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490A - 냉매회로 구성부품 - Google Patents

냉매회로 구성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490A
KR20180088490A KR1020187021306A KR20187021306A KR20180088490A KR 20180088490 A KR20180088490 A KR 20180088490A KR 1020187021306 A KR1020187021306 A KR 1020187021306A KR 20187021306 A KR20187021306 A KR 20187021306A KR 20180088490 A KR20180088490 A KR 20180088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surface member
refrigerant circuit
fixing ban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야 타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8008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61Electrical conne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외표면부재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전선 등의 배선을 외표면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배선고정밴드의 어긋남이나 벗어남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져, 작업공정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켜서, 코스트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압력센서 등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매회로의 배관에 접속되는 압력센서(100A) 등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은, 압력센서(100A)의 외부에 배치되고, 압력센서(100A)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한 방수케이스(141A)와, 방수케이스(141A)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복수의 전선(133) 및 보호튜브(135)와, 방수케이스(141A)의 주위에 배치되어 복수의 전선(133) 및 보호튜브(135)를 고정하는 배선고정밴드(10)를 구비하며, 방수케이스(141A)에, 배선고정밴드(10)가 어긋나거나, 또는 배선고정밴드(10)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141A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매회로 구성부품
본 발명은, 냉매회로의 배관에 접속되는 압력센서 등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거나, 또는 외부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전선 등의 배선장착 냉매회로 구성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압력스위치, 압력센서 등의 압력감응장치, 또는 밸브장치 등의 냉매회로의 배관에 접속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고, 외부에 압력검출신호를 송출하는 압력센서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는 것과 같은 액봉형 압력센서가 알려져 있다.
액봉형 압력센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력 검출되는 유체를 압력실에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와, 압력실의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부와, 압력검출부에서 검출된 압력신호를 외부에 송출하는 신호송출부와, 유체공급부, 압력검출부, 및 신호송출부를 덮는 외표면부재로 구성된다.
압력검출부는, 주로 관통구멍을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하단의 관통구멍의 바깥둘레부에 있어서 용접되고, 상술한 압력실과 후술하는 액봉실을 떨어뜨리는 다이어프램과, 다이어프램의 압력실측에 배치되어 다이어프램과 함께 용접되는 다이어프램 보호커버와, 하우징의 관통구멍 내부에 봉착(封着)되는 헤르메틱 글라스와, 헤르메틱 글라스의 하단측 오목부와 다이어프램의 사이에 형성되며, 실리콘오일 등의 압력전달매체가 충전되는 액봉실과, 헤르메틱 글라스의 중앙의 관통구멍에 배치되는 지주와, 지주에 고정되어 액봉실 내부에 배치되고, 다이어프램을 통하여 실리콘오일의 압력변동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소자와, 액봉실 주위에 배치되는 전위조정부재와, 헤르메틱 글라스에 관통상태로 배치되고, 압력검출소자에 와이어본딩에 의하여 접속되어 압력검출소자에 대한 입출력을 행하는 복수의 리드핀을 구비한다.
