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797A -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 Google Patents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797A
KR20180085797A KR1020187019341A KR20187019341A KR20180085797A KR 20180085797 A KR20180085797 A KR 20180085797A KR 1020187019341 A KR1020187019341 A KR 1020187019341A KR 20187019341 A KR20187019341 A KR 20187019341A KR 20180085797 A KR20180085797 A KR 20180085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stenite
present
content
tensile test
austeni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기
김성규
강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ublication of KR20180085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중량%로, C: 0.1~0.5%, Cu: 5% 이하(0% 제외), N: 1% 이하(0%는 제외)를 포함하고, Mn의 함량은 Mn≥-10.7C+24.5를 만족하며, Cr: 10% 이하, Ni: 5% 이하, Mo: 5% 이하, Si: 4% 이하, Al: 5%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25℃ 및 1atm의 대기 조건 하 인장 시험에 따른 파괴연신율(T-El1)에 대한 25℃ 및 70MPa의 수소 조건 하 인장 시험에 따른 파괴연신율(T-El2)의 비(T-El2/T-El1)가 0.5 이상인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본 발명은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 수소 가스 저장 탱크, 배관 및 수송 설비 등으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및 환경 오염 방지 측면에서 환경 오염 물질 및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며 그 중 수소를 에너지원으로써 사용하는 기술이 최근 많은 진보를 거듭해왔다. 수소는 가장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써 석탄, 석유 등의 화석 연료와는 달리 오염 물질 배출이 거의 없는 미래의 신에너지원으로써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연료전지를 사용한 수소자동차의 연료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수소자동차는 수소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고압 가스화하여 용기에 저장하는 형태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이러한 용기는 고압의 압력을 견뎌야 하므로 높은 강도와 함께 특히 수소의 투과에 의한 수소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수소 투과율이 낮아야 하며 수소 침투에 의한 취화를 억제하기 위해 내수소 취화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기본적으로 수소 저장 용기 및 설비는 수소의 투과에 의한 저장 손실을 줄이는 것이 기본적인 목표이고 따라서, 수소의 투과율이 높은 면심입방구조(FCC)의 재료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FCC 계열의 소재로는 Cr-Ni계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고압 수소 가스 환경하에서의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압가스 저장용기 혹은 저장용기의 라이너 및 배관용 재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수소의 1회 충전에 의한 장거리 운행 및 대량 저장을 위해 수소 가스의 압력을 수십 혹은 수백 MPa로 높이고 있어 통상의 강도가 낮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경우 고압하에서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서는 소재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여 결국 용기나 설비의 중량 증가와 대형화를 피하기 어려워 상용화에 제한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써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98391호 및 국제 공개특허공보 제2014-111285호에서는 냉간 가공에 의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강도를 높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냉간 가공에 의한 강도 증가는 연성 및 인성을 저하시키고 오스테나이트의 안정도를 저하시켜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수소를 저장하는 용기로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8250호에서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의 두 차례 냉간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의 안정도를 확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고가의 합금원소인 다량의 Cr, Ni을 첨가하게 되므로 이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4491호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5931호에서는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이 갖는 고가의 합금원소인 Ni을 저가의 합금원소인 Mn으로 대체하여 안정한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하여 내수소취화성을 개선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여전히 고가의 합금원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고가의 합금 원소의 첨가 없이도 우수한 내수소취화성을 가지는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1~0.5%, Cu: 5% 이하(0% 제외), N: 1% 이하(0%는 제외)를 포함하고, Mn의 함량은 Mn≥-10.7C+24.5를 만족하며, Cr: 10% 이하, Ni: 5% 이하, Mo: 5% 이하, Si: 4% 이하, Al: 5%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25℃ 및 1atm의 대기 조건 하 인장 시험에 따른 파괴연신율(T-El1)에 대한 25℃ 및 70MPa의 고압 수소 조건 하 인장 시험에 따른 파괴연신율(T-El2)의 비(T-El2/T-El1)가 0.5 이상인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러 효과 중 하나로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는 고가의 합금 원소의 첨가 없이도 우수한 내수소취화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탄소 및 망간의 조성 범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발명예 1에 따른 시편에 대해 상온 인장 시험 후 파단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수소의 저장 또는 이송 등을 위한 용기는 기본적으로 수소의 투과율이 낮아야 하며, 따라서, 철강 소재의 경우, 수소의 투과율이 낮은 FCC 구조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특히, 소성 가공, 사용 중 외부 하중 인가에 따른 소성 변형 등의 외부 변형에 대해서도 FCC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한편, 전술한 통상의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강재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경제성이 열위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고가의 니켈을 저가의 망간으로 대체하고, 탄소를 첨가하여 오스테나이트를 상온에서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어져 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고탄소 및 고망간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는 낮은 적층결함에너지로 인해 부분 전위가 쉽게 발달하여 슬립의 평면화가 쉽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슬립면 상에서의 전위의 집적이 쉽게 이루어져 가공경화가 매우 높게 된다. 