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149B1 - 의료용 복대 - Google Patents

의료용 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149B1
KR101563149B1 KR1020150065072A KR20150065072A KR101563149B1 KR 101563149 B1 KR101563149 B1 KR 101563149B1 KR 1020150065072 A KR1020150065072 A KR 1020150065072A KR 20150065072 A KR20150065072 A KR 20150065072A KR 101563149 B1 KR101563149 B1 KR 101563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late
pressing
wear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련
Original Assignee
(주)메이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드원 filed Critical (주)메이드원
Priority to KR102015006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복대에 있어서: 허리에 둘러매져 요추를 압박하도록 착용되는 한 쌍의 압박밴드와, 상기 압박밴드의 일단이 수용되게 벌림되는 연결밴드를 구비하는 밴드; 상기 연결밴드 상에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리와, 상기 고리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끈을 구비하는 경질의 연결판; 및 상기 연결끈을 착용자에 적합한 길이로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압박밴드 상에 탈·부착되어 요추에 가하는 압박을 미세하게 조절시키는 조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압박밴드와 연결끈을 착용자의 적합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착용의 편의성과 함께 압박에 의한 치료 및 교정효과를 향상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복대{Medical Belly band}
본 발명은 허리에 둘러매져 등을 압박해서 요추를 교정하거나 보호하는 복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의 편의성과 함께 압박에 의한 치료 및 교정효과를 향상할 수가 있도록 착용자의 다양한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동일한 압박이 가해지게 조절이 가능한 의료용 복대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복대는 허리에 착용되어 복부나 척추에 물리적인 압박을 가해서 일상생활로부터 허리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통증완화 및 자세교정으로 질환을 개선하는 치료보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복대는 단순히 허리를 감싸는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는 섬유띠와, 섬유띠의 양단에 벨크로나 버클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착용자가 섬유띠를 허리에 감싸서 소정의 압박력으로 둘러 맨 후에 벨크로나 버클로 고정하였다.
하지만 착용자가 두르는 힘으로만 압박하기 때문에 압박의 정도가 올바르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복부에만 치중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노인이나 아이들 또는 환자와 같이 근력이 약한 착용자는 혼자서 착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했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6563호 "요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2859호 "착탈식 허리보호대" 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복대는 밴드로 1차로 조임한 이후에 당김줄로 2차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압박의 정도를 올바르게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은 물론, 복부와 등에 균일하게 압박할 수가 있다. 그러나 당김줄을 당기면 요추를 전체적으로 압박해줌에 따라 적합한 치료나 교정을 보장할 수가 없다. 즉, 환자마다 체형이 다를 뿐더러 증상에 따른 치료 조건도 각기 달라서 압박의 부위도 적합하게 변경되어야만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무엇보다 압박의 잘못된 위치로 인해 오히려 요추에 변형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0508호 "허리 보호용복대"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복대는 당김줄을 좌우측에 이중으로 개별 형성하여 환자의 체형에 따라 압박부위를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압박부위가 요추가 아닌 옆구리에 위치하고 있어서 개별적으로 압박하더라도 결국, 요추를 전체적으로 압박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복대의 길이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가 없으므로 착용자의 나이나 체형에 따라 착용하는데 불편한 문제가 있다. 예컨대, 외소한 체형이나 나이가 어려 허리가 얇은 착용자는 양손이 엇갈린 상태에서 둘러매야 하므로 착용이 불편한 것은 물론, 올바른 압박력으로 착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압박력을 미세하게 조절해주는 당김줄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복대가 엇갈린 상태로 포개질 경우에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6563호 "요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2859호 "착탈식 허리보호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0508호 "허리 보호용복대"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밴드가 허리에 둘러진 상태에서 압박을 미세하게 조절되게 유도는 연결끈을 착용자의 적합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의 