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764A -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 Google Patents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764A
KR20020066764A KR1020010007105A KR20010007105A KR20020066764A KR 20020066764 A KR20020066764 A KR 20020066764A KR 1020010007105 A KR1020010007105 A KR 1020010007105A KR 20010007105 A KR20010007105 A KR 20010007105A KR 20020066764 A KR20020066764 A KR 20020066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s
traction
cover
pocket
intervertebral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준
Original Assignee
박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준 filed Critical 박창준
Priority to KR102001000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6764A/ko
Priority to PCT/KR2002/000208 priority patent/WO2002074205A1/en
Priority to TW091118269A priority patent/TW586924B/zh
Publication of KR2002006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7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요부에서 발생하는 추간판탈출증을 견인력에 의하여 치료하기 위한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료부위의 일측에 배치되고, 수축팽창이 가능한 격실을 각각 갖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제1 견인수단과; 제1 견인수단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수축팽창이 가능한 격실을 각각 갖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제2 견인수단과; 치료부위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견인수단의 튜브들중 최상의 튜브에 각각 제공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제1 및 제2 견인수단에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수단과; 제1 및 제2 견인수단, 상부지지부재를 내장하는 제1 포켓과 제2 포켓을 가지며, 제1 및 제2 포켓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커버와; 커버의 양단을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요부 좌우에 견인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제1 견인기구와 제2 견인기구의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체형에 맞도록 제1 견인기구와 제2 견인기구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착용함으로써 착용감과 활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US PULPOSUS}
본 발명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요부에서 발생하는 추간판탈출증을 치료하기 위한 견인력을 용이하고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이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추간판탈출증(椎間板脫出症)은 통상적으로 '디스크병(Disk)'이라 불리는 척추질환을 말한다. 디스크는 척추(脊椎)와 척추(脊椎)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수핵 (髓核)과 섭유륜으로 구성된다. 흔히 디스크병이라 통칭하는 질병은 의학적으로 말하면, 수핵이 탈출하는 병으로 수핵탈출증(髓核脫出症; Herniated Nucleus Pulposus)이라 하며, 척추의 경부(莖部), 흉부(胸部), 요부(腰部)의 디스크들에서 일어난다. 디스크병은 과도한 하중 또는 외부충격으로 수핵이 돌출해 나와 신경근(神經根)이 압박을 받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디스크병의 치료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디스크병의 치료방법으로는 수술적 방법, 침상안정 및 온열치료, 광학치료, 전기치료, 견인치료 등의 물리치료요법 또는 약물치료요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물리치료요법중 견인치료법은 척추간의 디스크에 견인력을 제공하거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출원인은 환자가 치료도 받으면서 특히 보행할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특허출원 제1998-43174호로 출원하여 특허등록 제282766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이 기술은 수축팽창이 가능한 밀폐된 격실을 각각 가지며 양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견인수단과, 견인수단의 상하에 치료부위의 상하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상부지지부재 및 하부지지부재와, 유압공급수단과, 체결수단을 구비한 커버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는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도 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견인수단의 튜브들이 요부의 상부 및 하부의 치료부위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이 불편하고 활동에 제약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견인수단의 둘레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가 체형에 맞추어 착용하기 매우 어렵고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환자의 체형별로 여러 가지 사이즈의 의료보조기를 제작하고 있으므로, 환자는 여러 가지 사이즈의 의료보조기를 착용해 보고 자신의 체형에 가장 알맞는 것을 선택하여 착용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사이즈의 의료보조기의 제작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요부에 견인력을 부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형에 맞도록 착용하여 착용감과 활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치료부위의 일측에 배치되고, 수축팽창이 가능한 격실을 각각 갖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제1 견인수단과; 제1 견인수단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수축팽창이 가능한 격실을 각각 갖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제2 견인수단과; 치료부위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견인수단의 튜브들중 최상의 튜브에 각각 제공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제1 및 제2 견인수단에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수단과; 제1 및 제2 견인수단, 상부지지부재를 내장하는 제1 포켓과 제2 포켓을 가지며, 제1 및 제2 포켓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커버와; 커버의 양단을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보조기의 제1 및 제2 견인기구와 공압공급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견인기구와 커버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견인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보조기의 연결수단과 간격조절수단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견인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 견인기구12: 튜브
