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434A - 평면 영역에 기초한 밀도 분류자 - Google Patents

평면 영역에 기초한 밀도 분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434A
KR20180086434A KR1020187016558A KR20187016558A KR20180086434A KR 20180086434 A KR20180086434 A KR 20180086434A KR 1020187016558 A KR1020187016558 A KR 1020187016558A KR 20187016558 A KR20187016558 A KR 20187016558A KR 20180086434 A KR20180086434 A KR 20180086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rint
page
engine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159B1 (ko
Inventor
후드 던 엠 비치나우
매튜 에이 쉐퍼드
마크 에이치 맥켄지
웨이윤 선
밀란 저스텔
로버트 이라세부루
스티브 오 라스무센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18008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2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individual droplets, e.g. from je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08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aiming at correcting other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6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of a type not covered by groups B41J2/04575 - B41J2/04585, or of an undefined typ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design data to control NC machines, e.g. CAD/CAM
    • G05B19/4099Surface or curve machining, making 3D objects, e.g. desktop 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6Means for paper feeding or form fee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25Managing optional units, e.g. sorters, document fee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5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82Adjusting or cont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2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21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26Other properties of the sheet, e.g. curvature or refl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the scanning speed being dependent on content of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o be reproduced, e.g. number of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46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a detected condition or state of the reproducing device, e.g. temperature or ink qua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69Selecting a particular reproducing mode from amongst a plurality of modes, e.g. paper saving or normal, or simplex or duple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9Nc machine tool, till multiple
    • G05B2219/490233-D printing, layer of powder, add drops of binder in layer, new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lor, Gradation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일례에서, 프린트 시스템은 다수의 상태로 동작하는 컴포넌트 디바이스, 밀도 엔진, 및 컴포넌트 엔진을 포함한다. 예시의 밀도 엔진은 프린트 유체가 프린트 작업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트될 평면의 평면 영역을 식별하고 평면 상의 평면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평면에 대한 밀도 분류자를 결정한다. 예시의 컴포넌트 엔진은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컴포넌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 속성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평면 영역에 기초한 밀도 분류자
프린터와 같은 이미징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프린팅 동작이 수행되는 프린트 경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린트 경로는 이미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미디어가 프린터의 여러 영역으로 전달되는 이미징 디바이스의 공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린터는 종이 트레이로부터 종이를 취하여, 이를 프린트 구역으로 이동시켜 종이 상에 잉크를 프린트하고, 그 다음 종이를 출력 스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3차원(3D) 프린터는 제 2 레이어의 재료가 제 1 레이어의 상부 상에 프린팅됨에 따라 제 1 레이어의 재료를 낮출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분출 시스템 및/또는 매체는 평면 상의 위치에 프린트 유체를 위치시키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의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프린트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의 프린트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예시의 프린트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예시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프린트 디바이스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이미징 디바이스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이미징 장치, 프린트 시스템, 및/또는 방법의 일부 예시의 구현예가 설명된다. 이미징 장치는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는 프린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예시에서, "프린트 디바이스"는 프린트 유체(예를 들어, 잉크 또는 토너)로 물리적 매체(예를 들어, 종이 또는 분말 기반 구조 재료 레이어 등) 상에 콘텐츠를 프린트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분말 기반 구조 재료 레이어 상에 프린트하는 경우에, 프린트 디바이스는 레이어 방향 첨가제 제조 공정(layer-wise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에서 프린트 유체의 증착을 활용할 수 있다. 프린트 디바이스는 잉크, 토너, 유체 또는 분말, 또는 프린팅을 위한 다른 원료와 같은 적절한 프린팅 소모품을 활용할 수 있다. 프린트 유체의 일례는 잉크, 토너, 광택 인핸서, 반사 인핸서, 형광 물질(fluorescing agent) 등과 같은 프린트헤드로부터 분출가능한 물질이다. 일부 예시에서, 프린팅 디바이스는 3차원(3D) 프린팅 디바이스가 될 수 있고 프린트 유체는 분말 기반 구조 재료, 융제(fusing agent), 착색제(coloring agent) 등이 될 수 있다.
많은 양의 수성 잉크를 갖는 습윤 매체는 매체가 부풀어지고, 뒤틀어지고, 찌그러지고/거나 동그랗게 말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수준의 프린팅 유체로 젖은 매체는 프린팅 유체 밀도와 다른 정도로 젖은 매체(예를 들어, 전체 매체를 커버하는 사진에 비해 프린팅 유체가 없는 여백 페이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프린트 경로를 따라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매체 상태에 대한 프린트 유체의 효과는 프린팅 평면 상의 프린트 유체의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프린팅 평면은 매체가 존재하는 평면, 또는 3D 프린팅의 상황에서는 구조 재료의 레이어가 프린트되는 평면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시들은 프린트 작업의 실행 동안 평면 상에 위치한 프린트 유체의 프린트 밀도에 기초한 이미징 디바이스의 동작을 조정하는 것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는 평면 상의 프린트 유체의 제 2 위치보다 평면 상의 프린트 유체의 제 1 위치에 대해 다르게 조정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모서리와 같은, 매체의 민감한 영역에서 매체의 왜곡의 상대적인 효과 때문이다. 