 외측면에 벨크로(V)가 구비되고,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의 내측면에 벨크로(V)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앙 연결부(400)의 외측면에 구비된 벨크로(V)에 좌측 연결부(200)의 내측면에 구비된 벨크로(V) 및 우측 연결부(300)의 내측면에 구비된 벨크로(V)가 각각 부착됨으로써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앙 연결부(400)가 외부에 노출된 길이는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의 단부에 대하여 서로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중앙 연결부(400)에 의해 견인부(100)에서 발생된 견인력이 상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는 복수 개의 지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시 부재는 좌측 연결부(200)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1 지시 부재(210) 및 우측 연결부(300)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2 지시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시 부재(210) 및 제2 지시 부재(310)는 서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1c를 참조하여, 좌측 연결부(200) 및 우측 연결부(300)가 서로 연결된 상태 또는 견인 벨트(10)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제1 지시 부재(210) 및 제2 지시 부재(310) 사이에 중앙 연결부(4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지시 부재(210) 및 제2 지시 부재(310)의 위치 또는 중앙 연결부(40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견인 벨트(10)의 올바르게 착용되었는지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연결부(400)의 위치를 복부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견인 벨트(10)를 올바르게 착용할 수 있으며, 이는 견인부(100)에서 발생된 견인력이 척추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할 수 있어, 척추의 견인 효과 및 허리 주변 근육의 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좌측 연결부(200) 또는 우측 연결부(300)는 견인부(100)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주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우측 연결부(300)에 유체 주입 부재(320)가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유체 주입 부재(320)에는 유체 주입 장치(A)가 연결될 수 있다. 유체 주입 장치(A)는 유체 주입 부재(320)에 유체, 예를 들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유체 주입 부재(320)에 주입된 유체는 우측 연결부(300)에 인접하게 배치된 팽창 구획(110)부터 좌측 연결부(200)에 인접하게 배치된 팽창 구획(110)을 향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을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유체 주입 부재(320)의 하단(322)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유체 주입 부재(320)의 하단(322) 형상에 따라서 견인 벨트(10)를 제작하는 직물 레이어의 마모 정도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레이어의 마모 정도가 심해지면, 유체 주입 부재(320)에 인접한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을 통해 유체 주입 부재(320)에 주입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특히,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주입 부재(320)의 하단(322) 형상이 타원형인 경우, 유체 주입 부재(320)의 하단(322)에서 장축(MA)이 견인부(100)의 상단(102) 또는 하단(104)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유체 주입 부재(320)의 하단(322) 형상이 원형인 경우보다 직물 레이어의 편평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직물 레이어에 대한 압력 또는 하중이 분산되고, 견인 벨트(10)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직물 레이어의 마모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직물 레이어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여, 견인부(100)에 유체가 주입되면,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이 상하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고, 사용자의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이 발생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의 좌우 방향으로의 팽창은 복수 개의 차단 구획(120) 또는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척추가 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이 상하 방향으로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상반신의 무게를 수직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허리 통증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에 의해 공기 기둥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 굴곡 또는 허리 움직임에 대응하여 탄력 있게 변형되어 허리 주변 근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절개 구획(130)에 의해 복수 개의 팽창 구획(110)의 팽창 시, 견인부(100)의 상단(102) 길이가 하단(104) 길이보다 짧게 되어, 유체 주입에 의해 견인부(100)의 상하단의 테두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견인부(100)가 사용자의 몸체에 밀착되어 견인력을 사용자의 척추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벨트는 수술 전후의 허리 디스크 환자, 급성/만성 염좌 환자, 장시간 좌식 생활을 하여 자세 교정이 필요한 수험생/직장인/운전자 또는 재활이 필요한 운동선수 등과 같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적용되어 디스크의 보호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견인 벨트
