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332A -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 Google Patents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332A
KR20180130332A KR1020170066311A KR20170066311A KR20180130332A KR 20180130332 A KR20180130332 A KR 20180130332A KR 1020170066311 A KR1020170066311 A KR 1020170066311A KR 20170066311 A KR20170066311 A KR 20170066311A KR 20180130332 A KR20180130332 A KR 20180130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ressing
hemostasis
femoral artery
puncture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293B1 (ko
Inventor
황선문
이덕희
김태일
이가영
서대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7006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29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61B1/313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for examination of the interior of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혈관 조영술의 시술을 받은 피치료자의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를 지혈하기 위한 대퇴 동맥 지혈 기구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 동맥 지혈 기구는 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자 부위를 커버하면서 압박하도록 고안된 지혈 압박대, 신장 가능한 탄력부 및 상기 탄력부의 양쪽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삽임홈을 통해 상기 지혈 압박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탄력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지혈 압박대가 상기 천자 부위를 압박하도록 고안된 압박 밴드 및 상기 압박 밴드의 탄력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부착부와 부착되도록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부착부를 포함하는 밴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혈 압박대는 상기 압박 밴드에 대하여 비틀림 자유도를 갖는다.

Description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Hemostasis apparatus for a punctured site on femoral artery}
본 발명은 지혈을 위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관 조영술의 시술을 위하여 천자된 대퇴 동맥(femoral artery)을 지혈하는데 사용되는 의료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혈관 조영술 등과 같은 의료 수술/시술에서, 대부분 사타구니 주위에 있는 대퇴 동맥을 통하여 카테터(catheter)를 삽입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타구니 주위의 피부를 통해 대퇴 동맥을 천자(puncture)하고, 천자 부위에 카테터 삽입기(sheath)를 설치한 다음 이를 통해 카테타를 대퇴 동맥의 내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수술을 수행한 후에는 카테터 삽입기를 제거하고, 피부와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를 지혈한다. 이러한 천자 부위는 통상적으로 사타구니 주위의 샅고랑 인근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혈관 조영술에서 카테터는 피부를 통해 대퇴 동맥을 천자하여 삽입되기 때문에, 카테터를 이용한 수술 이후에는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지혈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부종 또는 혈종 등이 발생하여 과다 출혈이나 쇼크로 피치료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사망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히, 혈관 조영술을 시행한 후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혈종으로 인한 가성 동맥류가 발생하여 1년에 몇 차례 사망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혈관 조영술에서는 헤파린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서,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처치는 혈관 조영술을 시행한 후에 피치료자의 신속한 회복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시술 행위의 하나이다.
종래의 지혈 방법은 카테터 삽입기를 제거한 후, 천자 부위를 미리 만들어진 매뉴얼에 따라 압박한 상태에서 거저 및/또는 의료용 밴드 등을 사용하여 1차적으로 지혈한다. 그리고, 2차적으로 환자의 움직임(및 고혈압, 혈액 응고 약물 투여)에 의한 재출혈을 방지하고 또한 완전한 지혈을 목적으로, 모래 주머니 또는 지혈 풍선 등을 이용하여 해당 부위를 추가적으로 수 시간 압박한다. 혈관 조영술을 위해서는 피부뿐만이 아니라 대퇴 동맥의 혈관도 천자되기 때문에, 해당 부위를 정확하게 그리고 소정의 크기 이상의 압력으로 압박하고 또한 압박 상태를 수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은 완전한 지혈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하지만, 종래의 지혈 방법 중에서 지혈 풍선을 이용하는 지혈 방법은 간단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지혈에 필요한 충분한 압박을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모래 주머니를 이용한 지혈 방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래 주머니가 지혈 부위를 이탈하거나 압박력이 감소하여 지혈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두 가지 방법 모두 피치료자의 움직임에 의해 지혈 풍선이나 모래 주머니의 이탈이 일어나거나 및/또는 압박력 감소가 발생하기가 쉽다. 또한, 피치료자는 모래 주머니 또는 지혈 풍선이 이탈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기 때문에, 피치료자의 움직임을 크게 제약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다른 선행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6363호에 듀얼 실리콘이 구비된 의료용 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의료용 밴드는 주사바늘 제거 후 사용되는 거즈나 의료용 밴드를 대신하는 지혈도구일 뿐, 대퇴 동맥의 천자된 부위에 대한 지혈과 같이 1차적으로 처치된 거즈나 의료용 밴드 상에 추가적으로 압박력을 가하는 용도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636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혈관 조영술을 위한 시술이나 수술 이후에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를 정확하게 그리고 장시간 안정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천자 부위인 샅고랑 인근의 신체 윤곽을 고려하여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피치료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천자 부위가 피치료자마다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를 정확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시술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를 정확하게 