이러한 왜곡은 예를 들어, 비뚤어짐(skew) 또는 종이 걸림(paper jam)과 같은 동작 이슈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매체 제어 이슈는 프린트 유체 밀도를 식별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위치에서의 프린트 유체 밀도 및 가능한 왜곡의 위치를 고려함으로써, 이미징 시스템에 의해 프린트되는 각각의 평면(예를 들어, 각각의 페이지)에 대해 개인화된 방식으로 적절한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의 중앙에 프린트되는 고밀도의 잉크는 페이지의 끝 및/또는 모서리 상에 프린트되는 고밀도의 잉크 만큼 프린트 경로를 따라서 느린 속도의 페이지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평면을 영역들로 분할함으로써,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영역들 사이의 프린트 유체 밀도의 관계가 사용될 수 있어서 프린트 경로를 따라 페이지의 속도 및 적절한 이동의 결정을 보조하는 것과 같이 프린트 디바이스의 동작을 동적으로 보조하거나 동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include)", "갖는(have)", 및 이들의 변형은 용어 "포함하는(comprise)" 또는 이들의 적절한 변형과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기초한(based on)"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based at least in part on)"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부 자극들에 기초하여 설명된 특징은 자극들을 포함하는 자극의 조합 또는 자극들에만 기초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유지하는(maintain)"(및 이의 변형)은 "생성(create), 삭제(delete), 추가(add), 제거(remove), 접근(access), 갱신(update), 및/또는 수정(modify)"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의 프린트 시스템(100 및 2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예시의 프린트 시스템(100)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컴포넌트(102), 밀도 엔진(104), 및 컴포넌트 엔진(106)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컴포넌트(102)는 밀도 엔진(104)에 의해 식별된 평면의 평면 영역(108)에서 프린트되는 프린트 유체에 기초하여 평면에 적용되는 밀도 분류자(110)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엔진(106)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컴포넌트 디바이스(102)는 다수의 상태로 동작가능한 프린트 시스템의 기계적인 부분, 프린트 시스템의 전기 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급지 가이드(paper guide)는 상승 상태 또는 하강 상태로 놓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롤러는 다수의 회전 속도에서 동작가능할 수 있고, 각각의 회전 속도는 동작가능한 상태이다. 프린트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 레이저 프린팅 시스템, 또는 3D 프린팅 시스템일 수 있다. 예시의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은 유체 분출 어셈블리(예를 들어,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유체 공급 어셈블리, 캐리지 어셈블리, 프린트 매체 전달 어셈블리, 서비스 스테이션 어셈블리, 및 임의의 수의 컴포넌트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전자 제어기와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미징 디바이스의 다른 예시의 컴포넌트는 프린트 바, 급지 가이드, 분리기 패드, 핀치 롤러, 정렬 롤러, 스타휠(starwheel), 드럼, 클램프, 서보(servo), 피크 타이어(pick tire), 팬, 트레이, 베일(bail), 전력 제어 유닛, 드라이어, 퓨저(fuser), 가열 소자, 정렬 디바이스, 스테플러 디바이스, 구멍 펀치 디바이스, 중철(saddle stitching)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조정될 이들 컴포넌트의 속성은 위치, 자세, 회전, 방향, 크기, 속도, 전원, 온도, 유체 흐름(예를 들어, 기류 또는 잉크 흐름), 정렬 힘, 정렬 속도, 스테플러 전원, 스태플러 속도, 구멍 펀치 속도, 구멍 펀치 힘, 정렬 각도 등일 수 있다. 다른 예시의 컴포넌트 조정은 작업 속성을 변경하도록 요청, 특정 모드에서 프린팅을 계속, 프린트 속도 또는 드라이어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 슬라이더를 제공 등과 같은 제어 패널 디스플레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메시지 프롬프트일 수 있다. 예시의 레이저(예를 들어, 토너) 프린팅 시스템 및/또는 예시의 3D 프린팅 시스템은 조정가능할 수 있는(예를 들어, 둘 이상의 동작 상태와 같은 상이한 동작 상태로 변경 가능할 수 있는) 유사한 컴포넌트, 관련 컴포넌트,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밀도 엔진(104)은 프린트 유체가 프린트되는 평면 영역(108)을 식별하고 평면 상의 평면 영역(108)의 위치에 기초하여 평면에 대한 밀도 분류자(110)를 결정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 및 임의의 회로 또는 회로의 조합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평면 영역은 평면 상의 영역을 지칭하고, 다각형 또는 원형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기하학적 형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영역은 미디어의 시트의 모서리 끝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섹션이 될 수 있고, 미디어의 시트는 평면이다. 미디어의 예시는 종이, 카드지(card stock), 투명 필름지, 천, 패키징 재료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적절한 시트 재료를 포함한다. 평면은 색상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 잉크를 사용하는 프린트 작업은 청록색(cyan) 평면, 자홍색(magenta) 평면, 노란색 평면, 검은색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밀도 분류자는 프린트 유체 밀도와 관련된 분류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값, 숫자, 문자, 스트링, 레이블, 카테고리, 또는 다른 식별자이다. 예를 들어, 밀도 분류자는 평면의 프린트 유체 밀도에 대한 스코어로서 나타낼 수 있고, 밀도 엔진(104)은 평면 스코어를 사전결정된 범위의 프린트 속도 내의 프린트 속도로 맵핑할 수 있다.
밀도 엔진(104)은 프린트 작업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평면 상의 어디에 프린트 유체가 프린트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평면의 각각의 영역 상에 프린트 유체의 양을 표현하는 것과 같이, 평면의 영역 상의 프린트 유체의 특징으로 평면을 나타냄으로써 프린트될 프린트 유체를 지형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트 작업의 페이지 크기(및 페이지 방향)의 지형적 표현은 프린트 작업 데이터(즉, 프린트 콘텐츠를 나타내는 프린트 작업의 데이터)를 나타내도록 생성되고 프린트 콘텐츠가 위치할 페이지의 경계와 비교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린트 작업 데이터가 평면 상에 프린트 유체를 수용하는 지형적 영역에 맵핑되고 이 평면은 복수의 타일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타일은 다수의 픽셀(또는 복셀(voxel))을 포함한다. 밀도 엔진(104)은 평면 영역(108) 내의 제 1 타일에 위치하는 프린트 유체의 양을 나타내는 프린트 유체 데이터가 밀도 조건을 달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로 및 실행가능한 명령어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타일은 픽셀(또는 복셀)을 포함하는 평면의 사각형 섹션이고, 밀도 조건은 영역 내의 프린트 유체의 임계치, 영역에서의 프린트 유체 색상, 영역에서의 프린트 유체의 품질 등과 같은 프린트 유체 상태의 표현이다. 예시의 밀도 조건은 다수의 밀도 조건(예를 들어, 다수의 밀도 임계치 또는 다수의 프린트 밀도 레이어)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임계치는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을 나타내고 구현 선호도에 기초하여 사전결정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용어 "픽셀"을 언급한 본원의 임의의 예시의 설명은 3D 프린팅 환경에 대한 설명을 적용하는 경우와 같이 "복셀"이 적절한 일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시의 타일은 단일 픽셀, 다수의 인접 픽셀(예를 들어, 슈퍼픽셀), 정사각형의 4개 픽셀, 직사각형 섹션의 8개 픽셀, 다수의 슈퍼픽셀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형적 표현은 착색 공간 정보(예를 들어, 프린트 작업 콘텐츠의 벡터 그래픽 정보에 대한 프로세싱 동작, 예를 들어, 래스터화(rasterization)로부터 발생한 점 색상 공간 정보)가 될 수 있고, 800 픽셀 X 600 픽셀의 문서를 커버하는 채널 당 색상의 양을 나타내며 지형적 표현은 각각 32 픽셀의 크기를 갖는 정사각형 타일로 분할될 수 있다.
밀도 엔진(104)은 프린트 유체의 임계치를 수용하는 영역들의 관계에 기초하여 평면에 대한 밀도 분류자(110)를 결정할 수 있다. 밀도 엔진(104)은 평면 영역(108) 내의 제 1 타일의 위치와 제 2 타일의 위치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평면 영역(108)에 값을 할당하고 평면 영역(108)의 값에 기초하여 밀도 분류자(110)를 선택할 수 있다. 관계는 사전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왜곡에 대한 특정 관계를 갖는 영역의 룩업 테이블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평면의 타일과 연관된 가중치의 행렬이 사용될 수 있고, 행렬은 평면 상의 특정 위치에서의 프린트 유체의 가중치를 나타낸다. 이 예시에서, 타일과 연관된 가중치는 프린트 밀도 레벨의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가중치로 페이지의 밀도 레벨을 나타내는 영역 밀도 스코어 및/또는 페이지 스코어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스코어는 밀도 분류자(110)를 결정하기 위해 밀도 엔진(104)에 의해 생성 및/또는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도 엔진(104)은 룩업 동작의 입력으로서 페이지 스코어를 갖는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밀도 분류자(110)를 식별할 수 있다.
