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540Y1 - 지혈 장치 - Google Patents

지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540Y1
KR200457540Y1 KR2020110006491U KR20110006491U KR200457540Y1 KR 200457540 Y1 KR200457540 Y1 KR 200457540Y1 KR 2020110006491 U KR2020110006491 U KR 2020110006491U KR 20110006491 U KR20110006491 U KR 20110006491U KR 200457540 Y1 KR200457540 Y1 KR 200457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static device
pressing
band
patien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협
Original Assignee
이승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협 filed Critical 이승협
Priority to KR2020110006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5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5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with mean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는, 환자 신체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상기 환자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고정되며 상기 환자 신체에서 상기 가압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에 굽힘 압력을 가할 때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변형 정도가 서로 다르다.

Description

지혈 장치{HEMOSTATIC APPARATUS}
본 고안은 지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지혈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혈 장치는 상처 또는 의료 시술 등에 의하여 출혈이 있을 경우에 지혈을 하기 위한 것으로, 출혈 부위를 직접 압박하거나 동맥을 압박하여 차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팔이나 다리 등에 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지혈 장치는 밴드 등으로 이루어져 팔이나 다리 등에 감는 것에 의하여 지혈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혈 장치에서는 밴드의 탄성만으로 압력을 가하므로 출혈 부위 또는 동맥을 충분히 압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압박을 위하여 밴드를 세게 조이면 환자에게 불편함 또는 손상을 줄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출혈 부위를 효과적이면서 안전하게 압박할 수 있는 지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는, 환자 신체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상기 환자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고정되며 상기 환자 신체에서 상기 가압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에 굽힘 압력을 가할 때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변형 정도가 서로 다르다.
상기 제1 부분은, 제1 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부은, 상기 제1 측의 반대인 제2 측에 위치하며, 관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의 평면 형상에서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2 측의 단부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부의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관통부의 면적 비율이 0.1~0.5일 수 있다.
상기 보호부의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면적 비율이 0.1~0.5일 수 있다.
상기 관통부 및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부분에서의 상기 보호부의 두께를 T1, 상기 돌출부의 두께를 T2라 할 때, 상기 T1에 대한 상기 T2의 비율이 1.5~5일 수 있다.
상기 보호부에 굽힘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할 때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정사영 길이를 각기 L1 및 L2라 할 때, 상기 L1에 대한 상기 L2의 비율이 0.1~0.95일 수 있다.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1 측의 단부에 상기 밴드부의 제1 단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측의 단부에 상기 밴드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밴드부의 제2 단이 끼워지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부의 상기 제2 단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단을 당겨서 상기 접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을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지혈 장치를 상기 환자 신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의 가장자리는 외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의 내면 쪽에 위치하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충격 완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보다 상기 충격 완화부의 면적이 더 클 수 있다.
상기 충격 완화부 가장자리 내에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충격 완화부가 발포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양단에 상기 밴드부가 통과되는 가이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부의 내면을 향한 제1 면에서 돌출되는 가압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가압 돌출부에 고정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의 단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상기 고정 부재의 제2 면 쪽으로 상기 밴드부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제2 면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의 내면에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배리어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가 돌출부를 구비한 제1 부분과, 관통부를 구비한 제2 부분을 구비하여, 지혈 장치를 가압할 때 제2 부분이 좀더 많이 휘게 되므로 보호부에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을 가압부에 의하여 환자 신체에 전달하면, 환자 신체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보호부 내면 쪽의 충격 완화부에 의하여 환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의 일단은 고정하고 다른 일단을 당겨서 지혈 장치를 환자 신체에 고정하여, 좀더 간편하며 좀더 튼튼하고 강하게 환자 신체를 압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혈 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가압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보호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a는 지혈 장치를 결합한 상태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보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지혈 장치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보호부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혈 