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84Y1 -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 Google Patents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284Y1
KR200448284Y1 KR2020090011962U KR20090011962U KR200448284Y1 KR 200448284 Y1 KR200448284 Y1 KR 200448284Y1 KR 2020090011962 U KR2020090011962 U KR 2020090011962U KR 20090011962 U KR20090011962 U KR 20090011962U KR 200448284 Y1 KR200448284 Y1 KR 200448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emostatic
pressing
elastic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환
고영석
김기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Priority to KR2020090011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84Y1/ko
Priority to PCT/KR2010/004607 priority patent/WO201103100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5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with mean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Abstract

본 고안은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밴드와, 제 2 밴드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탄력밴드와, 상기 탄력밴드에 내측으로 장착되며, 출혈부위를 압박하는 누름 부재; 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력밴드의 일 말단이 상기 제 1 밴드와 연결되고, 상기 탄력밴드의 타 말단은 상기 제 2 밴드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Tourniquet band set to easy compression contro}
본 고안은 지혈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출혈 부위를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할 수 있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혈관을 통한 의료 시술 등에는 카테터 등을 혈관 또는 몇몇 다른 생체 조직 내로 삽입함으로써, 시약 등을 인체 내부로 용이하게 투여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구들은 피부조직과 혈관측 사이에 천공된 통로를 통하여 혈관에 삽입된 후 이 혈관의 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정의 의료 시술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카테터를 이용한 시술이 완료된 후 카테터를 천공된 부위에서 뽑아내면 맥박과 같은 박동 등에 의해 혈관 내의 혈액이 분출되면서 출혈 현상이 발생되므로, 치료가 완료된 후에, 천공된 부위를 지혈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의사나 간호사 등이 천공된 부위를 손으로 직접 막거나 물리적인 차단 및 압박이 가능한 별도의 기구 등을 이용하여 지혈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 상황에 따라 다르긴 하나 지혈하는 시간이 통상적으로 짧게는 30분에서 길게는 3시간 내지 4시간이 걸리므로, 힘이 약한 여자 간호사가 행하기는 어려우며, 또한 지압의 세기가 중요하므로 전문지식이 필요한 남자 의사가 지혈을 행하여야 하는바, 오랜 시간 동안 남자의사가 지혈하는 데에 시간을 소모한다는 것은 비경제적이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출혈부위를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양 단에 자유롭게 탈착이 가능한 벨크로 테이프를 구비한 밴드와, 이 밴드의 내면 중앙 근처에 부착되며 출혈부위를 눌러 지혈시키는 거즈로 구성되는 지혈대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혈대는 거즈를 출혈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 후, 거즈가 출혈부위를 가압하도록 밴드로 거즈를 고정시켜서, 거즈가 출혈부위를 가압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장시간 소요되는 지혈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지혈대는 단순히 밴드로 출혈부위를 감싸 가압하고 그 가압된 정도를 벨크로 파스너에 의해 고정하게 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가압정도를 미세하게 조정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출혈부위를 가압하는 정도를 미리 정해진 강도만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환자의 출혈정도에 따라 출혈부위를 적절하게 가압할 수 있어 지혈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혈은 완전히 되면서도 혈액 순환은 방해받지 않아, 타이트 한 지혈에 의해 조직이 괴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는, 제 1 밴드와, 제 2 밴드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탄력밴드와, 상기 탄력밴드에 내측으로 장착되며, 출혈부위를 압박하는 누름 부재; 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력밴드의 일 말단이 상기 제 1 밴드와 연결되고, 상기 탄력밴드의 타 말단은 상기 제 2 밴드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는,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는, 신체부위의 일면을 감싸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며, 접촉되는 신체부위에는, 수직방향으로 오목한 혈관 홀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대는, 상기 누름 부재가 압박하는 상기 출혈부위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는, 상기 제 2 밴드가 상기 제 1 밴드의 일면에 착탈 될 때, 상기 제 2 밴드의 일측을 당기면, 상기 탄력밴드의 일측은 제 2 밴드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늘어나, 상기 누름 부재의 압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 부재는, 가압부와, 가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부에 형성된 본체 및 상기 탄력밴드가 관통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력밴드는,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를 열융착에 의해 연결하는 연결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밴드는, 상기 탄력밴드의 일면을 감싸 상기 제1 밴드의 일면에 착탈 되는 부분은, 벨크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의 일면에 착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환자의 출혈정도에 알맞게 적당한 압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혈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출혈 정도에 따라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를 강하 게 조여야 할 경우에도, 가압부에 의해 지혈은 완전히 되면서, 보호대의 혈관 홀에 의해 혈액 순환이 방해받지 않아, 지혈시 조직이 괴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의 전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100)는, 제 1 밴드(110), 누름부재(120), 탄력밴드(130), 제 2 밴드(140) 및 보호대50)를 포함한다.