또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를 위한 탄소의 첨가는 동적변형시효를 유발하여 강재의 가공경화를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고탄소 및 고망간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는 내수소취화성이 요구되는 용도로는 부적합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탄소의 함량을 비교적 낮추면서도, 탄소 및 망간 함량의 관계를 적절히 제어함을 통해 강재의 내수소취화성을 향상시키고자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을 도출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인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오스테나이트계 강재의 합금 성분 및 바람직한 함량 범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각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모두 중량 기준임을 미리 밝혀둔다.
탄소(C): 0.1~0.5%
탄소는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고, 강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특히, 냉각과정 혹은 가공에 의한 오스테나이트의 입실런 혹은 알파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점인 Ms 및 Md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만약, 탄소 함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의 안정도가 부족해지고, 또한 외부 응력에 의해 쉽게 입실런 혹은 알파 마르텐사이트로 가공유기변태를 일으켜 FCC 조직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내수소취화성이 급격히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소 함량을 0.1% 이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고, 0.15% 이상으로 제어함이 보다 바람직하며, 0.2% 이상으로 제어함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전위와의 동적변형시효를 발생시켜 강재의 가공 경화를 높혀 내수소취화성이 열화되며, 탄화물이 쉽게 석출되어 연성 내지 인성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소 함량을 0.5% 이하로 제어함이 바람직하고, 0.45% 이하로 제어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망간(Mn): [Mn]≥-10.7[C]+24.5 (여기서, [Mn] 및 [C]는 해당 원소의 중량%를 의미함)
본 발명에서 망간의 함량은 탄소 및 기타 함께 첨가되는 원소들과의 관계에 주의하며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온 인장 시험 후 수소의 투과율이 낮은 오스테나이트 혹은 입실런 마르텐사이트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내수소취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망간의 함량 범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의 그래프는 본 발명자들의 다양한 실험에 의해 도출된 결과이다.
즉, 인장 시험 전, 후 모두 우수한 내수소취화성을 얻을 수 있는 미세조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른 성분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충족한다는 전제 하에 -10.7[C]+24.5(%) 이상의 범위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만약, 첨가되는 망간의 함량이 -10.7[C]+24.5(%) 미만일 경우 오스테나이트의 안정도가 감소하여 변형에 의해 BCC 기반의 미세조직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내수소취화성이 열화되게 된다.
구리(Cu): 5% 이하(0% 제외)
구리는 내수소취화성을 얻기 위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안정화시키고, 적층결함에너지를 높여 슬립을 촉진하는 원소이다. 한편, 탄소가 높게 첨가되는 경우, 구리는 탄화물 내 고용도가 매우 낮고 오스테나이트 내 확산이 느려 오스테나이트와 핵생성된 탄화물의 계면에 농축되게 되는데, 이 경우 탄소의 확산을 방해함으로써 탄화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늦추게 되고, 결과적으로 탄화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화물의 형성 억제는 탄소의 확산 장소를 줄여 내수소취화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강재의 연성 및 인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서 구리가 0.5% 이상 첨가될 경우, 이러한 탄화물 생성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강재의 열간가공성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리의 함량을 5% 이하로 제어함이 바람직하고, 3.5% 이하로 제어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질소(N): 1% 이하(0% 제외)
질소는 탄소와 더불어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켜 강재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특히, 탄소와 같이 고용강화를 통해 강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유리한 원소이다. 특히, 후술할 식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효과적으로 적층결함에너지를 높여 슬립을 조장하는 원소로 잘 알려져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질소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물성 확보 측면에서는 큰 지장은 없다. 한편,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조대한 질화물을 형성하여 강재의 표면 품질 및 물성이 열화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질소의 함량을 1% 이하로 제어함이 바람직하고, 0.5% 이하로 제어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원소 이외에도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는 Cr, Ni, Mo, Si 및 Al을 포함할 수 있다.