편의성과 함께 압박에 의한 치료 및 교정효과를 향상할 수가 있는 의료용 복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료용 복대에 있어서: 허리에 둘러매져 요추를 압박하도록 착용되는 한 쌍의 압박밴드와, 상기 압박밴드의 일단이 수용되게 벌림되는 연결밴드를 구비하는 밴드; 상기 연결밴드 상에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리와, 상기 고리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끈을 구비하는 경질의 연결판; 및 상기 연결끈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압박밴드 상에 탈·부착되어 요추에 가하는 압박을 미세하게 조절시키는 조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압박밴드는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따라 둘러지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소정의 간격마다 박음질된 절단선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판은 착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연결끈의 일단을 고정하면서 길이가 조절되게 유도하는 보빈판과,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압박밴드 상에 탈·부착을 유도하는 벨크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지판은 일측에 착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타측에 연결끈을 일방향으로 정렬되게 수용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걸림구와 가이드홈 사이에 보빈판의 장착을 유도하는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빈판은 후면에 연결끈의 일단이 고정되게 구속시키는 매듭홈과, 상기 매듭홈으로부터 양 갈래로 분기되면서 중앙이 밀폐되게 돌출되는 권취턱과, 상기 권취턱 상에 지지판과의 장착을 유도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빈판은 권취턱의 외측으로 전방이 개구되게 둘러지면서 지지판으로부터 연결끈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권취턱에 권취된 연결끈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킴과 함께 풀림을 방지하는 가이드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허리에 둘러지는 밴드를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적합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압박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연결끈을 밴드의 길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의 편의성과 함께 압박에 의한 치료 및 교정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판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판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끈과 조절판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과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허리에 둘러매져 복부와 등을 압박해서 요추를 교정하거나 보호하는 복대와 관련되며, 밴드(10)와 연결판(20) 및 조절판(3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의료용 복대이다. 본 발명의 복대는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적합하게 밴드(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과 함께 압박을 미세하게 조절되게 유도하는 연결끈(25)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동시에 겸비하여 전반적인 착용감을 향상하고 압박에 의한 치료 및 교정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10)는 도 1처럼 허리에 둘러매져 요추를 압박하도록 착용되는 한 쌍의 압박밴드(11)와, 압박밴드(11)의 일단이 수용되게 벌림되는 연결밴드(15)로 구성된다.
압박밴드(11)는 허리를 충분히 감싸서 둘러지는 길이와 폭으로 재단되는 바탕천과, 바탕천의 테두리를 보호하도록 덧대진 상태로 재봉되는 마감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탕천의 내·외면에 서로 맞물리는 벨크로가 재봉된다. 벨크로는 압박밴드(11)를 허리에 둘러매진 상태로 요추를 압박하도록 여미어 준다. 여기서 압박밴드(11)는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따라 둘러지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소정의 간격마다 박음질된 절단선(12)이 표시된다.
즉, 압박밴드(11)를 허리에 둘러보았을 때, 압박밴드(11)끼리 둘러져 포개지는 길이가 길 경우에 도 2처럼 연결밴드(15)로부터 분리한 다음, 절단선(12)을 따라 가위로 절단하면 된다. 따라서 제조자는 압박밴드(11)를 가장 큰 대형 사이즈로만 제조하면 되고, 착용자는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구매 및 착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절단선(12)은 2~5mm 간격의 이중으로 박음질되는 것이 좋다. 절단선(12)은 절단할 수 있는 부위를 사이즈별로 표시한 것뿐만 아니라 절단 부위에 실이 풀려 해체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즉, 절단선(12)을 이중으로 박음질 해두면, 그 절단선(12) 사이로의 절단을 유도해서 압박밴드(11)의 마감처리는 물론, 절단조각까지 깔끔하게 마감된 상태로 처리할 수가 있다.
그리고 연결밴드(15)는 요추를 전체적으로 압박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한 쌍의 바탕천과 마감천이 서로 포개진 상태로 이루어지는데, 포개진 천이 중앙을 가로질러 서로 벌림 된다. 이러한 연결밴드(15)는 서로 맞물리는 내면에 벨크로가 재봉되어 압박밴드(11)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한다. 즉, 연결밴드(15)를 도 2처럼 벌려서 압박밴드(11)를 분리한 다음, 길이가 조절된 압박밴드(11)를 재 고정할 수가 있다.