우선, 제 1 밴드(1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벨크로 테이프 등 소위 "찍찍이"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2 밴드(140)는, 제 1 밴드(110)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벨크로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제 1 밴드(110) 및 제 2 밴드(140)를 찍찍이 또는 벨크로 방식으로 착탈 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이러한 제 2 밴드(140)의 일측은 제 1 밴드(110)의 일측에 착탈되고, 타측은 제 1 밴드(110)의 일측에 착탈되어, 제 1 밴드(110)와 함께 개구가 위치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제 1 밴드(110) 및 제 2 밴드(140)의 일면이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질 경우, 그 타면은 기모 등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제 1 밴드(110)의 일측과 제 2 밴드(140)의 일측이 벨크로 방식으로 착탈 시킬 수 있고, 그 타측인 제 2 밴드(140)의 타측도 제 1 밴드(110)의 일측(중앙부근)에 벨크로 방식으로 착탈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밴드(110)의 일측은 탄력밴드(1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밴드(140)의 일측 역시 탄력밴드(1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탄력밴드(13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는 제 1 밴드(110) 및 제 2 밴드(140)를 열융착에 의해 연결하는 연결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탄력밴드(130)는 후술할 누름부재(120)의 가이딩부(123)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누름부재(120)는, 본체(121), 가압부(122) 및 가이딩부(123)를 포함한 다.
본체(121)는, 직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122)가 안착되는 안착부(미도시)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안착부는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21)의 형상이 직사각형일 경우,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본체(121)의 형상이 원형일 경우, 원형의 모양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가압부(122) 역시 본체(121)의 형상이 직사각형일 경우,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본체(121)의 형상이 원형일 경우, 원형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부(122)는 제 1 밴드(10)와 제 2 밴드(20)가 개구 즉, 출혈부위가 있는 팔목 등을 감쌀 때, 개구(출혈부위)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혈액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혈액은 빨아들일 수 없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가압부(122)는 개구를 직접 가압하여 지혈시키는데, 이러한 가압부(122)는 차단력 및 지지력이 유발되면서 개구에 밀착된 상태로 원활한 지혈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스펀지 등과 같은 다공성 구조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압부(122)는, 스펀지, 우레탄, 고무, 또는 면 중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21)는 양측에 고리 형상의 가이딩부(123)를 구비하여, 이 가이딩 부(123)에 탄력밴드(130)가 장착된다.
한편, 환자의 출혈 정도에 따라 처음에는 가압부(122)가 개구를 강하게 가압시키도록 제 1 밴드(110)와 제 2 밴드(140)를 팽팽하게 체결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출혈이 어느 정도 멈추거나 약해졌을 경우, 개구를 처음보다 약하게 가압시켜야 한다. 이럴 경우, 종래에는 거즈를 고정시킨 종래의 밴드부재의 연결을 완전히 해제한 후, 느슨하게 처음부터 다시 연결을 하였다. 그러나 환자의 출혈 정도에 따라 개구의 가압 정도를 정밀하게 조정해야 하는데, 종래의 방식으로는 절대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없으며, 보통 환자는 전문 의료인의 도움 없이는 느슨한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만약 환자가 느슨한 정도를 알고 있다 하더라도, 환자 혼자의 힘으로 종래 밴드부재의 연결을 완전히 해제한 후 처음부터 다시 연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즉,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밴드(110)의 일측과 제 2 밴드(140)의 일측이 벨크로 방식으로 상호 결합하여, 1차적으로 가압부(122)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그 타측의 제 2 밴드(140)는 제 1 밴드(110)의 중앙부에 벨크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2 차적으로 가압부(122)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2차적으로 가압부(122)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것은, 탄력밴드(130)의 상부를 덮는(도 1 및 도 2 참조) 제 2 밴드(140)가 제 1 밴드(110)의 중앙부의 일면에 착탈 될 때, 탄력밴드(130)의 일측은 제 2 밴드(14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늘어나고, 탄력밴드(130)가 늘어나는 힘에 의해 개구에 접촉되어 있는 가압 부(122)의 압박력이 커지게 되고, 반대로 제 2 밴드(140)를 조절하면, 탄력밴드(130)가 늘어나는 힘에 의해 개구에 접촉되어 있는 가압부(122)의 압박력이 줄어들게 된다.