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100)는, 환자 신체를 가압하는 가압부(10)와, 이 가압부(10)를 환자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부(20)와, 이 밴드부(20)에 고정되며 환자 신체에서 상기 가압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보호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30)의 내면(304) 쪽, 즉 보호부(30)와 환자 신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충격 완화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압부(10)는 환자 신체에서 출혈 부위가 있는 팔 또는 다리 등을 감쌀 때, 출혈 부위 또는 동맥을 압박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가압부(10)는 밴드부(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부재(12)와 이 고정 부재(12) 상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상술한 가압부(10)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의 가압부(10)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고정 부재(12)는 보호부(30)의 내면(304)을 향한 제1 면(123)에서 돌출되는 가압 돌출부(126)와, 이의 양단에 위치하여 밴드부(20)가 통과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 가압부(126)는 환자 신체에서 원하는 부분을 가압하기 적당한 높이로 돌출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환자 신체를 적절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돌출 가압부(126)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압 부재(14)를 두껍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가압 부재(14)는 환자에게 손상을 주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고정 부재(126)에 비하여 강도 및 경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돌출 가압부(126)를 구비하지 않으면 환자 신체에 압력을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 가압부(126)에 의하여 환자 신체에 압력이 좀더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돌출 가압부(126)는 돌출 가압부(126)의 돌출된 부분에 의하여 가압 부재(14)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 부재(14)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42)에 돌출 가압부(126)를 끼우는 것에 의하여 가압 부재(14)를 흔들림 없이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가압 부재(14)와 고정 부재(12)를 좀더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제(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이들을 부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121, 122)는 고정 부재(12)가 밴드부(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즉, 밴드부(20)를 제1 가이드부(121)에 통과시켜 제2 면(제1 면(123)의 반대면) 쪽을 거쳐 제2 가이드부(122)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 부재(12)가 밴드부(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면 및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121, 122)가 구멍으로 이루어져 밴드부(121, 122)가 이를 통과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양한 방식으로 밴드부(121, 122)에 고정 부재(12)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고정 부재(12)의 제2 면에는 오목부(128)가 형성되어 고정 부재(12)와 밴드부(20)의 접촉 면적을 줄이는 것에 의하여 이들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밴드부(20) 상에서 고정 부재(12)를 좀더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28)를 복수로 형성하여 오목부(128) 사이에 배리어(129)가 위치하도록 하여 돌출 가압부(126)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오목부(128)에 의하여 고정 부재(12)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정 부재(12)의 무게를 줄여 환자 신체에 가해질 수 있는 과도한 눌림 압박을 완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2)는 가압 부재(14)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밴드부(2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부재(12)는 적절한 경도 및 강도 등을 가질 수 있도록,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부재(12)를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 부재(12)의 가압 돌출부(126) 상에 고정되는 가압 부재(14)는 환자 신체에 직접 접촉하여 지혈을 유도하는 부분이다. 가압 부재(14)는 환자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의 단면이 곡면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환자 신체에 어느 각도에서 닿아도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가압 부재(14)에서 밴드부(2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가압 부재(14)가 볼록한 단면을 가지도록 라운드 질 수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14)는 폭(밴드부(2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보다 길이 방향(밴드부(2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길게 형성되어 지혈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이는 가압 부재(14)가 기울어지거나, 모서리 부분에서 가압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 부재(14)가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가압 부재(14)는 환자 신체에 무해하며 고정 부재(12)에 비하여 부드럽고 푹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가압 부재(14)는 전자선 가교를 이용하여 형성된 발포 수지(일명 스티로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 부재(14)를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밴드부(20)는 환자 신체에 착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부(20)의 제1 단(201)은 보호부(30)의 제1 가이드부(301)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제2 단(202)는 보호부(30)의 제2 가이드부(302)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부분이다. 이러한 제2 단(202)에는 접착부(2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22)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케이블 타이, 똑딱이, 스티커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부(20)의 제2 단(202)을 보호부(30)의 제2 가이드부(302)에 넣은 후에 당겨서 제2 단(202)을 접착부(22)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지혈 장치(100)를 환자 신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부(301)에서는 밴드부(20)의 제1 단(201)을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고, 제2 가이드부(302)쪽에서만 밴드부(20)를 당기게 되면, 좀더 간편하며 좀더 튼튼하고 강하게 압박이 가능하다.