또한, 신호송출부는, 주로 하우징의 압력실에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리드핀을 배열하는 단자대와, 복수의 리드핀에 접속되는 접촉단자와, 접촉단자에 접속되어 상술한 외표면부재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전선을 구비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14-98685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68105호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299230호
상술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액봉형 압력센서 등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에서는, 외표면부재로부터 인출된 전선, 또는 도압튜브 등의 배선을 외표면부재의 주위에 타이랩(Ty-Rap)(등록상표) 등의 결속밴드를 감아서 고정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결속밴드는, 진동이나 배선을 당김으로써, 어긋나거나, 벗어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몰토프렌 등의 점착재 장착 스폰지를 외표면부재에 점착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작업성이 저하되어, 코스트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전기회로 등을 수용 가능한 케이스체와, 이러한 케이스체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케이블을 케이스체의 인출부 부근에 있어서 결속밴드로 고정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케이스체의 일부에, 결속밴드의 버클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 버클 이면측면 당접부, 버클 하측면 당접부, 및 밴드부 삽입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고정부가 설치되고, 여기에 고정된 결속밴드가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외표면부재인 케이스체의 주위에 결속밴드를 감아 배선을 고정하는 기재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표면부재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전선 등의 배선을 외표면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밴드 등의 배선고정밴드의 어긋남이나 벗어남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져, 작업공정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켜서, 코스트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압력센서 등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은, 냉매회로의 배관에 접속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으로서, 상기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한 외표면부재와, 상기 외표면부재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적어도 1개의 배선과, 상기 외표면부재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1개의 배선을 고정하는 배선고정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외표면부재에, 상기 배선고정밴드가 어긋나거나, 또는 상기 배선고정밴드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표면부재는, 전체가 원통 형상이고, 상기 배선은 상기 외표면부재의 한쪽 단부의 중심에서 어긋난 위치로부터 인출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외표면부재는, 원통 형상의 방수케이스와, 상기 방수케이스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외표면부재는, 원통 형상의 방수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는, 상기 방수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는, 상기 덮개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외표면부재는, 원통 형상이 아닌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원통 형상이 아닌 부분의 상부 중심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적어도 1개의 배선은, 상기 외표면부재의 가로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냉매회로 구성부품은, 압력센서인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에 따르면, 외표면부재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전선 등의 배선을 외표면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배선고정밴드의 어긋남이나 벗어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표면부재에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작업공정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켜, 코스트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적용되는 액봉형의 압력센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적용되는 다른 압력센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압력센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압력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일례인 압력센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d는 도 3c에 나타내는 압력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다른 예인 압력센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f는 도 3e에 나타내는 압력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다른 예인 압력센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h는 도 3g에 나타내는 압력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압력센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압력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일례인 압력센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d는 도 4c에 나타내는 압력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다른 예인 압력센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f는 도 4e에 나타내는 압력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종래의 압력센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내는 압력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일례인 압력센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d는 도 5c에 나타내는 압력센서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적용되는 액봉형의 압력센서(100)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액봉형의 압력센서(100)는, 압력검출되는 유체를 후술하는 압력실(112A)에 공급하는 유체도입부(110)와, 압력실(112A)의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부(120)와, 압력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압력신호를 외부에 송출하는 신호송출부(130)와, 유체도입부(110), 압력검출부(120), 및 신호송출부(130)를 덮는 외표면부재(140)를 구비한다.
유체도입부(110)는, 압력검출되는 유체가 유도되는 배관에 접속되는 금속제 이음매부재(111)와, 이음매부재(111)의 배관에 접속되는 단부와 다른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하여 접속되는 그릇 형상을 가지는 금속제 베이스플레이트(112)를 구비한다.
이음매부재(111)에는, 상술한 배관의 접속부의 수나사부에 삽입되는 암나사부(111a)와, 배관으로부터 도입된 유체를 압력실(112A)에 유도하는 포트(111b)가 형성된다. 포트(111b)의 개구단은,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중앙에 설치된 개구부에 용접 등에 의하여 접속된다. 한편, 여기에서는, 이음매부재(111)에 암나사부(111a)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는데, 수나사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또는 이음매부재(111) 대신에, 구리제 접속파이프가 접속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베이스플레이트(112)는, 이음매부재(111)와 대향하는 측을 향하여 확산되는 그릇 형상을 가지고, 후술하는 다이어프램(122)과의 사이에 압력실(112A)을 형성한다.