밀도 엔진(104)은 프린트 시스템(100)의 동작 요소를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도 엔진(104)은 영역 밀도 스코어 또는 페이지 스코어와 같은 스코어를 사용할 수 있고, 밀도 엔진(104)은 동작 요소에 기초하여 밀도 스코어에 수정자를 적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동작 요소는 프린트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영향을 나타낸다. 예시의 동작 요소는 작업 속성, 환경 변수, 및 프린터 상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작업 속성은 프린트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설정, 및 데이터 경로 옵션과 같은 프린트 작업의 특성을 나타낸다. 예시의 작업 속성은 미디어 유형, 페이지 크기, 페이지 방향, 콘텐츠 클래스, 페이지 수, 복사본 수, 심플렉스 또는 듀플렉스 작업 옵션, 그레이스케일 또는 색상 옵션, 스태플링 옵션, 구멍 펀칭 옵션, 소책자 제작 옵션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환경 변수는 온도, 습도, 기류, 잉크 레벨 등과 같은 프린트 시스템(100)의 환경의 특징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린터 상태는 저전력 모드, 드래프트 모드, 정음 모드, 종이 걸림 이벤트, 프린트 경로에서의 페이지 단계 등과 같은 프린트 시스템(100)의 상태를 나타낸다. 밀도 엔진(104)은 프린트 시스템(100)의 동작 요소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요소에 기초하여 밀도 스코어 및/또는 밀도 분류자에 대한 조정을 수행하는 회로 및 실행가능한 명령어의 조합 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도 엔진(104)은 프린트 작업의 페이지와 연관된 작업 속성을 식별하고 작업 속성 및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스코어에 기초하여 밀도 분류자(100)를 결정한다. 다른 예로, 밀도 엔진(104)은 프린트 경로에서 페이지 단계를 결정하고 프린트 경로에서의 페이지 단계에 기초하여 페이지 스코어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밀도 엔진(104)은 프린트 시스템(100)의 동작 상태와 연관된 환경 변수를 식별하고, 환경 변수 및 프린트 유체의 임계치로 영역에 인가되는 가중치의 행렬을 통해 식별되는 제 1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제 2 밀도 분류자를 판정할 수 있다. 밀도 엔진(104)은 페이지 스코어를 직접 수정함으로써, 행렬 값을 수정하고 스코어를 재계산함으로써, 또는 동작 요소와 연관된 새로운 행렬에 대해 행렬을 교환하고 스코어를 재계산함으로써, 영역 스코어 및/또는 평면 스코어(예를 들어, 페이지 스코어)를 조정할 수 있다. 밀도 엔진(104)은 동작 요인과 연관된 조정에 도움이 되도록 동작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생성되는 밀도 분류자(110)를 오버라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도 엔진(104)은 동작 요소와 연관된 디폴트 밀도 분류자를 야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밀도 엔진(104)은 컴포넌트 엔진(106)이 작업 속성, 환경 요인, 또는 프린터 상태에 기초하여 밀도 엔진(104)에 의해 결정되는 프린트 속도를 오버라이드하게 할 수 있다.
컴포넌트 엔진(106)은 밀도 분류자(110)에 기초하여 컴포넌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 속성을 조정하게 하는 회로 및 실행가능한 명령어의 조합 또는 임의의 회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는 복수의 오리피스(orifice) 또는 노즐을 통해 프린트 유체의 방울을 분출하는 프린트헤드 또는 유체 분출기를 포함할 수 있고, 컴포넌트 엔진(106)은 밀도 엔진(104)에 의해 식별되는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분출의 방향 또는 속도를 발생시키도록 노즐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린트 유체 공급부는 프린트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로 프린팅 유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 엔진(106)은 밀도 분류자(110)에 기초하여 저장소로부터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로의 유체 흐름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는 프린트바를 포함할 수 있고 컴포넌트 엔진(106)은 밀도 분류자(110)에 기초하여 프린트바의 온도(또는 다른 입력 에너지 변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린트 시스템은 프린트 경로를 따라 페이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컴포넌트 엔진(106)은 밀도 분류자(110)에 기초하여 롤러의 회전 속도 및/또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캐리지 어셈블리는 프린트 매체 전송 어셈블리에 대해 프린트헤드 어셈블리를 위치시키고/거나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에 대해 프린트 매체 전송 어셈블리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컴포넌트 엔진(106)은 밀도 분류자(110)에 기초하여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와 프린트 매체 사이의 프린트 구역을 형성하도록 상대적인 정렬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린트 미디어 전송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프린트 매체를 프린트 구역으로 전송, 유도, 및/또는 지향시키는 것, 및/또는 프린트 매체를 프린트 구역으로부터 멀리 전송, 유도, 및/또는 지향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을 통해 프린트 매체를 조작 및/또는 라우팅하기 위한 다양한 가이드, 롤러, 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컴포넌트 엔진(106)은 밀도 분류자(110)에 기초하여 프린트 매체를 조작 및/또는 라우팅하도록 다양한 가이드, 롤러, 휠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드라이어 어셈블리는 열 및/또는 기류를 페이지에 제공할 수 있고 컴포넌트 엔진(106)은 밀도 분류자(110)에 기초하여 드라이어의 온도, 위치, 및/또는 공기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비스 스테이션 어셈블리는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컴포넌트 엔진(106)에 의해 지시된 대로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위를 주기적으로 지나가서 노즐의 초과 프린트 유체를 닦고 청소하는 고무 블레이드 또는 와이퍼,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컴포넌트 엔진에 의해 지시된 대로 비사용 기간 동안 노즐이 마르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프린트헤드를 커버하는 캡, 및 밀도 분류자(110)에 기초하여 컴포넌트 엔진(106)에 의해 지시된 대로 저장소가 압력 및 유동성의 적절한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프린트헤드 어셈블리가 프린팅 유체를 방출하는 타구(spittoon)와 같이, 프린트헤드의 노즐의 기능을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유지하기 위해 프린트헤드 어셈블리의 스피팅(spitting), 와이핑(wiping), 캡핑(capping), 및/또는 프라이밍(priming)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제어기는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캐리지 어셈블리, 프린트 매체 전송 어셈블리, 및 서비스 스테이션 어셈블리와 통신할 수 있고, 컴포넌트 엔진(106)은 프린팅 유체 방울의 분출을 위한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 (예를 들어, 프린트 매체 상에 문자, 심볼, 및/또는 다른 그래픽 또는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분출된 프린팅 유체 방출의 패턴을 조정하는 것, 프린트 작업 커맨드 및/또는 커맨드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과 같이, 밀도 식별자(110)에 기초하여 제어기에 의해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조정할 수 있다.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 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논의된 예시의 프린트 시스템 컴포넌트와 관련된 시스템(100)의 적응의 다른 예시가 고려된다. 이 방식으로, 컴포넌트 엔진(106)은 평면 상의 프린트 유체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밀도 엔진(104)에 의해 결정된 밀도 분류자(110)에 기초하여 프린트 시스템(100)의 컴포넌트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예시에서, 도 4 내지 도 7 중 어느 하나와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된 기능은 도 4 내지 도 7 중 어느 하나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과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프로세서 리소스(222)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 리소스(220)를 포함할 수 있는 예시의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 리소스(220)는 프로세서 리소스(222)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리소스(220)는 평면 영역(208) 및 밀도 분류자(210)와 같은, 시스템(20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의 세트는 명령어의 세트가 프로세서 리소스(222)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 리소스(222)가 시스템(200)의 동작(예를 들어, 컴포넌트 디바이스(202) 조정)을 수행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메모리 리소스(220) 상에 저장된 명령어의 세트는 밀도 모듈(204) 및 컴포넌트 모듈(206)로서 나타낼 수 있다. 밀도 모듈(204) 및 컴포넌트 모듈(206)은 실행될 때 도 1의 밀도 엔진(104) 및 컴포넌트 엔진(106) 각각으로서 기능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나타낸다. 프로세서 리소스(222)는 모듈(204, 206) 및/또는 시스템(200)의 모듈들 사이에서 및/또는 이들 모듈과 연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동작을 실행하는 명령어의 세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리소스(222)는 프린트 유체를 수용하는 평면의 지형적인 표현으로 프린트 작업 데이터를 맵핑하고, 지형적인 표현을 복수의 타일로 분할하고, (예를 들어, 프린트 작업 데이터를 통해 식별되는 콘텐츠 배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타일의 각각의 타일에서 분출될 프린트 유체의 양이 밀도 조건을 달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타일이 밀도 조건을 달성한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계산되는 복수의 위치 기반 밀도 스코어를 결정하고, 평면 영역의 다수의 위치 기반 밀도 스코어를 통합하고, 복수의 위치 기반 밀도 스코어와 연관된 평면 영역들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평면 스코어를 식별하고, 프린트 디바이스가 평면 스코어에 대응하는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프린트 속도를 조정하게 하는 명령어의 세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들 특정 모듈들 및 다양한 다른 모듈들이 도 2 및 다른 예시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논의되었지만, 모듈들의 다른 조합 또는 서브조합이 다른 구현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도 2에 도시되고 다른 예시의 구현예에서 논의된 모듈들은 본원의 논의된 예시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지만, 상이한 모듈들 또는 모듈들의 조합에서 여러 기능들이 달성되고, 구현되거나 실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분되어 도시되고/거나 논의된 둘 이상의 모듈이 두 모듈과 관련하여 논의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로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이들 예시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하나의 모듈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이 상이한 모듈 또는 상이한 모듈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어떻게 기능이 모듈로 조직화될 수 있는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다.