밴드부(20)에서 가압부(10)의 반대편에 보호부(30) 및 충격 완화부(40)가 위치하여 가압부(30)의 반대편에서 환자 신체를 보호한다. 즉, 보호부(30) 및 충격 완화부(40)는, 지혈을 위하여 밴드부(20)를 강하게 조이는 경우에도, 가압부(10) 이외의 부분에서의 혈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괴사 발생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호부(30) 및 충격 완화부(40)는 환자 신체의 각 부위(예를 들어, 손목, 발목, 팔 둘레, 다리 둘레, 머리, 허리, 목, 엉덩이 등등)에서 가압부(10)의 반대편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환자 신체의 각 부위를 감싸기에 적합하도록 보호부(30) 및 충격 완화부(40)의 단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환자 신체가 붓거나 꺽이는 경우에도 환자 신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보호부(30) 및 충격 완화부(40)의 양쪽 가장자리(도면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도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 완화부(40)는 보호부(30)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부(301, 302))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후술할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보다 큰 면적을 가져, 충격 완화부(40)의 가장자리 내에 보호부(30)의 제1 및 제2 부분(310, 320)이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환자 신체가 붓거나 꺽이는 경우에는 보호부(30)가 환자 신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 지혈 장치(100)가 환자에게 손상을 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충격 완화부(40)는 환자 신체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보호부(30)에 비하여 부드럽고 푹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충격 완화부(40)는 전자선 가교를 이용하여 형성된 발포 수지(일명 스티로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격 완화부(40)를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보호부(30)는 적절한 경도 및 강도 등을 가질 수 있도록,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부(30)를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보호부(30)의 가장자리는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330)를 가질 수 있다. 절곡부(330)는 환자 신체가 붓거나 꺽이는 경우에도 보호부(30)의 가장자리가 환자 신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지혈 장치(100)가 환자에게 손상을 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충격 완화부(40) 상에 위치하는 보호부(30)가 환자 신체에 압력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진다. 즉, 보호부(30)에는 보호부(30)의 외면(303)에서 보호부(30)의 두께가 변화되는 부분이 존재하여, 밴드부(20)에 의하여 환자 신체에 지혈 장치(100)를 장착할 때 보호부(30)의 각 부분의 휘는 정도(즉, 변형 정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 차이에 의한 탄성력을 환자 신체에 전달하여 환자 신체를 충분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두께가 변화되는 부분이라 함은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는 것뿐만 아니라 관통부(322)가 형성되어 두께가 0이 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러한 보호부(30)를 도 1과 함께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100)의 보호부(30)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a는 지혈 장치(100)를 결합한 상태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보호부(3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지혈 장치(100)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보호부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호부(30)는, 제1 측(도면의 좌측)에 위치하며 외면(303)에서 돌출되는 돌출부(312)를 구비하는 제1 부분(310)과, 제2 측(도면의 우측)에 위치하며 관통부(322)를 구비하는 제2 부분(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측에서 관통부(322)가 형성된 부분까지를 제2 부분(320)으로 정의하고, 그 이외의 부분을 제1 부분(310)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의 단부에는 밴드부(20)의 제1 단(201)이 끼워져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가이드부(301)가 형성되고, 제2 측의 단부에는 밴드부(20)의 제2 단(202)이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제2 가이드부(3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12)가 형성된 제1 부분(310)은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를 가지므로, 밴드부(20)를 조이는 것에 의하여 보호부(30)에 굽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휘는 정도가 작다. 반면, 관통부(322)가 형성된 제2 부분(320)은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를 가지므로, 밴드부(20)를 조이는 것에 의하여 보호부(30)에 굽힘 압력이 가해지면 크게 휜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보호부(30)에 굽힘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밴드부(2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할 때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의 정사영 길이를 각기 L1 및 L2라 한다. 그리고 도 6b에서와 같이, 보호부(30)에 일정한 굽힘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밴드부(2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할 때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의 정사영 길이를 각기 L11 및 L21라 한다. 그러면,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L11-L1)/L1 < (L21-L2)/L2
여기서, (L11-L1)/L1은 굽힘 압력이 가해졌을 때 제1 부분(310)의 정사영 길이의 감소율을 의미하고, (L21-L2)/L2는 굽힘 압력이 가해졌을 때 제2 부분(320)의 정사영 길이의 감소율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돌출부(312)를 구비한 제1 부분(310)과, 관통부(322)를 구비한 제2 부분(320)을 구비하면, 제2 부분(320)이 좀더 많이 휘게 되므로 보호부(30)에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을 가압부(10)에 의하여 환자 신체에 전달하면, 환자 신체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관통부(322) 및 돌출부(312)를 제외한 부분에서의 보호부(30)의 두께를 T1, 돌출부(312)에서의 두께를 T2라 할 때, T1에 대한 T2의 비율(즉, T2/T1)이 1.5~5일 수 있다. 이때, T2는 돌출부(312)의 두께 중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기준으로 한다. 상술한 T2/T1 값의 범위는 효과적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범위이다. 즉, T2/T1 값이 5를 초과하면 돌출부(312)가 지나치게 두꺼워지고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에서 휘는 정도의 차이가 커져, 제2 부분(320)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2/T1 값이 1.5 미만이면,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의 휘는 정도의 차이가 작아 발생하는 탄성력이 작을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30)의 전체 면적에 대한 관통부(322)의 면적 비율이 0.1~0.5일 수 있으며, 보호부(30)의 전체 면적에 대한 돌출부(312)의 면적 비율이 0.1~0.5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율 각각이 0.25~0.4일 수 있다. 또한, 보호부(30)에 굽힘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L1(즉, 제1 부분(310)의 정사영 길이)에 대한 L2(즉, 제2 부분(320)의 정사영 길이)의 비율이 0.1~0.95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0.55~0.75일 수 있다. 