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745B1 -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 Google Patents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745B1
KR100498745B1 KR10-2002-0017640A KR20020017640A KR100498745B1 KR 100498745 B1 KR100498745 B1 KR 100498745B1 KR 20020017640 A KR20020017640 A KR 20020017640A KR 100498745 B1 KR100498745 B1 KR 10049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set
treatment
tubes
elastic bel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536A (ko
Inventor
박창준
Original Assignee
박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준 filed Critical 박창준
Priority to KR10-2002-0017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7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31Sp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요부에서 발생하는 추간판탈출증을 견인력에 의하여 치료하기 위한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요부를 감싸 착용할 수 있는 코르셋과, 코르셋의 내측에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수축팽창이 가능한 격실을 각각 갖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고 튜브들의 양단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견인수단과, 견인수단에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수단과, 코르셋의 외측에서 코르셋을 압박하여 환자의 치료부위에 견인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요부에 견인력을 부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치료부위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으면서도 착용감과 활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코르셋과 견인수단을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코르셋의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과 실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US PULPOSUS}
본 발명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요부에서 발생하는 추간판탈출증을 치료하기 위한 견인력을 용이하고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이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추간판탈출증(椎間板脫出症)은 통상적으로 '디스크병(Disk)'이라 불리는 척추질환을 말한다. 디스크는 척추(脊椎)와 척추(脊椎)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수핵 (髓核)과 섭유륜으로 구성된다. 흔히 디스크병이라 통칭하는 질병은 의학적으로 말하면, 수핵이 탈출하는 병으로 수핵탈출증(髓核脫出症; Herniated Nucleus Pulpo sus)이라 하며, 척추의 경부(莖部), 흉부(胸部), 요부(腰部)의 디스크들에서 일어난다. 디스크병은 과도한 하중 또는 외부충격으로 수핵이 돌출해 나와 신경근(神經根)이 압박을 받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디스크병의 치료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디스크병의 치료방법으로는 수술적 방법, 침상안정 및 온열치료, 광학치료, 전기치료, 견인치료 등의 물리치료요법 또는 약물치료요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물리치료요법중 견인치료법은 척추간의 디스크에 견인력을 제공하거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출원인은 환자가 치료도 받으면서 특히 보행할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특허출원 제1998-43174호로 출원하여 특허등록 제282766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이 기술은 수축팽창이 가능한 밀폐된 격실을 각각 가지며 양단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견인수단과, 견인수단의 상하에 치료부위의 상하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상부지지부재 및 하부지지부재와, 유압공급수단과, 체결수단을 구비한 커버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는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도 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견인수단의 둘레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가 체형에 맞추어 착용하기 어렵고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환자의 체형별로 여러 가지 사이즈의 의료보조기를 제작하고 있으므로, 환자는 여러 가지 사이즈의 의료보조기를 착용해 보고 자신의 체형에 가장 알맞는 것을 선택하여 착용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사이즈의 의료보조기의 제작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또한, 견인수단의 견인력이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속되는 커버의 압박력에 의하여 유지되는 구조로 인하여 튜브들이 팽창하는 과정이나 환자가 의료보조기를 착용하고 활동할 때 환자의 치료부위로부터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환자의 치료부위로부터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가 이탈될 경우 견인력이 상실되므로, 환자는 의료보조기를 다시 착용해야 하는 수고를 감수해야만 하며,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의 이탈을 우려하여 일상적인 생활을 활동적으로 영위하는데 상당한 제한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환자가 의료보조기의 착용을 기피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요부에 견인력을 정확하게 부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료부위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으면서도 착용감과 활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르셋과 견인수단을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코르셋의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과 실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환자의 요부를 감싸 착용할 수 있는 코르셋과; 코르셋의 내측에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수축팽창이 가능한 격실을 각각 갖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고 튜브들의 양단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견인수단과; 견인수단에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수단과; 코르셋의 외측에서 코르셋을 압박하여 환자의 치료부위에 견인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는 환자의 요부를 감싸 착용할 수 있는 코르셋(Corset: 10)을 구비한다. 코르셋(10)의 내면 양측에는 제1 포켓(Pocket: 11)과 제2 포켓(1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루프(Loop: 13)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르셋(10)의 일단에는 환자의 체형에 맞추어 코르셋(10)을 착용할 수 있도록 결속하는 제1 결속기구(14)로 탄성밴드(15)가 재봉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고, 탄성밴드(15)의 내면에는 제1 접착천(16)(상표명: 벨크로 (Velcro))을 구성하는 제1 후크(Hook: 16a)들이 재봉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코르셋(10)의 타단 외면에는 제1 접착천(16)의 제1 후크(16a)들을 접착시킬 수 있는 제1 루프(16b)들이 재봉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르셋(10)의 폭은 요부의 착용에 적합하도록 중앙이 넓고 자유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다가 일직선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3, 도 5와 도 7a 및 도 7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는 코르셋(10)의 내측에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환자의 치료부위를 수축팽창에 의하여 견인하는 견인장치(20)를 구비한다. 견인장치(20)의 양단은 코르셋(10)의 제1 포켓(11)과 제2 포켓(12)에 각각 끼워져 수용되며 중앙부는 코르셋 (10)의 루프(13)를 통과하여 고정된다. 견인장치(20)는 밀폐된 각각의 격실(21)을 형성하고 서로 고정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22)들로 구성된다. 이때, 튜브(22)들은 환자의 요부를 감쌀 수 있도록 양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튜브(22)들은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튜브(22)들의 단면은 대략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마름모의 형상 등 다른 단면의 형상도 가능하다. 튜브(22)들에는 격실(21)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연통되는 구멍 (23)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튜브(22)들의 양단부에는 튜브(22)들의 팽창을 구속하는 캡형상의 팽창방지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캡형상의 팽창방지부재 (24)는 튜브(22)들의 자유단을 수용하여 외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고무,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제작된다.
