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202B1 - 침상용 발목 보조기 - Google Patents

침상용 발목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202B1
KR102444202B1 KR1020200173577A KR20200173577A KR102444202B1 KR 102444202 B1 KR102444202 B1 KR 102444202B1 KR 1020200173577 A KR1020200173577 A KR 1020200173577A KR 20200173577 A KR20200173577 A KR 20200173577A KR 102444202 B1 KR102444202 B1 KR 102444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patient
support
ank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383A (ko
Inventor
강승탁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0017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202B1/ko
Priority to US18/256,784 priority patent/US20240024144A1/en
Priority to PCT/KR2021/018521 priority patent/WO2022124787A1/ko
Priority to CN202180083655.8A priority patent/CN116568243A/zh
Publication of KR2022008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61F5/011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for connecting the feet to each other or to fixed surroun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61F5/0113Drop-foot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61F5/048Tra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상용 발목 고정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고정기는 양단이 서로 연결되어 환자의 하체를 감싸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환자의 발바닥을 감싸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종아리측 외측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부를 종아리 측으로 견인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침상용 발목 보조기{AN ANKLE BRACE FOR A BED}
본 발명은 발목 보조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가 침상에 누운 상태에서 발목을 위로 당겨 고정할 수 있는 침상용 발목 보조기에 관한 발명이다.
기존에 출시된 발목 보조기는 발목이 아래로 처지는 족하수(foot drop) 환자들을 대상으로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환자의 발목을 받치기 위해 단단한 재질로 제작된다.
한편 침상에 오랜 시간 누워서 생활을 하는 환자들도 발목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겪게 되는데, 이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발목 보조기를 적용할 경우 발이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발목 보조기에 눌려 상처나 욕창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침상용으로 흔히 사용되는 야간 부목(night splint)는 환자가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는 야간 부목의 무게 때문에 발목이 바깥쪽으로 돌아가, 환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신체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옆으로 눕는 등 체위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야간 부목에 눌리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침상 생활을 하는 환자에게 적합한 발목 보조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7340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발목이 처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가볍고 신체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져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침상에서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발목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는 양단이 서로 연결되어 환자의 하체를 감싸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환자의 발바닥을 감싸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종아리측 외측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부를 종아리 측으로 견인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환자의 종아리에서 환자의 발목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발목과 발바닥을 감싸되, 환자의 발등을 덮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일측에 배치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환자의 발바닥을 덮는 길이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는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환자의 발바닥을 종아리 측으로 견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중 일측에 위치하는 전족부 연결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중 타측에 위치하는 중족부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연결대는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중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전반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종아리측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족부 연결대는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중 길이 방향 중심을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종아리측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연결대는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전반부에 배치되는 일단의 면적이 상기 타단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연결대는 상기 중족부 연결대보다 상기 제2 지지부를 지지하는 면적이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중족부 연결대는 타단이 상기 전족부 연결대의 타단보다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는 침상에서 장시간 생활하는 환자를 위한 것으로, 탄성 연결부가 발의 전족부를 견인하여 환자의 발목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는 탄성 연결부가 다양한 위치에서 넓은 면적으로 발바닥을 지지 및 견인하기 때문에 환자의 발목을 보다 용이하게 견인하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는 구성이 간단하고 가벼우며, 환자의 피부와 장시간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는 환자의 발등을 감싸지 않아, 주사 또는 카테터를 환자의 발등에 놓는 등 환자에 대한 치료나 간호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의 저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연결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를 착용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를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1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200)의 저면을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연결부(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를 착용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발목을 다쳐 침상에서 생활하는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족하수 환자 등 하체 거동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나 기타 지병으로 인해 침상에서 오랜 생활 생활하는 환자의 발목을 받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제1 지지부(100), 제2 지지부(200) 및 탄성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00)는 환자의 하체를 감싸며, 