압박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처치받는 피치료자의 거동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혈관 조영술의 시술을 받은 피치료자의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를 지혈하기 위한 대퇴 동맥 지혈 기구로서, 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자 부위를 커버하면서 압박하도록 고안된 지혈 압박대, 신장 가능한 탄력부 및 상기 탄력부의 양쪽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삽임홈을 통해 상기 지혈 압박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탄력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지혈 압박대가 상기 천자 부위를 압박하도록 고안된 압박 밴드 및 상기 압박 밴드의 탄력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부착부와 부착되도록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부착부를 포함하는 밴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혈 압박대는 상기 압박 밴드에 대하여 비틀림 자유도를 갖는다. 이러한 대퇴 동맥 지혈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제1 부착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부착부가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압박 밴드와 상기 밴드 고정 부재는 상기 피치료자의 엉덩이 부분을 둘러싼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비틀림 자유도를 갖는 상기 대퇴 동맥 지혈 기구는 상기 지혈 압박대와 상기 압박 밴드가 이루는 최대 각도가 10도 내지 30도 사이가 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지혈 압박대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는 다각뿔대 또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되, 상기 압박부의 압박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상하 측면은 좌우 측면보다 경사도가 큰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지혈 압박대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 홈은 상기 압박부의 반대쪽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지혈 압박대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의 압박면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착력은 양면 테이프의 일면을 상기 압박면에 부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 동맥 지혈 기구는 지혈 압박대가 압박 밴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비틀림 자유도를 가져서, 소정 범위 이내에서 지혈 압박대가 압박 밴드에 대하여 비틀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지혈 압박대의 압박부와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일지라도, 지혈 압박대를 비틀어서 압박부가 천자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압박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퇴 동맥 지혈 기구를 이용하면, 허벅지와 상체가 만나서 주위보다 함몰되어 있는 샅고랑 인근의 피부 윤곽(profile)을 고려하여 지혈 압박대를 소정 범위에서 비틀어서 천자 부위에 대한 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혈 기구의 지혈 압박대, 보다 정확하게는 압박부가 주변의 신체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거나 최소화하면서 천자 부위에 대한 접촉 면적을 최대로 하여 효과적으로 압박을 가할 수가 있다. 아울러, 지혈 압박대의 압박부는 사각뿔대 등과 같은 다각뿔대 또는 원뿔대의 형상으로 돌출되되, 적어도 상하 측면의 경사도가 큰 프로파일을 가지므로, 주변의 신체, 특히 샅고랑 인근의 볼록한 신체 부위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여 압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 동맥 지혈 기구는 지혈 압박대에 형성된 슬롯 홈이 가로 방향으로 일자형이 아니라 굴곡 또는 요철을 갖는 프로파일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지혈 압박대가 지혈 압박 밴드를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어느 정도 제약될 수 있으므로, 피치료자의 착용 안정성이 향상되고 거동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게다가, 슬롯 홈이 압박부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인 경우에는, 슬롯 홈으로부터 압박부의 표면까지의 두께가 증가(결국, 지혈 압박대에서 천자 부위를 압박하는 부분의 부피 및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자형의 슬롯 홈의 형상과 비교하여 천자 부위에 보다 강한 압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 동맥 지혈 기구는 지혈 압박대의 압박부의 압박면이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일단 압박면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켜서 압박부로 압박을 하면 지혈 압박대가 해당 위치에서 접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피치료자의 착용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고 거동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 동맥 지혈 기구를 보여 주는 것으로서, 도 1a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의 내측, 도 1b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의 외측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c 및 도 1d는 각각 대퇴 동맥 지혈 기구의 지혈 압박대를 보여 주는 상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는 압박 밴드에 대하여 비틀어진 지혈 압박대가 압박 밴드와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밴드 삽입홈이 몸통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에 따른 지혈 압박대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 동맥 지혈 기구의 착용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압박 밴드의 양 단부가 밴드 부착 부재의 양 단부 각각에 접합되어 있는 상태이고, 도 4b는 도 4a의 대퇴 동맥 지혈 기구를 피치료자에게 착용시킨 상태에서 지혈 압박대를 압박 밴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튼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이하, '대퇴 동맥 지혈 기구'라고 한다)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의 내측을 보여 주는 것이고, 도 1b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의 외측을 보여 주는 것인데, '내측'은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에서 피치료자가 착용시에 피치료자를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외측'은 내측의 반대쪽 방향을 가리킨다. 이러한 '내측'과 '외측'의 구분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는 지혈 압박대(110), 압박 밴드(120) 및 밴드 고정 부재(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c 및 도 1d는 각각 도 1a 및 도 1b의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에서 지혈 압박대(110)만을 보여 주는 상면도와 측면도이다.