프로세스 리소스(222)는 메모리 리소스(220)로부터 명령어를 검색하고 이들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싱 구성요소와 같이 명령어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컴퓨팅)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회로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리소스(222)는 모듈(204 및 206)을 페칭(fetching), 디코딩, 및 실행함으로써 동작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중앙 처리 유닛(CPU)이 될 수 있다. 예시의 프로세서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CPU, 반도체 기반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등을 포함한다. 예시의 PLD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그래밍가능한 어레이 로직(PAL), 복합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CPLD), 및 삭제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EPLD)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리소스(222)는 단일 디바이스에 집적되거나 디바이스 전반에 분산되는 다수의 프로세싱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리소스(222)는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동시에, 또는 부분적으로 동시에 프로세싱할 수 있다.
메모리 리소스(220)는 시스템(200)에 의해 활용 및/또는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 매체를 나타낸다. 매체는 시스템(200)의 모듈 및/또는 시스템(20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비일시적인 매체 또는 비일시적인 매체의 조합이다. 예를 들어, 매체는 신호와 같은 일시적 전송 매체와 구분되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는 신호를 제외한 임의의 저장 매체를 지칭한다. 매체는 머신 판독가능,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할 수 있다. 매체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즉,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자기, 광학 또는 다른 물리적 저장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메모리 리소스(220)는 프로세서 리소스(222)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 리소스(222)로 하여금 도 2의 시스템(200)의 기능을 구현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메모리 리소스(220)는 프로세서 리소스(222)와 동일한 디바이스에 집적될 수 있거나 이 디바이스 및 프로세서 리소스(222)와 분리될 수 있지만 액세스가능하다. 메모리 리소스(220)는 디바이스 전반에 분산될 수 있다.
본원의 논의에서, 도 1의 엔진(104 및 106) 및 도 2의 모듈(204 및 206)은 회로 또는 회로 및 실행가능한 명령의 조합으로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컴포넌트는 다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행가능한 명령어는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인 메모리 리소스(220) 상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명령어와 같은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명령어일 수 있고, 회로는 이들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리소스(222)와 같은 전자 회로가 될 수 있다. 메모리 리소스(220) 상에 존재하는 명령어는 프로세서 리소스(222)에 의해 (머신 코드와 같이) 직접적으로 또는 (스크립트와 같이) 간접적으로 실행될 임의의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시스템(200)은 설치될 때 도 4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과 같은 시스템(20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 리소스(22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설치 패키지의 부분일 수 있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메모리 리소스(220)는 설치 패키지가 다운로드되고 설치될 수 있는 서버와 같은 컴퓨터 디바이스에 의해 유지되는 소형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래쉬 드라이브, 또는 메모리와 같은 휴대용 매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실행가능한 명령어는 이미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의 부분일 수 있다. 메모리 리소스(22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와 같은 비일시적 메모리 리소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저장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일시적 메모리 리소스일 수 있다. 메모리 리소스(220)의 예시의 형태는 정적 RAM(SRAM), 동적 RAM(DRA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한 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 리소스(220)는 하드 드라이브(H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광학 드라이브와 같은 집적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예시의 이미징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의 프린트 디바이스(300)를 도시한다. 예시의 프린트 디바이스(300)는 프린트 디바이스(300)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의 시스템(300)을 포함하도록 도시된다. 시스템(300)(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설명됨)은 일반적으로 프린트될 평면의 영역(334)에 기초하여 밀도 분류자를 사용하여 컴포넌트의 동작을 조정하는 임의의 회로 또는 회로 및 실행가능한 명령어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시스템(300)은 도 1의 컴포넌트 디바이스(102), 밀도 엔진(104), 및 컴포넌트 엔진(106) 각각과 유사한 컴포넌트 디바이스(302), 밀도 엔진(304), 컴포넌트 엔진(306)을 포함할 수 있고, 연관된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이들 전체가 반복되지 않는다. 밀도 엔진(304)은 지형 엔진(326) 및 요소 엔진(32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304, 306, 326, 및 328)은 다기능 주변 디바이스와 같은 프린트 디바이스(300)로 집적될 수 있다. 엔진(304, 306, 326, 및 328)은 프린트 디바이스(300)의 메모리 리소스에 설치된 명령어로서 또는 회로를 통해 집적될 수 있다.
지형 엔진(326)은 페이지 상의 페이지 영역과 연관된 가중치를 유지하는 회로 및 실행가능한 명령어의 조합 또는 회로를 나타내고, 페이지는 프린트 작업에 기초하여 프린트 유체(예를 들어, 잉크 또는 토너)를 수용하는 평면이다. 예를 들어, 지형 엔진(326)은 동작 요소가 프린트 밀도 결정에서 고려될 때 동작 요소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조정하고 프린트 작업과 연관된 가중치의 행렬을 선택하는 회로 및 실행가능한 명령어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밀도 엔진(304)은 밀도 조건을 달성하는 페이지 상의 페이지 영역(334)에 대응하는 가중치의 행렬(336)에 기초하여 평면(예를 들어, 페이지)에 대한 밀도 스코어를 계산하고, 밀도 엔진(304)은 룩업 테이블(338)에서의 가중된 밀도 스코어를 검색함으로써 가중된 밀도 스코어에 기초하여 밀도 분류자를 결정한다.