물론, 연결밴드(15)를 벌림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시키고, 내면에 압박밴드(11)를 벨크로에 의해 탈부착 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압박밴드(11)에 발생하는 압박력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연결밴드(15) 사이에 수용시켜 압박밴드(11)의 내·외면을 동시에 고정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판(20)은 도 1처럼 연결밴드(15)상에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리(21)와, 고리(21)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끈(25)을 구비한다. 연결판(20)은 연결밴드(15)의 외면에 재봉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경질의 판으로, 착용자에 의해 요추가 정상 각도 범위 외에서 굽혀지는 것을 억제하는 부목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판(20)은 도 2처럼 통기성을 가지도록 소정 면적에 천공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고리(21)는 연결판(2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끈(25)을 통하여 요추를 압박하도록 경유시켜준다. 이러한 고리(21)는 연결끈(25)을 경유하여 리턴시키는 ⊂형홈과, 통과시키는 =형홈이 형성된다. 상하 고리에는 연결끈(25)을 지그재그로 연결을 유도하는 리턴홈이 형성되고, 중앙 고리에는 연결끈(25)을 후술하는 조절판(30)과 연결되게 유도하는 관통홈이 형성된다.
연결끈(25)은 고리(21)를 통해 요추의 압박을 조절하는 것으로, 고리(21)에 지그재그로 연결된다. 즉, 일측 연결끈(25)은 우측 연결판(20)의 상단에 고정되고, 마주하는 고리(21)에 지그재그로 중앙까지 하향 연결되어 좌측 조절판(30)에 고정된다. 그리고 타측 연결끈(25)은 좌측 연결판(20)의 하단에 고정되고, 마주하는 고리(21)에 지그재그로 중앙까지 상향 연결되어 우측 조절판(30)에 고정된다.
한편, 하나의 연결끈(25)만으로 고리(21)를 통해 한 쌍의 연결판(20)에 '⊂'자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연결끈(25)의 중앙이 매듭된 상태로 하나의 조절판(30)에 연결되고, 양단은 일측 연결판(20)의 중앙에 고리(21)를 지나 타측 연결판(20)의 중앙의 고리(21)까지 통과한다. 통과한 연결끈(25)의 일단과 타단은 마주하는 고리(21)에 각각 지그재그로 상·하향 연결되어 타측 연결판(20)에 고정된다. 이 경우 하나의 연결끈(25)과 조절판(30)만으로 압박을 조절할 수가 있어 비용이 저렴해지고 조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만, 요추에 가해지는 압박을 영역별로 조절할 수가 없는 단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판(30)은 도 1처럼 연결끈(25)을 착용자에 적합한 길이로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압박밴드(11)상에 탈·부착되어 요추에 가하는 압박을 미세하게 조절시킨다. 즉, 압박밴드(11)가 허리에 둘러져 착용된 상태에서 조절판(30)을 압박밴드(11)로부터 탈착한 후에 연결끈(25)을 당겨 적절한 압박을 조절한 다음, 압박밴드(11)에 재 부착시키면 조절된 압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가 적어서 압박밴드(11)가 포개지는 길이가 긴 경우 또는 압박밴드(11)를 착용자에 적합한 길이로 축소한 경우에 조절판(30)을 통한 압박을 미세하게 조절하기가 어렵다. 연결끈(25)은 출고 시 압박밴드(11)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데,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가 적거나 조절된 압박밴드(11)의 길이가 짧아져 부착범위가 좁아진 탓에 조절판(30)을 양 손으로 엇갈린 상태로 압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조절판(30)은 연결끈(25)을 단순 고정되게 연결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압박밴드(11)로부터 충분한 부착범위를 가질 수 있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기 위한 조절판(30)은 도 3 및 도 4처럼 착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지지판(31)과, 지지판(31)의 전면에 연결끈(25)의 일단을 고정하면서 길이가 조절되게 유도하는 보빈판(35)과, 지지판(31)의 후면에 압박밴드(11)상에 탈·부착을 유도하는 벨크로(37)로 이루어진다.