지혈 압박대(110)는 피치료자의 출혈 부위에 접촉하면서 자체 하중에 의한 압력과 함께 압박 밴드(120)에 의한 압박력이 출혈 부위, 보다 정확하게는 천자 부위에 가해지도록 하는 매개체로서 기능한다. 이를 위하여, 지혈 압박대(110)는 소정의 무게와 부피를 갖는 입체 형상을 갖는다. 지혈 압박대(110)는 피부, 거저 및/또는 지혈 밴드 등에 대하여 강한 마찰력을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혈 압박대(110)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혈 압박대(110)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면, 시술자는 지혈 압박대(110)의 무게 중심이 피치료자의 천자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면서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를 피치료자에게 착용시킬 수가 있다.
지혈 압박대(110)는 피치료자의 피부 상의 천자 부위에 지혈을 위해 1차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거저 및/또는 지혈 밴드와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면서 출혈 부위에 대한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지혈 압박대(110)는 거저 및/또는 지혈 밴드의 전부를 커버하도록 접촉하거나 또는 일부와 접촉하면서 출혈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혈관 조영술을 위한 시술 시에는 피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그 하부의 대퇴 동맥까지 천자하는 것이 아니라 상체쪽이면서 동시에 바깥쪽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서 대퇴 동맥까지 천자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결과, 피부에서의 천자 부위와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는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후자가 전자에 비하여 약간 위쪽(상체쪽)이면서 또한 신체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 확실한 지혈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상의 천자 부위에 대한 압박은 별론, 이로부터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까지 이르는 전체 천자 부위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에 강하게 압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확실한 지혈을 위해서는 피부상의 천자 부위보다는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상대적으로 강한 압박이 장시간(예컨대, 약 4 시간 이상) 가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천자된 혈관은 그 조직 특성은 물론 그 내부의 빠른 혈류로 인하여 천자된 피부에 비하여 지혈이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완전한 지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천자 부위보다는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무게 중심(압박 중심)이 위치하도록 지혈 압박대(110)가 출혈 부위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혈 압박대(110)는 몸통부(112) 및 압박부(114)를 포함한다. 압박부(114)는 몸통부(112)의 내측에 위치하여 그 일면, 즉 압박면(114a)이 피치료자의 피부 등에 직접 접촉한다. 여기서, 몸통부(112)와 압박부(114)의 구분은 지혈 압박대(110)의 물리적 형상 및 기능 등을 고려한 임의적인 구분일 뿐이며, 양자가 반드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성 요소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출혈 부위에 대한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압박을 위하여, 오히려 지혈 압박대(110)는 몸통부(112)와 압박부(114)가 물리적으로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몸통부(112)는 소정의 무게와 부피를 가지고 있는 입체 도형의 형상일 수 있다. 몸통부(112)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예를 들어 반구형, 반타원체형 또는 반원기둥 형상과 같이 외측면, 즉 압박부(114)가 있는 몸통부(112)의 내측면의 반대쪽 면은 돔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몸통부(112)는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원기둥(구현예에 따라서는 반원기둥보다 조금 더 작을 수 있다)과 육면체가 결합되어 있는 형상이거나 또는 반구형이나 반타원체형에 직육면체가 결합되어 있는 형상일 수도 있다. 이 때, 육면체는 직육면체 형상이거나 또는 직육면체 형상에서 양 측면의 중심부가 약간 볼록하게 돌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에 끼워져 있을 수 있도록 몸통부(112)에는 장공 또는 슬롯(slot) 형상의 밴드 삽입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밴드 삽입홈(116)은 몸통부(112)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그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탄성을 갖는 압박 밴드(120)의 압착력에 의하여 지혈 압박대(110)가 천자 부위를 압박하므로, 밴드 삽입홈(116)과 압박부(114) 사이의 두께는 가능한 두껍도록 밴드 삽입홈(116)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12)가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반원기둥과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육면체가 결합되어 있는 형상인 경우라면, 밴드 삽입홈(116)은 반원기둥과 육면체의 결합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밴드 삽입홈(116)을 통해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에 끼워져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틀림 자유도를 가질 수 있도록, 밴드 삽입홈(116)의 크기(보다 정확하게는 밴드 삽입홈(116)의 단면의 크기)는 압박 밴드(120)의 크기보다는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커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밴드 삽입홈(116)의 폭(ws)은 압박 밴드(120)의 두께(t)와 거의 같거나 약간 클 수 있다. 특히, 전자의 경우에는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를 따라서 움직이는데 어느 정도의 마찰력이 생기도록 하여 압박 밴드(120)에 끼워져 있는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를 따라서 횡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밴드 삽입홈(116)의 높이(h)는 압박 밴드(120)의 폭(wb)보다는 상당한 여유를 가질 정도로 크다. 