요소 엔진(328)은 프린트 시스템의 동작 요소를 식별하는 회로 및 실행가능한 명령어의 조합 또는 회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요소 엔진(328)은 프린트 작업 데이터를 파싱함으로써 작업 속성을 식별하고, 센서 데이터를 체크함으로써 환경 요소를 식별하고, 건강 상태 메시지 또는 로그를 체크함으로써 프린트 디바이스의 상태(예를 들어,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의 상태 또는 프린트 디바이스에서의 매체의 상태)를 식별하는 회로 및 실행가능한 명령어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 엔진(328)은 페이지 크기 또는 페이지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고, 지형 엔진(326)은 페이지 크기에 기초하여 지형(예를 들어, 가중치의 행렬)을 선택하거나 페이지 방향에 기초하여 지형을 선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고, 밀도 엔진(304)은 위치를 식별함으로써 지형에 대한 프린트 작업의 지형적인 표현을 슈퍼임포즈(superimpose)할 수 있고, 프린트 유체는 페이지의 영역에 기초하여 페이지에 도포된다. 다른 예로, 지형 엔진(326)은 요소 엔진(328)에 의해 식별되는 작업 속성에 기초하여 밀도 조건을 달성하는 복수의 타일에 적용할 지형적 가중치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지형 엔진(326)은 요소 엔진(328)에 의해 식별되는 작업 속성에 기초하여 밀도 조건을 달성하는 복수의 타일에 적용할 지형적 가중치의 세트를 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소(330)는 엔진(304, 306, 326, 및 328)에 의해 활용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소(330)는 프린트 작업(332), 평면의 영역(334), 영역(334)과 연관된 가중치의 행렬(336), 및 행렬(336)로부터 도출되는 평면 스코어에 기초하여 밀도 분류자를 검색하는 룩업 테이블(338)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엔진(104 및 106) 및/또는 도 2의 모듈(204 및 206)은 디바이스 전반에 분산될 수 있다. 엔진 및/또는 모듈은 다른 엔진 및/또는 모듈을 설명하는 것에 있어서 수행되는 동작을 완료하거나 완료를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엔진 및 모듈이 도 1 및 도 2에서 별개의 엔진으로서 도시되었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다수의 엔진 및/또는 모듈의 기능은 단일 엔진 및/또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다양한 엔진 및/또는 모듈로 분할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시스템(300)의 엔진은 도 4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예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예시의 프린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시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린트 작업으로부터의 상태에서 매체의 지형적인 표현(432)은 행렬(436)에 기초하여 가중된 값을 갖는 타일(343)과 같은 복수의 타일과 슈퍼임포즈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문제가 있는 영역(예를 들어, 다른 것들보다 왜곡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은 다른 영역들보다 높은 가중치로 식별된다. 도 4의 예시에서, 페이지의 모서리는 이들과 연관된 가장 높은 가중치를 갖는다. 프린트 데이터는 타일과 비교되어 프린트 유체의 임계치를 달성하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상단 모서리 영역(440)은 임계치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잉크 양을 필요로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좌측 하단 모서리(434)는 프린트 유체의 임계치를 충족시키에 불충분한 일부 텍스트를 포함한다. 충분한 양의 프린트 유체를 갖는 영역이 식별되고, 이들 영역의 가중치가 통합된다(그 동안 다른 영역의 가중치는 폐기됨). 도 4의 예시의 가중치의 조합은 17의 값을 갖는 페이지 스코어(442)가 될 것이다. 페이지 스코어 17은 스코어의 버킷(438)과 비교되고 스코어(442)가 속하는 버킷에 기초하여 밀도 분류자(410)와 연관된다. 도 3의 예시에서, 17의 스코어는 15 내지 25의 버킷 범위에 속하고 이 페이지에 대해 사용될 프린트 속도를 나타낼 수 있는 8의 밀도 분류자와 연관될 것이다.
도 5는 예시의 프린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시의 엔진과 연관된 예시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예시의 엔진은 일반적으로 도 3의 밀도 엔진(304), 요소 엔진(328), 지형 엔진(326), 및 컴포넌트 엔진(306)각각과 유사한 엔진을 나타내는 밀도 엔진(504), 요소 엔진(528), 지형 엔진(526), 및 컴포넌트 엔진(506)을 포함하고, 이들의 각각의 설명은 전체가 반복되지 않는다. 도 5의 예시의 엔진은 도 3의 프린트 디바이스(300)와 같은 계산 디바이스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밀도 엔진(504)은 프린트 작업(560)을 완료하라는 프린트 요청(558)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프린트 작업(560)의 데이터는 밀도 엔진(504)에 제공되고 밀도 엔진(504)은 프린트 작업(560)의 각각의 페이지와 연관된 밀도 분류자(510)를 식별한다. 밀도 엔진(504)은 적절한 밀도 분류자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 및 실행가능한 명령의 조합 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밀도 엔진(504)은 유체 모듈(540) 및 분류자 모듈(542)로서 표현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한다. 유체 모듈(540)은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실행될 때 밀도 엔진(504)이 평면상에 분출될 프린트 유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프린트 작업(560)의 콘텐츠를 식별하게 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나타낸다. 분류자 모듈(542)은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실행될 때 밀도 엔진(504)이 평면의 영역에 대한 프린트 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 스코어(570)에 기초하여 평면의 영역 상의 프린트 유체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밀도 분류자(510)를 결정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나타낸다.
요소 엔진(528)은 동작 요소(564)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 모듈(544) 및 단계 모듈(546)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모듈(544)은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실행될 때 요소 엔진(528)이 센서 데이터(562)에 기초하여 습도 레벨과 같은 환경적인 변수를 식별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나타낸다. 단계 모듈(546)은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실행될 때 요소 엔진(528)이 매체가 프린트 경로에 있는 단계를 식별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나타낸다. 요소 엔진(528)은 평면에 대한 밀도 스코어의 결정을 보조하기 위해 지형 엔진(625)에게 식별되는 임의의 동작 요소(564)를 제공할 수 있다.