치료부위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튜브(22)들중 최상의 튜브(22a)의 상면에는 단단한 상부지지부재(30)가 부착되어 있으며, 치료부위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튜브(22)들중 최하의 튜브(22b)의 하면에는 단단한 하부지지부재(31)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부재(31)가 수축팽창하지 않는 단단한 강도를 가지나, 하부지지부재(31)는 수축팽창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최하의 튜브(22b)로 대신할 수도 있다. 견인장치(20)의 튜브(22)들, 상부지지부재(30)와 하부지지부재 (31)는 커버(25)의 내측에 내장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지지부재(30)와 하부지지부재(31) 각각은 우레탄 등의 발포성 합성수지를 튜브(22)들중 최상의 튜브(22a)와 최하의 튜브(22b) 각각에 충전시켜 구성할 수 있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견인장치(20)의 팽창 또는 수축을 위하여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커버(25)와 하부지지부재(31)를 관통하여 하부지지부재(31)와 접하는 최하의 튜브(22b)에 공압공급기구(40)의 플렉시블한 호스(41)가 연결되어 있다. 공압공급기구(40)의 호스(41)에는 튜브(22)들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압을 발생하는 공압발생수단으로 압축가능한 벌브(Bulb: 42)가 연결되어 있으며, 벌브(42)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밸브(43)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벌브(42)와 밸브(43)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지지부재(31)가 최하의 튜브(22b)에 충전되어 구성된 경우, 공압공급기구(40)의 호스(41)는 하부지지부재(31)와 최하의 튜브(22b)를 관통하여 하부지지부재(31)와 접하는 튜브 (22c)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4를 모두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는 견인장치(20)의 상부지지부재(30)와 하부지지부재(31)를 환자의 치료부위에 압박시켜 고정시키는 고정기구(50)를 구비한다. 고정기구(50)는 코르셋(10)의 외면 중앙 상부에 그 중앙이 덧붙여진 제1 스트랩(Strap: 51a)의 재봉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양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제1 탄성벨트(51)와, 코르셋(10)의 외면 중앙 하부에 그 중앙이 덧붙여진 제2 스트랩(52a)의 재봉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고 양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 탄성벨트(52)와, 코르셋(10)의 외면 중앙에 그 중앙이 재봉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양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제1 탄성벨트와 제2 탄성벨트 (52)를 감싸는 제3 탄성벨트(5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탄성벨트(51)와 제2 탄성벨트(52) 각각의 양단은 제3 탄성벨트(53)의 양단에 재봉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탄성벨트(51)와 제2 탄성벨트(52)는 코르셋(10)의 후방 중앙에서 양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된다.