압력검출부(120)는, 관통구멍을 가지는 하우징(121)과, 상술한 압력실(112A)과 후술하는 액봉실(124A)을 떨어뜨리는 다이어프램(122)과, 다이어프램(122)의 압력실(112A)측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 보호커버(123)와, 하우징(121)의 관통구멍 내부에 봉착되는 헤르메틱 글라스(124)와, 헤르메틱 글라스(124)의 압력실(112A)측의 오목부와 다이어프램(122)의 사이에 실리콘오일 등의 압력전달매체가 충전되는 액봉실(124A)과, 헤르메틱 글라스(124)의 중앙의 관통구멍에 배치되는 지주(125)와, 지주(125)에 고정되어 액봉실(124A) 내부에 배치되는 압력검출소자(126)와, 액봉실(124A)의 주위에 배치되는 전위조정부재(127)와, 헤르메틱 글라스(124)에 고정되는 복수의 리드핀(128)과, 헤르메틱 글라스(124)에 고정되는 오일충전용 파이프(129)를 구비한다.
하우징(121)은, 예를 들어 Fe·Ni계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료에 의하여 형성된다. 다이어프램(122)과, 다이어프램 보호커버(123)는, 모두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모두 하우징(121)의 압력실(112A)측의 관통구멍의 바깥둘레부에 있어서 용접된다. 다이어프램 보호커버(123)는, 다이어프램(122)을 보호하기 위하여 압력실(112A)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도입부(110)로부터 도입된 유체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연통구멍(123a)이 설치된다. 하우징(121)은, 압력검출부(120)가 조립된 후, 유체도입부(110)의 베이스플레이트(112)의 바깥둘레부에 있어서, 용접 등에 의하여 접속된다.
지주(125)의 액봉실(124A)측에는, 압력검출소자(126)가 접착제로 구성되는 접착제층(미도시)에 의하여 접착되어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주(125)는, Fe·Ni계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스테인리스 등 그 밖의 금속재료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압력검출소자(126)는, 유체도입부(110)로부터 압력실(112A)에 도입된 유체의 압력을, 다이어프램(122)을 통하여 액봉실(124A) 내의 실리콘오일의 압력변동으로서 검출한다.
전위조정부재(127)는, 일본특허공보 제3987386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력검출소자(126)를 무전계(제로전위) 내에 두고, 프레임접지와 2차전원 사이에 발생하는 전위의 영향으로 칩 내의 회로 등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전위조정부재(127)는, 액봉실(124A) 내의 압력검출소자(126)와 다이어프램(122) 사이에 배치되며,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압력검출소자(126)의 제로전위에 접속되는 단자에 접속된다.
헤르메틱 글라스(124)에는, 복수의 리드핀(128)과, 오일충전용 파이프(129)가 관통상태로 헤르메틱 처리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드핀(128)으로서, 전부해서 8개의 리드핀(128)이 설치되어 있다. 즉, 외부입출력용(Vout), 전원공급용(Vcc), 접지용(GND)의 3개의 리드핀(128)과, 압력검출소자(126)의 조정용 단자로서 5개의 리드핀(12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있어서는, 8개의 리드핀(128) 중 4개가 나타나 있다. 복수의 리드핀(128)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알루미늄제 본딩와이어(126a)에 의하여 압력검출소자(126)에 접속되고, 압력검출소자(126)의 외부입출력단자를 구성하고 있다.
오일충전용 파이프(129)는, 액봉실(124A)의 내부에 실리콘오일 등의 압력전달매체를 충전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한편, 오일충전용 파이프(129)의 한쪽 단부는, 오일충전 후, 도 1의 점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눌려 폐쇄된다.
신호송출부(130)는, 압력검출부(120)의 압력실(112A)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리드핀(128)을 배열하는 단자대(131)와, 단자대(131)에 접착제(132a)에 의하여 고정되며, 복수의 리드핀(128)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132)와, 복수의 접속단자(132)의 외단부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전선(133)과, 하우징(121)의 상단부와 단자대(131) 사이에 실리콘계 접착제로 형성되는 정전기보호층(134)을 구비한다.
단자대(131)는, 대략 원주 형상이며, 그 원주의 중간단 부근에, 상술한 복수의 리드핀(128)을 가이드하기 위한 측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지재료,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에 의하여 형성된다. 단자대(131)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등의 접착제에 의하여, 압력검출부(120)의 하우징(121) 상부에 고정된다.