100: 견인부
110: 복수 개의 팽창 구획
120: 복수 개의 차단 구획
130: 복수 개의 절개 구획
140: 플랩 부재
150: 탄성 부재
200: 좌측 연결부
210: 제1 지시 부재
300: 우측 연결부
310: 제2 지시 부재
320: 유체 주입 부재
400: 중앙 연결부

Claims (12)

  1. 팽창에 의해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견인력을 발생시키는 견인부; 및
    상기 견인부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연결 가능한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체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복수 개의 팽창 구획; 및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 사이에서 상기 견인부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절개 구획;
    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 구획의 절개 폭은 상기 견인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의 팽창에 의해 상기 절개 구획의 절개 폭이 좁아지면서, 상기 견인부의 상단의 길이가 하단의 길이보다 짧아져서 상기 견인부의 상하단 테두리가 사용자의 몸체에 밀착되는 견인 벨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복수 개의 팽창 구획 사이에서 상기 견인부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된 복수 개의 차단 구획;
    을 더 포함하는 견인 벨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견인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부재의 총 높이는 상기 견인부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견인 벨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견인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플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플랩 부재는,
    상기 견인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견인부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랩 부재; 및
    상기 견인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견인부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랩 부재;
    를 포함하는 견인 벨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결부 또는 우측 연결부는,
    상기 견인부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주입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주입 부재의 하단 형상은 타원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유체 주입 부재의 하단에서 장축은 상기 견인부의 상단 또는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견인 벨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견인부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견인부의 형상 변화에 의해 변형 또는 원상태로 복귀되는 견인 벨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는 상기 견인부를 기준으로 서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우측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탈부착 가능한 중앙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견인 벨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결부 및 상기 우측 연결부는 복수 개의 지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시 부재는,
    상기 좌측 연결부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1 지시 부재; 및
    상기 우측 연결부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2 지시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부재 및 상기 제2 지시 부재 사이에 상기 중앙 연결부가 배치되는 견인 벨트.
KR1020160135230A 2016-07-22 2016-10-18 견인 벨트 KR10195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4029 WO2018016692A1 (en) 2016-07-22 2016-12-01 Lifting belt
US15/777,913 US11123213B2 (en) 2016-07-22 2016-12-01 Lifting belt
CN201680074859.4A CN108430399B (zh) 2016-07-22 2016-12-01 提升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3198 2016-07-22
KR1020160093198 2016-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937A KR20180010937A (ko) 2018-01-31
KR101958522B1 true KR101958522B1 (ko) 2019-03-14

Family

ID=6108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30A KR101958522B1 (ko) 2016-07-22 2016-10-18 견인 벨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23213B2 (ko)
KR (1) KR101958522B1 (ko)
CN (1) CN1084303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483B1 (ko) * 2017-02-01 2019-04-03 장기용 견인 벨트
KR102055142B1 (ko) * 2017-12-27 2019-12-12 장기용 손목 보호대
KR102183964B1 (ko) 2018-07-06 2020-11-27 이홍열 허리 보호 벨트
US11232248B2 (en) 2018-09-28 2022-01-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Routing-resource-improving method of generating layout diagram and system for same