지형 엔진(526)은 평면의 영역(566) 및 영역(566)과 연관된 가중치의 행렬(568)에 기초하여 평면에 대한 스코어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 모듈(548), 가중치 모듈(550), 및 스코어 모듈(552)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모듈(548)은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실행될 때 지형 엔진(526)이 (예를 들어, 경계 세트에 기초하여) 평면을 복수의 영역(566)으로 분할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을 나타낸다. 가중 모듈(550)은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실행될 때 지형 엔진(526)이 행렬 값(568)을 사용하여 영역(566)에 가중치를 부가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나타내고 영역(566) 각각에 대한 영역 밀도 스코어를 결정한다. 스코어 모듈(552)은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실행될 때 지형 엔진(526)이 가중치 모듈(550)을 실행하는 것으로부터 식별된 가중치를 통합하여 스코어를 생성(570)하여, 지형 엔진(526)이 룩업 테이블의 룩업 테이블 어드레스(572)에 액세스하게 하고 평면 스코어(570)를 제공하여 밀도 분류자(510)를 검색하게 함으로써 평면에 할당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나타낸다. 스코어 모듈(552)은 프린트 작업의 단일 페이지에 대해 여러 번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형 엔진(526)은 스코어 모듈(552)을 실행하여 CMYK와 같은 복수의 색상 잉크로 프린트될 프린트 작업의 각각의 색상 평면에 대한 평면 스코어를 결정하고, 지형 엔진(526)은 각각의 색상 평면에 대해 평면 스코어의 비교 및/또는 조합에 기초하여 밀도 분류자를 결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 엔진(506)은 밀도 엔진(504)으로부터 밀도 분류자(510)를 수신하고 밀도 분류자(510)에 기초하여 컴포넌트 디바이스에 대한 조정을 결정한다. 밀도 분류자는 예를 들어, 통합된 영역 밀도 스코어, 속성 레벨, 또는 스코어와 속성 레벨 사이를 이동하는 중간값이 될 수 있다. 컴포넌트 엔진(506)은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 디바이스에 대한 컴포넌트 속성 레벨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레벨 모듈(554) 및 오버라이드 모듈(556)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벨 모듈(554)은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실행될 때 컴포넌트 엔진(506)이 프린트 속도와 같은 프린트 디바이스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작과 관련하여 컴포넌트 데이터(574)에 기초하여 밀도 분류자(510)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디바이스의 속성의 레벨을 식별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나타낸다. 오버라이드 모듈(557)은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실행될 때 우선순위 클래스의 동작 요소(564)가 달성되는 경우 컴포넌트 엔진(506)이 속성 레벨을 오버라이드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나타낸다. 밀도 분류자(510)를 사용하여 식별되는 속성 레벨을 오버라이드할 수 있는 예시의 동작 요소는 정음 모드, 고습도 레벨, 및 프린트 작업의 다른 페이지의 페이지 스코어를 포함한다. 컴포넌트 엔진(506)은 레벨 모듈(554)을 실행함으로써 식별되는 속성 레벨에서 동작하는 컴포넌트 디바이스로 디바이스 명령어(576)를 송신한다.
도 6 및 도 7은 프린트 디바이스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린트 디바이스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페이지의 복수의 평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페이지 상의 평면 영역의 위치에 상대적으로 각각의 평면 영역에 값을 할당하는 단계, 각각의 평면 영역의 값을 통합함으로써 페이지 스코어를 생성하는 단계, 페이지 스코어를 밀도 분류자에 맵핑하는 단계, 및 밀도 분류자와 연관된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의 속성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은 도 1의 밀도 엔진(102) 및 컴포넌트 엔진(104)과 같은 밀도 엔진 및 컴포넌트 엔진에 의해 수행가능하다.
블록(602)에서, 임계치의 프린트 유체를 수용한다고 예상되는 페이지의 복수의 페이지 영역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밀도 엔진(104)과 같은, 밀도 엔진은 프린트 유체가 평면상의 위치에서 분출되게 하는 명령어로 프린트 작업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복수의 평면 영역은 페이지의 사전결정된 분할(예상되는 임계치의 프린트 유체를 갖는 부분이 식별됨)이 될 수 있거나 임계치의 프린트 유체를 수용하는 페이지 상의 영역으로서 동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블록(604)에서, 페이지 상의 각각의 평면 영역의 위치에 대해 복수의 평면의 각각의 평면 영역에 값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밀도 엔진(104)과 같은 밀도 엔진은 어레이의 인덱스와 연관된 페이지의 각각의 위치에 할당되는 값을 갖는 어레이(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평면 영역에 할당되는 값은 평면의 이 영역에서 예상되는 프린트 유체 밀도와 연관된다. 평면 상의 다른 영역에 비해 이 평면 영역에서의 왜곡의 가능성에 기초하여 값이 각각의 평면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블록(606)에서, 각각의 평면 영역의 값은 임계치의 프린트 유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페이지 스코어를 생성하도록 통합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밀도 엔진(104)과 같은, 밀도 엔진은 이 영역에서 수용되는 프린트 유체의 위치 및 양에 기초하여 각각의 평면 영역에 할당되는 값을 합산함으로써 페이지 스코어를 계산할 수 있다.
블록(608)에서, 페이지 스코어는 밀도 분류자에 맵핑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밀도 엔진(104)과 같은, 밀도 엔진은 평면 영역에서의 상대적인 프린트 유체 밀도를 표현하는 밀도 분류자를 생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영역에서의 프린트 유체의 양 및 평면 상의 프린트 유체를 갖는 영역의 위치에 기초함).
블록(610)에서,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의 속성 레벨이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컴포넌트 엔진(106)과 같은, 컴포넌트 엔진은 컴포넌트의 현재 동작 상태로부터의 관련 계산 또는 사전결정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밀도 분류자와 연관된 컴포넌트의 동작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페이지 상에 프린트되는 프린트 유체의 위치는 이 위치에서의 프린트 유체의 양을 수용하도록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를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프린트 속도와 같은 프린트 디바이스의 속성을 결정할 때 평면의 특정 영역에서의 프린트 유체의 배치를 고려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블록들과 유사한 블록들을 포함하고 추가적인 블록들 및 상세들을 제공한다. 특히, 도 7은 일반적으로 동작 요소를 식별하는 것, 지형적인 가중치를 사용하는 것, 페이지 스코어를 수정하는 것, 복수의 페이지 스코어를 결정하는 것,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가 변경되게 하는 것, 및 프린트 디바이스의 프린트 속도가 조정되게 하는 것에 관한 추가적인 블록들 및 상세들을 도시한다. 블록(702, 708, 710, 714, 및 716)은 도 6의 블록(602, 604, 606, 608, 및 610)과 유사하고, 간결성을 위해, 이들의 각각의 설명은 전체가 반복되지 않는다.
블록(704)에서, 프린트 디바이스의 동작 요소가 식별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요소 엔진(328)과 같은, 요소 엔진은 페이지 스코어의 결정에서 고려하기 위해 임의의 동작 요소를 식별하도록 프린트 작업 설정 및/또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요소는 블록(706)에서 각각의 평면 영역에 할당할 값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지형적 가중치를 사용하는지의 결정에서 고려될 수 있다. 지형적 가중치는 고려될 평면의 영역이 다수의 차원으로 설명될 때 다차원 데이터를 조직화하는 것이 가능한 일부 다른 데이터 구조 또는 행렬로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행렬은 잉크, 광택, 형광, 및/또는 반사 레이어에 대한 평면 정보를 설명하는 다차원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지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의 라인의 수로서 영역을 설명하거나 페이지의 여백과 관련한 영역을 설명하는 것과 같이, 영역의 다른 표현은 본원에서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과 호환가능할 수 있다. 다수의 가중치 및/또는 다수의 행렬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중치의 지형적인 행렬의 세트가 사용될 수 있고, 세트의 각각의 행렬은 듀플렉스 작업이 선택될 때 사용하는 제 1 지형 행렬, 정음 모드가 선택될 때 사용하는 제 2 지형 행렬, 사용될 드라이어가 선택될 때 사용하는 제 3 지형 행렬과 같은, 동작 요소, 또는 조합 동작 요소와 연관된다.
지형 가중치는 평면에 할당할 값을 결정하기 위해 가중치를 적용하기 이전에, 프린트 경로 단계 또는 작업 속성과 같은 동작 요소에 기초하여 수정될 수 있거나, 지형 가중치는 동작 요소의 변형에 기초하여 지형적 가중치의 세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블록(712)에서, 페이지 스코어는 환경 변수의 작업 속성과 같은, 동작 요소에 기초하여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밀도 엔진(304)과 같은, 밀도 엔진은 동작 요소가 우선순위 임계치를 초과하는 우선순위 레벨을 달성할 때 행렬의 지형적인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트 디바이스의 온도 레벨이 소정 레벨을 초과할 수 있거나 정음 모드가 설정되고, 정음 모드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 레벨과 연관된다.