접속단자(132)는,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단자대(131)의 상술한 고정벽보다 상단의 원주측벽에 수직으로 접착제(132a)에 의하여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입출력용(Vout), 전원공급용(Vcc), 접지용(GND)의 3개의 접속단자(132)가 설치된다. 3개의 접속단자(132)의 내단부는, 각각 대응하는 리드핀(128)에 용접 등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이 접속방법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방법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접속단자(132)에 접속하기 위하여 3개의 전선(133)이 설치된다. 전선(133)은, 전선(133)의 폴리염화비닐(PVC) 등으로 형성된 피복을 벗긴 심선(133a)에 미리 예비 납땜을 행하고, 그 연선(撚線)을 묶은 것을 납땜이나 용접 등에 의하여 접속단자(1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이러한 접속방법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방법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3개의 전선(133)은, 압력센서(100)의 주위를 덮는 외표면부재(140)로부터 인출된 후, 3개를 묶은 상태로 하여 폴리염화비닐(PVC) 등으로 형성된 보호튜브(135)로 덮인다.
정전기보호층(134)은, 헤르메틱 글라스(124)의 상단면을 덮도록 하우징(121)의 상단면에, 실리콘계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형성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환형상의 접착층과, 복수의 리드핀(128)이 돌출되는 헤르메틱 글라스(124)의 상단면 전체에, 실리콘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으로 구성된다. 정전기보호층(134)은, ESD보호회로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압력검출부(120)의 정전기내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외표면부재(14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압력검출부(120) 및 신호송출부(130)의 주위를 덮는 방수케이스(141)와, 단자대(131)의 상부에 씌워지는 단자대캡(142)과, 방수케이스(141)의 내주면과 하우징(121)의 외주면 및 단자대(131)의 외주면 사이를 충전하는 밀봉제(143)를 구비한다.
단자대캡(142)은, 예를 들어 수지재료에 의하여 형성된다. 단자대캡(142)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원주 형상의 단자대(131)의 상부를 막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레탄계 수지 등의 밀봉제(143)가 충전되기 전에 단자대(131)의 상부에 씌워진다. 하지만, 단자대캡(142)은 이 형상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단자대(131)의 상부 및 방수케이스(141)의 상부를 일체로서 막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밀봉제(143)가 충전된 후에 씌워지는 것으로 하거나, 또는 단자대캡(142)과는 별도로 새로운 덮개부재가 설치되고, 단자대캡(142) 및 밀봉제(143)가 배치된 후에, 방수케이스(141)의 상부에 새로운 덮개부재가 씌워지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방수케이스(141)는, 예를 들어 수지재료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 형상의 하단부에는, 내측을 향하는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에는, 방수케이스(141)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신호송출부(130) 및 압력검출부(120)가 접속된 유체도입부(110)의 베이스플레이트(112)의 외주부가 맞닿는다. 이 상태로 밀봉제(143)를 충전함으로써 압력검출부(120) 등의 내부 부품이 고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적용되는 다른 압력센서(200)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압력센서(200)는, 도 1에 나타내는 압력센서(100)와 마찬가지로 액봉형의 압력센서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압력센서(200)는, 도 1에 나타내는 압력센서(100)와, 외표면부재인 방수케이스(241)가 원주 형상이 아니라, 커넥터(232)를 덮는 상단측은 직경이 축소되고, 압력검출부(220)를 덮는 하단측은 내경이 크게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전선(233)이 방수케이스(241)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인출되는 점이 크게 다르다.
도 2에 있어서, 액봉형의 압력센서(200)는, 압력검출되는 유체를 후술하는 압력실(212A)에 공급하는 유체도입부(210)와, 압력실(212A)의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부(220)와, 압력검출부(220)로 검출된 압력신호를 외부에 송출하는 신호송출부(230)와, 유체도입부(210), 압력검출부(220), 및 신호송출부(230)를 덮는 외표면부재(240)를 구비한다.