크롬(Cr): 10% 이하
크롬은 적정한 첨가량의 범위까지는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켜 내수소취화성을 증가시키며, 오스테나이트 내에 고용되어 강재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크롬은 강재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기도 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크롬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물성 확보 측면에서는 큰 지장은 없다. 한편, 크롬은 탄화물 형성 원소로써,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탄화물을 형성하여 수소 확산에 용이한 장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강재의 인성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크롬의 함량을 10% 이하로 제어함이 바람직하고, 8% 이하로 제어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니켈(Ni): 5% 이하
니케은 매우 효과적인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냉각과정 혹은 가공에 의한 오스테나이트의 입실런 혹은 알파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점인 Ms 및 Md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특히, 후술할 식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효과적으로 적층결함에너지를 높여 슬립을 조장하는 원소로 잘 알려져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니켈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물성 확보 측면에서는 큰 지장은 없다. 한편, 니켈은 고가의 합금 원소로써,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니켈의 함량을 5% 이하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Mo): 5% 이하
몰리브덴은 적정 첨가량 범위에서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며, 냉각과정 혹은 가공에 의한 오스테나이트의 입실런 혹은 알파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점인 Ms 및 Md를 낮춰 강재의 내수소취화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강재 내부에 고용되어 강재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 편성되어 결정립계의 안정도를 높여 에너지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탄질화물의 결정립계 석출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후술할 식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효과적으로 적층결함에너지를 높여 슬립을 조장하는 원소로 잘 알려져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몰리브덴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물성 확보 측면에서는 큰 지장은 없다. 한편, 몰리브덴은 고가의 합금 원소로써,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몰리브덴의 함량을 5% 이하로 제어함이 바람직하고, 4% 이하로 제어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리콘(Si): 4% 이하
실리콘은 용강의 주조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강재에 첨가되는 경우 강재 내부에 고용되어 강재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물성 확보 측면에서는 큰 지장은 없다. 한편,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적층결함에너지를 감소시켜 부분 전위의 발생을 조장하고 응력 집중을 야기하며, 이에 따라 강재의 내수소취화성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의 함량을 4% 이하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Al): 5% 이하
알루미늄은 적정 첨가량 범위에서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며, 냉각과정 혹은 가공에 의한 오스테나이트의 입실런 혹은 알파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점인 Ms 및 Md를 낮춰 강재의 내수소취화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강재 내부에 고용되어 강재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강재 내 탄소의 활동도에 영향을 미쳐 탄화물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강재의 인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강재의 적층결함에너지를 크게 증가시켜 교차슬립을 유도하고, 부분 전위 생성을 억제하여 응력 집중을 완화시켜 내수소취성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물성 확보 측면에서는 큰 지장은 없다. 다만, 내수소취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0.2% 이상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산화물 및 질화물을 형성하여 강의 주조성 및 표면 품질을 열화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의 함량을 5% 이하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 이외에 나머지는 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조성 이외에 유효한 성분의 첨가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는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적층결함에너지(SFE)가 30mJ/m2 이상일 수 있다.