블록(718)에서, 프린트 작업의 페이지의 연속적인 세트에 대해 복수의 페이지 스코어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밀도 엔진(304)과 같은, 밀도 엔진은 현재 페이지 이전에 프린트될 페이지에 대한 밀도 페이지 스코어를 결정할 수 있고, 이 페이지 스코어가 더 느린 프린트 속도를 암시한다면, 현재 페이지에 대한 프린트 속도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거나 현재 페이지가 프린트 속도에서의 차이를 수용하는 대안의 종이 경로를 따라 송신될 수 있다. 복수의 페이지 스코어의 각각의 페이지 스코어는 프린트 작업의 페이지의 세트의 각각의 연속적인 페이지에 대한 전체 지형 프린트 유체 밀도의 표현이 될 수 있고, 전체 지형 프린트 유체 밀도는 평면에 대한 영역의 관계 및 영역의 지형 프린트 유체 밀도에 기초한다. 이 방식으로, 각각의 페이지에 대한 프린트 속도와 같은, 프린트 작업의 문서 흐름을 관리할 때 프린트 작업의 다수의 페이지의 프린트 밀도가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722)에서, 프린트 속도는 단지 단일 페이지 스코어보다는 복수의 페이지 스코어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블록(720)에서,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는 프린트 경로에서의 페이지의 위치와 같은 동작 요소 및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동작 상태를 변경하게 된다. 컴포넌트는 블록(716)에서의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의 속성 레벨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컴포넌트 엔진(306)과 같은, 컴포넌트 엔진은 밀도 분류자와 연관된 컴포넌트의 속성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예를 들어, 페이지의 모든 4개의 모서리는 잉크의 임계치 미만이고 프린터 설정이 정음 모드로 설정될 때 최고 동작 프린트 속도 레벨과 연관된 속성 레벨은 선택될 수 없다). 블록(722)에서, 디바이스의 프린트 속도는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조정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컴포넌트 엔진(306)과 같은 컴포넌트 엔진은 밀도 분류자가 낮은 영역의 프린트 밀도 관계를 나타내고 동작 요소가 분류를 방해하지 않는 경우 프린트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밀도 분류자가 높은 영역의 프린트 밀도 관계(예를 들어, 페이지의 모든 모서리에서 검정 잉크의 높은 레벨) 및/또는 하위 프린트 속도와 연관된 레벨로 밀도 분류자를 증가시키는 동작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 프린트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페이지 속도는, 예를 들어, 프린트 평면 상의 상위 프린트 밀도의 영역을 고려함으로써 최대화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의 흐름도가 특정 순서의 실행을 나타내지만, 실행 순서는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의 실행 순서는 도시된 순서에 비해 스크램블될 수 있다. 또한, 연속으로 도시된 블록들은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협업하여 실행될 수 있다. 모든 이러한 변형은 본발명의 설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명세서(임의의 첨부된 청구항, 요약 및 도면을 포함함)에서 개시된 모든 특징들, 및/또는 이렇게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모든 요소들은 이러한 특징들 및/또는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한 임의의 조합으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전술한 예시들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른 형태, 상세, 및 예들이 이하의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청구항에서 "제 1", "제 2"와 같은 단어, 또는 관련 용어의 사용은 청구항 요소들을 소정 순서 또는 위치로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개별적인 청구항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Claims (15)

  1. 프린트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상태로 동작가능한 컴포넌트 디바이스와,
    밀도(density) 엔진―상기 밀도 엔진은 프린트 유체가 프린트 작업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트될 평면의 평면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평면 상의 상기 평면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에 대한 밀도 분류자를 결정함―과,
    상기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상기 컴포넌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 속성을 조정하게 하는 컴포넌트(component) 엔진을 포함하는
    프린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 엔진은,
    상기 평면 영역 내 제 1 타일에 위치할 프린트 유체의 양을 나타내는 프린트 유체 데이터가 밀도 조건을 달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평면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타일의 위치와 제 2 타일의 위치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 영역에 값을 할당시키며,
    상기 평면 영역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밀도 분류자를 선택하는
    프린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 엔진은,
    페이지 상의 페이지 영역과 연관된 가중치를 유지하는 지형(topograph) 엔진―상기 페이지는 상기 프린트 작업에 기초하여 프린트 유체를 수용하는 상기 평면임―과,
    상기 프린트 시스템의 동작 요소를 식별하는 요소(factor) 엔진을 더 포함하는
    프린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 엔진은,
    밀도 조건을 달성하는 상기 페이지 상의 페이지 영역에 대응하는 가중치의 행렬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에 대한 밀도 스코어를 계산하고,
    상기 가중치 밀도 스코어에 기초하여 상기 밀도 분류자를 결정하는
    프린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도 엔진은,
    상기 동작 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밀도 스코어에 수정자(modifier)를 적용하고,
    입력으로 상기 페이지 스코어를 갖는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기 밀도 분류자를 식별하는
    프린트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엔진은 페이지 크기 또는 페이지 배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지형 엔진은 상기 페이지 크기 또는 상기 페이지 배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지형을 선택하는
    프린트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엔진은 상기 프린트 경로에서 상기 페이지의 단계를 결정하고,
    상기 밀도 엔진은 상기 프린트 경로에서의 상기 페이지의 단계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 스코어를 조정하는
    프린트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엔진은 상기 프린트 시스템의 동작 상태와 연관된 환경 변수를 식별하고,
    상기 밀도 엔진은 상기 환경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밀도 분류자를 결정하는
    프린트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엔진은 상기 프린트 작업의 페이지와 연관된 작업 속성을 식별하고,
    상기 밀도 엔진은 상기 작업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밀도 분류자를 결정하는
    프린트 시스템.
  10. 명령어의 세트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의 세트는,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프린트 유체를 수용하는 평면의 지형적 표현에 프린트 작업 데이터를 맵핑하고,
    상기 지형적 표현을 복수의 타일로 분할하고―상기 복수의 타일의 각각의 타일은 다수의 픽셀을 포함함―,
    상기 복수의 타일의 각각의 타일에서 분출될 프린트 유체의 양이 상기 프린트 작업 데이터를 통해 식별되는 콘텐츠 배치에 기초하여 밀도 조건을 달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복수의 위치 기반 밀도 스코어를 결정하고―각각의 상기 위치 기반 밀도 스코어는 타일이 밀도 조건을 달성했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계산됨―,
    상기 복수의 위치 기반 밀도 스코어와 연관된 평면 영역들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평면 스코어를 식별하고―상기 평면 스코어는 상기 평면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위치 기반 밀도 스코어의 조합을 나타냄―,
    프린트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평면 스코어에 대응하는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프린트 속도를 조정하게 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의 세트는, 상기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작업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밀도 조건을 달성하는 상기 복수의 타일에 적용할 지형 가중치의 세트를 선택하거나,
    상기 작업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밀도 조건을 달성하는 상기 복수의 타일에 적용할 상기 지형 가중치의 세트를 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의 세트는, 상기 프로세서 리소스에 의해,
    사전결정된 범위의 프린트 속도 내의 상기 프린트 속도에 상기 평면 스코어를 맵핑하거나,
    작업 속성, 환경 요소, 또는 프린터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속도를 오버라이드(override)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3. 프린트 디바이스의 동작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임계치의 프린트 유체를 수용한다고 예상되는 페이지의 복수의 평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지 상의 각각의 평면 영역의 위치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의 평면 영역의 각각의 평면 영역에 프린트 유체와 연관된 값을 할당하는 단계와,
    각각의 평면 영역의 값을 조합하여 상기 임계치의 프린트 유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페이지 스코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지 스코어를 밀도 분류자에 맵핑하는 단계―상기 밀도 분류자는 상기 평면 영역에서의 프린트 유체 밀도를 나타냄―와,
    상기 밀도 분류자와 연관된 상기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의 속성 레벨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디바이스 동작 조정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프린트 경로 단계 또는 직업 속성에 기초하여 각각의 평면 영역에 할당할 상기 값을 결정하도록 인가되는 지형적 가중치를 수정하는 단계와,
    작업 속성 또는 환경 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지 스코어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밀도 분류자 및 프린트 경로에서의 상기 페이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가 동작 상태를 변경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밀도 분류자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디바이스의 프린트 속도를 조정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디바이스 동작 조정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페이지 스코어를 판정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페이지 스코어의 각각의 페이지 스코어는 상기 프린트 작업의 페이지 세트의 연속 페이지에 대한 전체 지형 프린트 유체 밀도를 나타냄―와,
    상기 복수의 페이지 스코어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트 디바이스의 프린트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디바이스 동작 조정 방법.