유체도입부(210)는, 압력검출되는 유체가 유도되는 유로를 가지는 이음매부재(211)와, 이음매부재(211)의 한쪽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하여 접속되는 그릇 형상을 가지고, 후술하는 다이어프램(222)과 함께 압력실(212A)을 형성하는 금속제 베이스플레이트(212)를 구비한다.
압력검출부(220)는, 유체도입부(210)측에 오목부를 가지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 하우징(221)과, 하우징(221)의 오목부의 바깥둘레부에 있어서 상술한 베이스플레이트(212)와 함께 용접되고, 압력실(212A)과 후술하는 액봉실(223A)을 떨어뜨리는 다이어프램(222)과, 하우징(221)의 오목부와 다이어프램(222) 사이에 압력전달매체가 충전되고, 후술하는 헤르메틱씰(225)에 의하여 밀봉되는 액봉실(223A)과, 하우징(221)의 중앙부에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미도시)에 의하여 접착되어 고정되고, 액봉실(223A) 내부에 배치되며, 다이어프램(222)을 통하여 압력전달매체의 압력변동을 검출하는 압력검출소자(224)와, 액봉실(223A)을 밀봉하는 헤르메틱씰(225)과, 하우징(221)의 일부에 고정되고, 압력전달매체를 액봉실(223A)에 충전하는 오일충전용 통로(226)와, 오일충전용 통로(226)로부터 압력전달매체가 충전된 후, 한쪽 단부를 밀봉하는 볼(227)과, 하우징(221)에 상술한 헤르메틱씰(225)에 의하여 고정되며, 압력검출소자(224)에 와이어본딩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리드핀(228)을 구비한다.
신호송출부(230)는, 후술하는 방수케이스(241)의 내부의 압력검출부(220)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리드핀(228)에 접속되는 기판(231)과, 기판(231)에 커넥터(232)를 통하여 접속되며, 후술하는 방수케이스(241)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233)을 구비한다. 복수의 전선(233)은, 압력센서(200)의 주위를 덮는 외표면부재(24)로부터 인출된 후, 복수개를 묶은 상태로 하여서 폴리염화비닐(PVC) 등으로 형성된 보호튜브(235)로 덮인다. 한편, 전선(233)은, 여기에서는, 방수케이스(241)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 중앙 이외, 또는 가로방향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외표면부재(240)는, 수지제 재료로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넥터(232)를 덮는 상단측은 직경이 축소되고, 압력검출부(220)를 덮는 하단측은 내경이 크게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수케이스(241)와, 방수케이스(241) 내의 공간에 밀봉되며,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밀봉제(242)와, 방수케이스(241)와 베이스플레이트(212) 사이의 공간에 밀봉되어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밀봉제(243)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압력센서(100), 및 도 2에 나타내는 압력센서(200) 등에, 본 발명에 따른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적용된 예를, 이하의 도 3a 내지 도 5d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상술한 도 1과 마찬가지의 압력센서(100)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압력센서(100)는, 주로 대략 원주 형상의 방수케이스(141), 단자대(131)의 상부에 씌워지는 단자대캡(142), 및 방수케이스(141)의 내부에 충전된 밀봉제(143)로 구성되는 외표면부재(140)와, 전체가 원주 형상인 외표면부재(140)의 도 3b에 나타내는 상방의 단부 중심에서 어긋난 위치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전선(133)과, 외표면부재(140)의 외부에서 복수의 전선(133)을 묶은 상태로 하여 덮는 보호튜브(135)와, 외표면부재(140)의 방수케이스(141)의 주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전선(133)을 묶은 상태로 하여 덮는 보호튜브(135)를 고정하는, 에를 들어 타이랩(등록상표) 등의 배선고정밴드(10)로 구성된다.
배선고정밴드(10)는, 진동이나 배선을 당김으로써, 어긋나거나, 벗어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몰토프렌 등의 점착재 부착 스폰지를 외표면부재에 점착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작업성이 저하되어, 코스트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하에 상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력센서(100)에 본 발명에 따른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도 3c, 및 도 3d에,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일례인 압력센서(100A)를 나타낸다.