밴드 삽입홈(116)의 높이(h)가 압박 밴드(120)의 폭(wb)보다 크면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에 대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비틀림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비틀림 자유도를 갖는다'는 것은 지혈 압박대(110)가 일정한 범위 이내에서 시술자가 원하는 만큼 압박 밴드(120)의 폭(wb) 방향으로 자유롭게 비틀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에 대하여 비틀어질 수 있다'는 것은 압박 밴드(120)가 고정된 상태, 예컨대 압박 밴드(120)의 양쪽 단부가 각각 밴드 고정 부재(130)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이와 같이, 비틀림 자유도를 갖도록 밴드 삽입홈(116)의 크기가 압박 밴드(120) 보다 크다는 것은 압박 밴드(120)가 밴드 삽입홈(116)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크기가 거의 같거나 약간 큰 것과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밴드 삽입홈(116)의 높이(h)가 압박 밴드(120)의 폭(wb)과 거의 같거나 아주 조금 크다. 그 결과,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의 폭(wb)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또는 아주 미세하게 비틀어질 수 있는 정도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에 대하여 비틀림 자유도를 갖는다고 볼 수는 없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틀어져서 양자가 이루는 최대 각도는 약 10도 내지 약 30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밴드 삽입홈(116)의 높이(h)는 압박 밴드(120)의 폭(wb)보다 일정한 범위 이상으로 클 수 있다. 여기서, 지혈 압박대(110)와 압박 밴드(120)가 이루는 각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혈 압박대(110)의 수평 방향(Xa)과 압박 밴드(120)의 길이 방향(Xb)이 이루는 각도(θ)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경우에, 시술자는 최대 각도 이내의 범위에서 지혈 압박대(110)를 압박 밴드(120)에 대하여 비틀어서 천자 부위에 압박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지혈 압박대(110)와 압박 밴드(120)가 이루는 최대 각도(θ)가 30도 이상이 된다는 것은 지혈 압박대(110)의 높이(h)가 압박 밴드(120)의 폭(wb)보다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압박 밴드(120)의 폭(wb)이 밴드 삽입홈(16)의 높이(h)보다 상당히 작으며 그 결과 압박 밴드(120)와 지혈 압박대(110)의 접촉 면적이 충분하지 않아서, 압박 밴드(120)가 지혈 압박대(110)를 전체적으로 강력하게 압박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밴드 삽입홈(116)의 높이(h)가 압박 밴드(120)의 폭(wb)보다 절대적으로 어느 정도 큰지는 압박 밴드(120)의 폭(wb)과 함께 지혈 압박대(110)의 높이(h)는 물론 밴드 삽입홈(116)의 관통 길이(l), 즉 지혈 압박대(110)의 폭(wh)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압박 밴드(120)의 폭(wb)이 약 5cm 정도이고 밴드 삽입홈(116)의 관통 길이(l)가 약 3cm인 경우에, 밴드 삽입홈(116)의 높이(h)는 약 6cm 정도가 될 수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다른 예로,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의 크기 및 이를 압박하기 위한 지혈 압박대(110)의 통상적인 크기를 고려할 때, 밴드 삽입홈(116)의 폭(ws)은 압박 밴드(120)의 폭(wb)보다 약 0.5 내지 1.5cm 정도가 더 클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밴드 삽입홈(116)이 몸통부(112)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에 따른 지혈 압박대(110)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3a는 밴드 삽입홈(116a)이 몸통부(112)를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경우이고, 도 3b는 밴드 삽입홈(116b)이 몸통부(112)의 외측(즉, 압박부(114)가 위치하는 방향과는 반대쪽 방향)으로 볼록한 프로파일로 관통하는 경우이고, 도 3c는 밴드 삽입홈(116c)이 몸통부(112)를 관통하는 프로파일이 요철을 갖는 경우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삽입홈(116a)이 몸통부(112)를 직선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제조 공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 도 1a 및 도 1b 참조)를 따라서 이동시키기가 용이하므로 시술자의 조작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3b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파일로 밴드 삽입홈(116)이 몸통부(1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경우에, 밴드 삽입홈(116a, 116b) 내에서 압박 밴드(120, 도 1a 및 도 1b 참조)와 지혈 압박대(110) 사이의 마찰력은 도 3a에 도시된 구현예에 비하여 증가한다. 그 결과,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 도 1a 및 도 1b 참조)를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비틀림 정도가 변경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제약된다. 이 경우에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 도 1a 및 도 1b 참조)를 착용한 피치료자가 약간 움직인다고 하더라도 지혈 압박대(110)는 원래의 위치에서 또한 압박 밴드(120, 도 1a 및 도 1b 참조)에 대하여 비틀린 상태로 계속 천자 부위를 압박하고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피치료자의 착용 안정성이 향상되고 거동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삽입홈(116b)이 지혈 압박대(110)에서 압박부(114)가 있는 방향의 반대쪽, 즉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돌출된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구현예에 비하여 밴드 삽입홈(116b)과 압박부(114) 사이에 위치하는 몸통부(112) 부분의 부피가 증가하고 또한 그에 따라서 해당 몸통부(112) 부분의 중량도 증가한다. 