제3 탄성벨트(53)는 제2 결속기구(54)로 제2 접착천(55)과 제3 접착천(56)에 의하여 코르셋(10)에 결속되어 있다. 제2 접착천(55)은 코르셋(10)의 제1 접착천 (16)과 엇갈려 결속시킬 수 있도록 제3 탄성벨트(53)의 일단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 후크(55a)들과, 제2 후크(55a)들을 접착시킬 수 있도록 코르셋(10)의 일단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 루프(55b)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접착천(56)은 제2 접착천(55)과 엇갈려 결속시킬 수 있도록 제3 탄성벨트(53)의 타단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3 후크(56a)들과, 제3 후크(56a)들을 접착시킬 수 있도록 코르셋(10)의 타단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3 루프(56b)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코르셋(10)의 루프(13)를 통과하도록 제1 포켓(11)과 제2 포켓(12)에 견인장치(20)의 양단을 끼우고, 견인장치(20)의 밸브(43)를 열어 튜브(22)들로부터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킨다. 환자는 견인장치(20)의 튜브 (22)들에 의하여 요부가 감싸여지도록 제1 접착천(16)의 제1 후크(16a)들을 제1 루프(16b)들에 접착시켜 코르셋(10)을 착용한다. 이때, 상부지지부재(30)는 환자의 늑골부위 하단부에 밀착시키고, 하부지지부재(31)는 환자의 골반부위 상단부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환자는 탄성밴드(15)의 신축에 의하여 체형에 맞도록 코르셋(10)을 착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접착천(55)의 제2 후크(55a)들을 제2 루프(55b)들에 접착시키고, 제3 접착천(56)의 제3 후크(56a)들을 제3 루프(56b)들에 접착시켜 고정기구 (50)의 제3 탄성벨트(53)를 결속시킨다. 제3 탄성벨트(53)의 결속에 의하여 제1 탄성벨트(51)는 상부지지부재(30)를 환자의 늑골부위 하단부에 더욱 밀착시켜 고정시키고, 제2 탄성벨트(52)는 하부지지부재(31)를 환자의 골반부위 상단부에 더욱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2 및 제3 탄성벨트(51, 52, 53)의 신축에 의해서는 요부의 압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코르셋(10)과 고정수단(50)의 결속에 의하여 결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견인장치(20)의 움직임을 견고하게 방지하여 환자의 치료부위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를 착용한 후, 공압공급기구(40)의 벌브(42)를 사용하여 공압을 발생시키고, 호스(41)를 통하여 견인장치(20)의 튜브(22)들에 공기를 주입시키면, 튜브(22)들은 도 6b에 보이는 바와 같이 팽창하게 된다. 도 6a와 도 7a에는 튜브(22)들이 공기의 주입에 따라 팽창하기 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b와 도 7b에는 튜브(22)들이 팽창한 후가 도시되어 있다. 튜브(22)들이 팽창한다 하여도 튜브(22)들의 양단부에는 팽창방지부재(24)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튜브(22)들의 양단부는 팽창하지 않으며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팽창되는 형상을 이룬다. 튜브(22)들의 팽창에 따라 상부지지부재 (30)와 하부지지부재(31) 각각은 환자의 늑골부위 하단부와 골반부위 상단부에 더욱 밀착된다. 팽창된 튜브(22)들은 견인력을 발생시켜 소망하는 견인치료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환자가 의사의 진단 및 처방에 따라 일상적인 생활을 어느 정도 수행하면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부지지부재(30)와 하부지지부재(31)가 고정기구 (50)의 압박력에 의하여 환자의 치료부위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의료보조기의 착용감과 활동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견인치료의 완료 후에는, 밸브(43)를 사용하여 튜브(22)들에 충전된 공기를 다시 호스(41)를 통하여 배출시키면, 튜브(22)들은 도 5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축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코르셋(10)의 제1 및 제2 포켓(11, 12)과 루프(13)로부터 견인장치(20)를 분리한 후, 제1 결속기구(14)와 제2 결속기구(54)의 결속에 의하여 코르셋(10)을 요부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보조기는 견인치료 이외에도 코르셋(10)에 의하여 배와 허리를 졸라메어 체형을 보정 및 교정하거나 또는 복대(腹帶)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의료보조기의 기능성과 실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에 의하면, 환자의 요부에 견인력을 부여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치료부위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으면서도 착용감과 활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코르셋과 견인수단을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코르셋의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과 실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보조기의 견인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코르셋과 고정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 코르셋에 견인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보조기의 코르셋과 고정기구의 구성을 전개하여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와 커버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견인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에 상응하는 도면으로 견인장치의 튜브들과 팽창방지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와 커버의 변형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코르셋 11: 제1 포켓
12: 제2 포켓 14: 제1 결속기구
20: 견인장치 21: 격실
22: 튜브 24: 팽창방지부재
25: 커버 30: 상부지지부재
31: 하부지지부재 40: 공압공급기구
41: 호스 50: 고정기구
51: 제1 탄성벨트 52: 제2 탄성벨트
53: 제3 탄성벨트 54: 제2 결속기구

Claims (5)

  1. 환자의 요부를 감싸 착용할 수 있는 코르셋과;
    코르셋의 내측에 착탈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수축팽창이 가능한 격실을 각각 갖는 다수의 플렉시블한 튜브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적층되어 있고, 상기 튜브들의 양단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견인수단과;
    상기 견인수단에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수단과;
    상기 코르셋의 외측에서 상기 코르셋을 압박하여 환자의 치료부위에 상기 견인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르셋의 내면 양측에는 상기 견인수단의 양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포켓과 제2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 중앙에는 상기 견인수단을 통과시킬 수 있는 루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르셋의 양단을 결속시킬 수 있는 탄성밴드와 제1 접착천을 갖는 제1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의 튜브들중 최상의 튜브에 치료부위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견인수단의 튜브들중 최하의 튜브에 치료부위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하부지지부재와, 상기 튜브들의 양단부에 상기 튜브들의 팽창을 구속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캡형상의 팽창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수단의 튜브,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는 커버에 내장되는 추간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코르셋의 외면 중앙 상부에 중앙이 부착되어 있으며, 양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제1 탄성벨트와;