[식1]
SFE(mJ/m2) = 1.6[Ni] - 1.3[Mn] + 0.06[Mn]2 - 1.7[Cr] + 0.01[Cr]2 + 15[Mo] - 5.6[Si] + 1.6[Cu] + 5.5[Al] - 60([C] + 1.2[N])1/2 + 26.3([C] + 1.2[N])([Cr] + [Mn] + [Mo])1/2 + 0.6{[Ni]([Cr] + [Mn])}1/2
(여기서, [Ni], [Mn], [Cr], [Mo], [Si], [Cu], [Al], [C] 및 [N] 각각을 해당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
일반적으로 본 발명과 같이 망간의 함량이 높은 고망간 강의 경우, 통상의 탄소 강과 비교할 때, 적층결함에너지가 낮아 부분 전위가 비교적 쉽게 생성되며, 이러한 부분 전위의 슬립은 특정 슬립면에 국한되기 때문에 전위의 집적 및 응력 집중이 야기되기 쉽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응력의 집중은 수소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는 바, 본 발명과 같은 고망간 강에서는 수소의 확산에 의해 소재의 파괴강도가 저하되는 현상, 즉, 수소에 의한 취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합금 성분 및 조성 범위 제어를 통한 적층결함에너지의 제어를 통해 강재의 변형 거동을 각별히 제어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적층결함에너지(SFE)를 30mJ/m2 이상으로 제어할 경우 수소에 의한 취화 현상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한편, 강재의 응력 집중에 의한 가공경화 정도는 인장 시험에 따른 가공경화율로 측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는 25℃ 및 1atm의 대기 조건 하 인장 시험에 따른 가공경화율(strain hardening rate)이 14000N/mm2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가공경화율은 진변형 및 진응력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인장 시험에 의한 가공경화율의 최대값이 14000N/mm2을 초과하는 경우는 전위에 의한 응력집중이 지나치게 크게 되어 수소의 확산 및 집적이 용이하게 되어 수소취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는 25℃ 및 1atm의 대기 조건 하 인장 시험에 따른 인장강도가 800MPa 이하일 수 있다. 만약, 인장강도가 800MPa를 초과하는 경우 응력집중에 의한 높은 가공경화로 내수소취화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는 그 미세조직으로 95면적%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면적분율이 95%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내수소취화성을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는 25℃ 및 1atm의 대기 조건 하 인장 시험 후 미세조직이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이루어지거나 입실런 마르텐사이트 조직 및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인장시험 후 미세조직이 페라이트 조직을 포함할 경우 목적하는 내수소취화성을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재는 상기의 성분계를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강재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상기의 성분계를 만족하는 강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조압연 및 사상압연 후, 냉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사상압연 마무리 온도는 미재결정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미재결정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사상압연이 마무리될 경우 과도한 전위의 생성 및 축척에 의해 강재의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수소에 의한 응력 집중 및 파괴를 조장하게 되고, 또한 인장변형시 수소 취화를 유발하는 페라이트 조직을 조기에 발생시켜 결국 목적하는 내수소취화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압연 종료 후 강재는 탄화물 형성 억제를 위해 가속냉각을 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탄화물이 형성되는 경우 강재의 연신율이 감소하고, 특히 탄화물과 오스테나이트의 계면에 수소가 집적하여 결국 내수소취화성을 열위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탄소, 크롬, 몰리브텐 등이 주요한 탄화물 형성원소이므로 가속냉각 여부 및 냉각속도는 이러한 원소의 첨가량에 따라 아래 식과 같이 주어진다.
[식 2]
냉각속도(℃/s) ≥ 15[C] + [Cr] + [Mo]
(여기서, [C], [Cr] 및 [Mo]는 각각 해당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준비한 뒤, 열간 압연 및 냉각을 거쳐 압연재로 제조하였다. 이때, 모든 예에 있어서 사상압연 마무리 온도 및 냉각속도를 제외한 모든 공정 조건은 동일하게 제어하였으며, 사상압연 마무리 온도와 냉각속도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표 2에서 냉각속도가 기재되지 않은 비교예 5의 경우, 단순 공냉을 실시한 것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압연재의 미세조직을 관찰하고,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측정하였다. 이후, 상기 압연재를 대상으로 25 및 1atm의 대기 조건 하 인장 시험을 실시한 후, 인장강도, 가공경화율 및 파괴연신율(T-El1)을 측정하고, 페라이트 분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와 별도로, 상기 압연재를 대상으로 25 및 70MPa의 고압 수소 조건 하 인장 시험을 실시한 후, 파괴연신율(T-El2)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성분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5는 상온 인장 변형 후 페라이트가 생성되지 않는 안정한 오스테나이트가 얻어지며, 가공경화율 및 인장강도가 낮게 제어되고, 특히 사상압연 마무리온도가 미재결정온도를 초과하여 압연되어 전위의 생성 및 축척이 억제되고 또한 냉각속도가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를 만족하여 탄화물 형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으로써, 결국 파괴연신율의 비가 매우 높은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 강재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비교예 1은 탄소 및 망간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탄소의 