지혈 압박대(110)는 자체 하중과 함께 압박 밴드(120, 도 1a 및 도 1b 참조)에 의한 압착력으로 천자 부위를 압박하므로, 밴드 삽입홈(116b)으로부터 압박부(114) 사이에 위치하는 몸통부(112)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천자 부위를 압박하는 압박력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압박 밴드(120, 도 1a 및 도 1b 참조)에 의한 압착력이 동일한 경우라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볼록한 프로파일의 밴드 삽입홈(116b)의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자형 프로파일의 밴드 삽입홈(116a)에 비하여 보다 강한 압박력으로 천자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압박부(114)는 몸통부(112)의 내측, 즉 착용시에 피치료자쪽을 향하는 면에서부터 소정의 높이(H, 도 1d 참조)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박부(114)는 천자 부위에 대한 효과적인 압박(예컨대, 피부의 탄력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돌출 높이(H)가 너무 크면 피치료자가 착용한 이후에는 좌우로 기울 염려가 있으므로 너무 높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압박부(114)는 약 0.5 내지 3cm, 바람직하게는 약 0.7 내지 2cm 정도의 돌출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압박부(114)의 압박면(114a)은 피치료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면에 해당된다. 압박면(114a)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평면 형상이거나 또는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미세한 요철이나 엠보싱 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압박면(114a)이 접착 특성을 가지도록 표면 처리가 되거나 또는 접착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압박면(114a) 상에 부가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예컨대, 양면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양면 테이프의 일면은 압박면(114a)에 부착되어 있고, 타면은 시술자가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를 피치료자에게 착용을 하면서 커버를 제거하여 천자 부위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박면(114a)이 접착 특성을 가질 경우에, 일단 압박면(114a)을 정확하게 천자 부위에 위치시켜서 부착을 하면 고정이 되므로,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를 착용한 피치료자의 착용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고 또한 거동 불편도 최소화될 수 있다.
몸통부(1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압박부(114)는 전체적으로 사각뿔대, 팔각뿔대 또는 원뿔대 등과 같은 형상을 가져서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이 때, 사각뿔대 등을 구성하는 측면은 모두가 평평한 평면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단면적이 선형적으로 줄어들거나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압박부(114)는 압박면(114a)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지 않을 수(예컨대, 직육면체나 원기둥 형상)도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에는 천자 부위의 주위에 있는 피부와 압박부(114)의 측면이 접촉하는 정도가 후자의 경우보다 작기 때문에, 압박부(114)가 천자 부위에 집중적으로 압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압박부(114)가 사각뿔대 형상인 경우에 적어도 2개의 측면, 특히 상하 측면(114b, 도 1d 참조)은 휘어진 평면일 수 있다. 또는, 압박부(114)가 원뿔대 형상인 경우라고 하더라도 상하 방면의 측면은 휘어진 평면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뿔대를 구성하는 4개의 평면 중에서 좌우 측면(114c)은 평평한 평면이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중심부가 다소 돌출된 평면일 수도 있다. 즉, 좌우 측면(114c)은 옆에서 보았을 때 직선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뿔대의 상하 측면(114b)은 안쪽으로 휘어져서 압박면(114a)에 가까운 부분은 수직에 가까운 형상, 즉 압박면(114a)으로부터 경사가 급하게 감소하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즉, 상하 측면(114b)은 옆에서 보았을 때 압박부(114)의 압박면(114a)에서 다소 수직에 가까운 프로파일로 급격하게 감소하다가 점차 수평에 가까운 프로파일로 완만하게 감소하는 포물선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압박부(114)의 상하 측면(114b) 또는 상하 방향의 측면이 압박면(114a)으로부터 경사가 급하게 감소하다가 완만해지는 포물선의 프로파일을 가지면, 압박부(114)는 대퇴동맥의 천자 부위를 보다 효율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가 피치료자에게 착용되면 압박부(114)는 천자 부위를 일정한 세기로 누르면서 압박을 하므로 압박면(114a)이 접촉하는 신체 부분은 주변보다 함몰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로부터 대퇴 동맥까지 천자되는 천자 부위의 경로는 수직한 방향이 아니라 약간 상체 및 바깥쪽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면(114a)에 인접한 부분에서 경사가 급하게 감소하는 포물선의 프로파일을 가지면, 압박부(114)의 상하 측면(114b)이 주변 피부에 의한 제약을 덜 받으면서 천자 부위를 상하 방향(보다 정확하게는 지혈 압박대(110)가 압박 밴드(120)에 대하여 비틀어진 방향)으로 균등하게 그리고 보다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압박 밴드(120)는 소정의 길이는 갖는 탄력 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박 밴드(120)는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체 길이가 피치료자의 엉덩이 사이즈의 절반이나 그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치료자가 성인이라면 압박 밴드(120)는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약 35cm 내지 약 55cm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압박 밴드(120)는 소정의 힘(지혈 압박대(110)가 천자 부위를 충분히 강하게 압박할 수 있는 힘)으로 신장된 상태에서는 전체 길이가 성인 엉덩이 둘레 사이즈의 1/2,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 되어서 양 단부가 각각 밴드 고정 부재(130)까지 