    상기 코르셋의 외면 중앙 하부에 중앙이 부착되어 있고, 양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 탄성벨트와;
    상기 코르셋의 외면 중앙에 중앙이 부착되어 있으며, 양단은 상기 제1 탄성벨트와 제2 탄성벨트의 양단이 각각 부착되어 있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제3 탄성벨트와;
    상기 제3 탄성벨트의 양단을 결속시키는 제2 결속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추간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속수단은,
    상기 제3 탄성벨트의 일단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 후크들과, 상기 제2 후크들을 접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코르셋의 일단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 루프들을 갖는 제2 접착천과;
    상기 제2 접착천과 엇갈려 결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탄성벨트의 타단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3 후크들과, 상기 제3 후크들을 접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코르셋의 타단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3 루프들을 갖는 제3 접착천으로 이루어지는 추간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2002-0017640A 2002-03-30 2002-03-30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049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640A KR100498745B1 (ko) 2002-03-30 2002-03-30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640A KR100498745B1 (ko) 2002-03-30 2002-03-30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536A KR20030078536A (ko) 2003-10-08
KR100498745B1 true KR100498745B1 (ko) 2005-07-01

Family

ID=3237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640A KR100498745B1 (ko) 2002-03-30 2002-03-30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7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503A (en) * 1977-01-05 1979-01-23 Romano Nicholas A Orthopedic device
JPH0638995A (ja) * 1991-04-03 1994-02-15 Safeguard Ind Corp 治療器具
KR19990000575A (ko) * 1997-06-09 1999-01-15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00025893A (ko) * 1998-10-15 2000-05-06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00044058A (ko) * 1998-12-26 2000-07-15 채준석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KR200216070Y1 (ko) * 2000-07-31 2001-03-15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KR20020066764A (ko) * 2001-02-13 2002-08-21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503A (en) * 1977-01-05 1979-01-23 Romano Nicholas A Orthopedic device
JPH0638995A (ja) * 1991-04-03 1994-02-15 Safeguard Ind Corp 治療器具
KR19990000575A (ko) * 1997-06-09 1999-01-15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00025893A (ko) * 1998-10-15 2000-05-06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00044058A (ko) * 1998-12-26 2000-07-15 채준석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KR200216070Y1 (ko) * 2000-07-31 2001-03-15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KR20020066764A (ko) * 2001-02-13 2002-08-21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536A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42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ressure to mammalian limb
CA1112969A (en) Massage belt for wearing in the region of the human lumbar vertebral column
US4807606A (en) Therapeutic appliance for improving functions of hand fingers
US9539165B2 (en) Anti-reflux/heartburn treatment device
CA231577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dically treat soft tissue damage, lymphedema and edema
CN101808600A (zh) 肩矫形器
US7878996B2 (en) Lumbar selective stabilization support/brace
CN103096846A (zh) 矫形装置
US2015007331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ressure to a mammalian limb
KR200486741Y1 (ko) 디스크 치료 또는 완화기구
US20170095390A1 (en) Devices for mobilizing the hip joint capsul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9504595B2 (en) Inflatable compression wrap for direct support of the spinous process in the lumbar specific spine region
KR100498745B1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JP3753387B2 (ja) 緊縛ベルト
KR20020066764A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0282766B1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120110814A (ko) 디스크 치료용 벨트
KR20030078537A (ko) 경추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0204717B1 (ko)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100483176B1 (ko) 목디스크 치료기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KR200363892Y1 (ko) 요추지지용 에어벨트
KR102535356B1 (ko) 고관절 보호 및 힙업 기능을 갖는 고관절 보호대
JPH0473058A (ja) 肩関節保持具
US20230099955A1 (en) Inflatable stent for medical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