도 3c, 및 도 3d에 있어서, 압력센서(100A)에는, 대략 원주 형상의 방수케이스(141A)의 원주 형상의 상부 전체 둘레에 설치되는 돌기부(141Aa)인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선고정밴드(10)가 돌기부(141a)에 계합되어, 배선고정밴드(10)가 어긋나거나, 또는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술한 종래의 과제가 해결된다.
도 3e, 및 도 3f에,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일례인 압력센서(100B)를 나타낸다.
도 3e, 및 도 3f에 있어서, 압력센서(100B)에는, 대략 원주 형상의 방수케이스(141B)의 원주 형상의 상부의 일부, 및 하부의 일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돌기부(141Ba)인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선고정밴드(10)가 복수의 돌기부(141Ba)에 계합되어, 배선고정밴드(10)가 어긋나거나, 또는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술한 종래의 과제가 해결된다.
도 3g, 및 도 3h에,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일례인 압력센서(100C)를 나타낸다.
도 3g, 및 도 3h에 있어서, 압력센서(100C)에는, 방수케이스(141)의 상부 전체를 덮는 덮개부재(142C)가 설치되고, 방수케이스(141)의 상부에 돌출된 덮개부재(142C)의 외주부분인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선고정밴드(10)가 덮개부재(142C)에 계합되어, 배선고정밴드(10)가 어긋나거나, 또는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술한 종래의 과제가 해결된다.
도 4a, 및 도 4b에, 상술한 도 2와 마찬가지의 압력센서(200)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 압력센서(200)는, 주로 상단측은 직경이 축소되고, 하단측은 내경이 크게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수케이스(241), 및 방수케이스(241)의 내부에 충전된 밀봉제(242)로 구성되는 외표면부재(240)와, 외표면부재(240)의 도 4b에 나타내는 상방의 단부 중심으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전선(233)과, 외표면부재(240)의 외부에서 복수의 전선(233)을 묶은 상태로 하여 덮는 보호튜브(235)와, 외표면부재(240)의 방수케이스(241)의 주위에 배치되고, 복수의 전선(233)을 묶은 상태로 하여 덮는 보호튜브(235)를 고정하는, 예를 들어 타이랩(등록상표) 등의 배선고정밴드(10)로 구성된다. 이하에 상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력센서(200)에 본 발명에 따른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도 4c, 및 도 4d에,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일례인 압력센서(200A)를 나타낸다.
도 4c, 및 도 4d에 있어서, 압력센서(200A)에는, 방수케이스(241A)의 직경이 축소된 상부의 긴 방향의 측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돌기부(241Aa)인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선고정밴드(10)가 복수의 돌기부(241Aa)에 계합되어, 배선고정밴드(10)가 어긋나거나, 또는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술한 종래의 과제가 해결된다.
도 4e, 및 도 4f에,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일례인 압력센서(200B)를 나타낸다.
도 4e, 및 도 4f에 있어서, 압력센서(200B)에는, 방수케이스(241B)의 직경이 축소된 상부의 짧은 방향의 측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돌기부(241Ba)인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선고정밴드(10)가 복수의 돌기부(241Ba)에 계합되어, 배선고정밴드(10)가 어긋나거나, 또는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술한 종래의 과제가 해결된다.
도 5a, 및 도 5b에, 복수의 전선(333)이 외표면부재(340)의 가로방향으로부터 인출되는 종래의 압력센서(300)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종래의 압력센서(300)는, 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수케이스(341), 및 방수케이스(341)의 상부의 전체를 덮도록 씌워지는 덮개부재(342)로 구성되는 외표면부재(340)와, 외표면부재(340)의 도 5b에 나타내는 가로방향으로 인출된 복수의 전선(333)과, 외표면부재(340)의 외부에서 복수의 전선(333)을 묶은 상태로 하여 덮는 보호튜브(335)로 구성된다. 이하에 상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압력센서(300)에 본 발명에 따른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도 5c, 및 도 5d에,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일례인 압력센서(300A)를 나타낸다.