함량이 많아 높은 가공경화율로 인해 파괴연신율의 비가 낮은, 즉 내수소취화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2는 망간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를 만족하지 못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가 불안정하여 인장 변형 후 수소취화에 민감한 페라이트가 생성하여 내수소취화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은 탄소 및 망간의 함량과 적층결함에너지는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를 만족하였으나 구리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를 초과함으로써 압연재에 크랙이 발생하여 건전한 시편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4는 탄소의 첨가량이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됨으로써 가공경화율이 높고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탄화물이 과도하게 석출함으로써 내수소취화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5는 망간의 함량이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에 해당하지 않아 목표는 하는 미세조직을 얻지 못하여 내수소취화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는 발명예 1에 따른 시편에 대해 상온 인장 시험 후 파단면을 관찰한 사진으로, 파단 형태가 연성 파괴의 전형인 딤플로 나타났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Claims (6)

  1. 중량%로, C: 0.1~0.5%, Cu: 5% 이하(0% 제외), N: 1% 이하(0%는 제외)를 포함하고, Mn의 함량은 [Mn]≥-10.7[C]+24.5(여기서, [Mn] 및 [C]는 해당 원소의 중량%를 의미함)를 만족하며, Cr: 10% 이하, Ni: 5% 이하, Mo: 5% 이하, Si: 4% 이하, Al: 5%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25℃ 및 1atm의 대기 조건 하 인장 시험에 따른 파괴연신율(T-El1)에 대한 25℃ 및 70MPa의 수소 조건 하 인장 시험에 따른 파괴연신율(T-El2)의 비(T-El2/T-El1)가 0.5 이상인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적층결함에너지(SFE)가 30mJ/m2 이상인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식1]
    SFE(mJ/m2) = 1.6[Ni] - 1.3[Mn] + 0.06[Mn]2 - 1.7[Cr] + 0.01[Cr]2 + 15[Mo] - 5.6[Si] + 1.6[Cu] + 5.5[Al] - 60([C] + 1.2[N])1/2 + 26.3([C] + 1.2[N])([Cr] + [Mn] + [Mo])1/2 + 0.6{[Ni]([Cr] + [Mn])}1/2
    (여기서, [Ni], [Mn], [Cr], [Mo], [Si], [Cu], [Al], [C] 및 [N] 각각을 해당 원소의 함량(중량%)을 의미함)
  3. 제1항에 있어서,
    25℃ 및 1atm의 대기 조건 하 인장 시험에 따른 가공경화율(strain hardening rate)이 14000N/mm2 이하인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4. 제1항에 있어서,
    25℃ 및 1atm의 대기 조건 하 인장 시험에 따른 인장강도가 800MPa 이하인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5. 제1항에 있어서,
    그 미세조직으로 95면적% 이상(100면적% 포함)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6. 제1항에 있어서,
    25℃ 및 1atm의 대기 조건 하 인장 시험 후 미세조직이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이루어지거나 입실런 마르텐사이트 조직 및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KR1020187019341A 2015-12-22 2016-12-22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KR201800857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84291 2015-12-22
KR1020150184291 2015-12-22
PCT/KR2016/015085 WO2017111489A1 (ko) 2015-12-22 2016-12-22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797A true KR20180085797A (ko) 2018-07-27

Family

ID=5908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341A KR20180085797A (ko) 2015-12-22 2016-12-22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010590A1 (ko)
EP (1) EP3395989B1 (ko)
JP (1) JP6703608B2 (ko)
KR (1) KR20180085797A (ko)
CN (1) CN108431275A (ko)
CA (1) CA3009463C (ko)
WO (1) WO2017111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4159B2 (ja) * 2018-03-02 2020-06-24 株式会社トクヤマ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55827B1 (ko) * 2018-10-25 2021-05-26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이 우수한 극저온용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FR3106898B1 (fr) 2020-01-30 2022-10-07 Psa Automobiles Sa Procede d’analyse de la fragilisation par l’hydrogene de pieces en aciers nus ou revetus utilisees dans les vehicules automobiles
US20230349031A1 (en) * 2022-04-29 2023-11-02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Low ni-containing steel alloys with hydrogen degradation res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1656A (en) * 1979-12-10 1981-07-03 Japan Steel Works Ltd:The Nonmagnetic steel for cryogenic temperature high magnetic field apparatus
JPS5928561A (ja) * 1982-08-11 1984-02-15 Sumitomo Metal Ind Ltd 体積電気抵抗率の高い非磁性鋼
JPH0215148A (ja) * 1988-07-02 1990-01-18 Sumitomo Metal Ind Ltd 耐食性に優れた高Mn非磁性鋼