후술하는 탄성 연결부(300)를 통해 제2 지지부(200)와 연결되어, 환자의 발바닥을 견인한 상태를 고정하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 또는 직사각형이며, 폭 방향으로 양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지지부(100)는 폭 방향 양단에 벨크로나 벨트, 단추 또는 자석 등 고정 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지지부(100)는 폭 방향의 일단에 복수 개의 절개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0)의 폭 방향 일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120)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개홈(120)을 기준으로 양 옆에 배치된 제1 지지부(100)의 가동 범위가 증가하여, 서로 중첩되거나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체형이나 상태를 고려하여 제1 지지부(100)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지지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일단이 환자의 발목을 감싸고, 타단이 환자의 무릎 아래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100)는 폭 방향으로 양단이 체결된 상태에서 환자의 종아리 및 발목을 감쌀 수 있다. 종래의 발목 보호기는 보행 보조 또는 충격 방지 등을 위해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발목 또는 종아리 일부만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100)는 환자의 종아리를 전체적으로 감싸, 발목 및 종아리에 가해지는 압박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2 지지부(200)는 환자의 발바닥을 감싸며, 환자의 발바닥을 종아리 측으로 견인함으로써 환자의 발목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200)는 제1 지지부(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1 지지부(100)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환자의 발바닥을 감쌀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지지부(100)와 제2 지지부(200)는 제1 체결 부재(CB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 부재(CB1)는 제1 지지부(100)의 내측면 일측과 제2 지지부(2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CB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벨크로, 벨트, 단추 또는 자석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체결 부재(CB1)가 벨크로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 제1 체결 부재(CB1)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지부(200)에 배치된 제1 체결 부재(CB1)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1 지지부(100)에 배치된 제1 체결 부재(CB1)와 체결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0)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지지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환자의 체형이나 상태를 고려하여 제2 지지부(200)가 환자의 발바닥을 감싸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는 제2 지지부(200)에 배치되는 제1 체결 부재(CB1)가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지지부(100)에 배치되는 제1 체결 부재(CB1)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지지부(200)는 환자의 발등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지부(200)가 환자의 발(F)을 감싸는 상태에서 제2 지지부(200)는 환자의 발목이나 발바닥 또는 발의 측면을 감쌀 수 있으나 발등을 덮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발목 보조기는 보행 보조이나 충격 보호를 위해 환자의 발등까지 모두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발등을 통해 주사를 놓거나 정맥 카테터를 삽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의 발목 보조기는 발등을 모두 감싸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주사를 놓거나 정맥 카테터를 삽입할 때마다 발목 보조기를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제2 지지부(200)가 환자의 발바닥을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발등을 덮지 않도록 구성되어, 주사를 놓거나 정맥 카테터를 삽입할 때도 쉽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지지부(200)는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되, 상면에 삽입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200)는 환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도 상면에 상기 삽입홈을 구비하여, 주사 또는 정맥 카테터가 상기 삽입홈을 통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300)는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에 연결되어, 제2 지지부(200)를 환자의 종아리 측으로 견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연결부(30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띠 형상의 부재로서,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이 제1 지지부(100)의 종아리 측 외측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제2 지지부(200)의 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200)를 종아리 측으로 견인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탄성 연결부(300)는 복수 개 구비되며, 제2 지지부(200)의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환자의 발바닥을 종아리 측으로 견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지부(200)는 환자의 발바닥 아래에 배치되며, 탄성 연결부(300)는 제2 지지부(20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연결부(300)는 전족부 연결대(310)와 중족부 연결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족부 연결대(310)와 중족부 연결대(320)는 제2 지지부(200)의 저면 중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족부 연결대(310)는 일단이 제2 지지부(200)의 저면 중 길이 방향 중심(C)을 기준으로 전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족부 연결대(320)는 일단이 제2 지지부(200)의 저면 중 길이 방향 중심(C)을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부(200)는 제1 지지부(100)의 내측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환자의 발바닥을 감싸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환자의 전족부(forefoot)와 중족부(midfoot)를 모두 견인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발목 보조기는 환자의 발을 감싸는 부분을 견인하는 부재가 발등이나 발바닥의 일측에 편향되어 위치한다. 이로 인해 발을 견인하면서 발이 뒤틀리거나 전족부를 균일하게 견인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탄성 연결부(300)가 복수 개로 구비되고, 환자의 발의 전족부와 중족부를 골고루 지지하면서 견인하기 때문에 환자의 발을 균일하게 견인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족부 연결대(310)의 타단은 제1 지지부(100)의 종아리 측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족부 연결대(320)의 타단은 제1 지지부(100)의 종아리 측 외측면에 배치되되, 전족부 연결대(310)의 타단보다 더 높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족부 연결대(310)에 비해 발바닥의 내측에 위치하는 중족부 연결대(320)가 제1 지지부(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족부 연결대(310)는 복수 개 구비되며, 환자의 발바닥의 전반부에 배치되는 일단의 면적이 타단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족부 연결대(310)는 한 쌍의 띠로서 전족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기 위해 제2 지지부(200)에 연결되는 일단의 면적이 타단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전족부 연결대(310)는 제2 지지부(200)에 연결되는 하나의 영역을 공유할 수 있다.