도 5c, 및 도 5d에 있어서, 압력센서(300A)에는, 방수케이스(341)의 상부 전체를 덮는 덮개부재(342A)가 설치되고, 방수케이스(341)의 상부로 돌출된 덮개부재(342A)의 외주부분인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선고정밴드(10)가 덮개부재(342A)에 계합되어, 배선고정밴드(10)가 어긋나거나, 또는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술한 종래의 과제가 해결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를 액봉형의 압력센서(100, 200, 300)에 적용한 예를 설명해 왔는데,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외주를 덮도록 배치되는 외표면부재와, 외표면부재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전선, 또는 도압튜브 등의 배선을 가지는 압력센서, 또는 압력스위치 등의 압력감응장치, 또는 일본공개특허공보 2013-8489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전자밸브, 일본공개특허공보 2014-52037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전동밸브 등의 밸브장치 등과 같이, 냉매회로의 배관에 접속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 전체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의 형상도 상술한 실시형태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외표면부재에, 배선고정밴드가 어긋나거나, 또는 배선고정밴드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이 설치되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매회로 구성부재에 의하면, 외표면부재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전선 등의 배선을 외표면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배선고정밴드의 어긋남이나 벗어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표면부재에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작업공정수를 감소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켜, 코스트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10: 배선고정밴드
100, 100A, 100B, 100C, 200, 200A, 200B, 300, 300A: 압력센서
110, 210: 유체도입부
111, 210: 이음매부재
111a: 암나사부
111b: 포트
112, 212: 베이스플레이트
112A, 212A: 압력실
120, 220: 압력검출부
121, 221: 하우징
122, 222: 다이어프램
123: 다이어프램 보호커버
123a: 연통구멍
124: 헤르메틱 글라스
124A, 223A: 액봉실
125: 지주
126: 압력검출소자
126a: 본딩와이어
127: 전위조정부재
128, 228: 리드핀
129: 오일충전용 파이프
130, 230: 신호송출부
131: 단자대
132: 접속단자
132a: 접착제
133, 233, 333: 전선
133a: 심선
134: 정전기보호층
135, 235, 335: 보호튜브
140, 240, 340: 외표면부재
141, 141A, 141B, 241, 241A, 241B, 341: 방수케이스
141Aa, 141Ba, 241Aa, 241Ba: 돌기부
142: 단자대캡
142C, 342, 342A: 덮개부재
143, 242, 243: 밀봉제
225: 헤르메틱씰
226: 오일충전용 통로
227: 볼
231: 기판
232: 커넥터

Claims (9)

  1. 냉매회로의 배관에 접속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으로서,
    상기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냉매회로 구성부품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한 외표면부재와,
    상기 외표면부재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적어도 1개의 배선과,
    상기 외표면부재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1개의 배선을 고정하는 배선고정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외표면부재에, 상기 배선고정밴드가 어긋나거나, 또는 상기 배선고정밴드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부재는, 전체가 원통 형상이고, 상기 배선은 상기 외표면부재의 한쪽 단부의 중심에서 어긋난 위치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부재는, 통형상의 방수케이스와, 상기 방수케이스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설치된 덮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부재는, 통형상의 방수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는, 상기 방수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고정밴드 계합구조는, 상기 덮개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부재는, 원통 형상이 아닌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원통 형상이 아닌 부분의 상부 중심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배선은, 상기 외표면부재의 가로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 구성부품은,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회로 구성부품.