JPH04259325A (ja) * 1991-02-13 1992-09-14 Sumitomo Metal Ind Ltd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の製造方法
RU2074900C1 (ru) * 1991-12-30 1997-03-10 Поханг Айрон энд Стил Ко., Лтд.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тали (варианты)
FR2796083B1 (fr) * 1999-07-07 2001-08-31 Usinor Procede de fabrication de bandes en alliage fer-carbone-manganese, et bandes ainsi produites
FR2829775B1 (fr) * 2001-09-20 2003-12-26 Usinor Procede de fabrication de tubes roules et soudes comportant une etape finale d'etirage ou d'hydroformage et tube soude ainsi obtenu
JP4529872B2 (ja) * 2005-11-04 2010-08-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Mn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42833B1 (ko) * 2005-12-24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내식성이 우수한 고 망간 용융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DE102008056844A1 (de) * 2008-11-12 2010-06-02 Voestalpine Stahl Gmbh Manganstahl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KR20110072791A (ko) *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포스코 연성 및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003785B2 (ja) * 2010-03-30 2012-08-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延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43916B1 (ko) * 2013-12-25 2015-08-11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 가공 품질이 우수한 저온용강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0590A1 (en) 2019-01-10
JP2019505675A (ja) 2019-02-28
CA3009463C (en) 2020-09-22
CA3009463A1 (en) 2017-06-29
CN108431275A (zh) 2018-08-21
EP3395989A1 (en) 2018-10-31
EP3395989B1 (en) 2020-07-15
WO2017111489A1 (ko) 2017-06-29
EP3395989A4 (en) 2018-11-14
JP6703608B2 (ja)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9004B2 (ja) 高圧水素ガス環境用鋼材および高圧水素ガス環境用鋼構造物ならびに高圧水素ガス環境用鋼材の製造方法
JP6299885B2 (ja) 高圧水素ガス中の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水素用鋼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13152B2 (ja) 水素用鋼構造物ならびに水素用蓄圧器および水素用ラインパイプの製造方法
JP6801236B2 (ja) 低温水素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CA3009137C (en) Low-yield ratio and high-strength steel having excellent stress corrosion cracking resistance and low temperature toughness
KR101534427B1 (ko) 실온 및 온간에서의 딥드로잉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온간 가공 방법
JP6616006B2 (ja) 低温歪み時効衝撃特性及び溶接熱影響部衝撃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928394B2 (ja) 高圧水素ガス中の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水素用鋼構造物ならびに水素用蓄圧器および水素用ラインパイプの製造方法
KR101965524B1 (ko) 내수소 취화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21981A (ko) 고압 수소 가스용 고강도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US9255305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superior toughness at cryogenic temperatu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04111285A1 (ja) 水素ガス用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とその製造方法
KR101482359B1 (ko) 극저온 인성이 우수하고 저항복비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45931A (ko) 오스테나이트계 고 Mn 스테인리스 강 및 그 제조 방법과, 그 강을 사용한 부재
KR20180085797A (ko) 내수소취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KR20190043466A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강재 및 제조방법
WO2019180499A1 (en) A steel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api 5l psl-2 specification for x-65 grade having enhanced hydrogen induced cracking (hic)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eel thereof
KR101758481B1 (ko) 내식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7262172B2 (ja) 高Mn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20180054031A (ko) 내수소취성이 개선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포함하는 고압 수소 가스용 용기
JP2004339550A (ja) 溶接部靭性、条切り特性に優れた低降伏比570MPa級高張力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39791B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9563590B (zh) 复合容器蓄压器用衬里、复合容器蓄压器、以及复合容器蓄压器用衬里的制造方法
KR101499336B1 (ko)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2594A (ko) 고강도 고인성 후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