다시 말해 개구를 가압하게 될 때, 양 연결부(131)에서 길이(d1)를 탄력밴드(130)의 길이(d2: 도 5의 b 도시)보다 짧도록 하여, 지혈밴드(30)가 일부 접히도록 한다. 이때 양 연결부(131)의 길이(d1)는 전문 의료인이 미리 정해지도록 한다. 그 후, 일정 시간이 지나서, 가압부(122)가 상기 개구를 처음보다 약하게 가압시켜야 할 때, 탄력밴드(130)를 덮는 제 2 밴드(140)의 연결을 해제시키면, 접혀 있던 탄력밴드(130)가 펴지면서, 탄력밴드(130)의 펴진 길이만큼 가압부(122)가 상기 개구를 약하게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순히 제 2 밴드(140)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것만으로, 가압부(122)가 상기 개구를 가압하는 강도를 처음보다 약하게 하며, 그 강도 또한, 미리 정해진 것만큼 약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출혈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압부(122)가 개구를 가압하는 압력을 환자의 출혈 정도에 따라 적당한 가압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의 후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100)를 이용할 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대(150)를 사용한다.
보호대(150)는 상기 개구를 가압하는 가압부(122)의 타측, 즉 누름부재(120)의 타측 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보호대(150)는 신체의 각 부위(손목, 발목, 팔의 둘레, 다리 둘레, 머리, 허리, 목, 엉덩이 등등)의 일면을 감싸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수직방향으로 오목한 혈관 홀(151)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대(150)는 누름부재(120)의 가압부(122)가 압박하는 상기 출혈부위의 타측에 배치되며, 이 보호대(150)에 혈관 홀(151)이 형성된 이유는, 상기 출혈부위를 강하게 압박하기 위해서 제 1 밴드(110) 및 제 2 밴드(140)를 타이트 하게 조이더라도, 혈관 홀(151)과 맞닿는 신체부위의 혈관은 상기 혈관 홀(151)에 의해 압박되지 않기 때문에, 혈액순환이 방해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개구가 있는 신체부위를 제 1 밴드(110) 및 제 2 밴드(140)가 감싸는데, 예컨대 보호대(150)가 마련되지 않으면, 제 1 밴드(110) 및 제 2 밴드(140)가 신체부위에 완전히 밀착되어 혈액의 순환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면 경우에 따라서 해당 신체부위의 조직이 괴사할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출혈부위를 압박할 때 처음부터 느슨하게 하면 지혈효과가 기대할 수 없으므로, 출혈부위를 강하게 압박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호대(150)를 사용할 경우, 제 1 밴드(110) 및 제 2 밴드(140)를 강하게 조여, 가압부(122)가 개구를 강하게 압박하더라도, 보호대(150)에 혈관 홀(15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이 순환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보호대(150)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스펀지, 우레탄, 고무 중 어느 하 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의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에서 탄력밴드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출혈 부위가 손목에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손목 외에도 발목, 팔, 다리, 머리, 목, 가슴, 허리, 엉덩이 등의 둘레에도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1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부위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100)의 크기 및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이어서, 손목에 위치한 출혈부위, 즉, 개구를 지혈하기 위하여, 먼저 보호대(150)를 환자의 손등에 위치시킨 후,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100)의 제 1 밴드(110) 및 제 2 밴드(140)가 보호대(150)의 외측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제 1 밴드(110)의 일측과 제 2 밴드(140)의 일측을 벨크로 방식으로 체결한다.
여기서 보호대(150)는 주사 바늘 등에 의하여 손목에 개구 형성되기 전에 환 자의 손등에 미리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도 5의 (a)를 참조하면, 탄력밴드(130)의 상부를 덮는(도 5 참조) 제 2 밴드(140)가 제 1 밴드(110)의 일면(중앙부근)에 체결될 때, 탄력밴드(130)의 일측은 제 2 밴드(14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늘어나고, 탄력밴드(130)가 늘어나는 힘에 의해 개구에 접촉되어 있는 가압부(122)의 압박력이 커지게 된다.
이때 연결부(131)의 길이(d1)는 탄력밴드(130)의 길이(d2: 도 5의 b 도시)보다 짧도록 하여 탄력밴드(130)가 일부 접히도록 한다.