KR1020187021306A 2016-01-29 2017-01-10 냉매회로 구성부품 KR201800884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16013 2016-01-29
JP2016016013A JP6357177B2 (ja) 2016-01-29 2016-01-29 冷媒回路構成部品
PCT/JP2017/000522 WO2017130686A1 (ja) 2016-01-29 2017-01-10 冷媒回路構成部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490A true KR20180088490A (ko) 2018-08-03

Family

ID=5939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306A KR20180088490A (ko) 2016-01-29 2017-01-10 냉매회로 구성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33156A1 (ko)
EP (1) EP3396345A4 (ko)
JP (1) JP6357177B2 (ko)
KR (1) KR20180088490A (ko)
CN (1) CN108496067A (ko)
WO (1) WO2017130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0749A1 (ja) * 2018-01-30 2019-08-08 日本電産コパル電子株式会社 圧力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
JP6795538B2 (ja) * 2018-03-29 2020-12-0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圧力センサ
JP7327247B2 (ja) * 2020-03-31 2023-08-16 株式会社デンソー 蒸発燃料漏れ検査装置の圧力センサ
IT202000015214A1 (it) * 2020-06-24 2021-12-24 Co Ref S R L Apparecchio di monitoraggio per rilevare perdite di un fluido refrigerante da una valvola di sicurezza di un impianto di refrigerazione industria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230A (ja) 2002-03-29 2003-10-17 Nidec Copal Electronics Corp ケーブル固定構造および圧力センサ
JP2012068105A (ja) 2010-09-22 2012-04-05 Fuji Koki Corp 圧力センサ
JP2014098685A (ja) 2012-06-11 2014-05-29 Saginomiya Seisakusho Inc 圧力センサーおよび圧力センサー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4742A (ja) * 1982-02-04 1983-08-11 凸版印刷株式会社 密着成形装置及び密着成形方法
JPS58134742U (ja) * 1982-03-08 1983-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温度制御装置
JP2708812B2 (ja) * 1988-10-14 1998-02-0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動膨張弁の防水構造
US6769308B1 (en) * 2000-09-22 2004-08-03 Delphi Technologies, Inc. Low-cost stainless steel pressure sensor assembly for a pneumatic valve
JP2006317381A (ja) * 2005-05-16 2006-11-24 Jtekt Corp 圧力センサ
JP4765124B2 (ja) * 2007-02-06 2011-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アングルセンサのハーネス保持構造
JP5656318B2 (ja) * 2012-06-11 2015-01-21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圧力センサーおよび圧力センサーの製造方法
JP5874977B2 (ja) * 2012-09-18 2016-03-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き取付部材
JP6199590B2 (ja) * 2013-04-08 2017-09-20 株式会社不二工機 アキュムレ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230A (ja) 2002-03-29 2003-10-17 Nidec Copal Electronics Corp ケーブル固定構造および圧力センサ
JP2012068105A (ja) 2010-09-22 2012-04-05 Fuji Koki Corp 圧力センサ
JP2014098685A (ja) 2012-06-11 2014-05-29 Saginomiya Seisakusho Inc 圧力センサーおよび圧力センサ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33156A1 (en) 2019-01-31
EP3396345A1 (en) 2018-10-31
JP2017134016A (ja) 2017-08-03
WO2017130686A1 (ja) 2017-08-03
EP3396345A4 (en) 2019-08-28
CN108496067A (zh) 2018-09-04
JP6357177B2 (ja)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94729B (zh) 压力传感器
KR20180088490A (ko) 냉매회로 구성부품
JP3987386B2 (ja) 圧力センサ
JP5973357B2 (ja) 圧力検知ユニット及び圧力検知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2306770B1 (ko) 압력센서의 실드구조,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압력센서
JP2015004591A (ja) 圧力センサ
KR101483278B1 (ko) 압력 센서 및 압력 센서의 제조 방법
JP6795538B2 (ja) 圧力センサ
JP5656318B2 (ja) 圧力センサーおよび圧力センサーの製造方法
JP6456314B2 (ja) 冷媒回路構成部品
US11293825B2 (en) Pressure sensor with improved sealing
JP6517709B2 (ja) 冷媒回路構成部品
WO2018016610A1 (ja) 圧力センサ
JP4622666B2 (ja) 電子装置
JP6810680B2 (ja) 圧力センサ
WO2019093039A1 (ja) 圧力センサ
JP2014102115A (ja) 圧力検知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48965A (ja) 圧力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