지지판(31)은 일측에 착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는 걸림구(31a)와, 걸림구(31a)의 타측에 연결끈(25)을 일방향으로 정렬되게 수용하는 가이드홈(31b)과, 걸림구(31a)와 가이드홈(31b) 사이에 보빈판(35)의 장착을 유도하는 결합구(31c)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빈판(35)은 후면에 연결끈(25)의 일단이 고정되게 구속시키는 매듭홈(35a)과, 매듭홈(35a)으로부터 양 갈래로 분기되면서 중앙이 밀폐되게 돌출되는 권취턱(35b)과, 권취턱(35b)상에 지지판(31)과의 장착을 유도하는 결합돌기(35c)가 형성된다. 이때, 보빈판(35)은 권취턱(35b)의 외측으로 일단이 개구되게 둘러지면서 지지판(31)으로부터 연결끈(25)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권취턱(35b)에 권취된 연결끈(25)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킴과 함께 풀림을 방지하는 가이드턱(35d)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판(30)에 연결끈(25)을 구속되게 연결하는 과정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처럼 연결끈(25) 일단의 매듭이 매듭홈(35a)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판(31)과 보빈판(35)을 서로 밀착되게 장착한다. 그리고 결합구(31c)와 결합돌기(35c)를 통하여 억지끼움이나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지지판(31)과 보빈판(35)의 고정이 완료되면, 연결끈(25)의 일단이 매듭홈(35a)에 의해 완전히 구속된다. 이어서 도 6처럼 연결끈(25)을 가이드턱(35d)을 지나 권취턱(35b)에 반 회전 권취한 이후에 가이드홈(31b)에 끼움으로 수용시킨다. 마지막으로 벨크로(37)의 이형지를 제거한 후에 지지판(31)의 후면에 부착하면 된다.
여기서 연결끈(25)의 길이를 축소시키고자 한다면, 도 7처럼 가이드홈(31b)에 수용된 연결끈(25)을 이탈시킨 후에 도 8처럼 가이드턱(35d)을 지나 권취턱(35b)에 설정한 길이가 될 때까지 권취한 다음 가이드홈(31b)에 재 수용시키면 된다. 권취된 연결끈(25)은 가이드홈(31b)과 가이드턱(35d)에 의해 풀림이 방지하면서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미감을 향상시켜 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절판(30)은 지지판(31)과 보빈판(35)이 억지끼움이나 나사를 통한 분리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물론, 일체형의 경우에는 지지판(31)의 결합구(31c)와 보빈판(35)의 결합돌기(35c)는 생략된다. 분리형은 보빈판의 가이드턱(35d)의 돌출높이를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지지판(31)과 보빈판(35)을 조립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반면에 일체형은 지지판(31)과 보빈판(35)의 조립과정이 생략되므로 전반적인 공수를 절감할 수가 있으나 가이드턱(35d)의 돌출높이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품질성과 제조성을 고려하여 분리형 또는 일체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밴드 11: 압박밴드
12: 절단선 15: 연결밴드
20: 연결판 21: 고리
25: 연결끈 30: 조절판
31: 지지판 31a: 걸림구
31b: 가이드홈 31c: 결합구
35: 보빈판 35a: 매듭홈
35b: 권취턱 35c: 결합돌기
35d: 가이드턱 37: 벨크로

Claims (6)

  1. 의료용 복대에 있어서:
    허리에 둘러매져 요추를 압박하도록 착용되는 한 쌍의 압박밴드와, 상기 압박밴드의 일단이 수용되게 벌림되는 연결밴드를 구비하는 밴드;
    상기 연결밴드 상에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리와, 상기 고리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끈을 구비하는 경질의 연결판; 및
    상기 연결끈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압박밴드 상에 탈·부착되어 요추에 가하는 압박을 미세하게 조절시키는 조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밴드는 착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따라 둘러지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소정의 간격마다 박음질된 절단선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착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연결끈의 일단을 고정하면서 길이가 조절되게 유도하는 보빈판과,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압박밴드 상에 탈·부착을 유도하는 벨크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일측에 착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타측에 연결끈을 일방향으로 정렬되게 수용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걸림구와 가이드홈 사이에 보빈판의 장착을 유도하는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판은 후면에 연결끈의 일단이 고정되게 구속시키는 매듭홈과, 상기 매듭홈으로부터 양 갈래로 분기되면서 중앙이 밀폐되게 돌출되는 권취턱과, 상기 권취턱 상에 지지판과의 장착을 유도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대.