KR1020187016558A 2015-12-11 2015-12-11 평면 영역에 기초한 밀도 분류자 KR102145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5/065326 WO2017099804A1 (en) 2015-12-11 2015-12-11 Density classifiers based on plane reg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434A true KR20180086434A (ko) 2018-07-31
KR102145159B1 KR102145159B1 (ko) 2020-08-18

Family

ID=5901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558A KR102145159B1 (ko) 2015-12-11 2015-12-11 평면 영역에 기초한 밀도 분류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60584B2 (ko)
EP (1) EP3386718B1 (ko)
JP (1) JP6647404B2 (ko)
KR (1) KR102145159B1 (ko)
CN (1) CN108367486B (ko)
RU (1) RU2709860C1 (ko)
WO (1) WO2017099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452A1 (en) 2016-09-12 2018-03-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ation of printer dryer target temperatures
US11318762B2 (en) * 2018-06-07 2022-05-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creasing drying of print job page to be compiled having print fluid at location corresponding to compiling paddles
WO2019240775A1 (en) 2018-06-12 2019-12-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drying
US20220043382A1 (en) * 2018-12-04 2022-02-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ssisted ejection of print jobs
US10974458B2 (en) * 2019-01-11 2021-04-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mensional compensatio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WO2020153964A1 (en) * 2019-01-24 2020-07-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alidation of object model dimensio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US20210370604A1 (en) * 2019-01-31 2021-1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CN113844034B (zh) * 2021-09-30 2024-01-05 深圳市纵维立方科技有限公司 三维模型打孔处理方法、打印方法、相关设备和存储介质
CN113887677B (zh) * 2021-12-07 2022-03-01 武汉大学 上皮乳头内毛细血管图像的分类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2072A (ja) * 2006-12-27 2008-07-1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13230625A (ja) * 2012-04-27 2013-11-14 Mimaki Engineering Co Ltd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WO2014082673A1 (en) * 2012-11-29 2014-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for printing with a printhea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334A (ja) 1993-01-27 1994-10-04 Ricoh Co Ltd 熱転写プリンタ
US5714990A (en) 1995-01-03 1998-02-03 Xerox Corporation Optimizing printing speed and managing printed sheet ejection based on image density and method of determining density
US6012792A (en) 1997-07-28 2000-01-11 Hewlett-Packard Company Copier having full color high speed inkjet printer with two intra page printing speeds for controlling ink drying time for images having densely inked areas
JP4522156B2 (ja) * 2004-06-10 2010-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WO2007129764A1 (en) 2006-05-02 2007-11-15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head
US7832819B2 (en) 2006-10-20 2010-11-16 Xerox Corporation Open loop print speed control
JP5360342B2 (ja) * 2007-05-31 2013-12-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両面記録装置
JP5211596B2 (ja) * 2007-09-13 2013-06-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BR112012017275A2 (pt) 2010-02-12 2016-04-19 Exxonmobil Upstream Res Co método e sistema para divisão de modelos de simulação paralelos
JP5152222B2 (ja) 2010-02-26 2013-0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処理装置、液体吐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65386B2 (ja) 2010-06-24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WO2012166133A1 (en) * 2011-06-01 2012-1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ing printer dry time
WO2013038413A2 (en) 2011-09-15 2013-03-21 Stratasys Ltd. Controlling density of dispensed printing material
US8737862B2 (en) 2011-09-22 2014-05-27 Eastman Kodak Company Operating a selectively interconnected modular printing system
US8840210B1 (en) * 2013-05-30 2014-09-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system with variable print speed
JP6353547B2 (ja) * 2014-01-16 2018-07-04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3次元物体の生成
JP6397268B2 (ja) * 2014-08-25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9193177B1 (en) * 2014-09-04 2015-11-24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reducing cockle in media printed by an inkjet printer
JP6476762B2 (ja) * 2014-10-31 2019-03-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ル判定方法、および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2072A (ja) * 2006-12-27 2008-07-1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13230625A (ja) * 2012-04-27 2013-11-14 Mimaki Engineering Co Ltd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WO2014082673A1 (en) * 2012-11-29 2014-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for printing with a print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67486B (zh) 2021-06-25
CN108367486A (zh) 2018-08-03
EP3386718A4 (en) 2019-08-07
KR102145159B1 (ko) 2020-08-18
US10560584B2 (en) 2020-02-11
WO2017099804A1 (en) 2017-06-15
US20180275635A1 (en) 2018-09-27
EP3386718A1 (en) 2018-10-17
JP6647404B2 (ja) 2020-02-14
JP2019503282A (ja) 2019-02-07
EP3386718B1 (en) 2022-10-05
RU2709860C1 (ru) 201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159B1 (ko) 평면 영역에 기초한 밀도 분류자
US10429821B2 (en) Method for printing colored object of 3D printer
US9628651B2 (en) Select print mode based on sector luminosity
JP5872402B2 (ja) 画像内容依存型の印刷物切断システム
US10606244B2 (en) Method of inwardly decreasing coloring contour of color 3D object
CN107000438B (zh) 打印系统和打印头
US9573386B2 (en) Object forming method, object forming apparatus, and nonvolati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s stored
EP3212418B1 (en) Ink jet printing
US11040329B2 (en) Density classifiers based on plane regions
US9393809B2 (en) Inkjet printing method for printing on non-porous media
US10160227B2 (en) Dual and single drop weight printing
US9981467B2 (en) Categorization of vertical edges corresponding to a halftone image
JP476398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TWI593560B (zh) 噴墨列印技術
US2020010465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20114655A (ja) 印刷データ作成方法、印刷データ作成装置、及び印刷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US11966640B1 (en) Adjust print settings using machine learning
US20240111462A1 (en) Adjust print settings using machine learning
US8469487B2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 plurality of pixels
JP2007190774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20210402801A1 (en) Print drying
JP2007190773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