이러한 비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범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312)의 평면 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호부(30)의 평면 형상이 라운드진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312)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돌출부(312)에 회사명, 상품명 등을 표시하면 회사명, 상품명 등을 부각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312)가 형성된 부분의 내면(304)에는 오목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오목부(314)에 의하여 보호부(30)의 원가를 절감하고 보호부(3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오목부(314)를 복수로 형성하여 오목부(314) 사이에 배리어(315)가 위치한다. 이러한 배리어(315)에 의하여, 돌출부(312)가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면서 돌출부(31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관통부(322)는 제2 측(도면의 우측)의 단부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보호부(30)의 평면 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단부로 가면서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든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부(322)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부(322)가 있는 제2 부분(320)에 제2 가이드부(302)가 위치하고, 이 제2 가이드부(302)에 밴드부(20)의 제2 단(202)을 끼운 후에 당겨서 접착부(22)를 이용하여 제2 단(202)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관통부(322)가 있는 제2 부분(320)에서 밴드부(20)를 조이므로 밴드부(20)에 의하여 좀더 효과적으로 제2 부분(320)이 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력을 높일 수 있고, 환자 신체를 좀더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지혈 장치(100)를 환자 신체에 장착하는 방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혈 장치(100)를 지혈이 필요한 팔 또는 다리 등에 끼운 후에, 보호부(30) 및 충격 완화부(40)를 환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가이드부(302)에 끼워진 제2 단(202)을 당겨서 가압부(10)가 지혈이 필요한 부분을 압박하도록 한 상태에서 접착부(22)를 밴드부(20)에 고정시킨다(고정된 상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 그러면, 돌출부(312) 및 관통부(322)에 의하여 가압부(10)에 충분한 압력이 전달되어 지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충격 완화부(40)에 의하여 지혈이 필요하지 않은 부분의 혈류 흐름은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돌출 형성된 가압부(10)에 의하여 밴드부(20)가 환자 신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지혈 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불편함 또는 괴사 현상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혈 장치(100)의 굽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신체 사이즈를 가지는 환자 또는 다양한 사이즈의 환부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고정 부재의 형상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다른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고정 부재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혈 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정 부재(120)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지혈 시 지혈 장치가 환자에 주는 불편 또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혈 시 고정 부재(120)의 모서리가 날카로운 경우 환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심할 경우 손상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120)의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20)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원하는 환자 신체를 강하게 압박하면서도 환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고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환자 신체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상기 환자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고정되며 상기 환자 신체에서 상기 가압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보호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에 굽힘 압력을 가할 때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변형 정도가 서로 다른 지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측에 위치하며,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측의 반대인 제2 측에 위치하며, 관통부를 구비하는 지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평면 형상에서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2 측의 단부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평면 형상을 가지는 지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관통부의 면적 비율이 0.1~0.5인 지혈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면적 비율이 0.1~0.5인 지혈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및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부분에서의 상기 보호부의 두께를 T1, 상기 돌출부의 두께를 T2라 할 때, 상기 T1에 대한 상기 T2의 비율이 1.5~5인 지혈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에 굽힘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할 때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정사영 길이를 각기 L1 및 L2라 할 때,
    상기 L1에 대한 상기 L2의 비율이 0.1~0.95인 지혈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1 측의 단부에 상기 밴드부의 제1 단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측의 단부에 상기 밴드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밴드부의 제2 단이 끼워지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지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의 상기 제2 단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단을 당겨서 상기 접착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을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지혈 장치를 상기 환자 신체에 고정하는 지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가장자리는 외측을 향해 절곡된 지혈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가 수지를 포함하는 지혈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내면 쪽에 위치하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충격 완화부를 더 포함하는 지혈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면적의 합보다 상기 충격 완화부의 면적이 더 큰 지혈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 가장자리 내에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위치하는 지혈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가 발포 수지를 포함하는 지혈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양단에 상기 밴드부가 통과되는 가이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부의 내면을 향한 제1 면에서 돌출되는 가압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가압 돌출부에 고정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지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단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혈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상기 고정 부재의 제2 면 쪽으로 상기 밴드부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제2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지혈 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배리어가 위치하는 지혈 장치.