이렇게 제 1 밴드(110)와 제 2 밴드(140)가 체결 결합되면, 누름부재(120)의 가압부(122)가 개구를 가압하여 지혈이 시작된다.
그 후, 일정 시간이 지나서, 가압부(122)가 개구를 처음보다 느슨하게 가압시켜야 할 때, 탄력밴드(130)의 상부를 덮고 있는 제 2 밴드(140)를 제 1 밴드(110)에서 연결을 해제하여, 탄력밴드(130)의 접힌 길이(d2)가 펴지도록 함으로써, 가압부(122)가 개구를 느슨하게 가압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100)는 단순히 탄력밴드(130)의 상부를 덮고 있는 제 2 밴드(140)를 제 1 밴드(110)에서 연결을 간단히 해제하여 가압부(122)가 개구를 가압하는 강도를 처음보다 약하게 가압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강도 또한, 미리 정해진 것만큼만 약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압부(122)가 개구를 가압하는 압력을 환자의 출혈 정도에 따라 적당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따른 보호대(150)를 사용하여, 출혈 정도에 의해 제 1 밴드(110) 및 제 2 밴드(140)를 강하게 조여야 할 경우에도, 가압부(122)에 의해 지혈은 완전히 되면서, 보호대(150)의 혈관 홀(151)에 의해 혈액 순환이 방해받지 않아 지혈시 조직이 괴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의 전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의 후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에서 탄력밴드의 길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고안에 따른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110 : 제 1 밴드 120 : 누름부재
130 : 탄력밴드 140 : 제 2 밴드
150 : 보호대

Claims (6)

  1. 제 1 밴드;
    제 2 밴드;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탄력밴드;
    상기 탄력밴드에 내측으로 장착되며, 출혈부위를 압박하는 누름 부재; 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력밴드의 일 말단이 상기 제 1 밴드와 연결되고, 상기 탄력밴드의 타 말단은 상기 제 2 밴드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는,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며, 접촉되는 신체부위에는, 수직방향으로 오목한 혈관 홀이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대는, 상기 누름 부재가 압박하는 출혈부위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밴드가 상기 제 1 밴드의 일면에 착탈될 때, 상기 제 2 밴드의 일측을 당기면, 상기 탄력밴드의 일측은 제 2 밴드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늘어나, 상기 누름 부재의 압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가압부;
    가압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상부에 형성된 본체; 및
    상기 탄력밴드가 관통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딩부; 를 포함하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밴드는,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를 열융착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KR2020090011962U 2009-09-11 2009-09-11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KR200448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62U KR200448284Y1 (ko) 2009-09-11 2009-09-11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PCT/KR2010/004607 WO2011031004A2 (ko) 2009-09-11 2010-07-15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62U KR200448284Y1 (ko) 2009-09-11 2009-09-11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284Y1 true KR200448284Y1 (ko) 2010-03-29

Family

ID=4373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962U KR200448284Y1 (ko) 2009-09-11 2009-09-11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8284Y1 (ko)
WO (1) WO2011031004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08B1 (ko) * 2010-08-13 2011-03-17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지혈 밴드 세트
KR200457540Y1 (ko) 2011-07-18 2011-12-26 이승협 지혈 장치
KR200468799Y1 (ko) * 2012-01-25 2013-09-04 서울대학교병원 지혈 밴드의 결속 장치
KR20160088262A (ko) 2016-07-04 2016-07-25 임은혜 혈관 확보를 위한 압박기능을 갖는 지혈장치
KR101892573B1 (ko) 2017-12-18 2018-08-29 이상진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WO2018164310A1 (ko) * 2017-03-09 2018-09-13 유경호 수술용 지혈대의 압박보호 밴드
KR20180130332A (ko) * 2017-05-29 2018-12-0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CN112089473A (zh) * 2020-10-22 2020-12-18 田娟 一种普外科临床加压止血护理装置
KR102649811B1 (ko) 2023-12-18 2024-03-20 이정현 지혈 부위의 이탈 감지가 가능한 압박 지혈 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647359T3 (da) * 2012-04-02 2014-05-05 Frinken & Reischek Gbr Dr Kompressionsforbinding
DE102012013153A1 (de) * 2012-07-03 2014-01-09 W. Söhngen GmbH Vorrichtung zum Abbinden mindestens eines Blutgefäßes in einer Extremität