KR102190685B1 (ko) 2020-03-13 2020-12-14 이홍열 척추 교정벨트
KR102267581B1 (ko) * 2020-12-21 2021-06-21 (주)씨에스이 허리 견인벨트
KR102379307B1 (ko) * 2021-03-09 2022-03-29 고정민 골반 허리보호대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거꾸리
KR102361407B1 (ko) * 2021-06-22 2022-02-14 장기용 착용 벨트
KR102361408B1 (ko) * 2021-06-22 2022-02-14 장기용 공기 주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허리 지지 장치
USD1024337S1 (en) * 2021-10-14 2024-04-23 Thomas LIZOTTE Pectus carinatum brace
USD1018868S1 (en) * 2023-09-21 2024-03-19 Peng Jiaxin Belt guar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856B1 (ko) 2008-07-14 2008-11-04 문상호 복대
US8012113B2 (en) * 2007-03-12 2011-09-06 Disc Disease Solutions, Inc. Spinal bra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503A (en) * 1977-01-05 1979-01-23 Romano Nicholas A Orthopedic device
US4682587A (en) 1985-05-07 1987-07-28 Pneumedic Corp. Compound force sacro-lumbar support belt
US4682588A (en) * 1985-05-07 1987-07-28 Pneumedic Corp. Compound force therapeutic corset
US4703750A (en) * 1986-08-29 1987-11-03 Sebastian Peter R Therapeutic lumbosacral appliance
US5062414A (en) * 1989-02-08 1991-11-05 Royce Medical Company Simplified orthopaedic back support
US5728055A (en) 1996-01-30 1998-03-17 Fisher Scientific Company Therapeutic lumbosacral appliance
US5833638A (en) * 1996-06-10 1998-11-10 Nelson; Ronald E. Back brace
KR0142202B1 (ko) 1997-05-22 1998-06-15 장익춘 요추 보호 및 치료용 복대
CN1214770C (zh) * 2001-02-09 2005-08-17 蔡准锡 多重密封的腹带
KR100473939B1 (ko) * 2003-11-18 2005-03-14 장익춘 공기팽창에 의한 형태 변형을 방지토록 한 디스크허리벨트
KR20050075315A (ko) * 2005-05-13 2005-07-20 주식회사 카이스트메디컬 에어백이 구비된 디스크 치료용 에어벨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97574B1 (ko) * 2010-01-20 2010-11-30 김진열 디스크 치료용 벨트
CN201920948U (zh) * 2010-12-31 2011-08-10 李铁忠 便携式腰带
KR20120126361A (ko) * 2011-05-11 2012-11-21 (주)새롬현대 디스크 치료용 벨트
CN202154776U (zh) * 2011-07-08 2012-03-07 陈智伟 可调式托腹护背带
KR101184287B1 (ko) 2011-12-02 2012-09-21 장기용 디스크용 허리 벨트를 구비한 허리 견인 장치
KR101340377B1 (ko) 2012-02-21 2013-12-16 유인섭 관절을 구비한 허리 견인 벨트
CN103908397A (zh) * 2014-03-19 2014-07-09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气囊加压保温磁性按摩带
CN204521925U (zh) * 2015-04-13 2015-08-05 谷玥 一种医用引流管固定腹带
CN104800045A (zh) 2015-05-05 2015-07-29 王文军 一种腰椎牵引固定腰带
CN205163396U (zh) * 2015-11-04 2016-04-20 林志芸 一种妇产科术后恢复理疗带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2113B2 (en) * 2007-03-12 2011-09-06 Disc Disease Solutions, Inc. Spinal brace
KR100866856B1 (ko) 2008-07-14 2008-11-04 문상호 복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38853A1 (en) 2018-11-29
CN108430399B (zh) 2020-12-04
CN108430399A (zh) 2018-08-21
US11123213B2 (en) 2021-09-21
KR20180010937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522B1 (ko) 견인 벨트
US11793710B2 (en) Heel protector and corresponding rehab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10154697B2 (en) Neck supporter
CN102781375B (zh) 具有受控劲度的配合元件
EP2428192B1 (en) Compression sleeve with improved position retention
JP3180360U (ja) サポーターベルト
AU2009217447A1 (en) Compression device with removable portion
KR102444298B1 (ko) 체간 서포터 및 그것을 구비한 웨어
KR20130035966A (ko) 압박 슬리브
JP2019506987A (ja) 抗捻挫衝撃吸収バランスエアクッション靴
KR20120110814A (ko) 디스크 치료용 벨트
US20180296428A1 (en) Pneumomassage sleeve
KR101965483B1 (ko) 견인 벨트
CN210583041U (zh) 下肢训练仪
US20190308028A1 (en) Support brace accommodating a medical device
US11701281B2 (en) Surgical positioning system
KR102444202B1 (ko) 침상용 발목 보조기
KR20020066764A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1701960B1 (ko) 골반 벨트
JP2006241617A (ja) 歩行用下肢筋力補強パンツ
US20230381044A1 (en) Surgical positioning system
KR100954440B1 (ko) 무릎 보호대
WO2014120888A1 (en) Heel protector and corresponding rehab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TWM589040U (zh) 腰部護帶
KR20170000729A (ko) 허리 지지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