닿을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신장된 상태에서의 압박 밴드(120)의 길이는 피치료자의 엉덩이 전체를 둘러싸도록 길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본원 발명의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박 밴드(120)의 양 단부에 해당하는 부착부(124) 각각을 피치료자의 엉덩이 양쪽의 측면 부분에서 밴드 부착 부재(13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지혈 압박대(110)로 압박력이 가해지도록 하며 또한 밴드 고정 부재(130)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를 착용한 피치료자의 엉덩이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압박 밴드(120)는 적어도 탄력부(122)와 부착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력부(122)는 압박 밴드(120) 중에서 신장이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데, 부착부(124) 이외의 부분에 해당된다. 탄력부(122)는 전부가 탄력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부가 탄력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력성 재질의 소재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124)는 탄력부(122)의 양쪽 단부 각각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부착부(124)는 적어도 일면, 예컨대 내측면은 밴드 부착 부재(130)에 부착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부(12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부재 상에 부착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부재가 부가 접합되어서 부착부(124)가 구성될 수도 있다. 부착 특성을 갖는 재질은 벨크로 소재일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부착부(124)는 탄력부(122)와 동일한 재질의 밴드의 내측면 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거나 또는 봉재 등의 방식으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밴드 부착 부재(130)는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가 착용되어 있는 피치료자의 엉덩이 부분을 횡방향으로 감싸는 부재이다. 이러한 밴드 부착 부재(130)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자체가 독립된 밴드 형상의 부재이거나 또는 피치료자가 혈관 조영술의 시술시에 착용하는 일회용 팬티 등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전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밴드 부착 부재(130)의 내측면이 일회용 팬트의 뒷면에서 횡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자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다.
밴드 부착 부재(1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데, 밴드 부착 부재(130)의 접합부(132)와 압박 밴드(120)의 접합부(124)가 양단에서 서로 중첩되어 접합되는 경우에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를 착용한 피치료자의 엉덩이 부분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밴드 부착 부재(130)는 압박 밴드(120)와 피치료자의 피부 사시의 접촉이 최소화되도록 피치료자의 엉덩이 부분을 둘러싸고 대퇴동맥 인근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밴드 부착 부재(130)의 폭은 압박 밴드(120)의 폭과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더 클 수 있는데,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밴드 부착 부재(130)의 폭이 압박 밴드(120)의 폭보다 크면, 양 부재(120, 130)의 접합 부분에서 압박 밴드(120)가 피치료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 부착 부재(130)의 재질은 압박 밴드(120)와는 달리 탄력을 가지지 않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밴드 부착 부재(130)의 내측면(즉, 착용시에 피치료자를 향하는 면, 도 1a 참조)은 구현예에 따라서 피치료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할 수도 있으므로, 면과 같이 피부에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밴드 부착 부재(130)는 압박 밴드(120)의 한 쌍의 접합부(124) 각각과 접합하기 위한 한 쌍의 접합부(132)를 양쪽 단부에 적어도 포함한다(도 1b 참조). 한 쌍의 접합부(132)의 소재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압박 밴드(120)의 접합부(124)와 서로 접착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접합부(124, 132)가 모두 벨크로로 형성되는 경우에, 서로 접합하게 되는 접합부들(124, 13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접합부, 예컨대 압박 밴드(120)의 부착부(124)는 갈고리 형태를, 나머지 하나의 접합부, 예컨대 밴드 부착 부재(130)의 접합부(132)는 걸림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접합부(124 또는 132)가 반드시 동일한 형태(예컨대, 갈고리 형태 또는 걸림 고리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지만, 지혈 압박대(110)의 구조가 상하 구분이 없다면, 한 쌍의 접합부(124 또는 132)는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박 밴드(120)와 밴드 부착 부재(130)의 효과적인 접합과 지혈 압박대(110)의 압박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접합부(132)는 밴드 부착 부재(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밴드 부착 부재(130)의 외측면 자체가 접합부(132)로서 기능하거나 또는 밴드 부착 부재(130)의 외측면에 접합부(132)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밴드 부착 부재(130)는 탄력을 가지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며, 압박 밴드(120)가 소정의 힘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압박 밴드(120)의 접합부(124)와 밴드 부착 부재(130)의 접합부(132)가 서로 접합된다. 