  6. 제3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판은 권취턱의 외측으로 일단이 개구되게 둘러지면서 지지판으로부터 연결끈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권취턱에 권취된 연결끈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킴과 함께 풀림을 방지하는 가이드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대.
KR1020150065072A 2015-05-11 2015-05-11 의료용 복대 KR10156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072A KR101563149B1 (ko) 2015-05-11 2015-05-11 의료용 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072A KR101563149B1 (ko) 2015-05-11 2015-05-11 의료용 복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149B1 true KR101563149B1 (ko) 2015-10-27

Family

ID=5442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072A KR101563149B1 (ko) 2015-05-11 2015-05-11 의료용 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1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899Y1 (ko) 2015-11-13 2016-03-18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KR20170122630A (ko) * 2016-04-27 2017-11-06 장일 척추 보호대
WO2018143508A1 (en) * 2017-02-01 2018-08-09 Ki Yong Chang Lifting belt
KR20210114687A (ko) * 2020-03-11 2021-09-24 조봉준 종아리 압박 보호대
KR102669807B1 (ko) 2022-02-04 2024-05-28 엠비헬스케어 주식회사 허리 보호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73B1 (ko)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899Y1 (ko) 2015-11-13 2016-03-18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KR20170122630A (ko) * 2016-04-27 2017-11-06 장일 척추 보호대
KR101879490B1 (ko) * 2016-04-27 2018-07-17 장일 척추 보호대
WO2018143508A1 (en) * 2017-02-01 2018-08-09 Ki Yong Chang Lifting belt
US11304839B2 (en) 2017-02-01 2022-04-19 Ki Yong Chang Lifting belt
KR20210114687A (ko) * 2020-03-11 2021-09-24 조봉준 종아리 압박 보호대
KR102449654B1 (ko) 2020-03-11 2022-09-30 조봉준 종아리 압박 보호대
KR102669807B1 (ko) 2022-02-04 2024-05-28 엠비헬스케어 주식회사 허리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973B1 (ko) 척추보조기
US11529263B2 (en) Graduated compress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circulatory disorders
US20240017033A1 (en) Headgear for breathing mask
JP2651953B2 (ja) 調節自在の膝サポーター
US5160314A (en) Wrist support
US5199940A (en) Posture training and correcting device
US8147438B2 (en) Adjustable wrist brace
US8808212B1 (en) Elastic shoulder support device for training mind and muscles for proper posture
US20140058307A1 (en) Adjustable back brace
KR101563149B1 (ko) 의료용 복대
US10406014B2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EP2400936A1 (en) Orthopedic device for treatment of the back
JP2014000398A5 (ko)
JP2013536010A (ja) 整形外科用装置
US8758284B1 (en) Convertible orthotic brace
US20080287036A1 (en) Gas permeable athletic breast restraint
US20100262056A1 (en) Back brace
KR102253097B1 (ko) 어깨 자세 교정장치
KR20200025903A (ko) 자세교정벨트
KR20160059130A (ko) 허리 보호대용 의료기구
KR200480674Y1 (ko) 의료용 복대
KR200433098Y1 (ko) 허리보호대
KR20160085980A (ko) 의료용 복대
RU2142244C1 (ru) Жилет, корректирующий осанку человека
US6783506B2 (en) Trochanter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