USD822221S1 (en) 2016-09-28 2018-07-03 Pro Performance Sports Llc Therapeutic massage device
KR102143991B1 (ko) * 2018-08-28 2020-08-12 피코코리아 주식회사 손목 보호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31A (ja) * 1994-06-24 1996-01-09 Hogi Medical:Kk 止血バンド
JP2000189427A (ja) 1998-12-28 2000-07-11 Nippon Zeon Co Ltd 止血用具
KR20020066764A (ko) * 2001-02-13 2002-08-21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356914Y1 (ko) 2004-04-01 2004-07-21 조영준 신축성을 갖는 지혈용 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3724A (en) * 1991-04-23 1995-07-18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Compressive hemostatic belt
JP3355509B2 (ja) * 1994-11-21 2002-12-09 ニチバン株式会社 止血用具
JP2003220066A (ja) * 2002-01-30 2003-08-05 K Brains Kk 止血具
KR200381454Y1 (ko) * 2005-01-19 2005-04-12 정명자 지혈용 벨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31A (ja) * 1994-06-24 1996-01-09 Hogi Medical:Kk 止血バンド
JP2000189427A (ja) 1998-12-28 2000-07-11 Nippon Zeon Co Ltd 止血用具
KR20020066764A (ko) * 2001-02-13 2002-08-21 박창준 추간판탈출증 치료용 의료보조기
KR200356914Y1 (ko) 2004-04-01 2004-07-21 조영준 신축성을 갖는 지혈용 밴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08B1 (ko) * 2010-08-13 2011-03-17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지혈 밴드 세트
KR200457540Y1 (ko) 2011-07-18 2011-12-26 이승협 지혈 장치
KR200468799Y1 (ko) * 2012-01-25 2013-09-04 서울대학교병원 지혈 밴드의 결속 장치
KR20160088262A (ko) 2016-07-04 2016-07-25 임은혜 혈관 확보를 위한 압박기능을 갖는 지혈장치
WO2018164310A1 (ko) * 2017-03-09 2018-09-13 유경호 수술용 지혈대의 압박보호 밴드
KR20180130332A (ko) * 2017-05-29 2018-12-0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KR101967293B1 (ko) 2017-05-29 2019-04-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KR101892573B1 (ko) 2017-12-18 2018-08-29 이상진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WO2019124698A1 (ko) * 2017-12-18 2019-06-27 이상진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US11571029B2 (en) 2017-12-18 2023-02-07 Sang Jin Lee Wrist guard with improved operation performance
CN112089473A (zh) * 2020-10-22 2020-12-18 田娟 一种普外科临床加压止血护理装置
CN112089473B (zh) * 2020-10-22 2022-05-10 田娟 一种普外科临床加压止血护理装置
KR102649811B1 (ko) 2023-12-18 2024-03-20 이정현 지혈 부위의 이탈 감지가 가능한 압박 지혈 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1004A2 (ko) 2011-03-17
WO2011031004A3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284Y1 (ko)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US10524802B2 (en) Hemostatic device
US5234459A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flow of blood through a limb
US5601597A (en) Combination radial artery occluder and wrist splint
US4781189A (en) Pneumatic exsanguinator and method for exsanguinating a limb
US9924949B2 (en) Vascular compression apparatus, pad and method of use
EP0673659B1 (en) Tourniquet apparatus for intravenous regional anesthesia
JP3136041U (ja) 止血器具
KR101021608B1 (ko) 지혈 밴드 세트
KR200442399Y1 (ko) 지혈대
KR200473635Y1 (ko) 압박 지혈밴드
US9433423B2 (en) Adjustable ratcheting vascular compress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200289304A1 (en) Wrist support and methods of use
CN205515077U (zh) 一种下肢皮牵引防旋丁字一体鞋
KR101455709B1 (ko)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EP2512353B1 (en) Dorsal forearm plate
KR102100216B1 (ko) 동맥천자용 손목 고정장치
KR101340561B1 (ko) 지혈 장치
KR101909347B1 (ko)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KR102654740B1 (ko) 천자부위 및 출혈부위 지혈대
KR101536686B1 (ko) 자가접착 밴드를 이용한 지혈밴드
WO2014199347A1 (en) Intra-operative pressure cuff to reduce organ bleeding
RU21504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ановки кровотечения из артерий конечностей после эндоваскулярного вмешательства или повреждения
CN219374788U (zh) 一种止血装置
CN210784584U (zh) 一种桡动脉穿刺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