KR2020110006491U 2011-07-18 2011-07-18 지혈 장치 KR200457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491U KR200457540Y1 (ko) 2011-07-18 2011-07-18 지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491U KR200457540Y1 (ko) 2011-07-18 2011-07-18 지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540Y1 true KR200457540Y1 (ko) 2011-12-26

Family

ID=5367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491U KR200457540Y1 (ko) 2011-07-18 2011-07-18 지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5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61B1 (ko) * 2012-01-12 2013-12-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 장치
KR101455709B1 (ko) * 2013-04-05 2014-11-03 대승의료기기(주)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KR101567547B1 (ko) * 2014-04-04 2015-11-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궁 압박 지혈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018A (ja) 2007-04-20 2007-08-09 Nippon Zeon Co Ltd 止血用具
KR200442399Y1 (ko) 2008-08-07 2008-11-10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지혈대
KR200448284Y1 (ko) 2009-09-11 2010-03-29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KR101021608B1 (ko) 2010-08-13 2011-03-17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지혈 밴드 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018A (ja) 2007-04-20 2007-08-09 Nippon Zeon Co Ltd 止血用具
KR200442399Y1 (ko) 2008-08-07 2008-11-10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지혈대
KR200448284Y1 (ko) 2009-09-11 2010-03-29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KR101021608B1 (ko) 2010-08-13 2011-03-17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지혈 밴드 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61B1 (ko) * 2012-01-12 2013-12-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 장치
KR101455709B1 (ko) * 2013-04-05 2014-11-03 대승의료기기(주)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KR101567547B1 (ko) * 2014-04-04 2015-11-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궁 압박 지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1497A (en) Arm protecting device
KR200457540Y1 (ko) 지혈 장치
US8381731B2 (en) Medical tubing stabilization device
KR101997789B1 (ko) 통증 완화용 손목 밴드
KR101531760B1 (ko) 이중 허리 보호대
JP2014532495A (ja) スキーブーツと係合可能な膝関節保護用装置
US20150150712A1 (en) Curable orthopedic splint
KR101455709B1 (ko)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US9723881B1 (en) Head and facial protective device
KR20140032531A (ko) 지혈 장치
KR20130010431A (ko) 지혈 장치
KR102608393B1 (ko) 지혈대
US11484442B2 (en) Earmuffs
KR101332577B1 (ko)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JP2009011545A (ja) 脚部保護具
JP2006512996A (ja) 足関節用矯正装置
KR101757456B1 (ko) 의료용 스플린트 보호대
KR20130004428U (ko) 무릎 보호대
KR20140139863A (ko) 손발톱 밴드
US20180133044A1 (en) Flexible toe wraps
JP4431706B2 (ja) 医療用支持材
CN211513374U (zh) 护指
KR102503656B1 (ko) 영역 구분식 인장강도를 가지는 고정스트랩을 포함하는 팔꿈치 보호대
CN217744718U (zh) 一种手指保护套
CN217908099U (zh) 肢体关节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