그리고 인장되어 양 단부가 밴드 부착 부재(130)에 부착된 압박 밴드(120)는 지혈 압박대(110)를 소정의 힘으로 압박하면서 천자 부위에 고정시킨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의 착용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지혈 압박대(110)가 끼워져 있는 압박 밴드(120)의 한 쌍의 접합부(124) 각각을 밴드 부착 부재(130)의 한 쌍의 접합부(132) 각각에 접합시킨 상태이고, 도 4b는 도 4a의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를 피치료자에게 착용시킨 상태에서 지혈 압박대(110)를 압박 밴드(1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튼 상태이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혈관 조영 시술을 받은 피치료자에게 출혈 부위에 지혈 밴드 및/또는 거즈 등으로 1차로 처치를 하고 그 상측에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의 압박부(110)로 압착을 하도록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가 설치되는데, 도 4b에서는 도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1차 처지에 대한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착용 상태의 대퇴 동맥 지혈 기구(100)는 압박 밴드(120)가 지혈 압박대(110)의 밴드 삽입홈(116)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 지혈 압박대(110)는 압박 밴드(12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지혈 압박대(110)의 위치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소정의 힘을 가하면 이동될 수 있도록 지혈 압박대(110)와 압박 밴드(120)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밴드 부착 부재(130)는 피치료자의 엉덩이 부분을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예컨대, 밴드 부착 부재(130)가 독립적인 밴드형 부재인 경우에는 혈관 조영술의 시술에 앞서 또는 시술 이후에 시술자가 피치료자의 엉덩이 아래에 위치시킨다. 또는, 밴드 부착 부재(130)가 피치료자가 착용하는 일회용 팬츠 등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치료자가 혈관 조영술의 시술에 앞서 일회용 팬츠를 착용함으로써 밴드 부착 부재(130)가 피치료자의 엉덩이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시술자는 압박 밴드(120)에 끼워져 있는 지혈 압박대(110)를 이동시켜서 천자 부위, 예컨대 지혈을 위하여 1차로 처치된 지혈 밴드나 거즈 상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지혈 압박대(110)의 이동 과정은 압박 밴드(120)의 적어도 일 접합부(124)를 밴드 부착 부재(130)의 일 접합부(132)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수행되거나 및/또는 압박 밴드(120)의 한 쌍의 접합부(124) 각각을 밴드 부착 부재(130)의 한 쌍의 접합부(132) 각각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의 경우에는 지혈 압박대(110)의 이동 과정을 완료한 이후에 압박 밴드(120)의 타 단부(124)를 밴드 부착 부재(130)의 타 단부(132)에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압박 밴드(120)를 밴드 부착 부재(130)에 접합시키는 과정은 압박 밴드(120)의 소정의 힘으로 인장시켜서 지혈 압박대(110)가 천자 부위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리고 지혈 압박대(110)의 위치가 정해진 이후에는 지혈 압박대(110)를 압박 밴드(1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서 지혈 압박대(110)의 압박부(114)(보다 정확하게는 압박부(114)의 압박면(114a))가 천자 부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압박면(114a)이 접촉하는 천자 부위는 밴드나 거즈 등이 처치되어 있는 피부 상의 천자 부위가 아니라 이보다 약간 위쪽이자 바깥쪽에 위치하는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피부 상의 천자 부위와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 사이의 거리는 압박면(114a)의 크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압박면(114a)의 중심이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압박면(114a)의 가장자리는 피부 상의 천자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혈 압박대(110)를 압박 밴드(1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예컨대, 최대 30도)로 비틀어서 천자 부위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압박 밴드(120)를 밴드 부착 부재(130)에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지혈 압박대(110)의 위치가 천자 부위에 다소 불일치(특히, 상하 방향으로의 불일치)가 있더라도 압박부(114)의 압박면(114a)이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샅고랑의 인근에 위치하는 천자 부위 주변의 피부 프로파일에 대응하도록 지혈 압박대(110)를 압박 밴드(1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틀 상태에서 천자 부위를 압박할 수 있으므로, 주변 피부에 의한 제약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효율적인 압박이 가능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대퇴 동맥 지혈 기구 110: 지혈 압박대
112: 몸통부 114: 압박부
116: 밴드 삽입홈 120: 압박 밴드
122: 탄력부 124: 부착부
130: 밴드 고정 부재 132: 부착부

Claims (5)

  1. 혈관 조영술의 시술을 받은 피치료자의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를 지혈하기 위한 지혈 기구에 있어서,
    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자 부위를 커버하면서 압박하도록 고안된 지혈 압박대;
    신장 가능한 탄력부 및 상기 탄력부의 양쪽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삽입홈을 통해 상기 지혈 압박대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탄력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지혈 압박대가 상기 천자 부위를 압박하도록 고안된 압박 밴드; 및