도 4에는 전족부 연결대(310)가 한 쌍, 즉 2개의 띠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전족부 연결대(310)가 제2 지지부(200)를 지지하는 면적은 중족부 연결대(320)가 제2 지지부를 지지하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연결부(300)가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족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견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탄성 연결부(300)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체결 부재(CB2)를 통해 제1 지지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0)는 외측면에 제2 체결 부재(CB2)를 구비하며, 탄성 연결부(300)는 타단에 그에 대응되는 제2 체결 부재(CB2)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300)는 일단이 제2 지지부(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을 제1 지지부(100)에 체결하여 제2 지지부(200)를 종아리 측으로 견인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CB2)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벨크로, 벨트, 단추 또는 자석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탄성 연결부(300)는 제2 체결 부재(CB2)를 통해 제1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체결 부재(CB2)는 제1 지지부(100)의 외측면에 길이 방향과 둘레 방향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연결부(300)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 체결 부재(CB2)를 제1 지지부(100)의 제2 체결 부재(CB2)의 특정 위치에 체결하여, 탄성 연결부(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는 제2 체결 부재(CB2)가 종아리 측에 일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체결 부재(CB2)는 제1 지지부(100)의 측면 또는 정면(정강이 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체결 부재(CB2)는 제1 지지부(100)가 환자의 종아리를 감싼 상태에서 외측으로 드러나는 제1 지지부(100)의 전체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체형 및 상태를 고려하여 탄성 연결부(300)가 제1 지지부(100)에 연결 및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탄성 연결부(300)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3 체결 부재(CB3)를 통해 제2 지지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지부(200)는 저면에 제3 체결 부재(CB3)를 구비하며, 탄성 연결부(300)는 일단에 그에 대응되는 제3 체결 부재(CB3)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300)는 제3 체결 부재(CB3)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벨크로, 벨트, 단추 또는 자석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탄성 연결부(300)는 제3 체결 부재(CB3)를 통해 제2 지지부(200)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체결 부재(CB3)는 제2 지지부(200)의 저면에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연결부(300)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3 체결 부재(CB3)를 제2 지지부(200)의 제3 체결 부재(CB3)의 특정 위치에 체결하여, 탄성 연결부(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는 제3 체결 부재(CB3)가 제2 지지부(200)의 일부 면에 형성되고, 전족부 연결대(310) 및 중족부 연결대(320)와 연결되는 제3 체결 부재(CB3)가 서로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체결 부재(CB3)는 제2 지지부(200)의 저면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족부 연결대(310) 및 중족부 연결대(320)와 연결되는 제3 체결 부재(CB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체형 및 상태를 고려하여 탄성 연결부(300)가 제2 지지부(200)에 연결 및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를 착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00)가 환자의 하체를 감싸도록 착용한다. 이때 제1 지지부(100)가 환자의 종아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일단이 무릎 아래에 배치되고 타단이 발목에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지지부(200)는 제1 체결 부재(CB1)를 통해 제1 지지부(100)의 내측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지지부(200)의 위치는 환자의 체형이나 상태를 고려해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연결부(300)는 제3 체결 부재(CB3)를 통해 일단이 제2 지지부(200)의 저면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탄성 연결부(300)의 제2 지지부(200)에 대한 위치는 환자의 체형이나 상태를 고려해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연결부(300)의 타단을 제2 체결 부재(CB2)를 통해 제1 지지부(100)에 체결한다.
다음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연결부(300)가 제1 지지부(100) 및 제2 지지부(200)를 연결하는 상태에서 환자의 발바닥, 보다 구체적으로 전족부를 종아리 측으로 충분히 견인하도록 탄성 연결부(300)의 위치를 조절한다. 탄성 연결부(300)의 제1 지지부(100)에 대한 위치는 제2 체결 부재(CB2)의 위치를 조절하여 환자의 체형이나 상태를 고려해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패브릭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장시간 동안 환자의 피부와 접촉하며 환자의 체중에 의해 눌리기 때문에, 제1 지지부(100), 제2 지지부(200) 및 탄성 연결부(300)를 모두 패브릭 소재로 구성하여 알러지 반응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종래의 발목 보조기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구성이 간단하며 경제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침상에서 장시간 생활하는 환자를 위한 것으로, 탄성 연결부(300)가 발의 전족부를 견인하여 환자의 발목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탄성 연결부(300)가 다양한 위치에서 넓은 면적으로 발바닥을 지지 및 견인하기 때문에 환자의 발목을 보다 용이하게 견인하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구성이 간단하고 가벼우며, 환자의 피부와 장시간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상용 발목 보조기(10)는 환자의 발등을 감싸지 않아, 주사 또는 카테터를 환자의 발등에 놓는 등 환자에 대한 치료나 간호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침상용 발목 보조기
100: 제1 지지부
200: 제2 지지부
300: 탄성 연결부

Claims (10)

  1. 양단이 서로 연결되어 환자의 하체를 감싸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환자의 발바닥을 감싸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종아리측 외측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부를 종아리 측으로 견인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연결부는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환자의 발바닥을 종아리 측으로 견인하는, 침상용 발목 고정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환자의 종아리에서 환자의 발목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발목과 발바닥을 감싸되, 환자의 발등을 덮지 않도록 배치되는, 침상용 발목 고정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일측에 배치되는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환자의 발바닥을 덮는 길이를 조절 가능한, 침상용 발목 고정기.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중 일측에 위치하는 전족부 연결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중 타측에 위치하는 중족부 연결대;를 포함하는, 침상용 발목 고정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연결대는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중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전반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종아리측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족부 연결대는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의 저면 중 길이 방향 중심을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종아리측 외측면에 배치되는, 침상용 발목 고정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연결대는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전반부에 배치되는 일단의 면적이 상기 타단의 면적보다 넓은, 침상용 발목 고정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 연결대는 상기 중족부 연결대보다 상기 제2 지지부를 지지하는 면적이 넓은, 침상용 발목 고정기.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족부 연결대는 타단이 상기 전족부 연결대의 타단보다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침상용 발목 고정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침상용 발목 고정기.