20: 제2 견인기구22: 튜브
30, 31: 상부지지부재40, 41: 하부지지부재
50: 공압공급기구51: 제1 호스
52: 제2 호스53: 벌브
54: 밸브60: 커버
61: 제1 포켓62: 제2 포켓
63: 백웨빙70: 간격조절기구
80: 결속기구90: 보조결속기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는 수축팽창이 가능한 독립적인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를 구비한다.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 각각은 밀폐된 격실(11, 21)을 형성하고 서로 고정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12, 22)들로 구성된다. 이때, 튜브 (12, 22)들은 환자의 요부 좌우를 감쌀 수 있도록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튜브 (12, 22)들에는 격실(11, 12)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연통되는 구멍(13, 23)들이 형성되어 있다. 치료부위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튜브 (12, 22)들중 최상의 튜브(12a, 22a)에는 단단한 상부지지부재(30, 31)가 충전되어 있으며, 치료부위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튜브(12, 22)들중 최하의 튜브(12b, 22b)에는 단단한 하부지지부재(40, 41)가 충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부재(40, 41)가 수축팽창하지 않는 단단한 강도를 가지나, 하부지지부재(40, 41)는 수축팽창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튜브(12, 22)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의 팽창 또는 수축을 위하여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부지지부재(30, 31)를 관통하여 상부지지부재(30, 31)와 접하는 튜브(12c, 22c)에 공압공급기구(50)의 플렉시블한 제1 호스 (51)가 연결되어 있다.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중 어느 하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견인기구(10)의 하부지지부재(40)를 관통하여 하부지지부재 (40)와 접하는 튜브(12d)에 공압공급기구(50)의 플렉시블한 제2 호스(52)가 연결되어 있다. 공압공급기구(50)의 제2 호스(52)는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 (20)의 튜브(12d, 22d) 각각에 연결하고, 이때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 (20)의 튜브(12c, 22c)를 서로 연결하는 제1 호스(51)는 배제할 수 있다. 튜브(12, 22)들의 단면은 대략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마름모의 형상 등 다른 단면의 형상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튜브(12, 22)들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특히 상부지지부재(30, 31)와 하부지지부재(40, 41)는 우레탄 등의 발포성 합성수지가 튜브(12a, 12b, 22a, 22b)에 각각 충전되어 구성된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공압공급기구(50)의 제2 호스(52)에는 튜브(12, 22)들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압을 발생하는 공압발생수단으로 압축가능한 벌브(53)가 연결되어 있으며, 벌브(53)와 근접하여 공기의 흐름방향을 선택하는 밸브(54)와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5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벌브(53), 밸브(54)와 압력계(55)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견인기구(10), 제2 견인기구 (20), 상부지지부재(30, 31)와 하부지지부재(40, 41) 각각은 커버(60)의 제1 포켓 (61)과 제2 포켓(62)에 각각 독립적으로 내장된다. 커버(60)의 제1 포켓(61)과 제2 포켓(62)은 연결수단으로 환자의 등을 감싸는 플렉시블한 백웨빙(Back Webbing: 6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백웨빙(63)은 환자의 체형에 맞도록 접어서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백웨빙(63)의 양단은 제1 포켓(61)과 제2 포켓(62)에 재봉되어 부착된다. 그리고, 공압공급기구(50)의 제1 호스(51)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백웨빙(63)에 내장된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는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간격조절기구(70)로 제1 스트립(71), 제2 스트립(72)과 이들을 결속하는 파스너(73)로 구성된다. 제1 스트립(71)과 제2 스트립(72)의 일단은 커버(60)의 제1 포켓(61)과 제2 포켓(62)에 각각 재봉되어 부착된다. 제1 스트립(71)의 타단은 파스너(7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파스너(73)에 지그재그형으로 통과되어 있으며, 제2 스트립(72)의 타단은 파스너(7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스트립(71)을 따라 파스너(73)를 이동시켜 그 결속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 사이의 간격을 환자의 체형에 맞도록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는 하나의 간격조절기구 (70)가 도시되어 있으나 간격조절기구(70)의 숫자 및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는 환자의 요부에 착용할 수 있도록 결속하는 결속기구(80)를 구비한다. 결속기구(80)는 커버(60)의 제1 및 제2 포켓(61, 62)에 일단이 각각 재봉되어 부착되는 제1 벨트(81), 제2 벨트 (82)와 이들을 접착하는 접착천(83)(상표명: 벨크로(Velcro))으로 구성된다. 결속기구(80)의 접착천(83)은 제1 벨트(81)의 내면에 부착되는 후크(83a)들과, 제2 벨트(82)의 외면에 부착되는 고리(83b)들로 구성된다. 