    상기 압박 밴드의 탄력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부착부와 부착되도록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부착부를 포함하는 밴드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지혈 압박대는 상기 압박 밴드에 대하여 비틀림 자유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 압박대와 상기 압박 밴드가 이루는 최대 각도는 10도 내지 30도 사이가 되도록 상기 비틀림 자유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 압박대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는 다각뿔대 또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되, 상기 압박부의 압박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상하 측면은 좌우 측면보다 경사도가 큰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 압박대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 홈은 상기 압박부의 반대쪽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 압박대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의 압박면은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KR1020170066311A 2017-05-29 2017-05-29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KR10196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311A KR101967293B1 (ko) 2017-05-29 2017-05-29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311A KR101967293B1 (ko) 2017-05-29 2017-05-29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332A true KR20180130332A (ko) 2018-12-07
KR101967293B1 KR101967293B1 (ko) 2019-04-09

Family

ID=6466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311A KR101967293B1 (ko) 2017-05-29 2017-05-29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2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4335A (zh) * 2019-12-04 2020-04-10 福建医科大学附属协和医院 一种桡动脉止血器
CN111134757A (zh) * 2020-01-06 2020-05-12 梁蒙 一种心血管介入术后穿刺点压迫止血装置及使用方法
KR20220092298A (ko) * 2020-12-24 2022-07-0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지혈대
KR20230063450A (ko) * 2021-11-02 2023-05-09 박현수 다목적 지혈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274B1 (ko) 2020-03-16 2021-11-15 민호균 의료용 지혈기구
KR102564918B1 (ko) 2021-02-16 2023-08-23 민호균 의료용 지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401U (ko) * 1998-11-20 2000-06-15 장윤영 출혈을 차단하기 위한 지혈벨트
KR20100006363A (ko) 2008-07-09 2010-01-19 양진서 듀얼실리콘이 구비된 의료용 밴드
KR200448284Y1 (ko) * 2009-09-11 2010-03-29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JP2011528569A (ja) * 2008-05-06 2011-11-24 メリッ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橈骨動脈圧迫デバイス
US20140142615A1 (en) * 2012-11-21 2014-05-22 Medical Ingenuities, LLC Radial compression hemostasis band with doppler confirming vascular patenc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401U (ko) * 1998-11-20 2000-06-15 장윤영 출혈을 차단하기 위한 지혈벨트
JP2011528569A (ja) * 2008-05-06 2011-11-24 メリッ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橈骨動脈圧迫デバイス
KR20100006363A (ko) 2008-07-09 2010-01-19 양진서 듀얼실리콘이 구비된 의료용 밴드
KR200448284Y1 (ko) * 2009-09-11 2010-03-29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US20140142615A1 (en) * 2012-11-21 2014-05-22 Medical Ingenuities, LLC Radial compression hemostasis band with doppler confirming vascular patenc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4335A (zh) * 2019-12-04 2020-04-10 福建医科大学附属协和医院 一种桡动脉止血器
CN111134757A (zh) * 2020-01-06 2020-05-12 梁蒙 一种心血管介入术后穿刺点压迫止血装置及使用方法
KR20220092298A (ko) * 2020-12-24 2022-07-0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지혈대
KR20230063450A (ko) * 2021-11-02 2023-05-09 박현수 다목적 지혈대
WO2023080526A1 (ko) * 2021-11-02 2023-05-11 박현수 다목적 지혈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293B1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293B1 (ko) 대퇴 동맥의 천자 부위에 대한 지혈 기구
US10524802B2 (en) Hemostatic device
US9763670B2 (en) Compression unit and a radial artery compression system
JP6893206B2 (ja) 止血器具
US20120221041A1 (en) Artery compressor
KR200448284Y1 (ko) 압박조절이 용이한 지혈 밴드 세트
JP3136041U (ja) 止血器具
JP2015066028A (ja) 止血用バンド
KR20020069184A (ko) 정맥수술후의 하지를 압박하기 위한 관상 압박 보조기
JP6573309B2 (ja) 止血器具
EP3344207B1 (en) Contact point reduction garment
KR200473635Y1 (ko) 압박 지혈밴드
US20170007465A1 (en) Sock And Method For Creating A Substantial Squeezing Pressure On One Or More Individual Toes Of A Wearer
US20210145452A1 (en) Hemostatic device
KR101705654B1 (ko) 지혈용 압박밴드
KR101455709B1 (ko)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JP2015066032A (ja) 止血用バンド
US20210186520A1 (en) Hemostatic device
US8945173B2 (en) Dorsal forearm plate
KR101909347B1 (ko) 신장조직검사에 따른 지혈장치
KR20130083244A (ko) 지혈 장치
JP2004201829A (ja) 止血器具
US11596417B2 (en) Hemostasis band with improved edge design
JP2596518Y2 (ja) 装着型止血用具
KR101883231B1 (ko) 가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