KR1020200173577A 2020-12-11 2020-12-11 침상용 발목 보조기 KR10244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577A KR102444202B1 (ko) 2020-12-11 2020-12-11 침상용 발목 보조기
US18/256,784 US20240024144A1 (en) 2020-12-11 2021-12-08 Ankle orthosis for bed
PCT/KR2021/018521 WO2022124787A1 (ko) 2020-12-11 2021-12-08 침상용 발목 보조기
CN202180083655.8A CN116568243A (zh) 2020-12-11 2021-12-08 用于床的护踝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577A KR102444202B1 (ko) 2020-12-11 2020-12-11 침상용 발목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383A KR20220083383A (ko) 2022-06-20
KR102444202B1 true KR102444202B1 (ko) 2022-09-16

Family

ID=8197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577A KR102444202B1 (ko) 2020-12-11 2020-12-11 침상용 발목 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24144A1 (ko)
KR (1) KR102444202B1 (ko)
CN (1) CN116568243A (ko)
WO (1) WO202212478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831B2 (ja) 1997-11-07 2001-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高周波集積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082403A1 (en) * 2009-10-06 2011-04-07 Melissa Hill Recovery foot and ankle brace
CN106137496A (zh) 2016-07-01 2016-11-23 曾丽华 一种防足下垂支具
US20170165094A1 (en) * 2014-05-05 2017-06-15 Nea International B.V. Ankle-foot orthosis
CN110313660A (zh) 2013-04-23 2019-10-11 慕乐运动医药公司 踝部支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408B2 (ja) 1994-09-29 2000-08-07 株式会社ケンウッド 三角波信号のクランプ回路
JPH1156940A (ja) * 1997-08-12 1999-03-02 Hiroshi Okumura 足矯正用装具
JP3149831U (ja) * 2009-02-02 2009-04-16 和好 森山 足サポータ
KR20200025413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네오메드 발목지지보호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9831B2 (ja) 1997-11-07 2001-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高周波集積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082403A1 (en) * 2009-10-06 2011-04-07 Melissa Hill Recovery foot and ankle brace
CN110313660A (zh) 2013-04-23 2019-10-11 慕乐运动医药公司 踝部支具
US20170165094A1 (en) * 2014-05-05 2017-06-15 Nea International B.V. Ankle-foot orthosis
CN106137496A (zh) 2016-07-01 2016-11-23 曾丽华 一种防足下垂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787A1 (ko) 2022-06-16
KR20220083383A (ko) 2022-06-20
US20240024144A1 (en) 2024-01-25
CN116568243A (zh)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76221B (en) Compression device for the foot
KR101958522B1 (ko) 견인 벨트
US8118762B2 (en) Medical knee bandage
JP2009000277A (ja) ずれ防止を図った膝用サポーター
US20200085604A1 (en) Orthosis, In Particular Orthosis For Gonarthrosis
KR101455709B1 (ko)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US11259947B2 (en) Ankl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444202B1 (ko) 침상용 발목 보조기
US9504593B2 (en) Toe protecting cushion device
JP2018011903A (ja) 下肢用サポータ
CN102429771B (zh) 具有夹持部的加压衣
CN115708605A (zh) 裤子保持条带
KR200475857Y1 (ko) 의료용 지지대
KR100954440B1 (ko) 무릎 보호대
KR200296825Y1 (ko) 유방암 수술 후 수술부위에 착용하는 회복대 구조
US20240091040A1 (en) Orthotic ankle support device
CN211382079U (zh) 一种医用可调性约束带
KR101462209B1 (ko) 관통홈이 형성된 벨크로벨트팬티
CN113101027B (zh) 一种柔性膝关节矫形医疗辅助器械
CN213190419U (zh) 一种桡动脉介入术后手臂便捷固定装置
KR100731961B1 (ko) 다리깁스 고정기
CN206597074U (zh) 西医骨科用支撑套件
KR200415120Y1 (ko) 퇴행성 관절염 환자용 3점 압박식 내측무릎 인장밴드
JP4234050B2 (ja) リンパ浮腫治療用脚サポーター
WO2020077431A1 (en) Wrap assembly for mimicking muscular 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