결속기구(80)의 결속을 보조하는 보조결속기구(90)로 결속기구(8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커버(60)의 제1 및 제2포켓(61, 62)에 일단이 각각 재봉되어 부착되는 제1 탄성밴드(91), 제2 탄성밴드 (92)와 이들을 접착하는 접착천(93)을 구비한다. 보조결속기구(90)의 접착천(93)은 제1 탄성밴드(91)의 내면과 제2 탄성밴드(92)의 내면에 각각 부착되는 후크(93a, 93b)들과, 제1 벨트(81)의 외면과 제2 탄성밴드(92)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고리 (93c, 93d)들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지지부재(30, 31)와 하부지지부재 (40, 41)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별도로 구성하여 최상의 튜브(12a, 12b)의 상면과 최하의 튜브(22a, 22b)의 저면에 각각 일체로 부착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2와 도 6를 참조하면, 먼저 환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 사이의 간격을 간격조절기구(70)에 의하여 조절하여 의료보조기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다. 즉,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가 환자의 요부 좌우에 배치되도록 간격조절기구(70)의 제1 스트립(71)을 따라 파스너 (73)를 이동시켜 그 결속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 (20) 사이의 간격보다 백웨빙(63)의 길이가 길거나 짧으면,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 사이의 간격과 백웨빙(63)의 길이가 적절하게 맞도록 백웨빙(63)을 접거나 또는 펼친다.
다음으로, 환자는 요부 좌우에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를 배치시키고, 결속기구(80)의 접착천(83)에 의하여 제1 벨트(81)와 제2 벨트(82)를 결속시켜 의료보조기를 착용한다. 이때, 보조결속기구(90)의 제1 탄성밴드(91)와 제2 탄성밴드(92)를 접착천(93)에 의하여 결속시켜 결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제1 견인기구(10)와 제2 견인기구(2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보조기를 착용한 후에는, 벌브(53)를 사용하여 공압을 발생시키고, 제2 호스(52)를 통하여 공기를 제1 견인기구(10)의 튜브(12)들에 주입시킨다. 제1 견인기구(10)의 튜브(12)들에 주입된 공기는 제1 호스(51)를 통하여 제2 견인기구(20)의 튜브(22)들에 주입되며, 이에 따라 튜브(12, 22)들은 도 5b에 보이는 바와 같이 팽창하게 된다. 팽창된 튜브(12, 22)들은 견인력을 발생시켜 소망하는 견인치료를 수행한다. 튜브(12, 22)들의 팽창에 따라 상부지지부재(30, 31)와 하부지지부재(40, 41) 각각은 환자의 가슴부위 하단부와 골반부위 상단부에 더욱 밀착된다. 견인치료의 완료 후에는, 밸브(54)를 사용하여 튜브(12, 22)들에 충전된 공기를 다시 제2 호스(52)를 통하여 배출시키면, 튜브(12, 22)들은 도 5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요부에서 발생하는 추간판탈출증의 치료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를 환자의 경부에 착용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의하면, 환자의 요부 좌우에 견인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제1 견인기구와 제2 견인기구의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체형에 맞도록 제1 견인기구와 제2 견인기구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착용함으로써 착용감과 활동성을 증대시켜 현대의 바쁜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을 어느 정도 수행하면서도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치료부위의 일측에 배치되고, 수축팽창이 가능한 격실을 각각 갖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제1 견인수단과;
    상기 제1 견인수단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수축팽창이 가능한 격실을 각각 갖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제2 견인수단과;
    치료부위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견인수단의 튜브들중 최상의 튜브에 각각 제공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견인수단에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견인수단,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내장하는 제1 포켓과 제2 포켓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포켓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양단을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부위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견인수단의 튜브들중 최하의 튜브에 각각 제공되는 하부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공급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견인수단 각각의 튜브들을 연통시키는 플렉시블한 제1 호스와;
    상기 제1 및 제2 견인수단 각각의 튜브들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플렉시블한 제2 호스와;
    상기 제2 호스와 연결되어 공압을 발생시키는 공압발생기구로 구성되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공급수단의 제1 호스는 상기 커버의 제1 포켓과 제2 포켓을 연결하는 부분에 내장되어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제1 포켓과 제2 포켓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커버의 제1 및 제2 포켓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스트립과, 상기 제1 및 제2 스트립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송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트립을 결속하는 파스너로 구성되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커버의 제1 및 제2 포켓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벨트와, 상기 제1 및 제2 벨트를 접착하는 접착천으로 구성되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20010007105A 2001-02-13 2001-02-13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20066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05A KR20020066764A (ko) 2001-02-13 2001-02-13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PCT/KR2002/000208 WO2002074205A1 (en) 2001-02-13 2002-02-08 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osus pulposus or sprain and strain
TW091118269A TW586924B (en) 2001-02-13 2002-08-14 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osus pulposus or sprain and st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05A KR20020066764A (ko) 2001-02-13 2001-02-13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764A true KR20020066764A (ko) 2002-08-21

Family

ID=1970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105A KR20020066764A (ko) 2001-02-13 2001-02-13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0066764A (ko)
TW (1) TW586924B (ko)
WO (1) WO200207420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745B1 (ko) * 2002-03-30 2005-07-01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448284Y1 (ko) * 2009-09-11 2010-03-29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KR200453471Y1 (ko) * 2009-04-22 2011-05-06 정인성 견인치료용 애견하네스
KR20180011532A (ko) * 2016-07-25 2018-02-02 황상원 기능성 경추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5691B2 (en) 2011-07-22 2019-11-26 Prs Medical Technologies, Inc. Independently adjustable support system
JP2015536199A (ja) * 2012-11-21 2015-12-21 ピーアールエス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調節可能な支持体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3518U (ko) * 1979-08-02 1981-03-03
KR19990000575A (ko) * 1997-06-09 1999-01-15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00025893A (ko) * 1998-10-15 2000-05-06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00044058A (ko) * 1998-12-26 2000-07-15 채준석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KR20000065680A (ko) * 1999-04-08 2000-11-15 채준석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349A (en) * 1979-07-13 1981-04-14 Nasa Spine immobilization apparatus
US4657003A (en) * 1983-10-03 1987-04-14 Cramer Products, Inc. Immobilizer device
JPH0798045B2 (ja) * 1993-04-14 1995-10-25 幸 中野 脊椎牽引装置
US5403266A (en) * 1993-07-06 1995-04-04 United States Manufacturing Company Inflatable cervical traction collar
KR200186383Y1 (ko) * 1998-04-14 2001-09-29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3518U (ko) * 1979-08-02 1981-03-03
KR19990000575A (ko) * 1997-06-09 1999-01-15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00025893A (ko) * 1998-10-15 2000-05-06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00044058A (ko) * 1998-12-26 2000-07-15 채준석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KR20000065680A (ko) * 1999-04-08 2000-11-15 채준석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745B1 (ko) * 2002-03-30 2005-07-01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453471Y1 (ko) * 2009-04-22 2011-05-06 정인성 견인치료용 애견하네스
KR200448284Y1 (ko) * 2009-09-11 2010-03-29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KR20180011532A (ko) * 2016-07-25 2018-02-02 황상원 기능성 경추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4205A1 (en) 2002-09-26
TW586924B (en) 200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2957A (en) Therapeutic corset
US5728055A (en) Therapeutic lumbosacral appliance
EP0238183B1 (en) Improved therapeutic belt
US4178923A (en) Therapeutic corset
EP1213002B1 (en) Compression sleeve
EP0812154B1 (en) Apparatus for treating edema
US7591797B2 (en) Fluid operated actuators and pneumatic unloading orthoses
US5681270A (en) Orthotic apparatus for providing abduction a pateint's legs
US20070260162A1 (en) Compression apparatus
US20070135742A1 (en) Compression sleeve having air conduit
WO1999030607A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dically treat soft tissue damage, lymphedema and edema
US4807606A (en) Therapeutic appliance for improving functions of hand fingers
JPH0365178B2 (ko)
KR200486741Y1 (ko) 디스크 치료 또는 완화기구
KR20160065881A (ko) 맞춤치료용 롤필로우
US6923779B1 (en) Belt
US9504595B2 (en) Inflatable compression wrap for direct support of the spinous process in the lumbar specific spine region
KR20020066764A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130035966A (ko) 압박 슬리브
JP2010227322A (ja) 腰痛治療用軟性機能装具
KR100282766B1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120110814A (ko) 디스크 치료용 벨트
KR100204717B1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0498745B1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30078537A (ko) 경추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