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502A -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502A
KR20180085502A KR1020170009108A KR20170009108A KR20180085502A KR 20180085502 A KR20180085502 A KR 20180085502A KR 1020170009108 A KR1020170009108 A KR 1020170009108A KR 20170009108 A KR20170009108 A KR 20170009108A KR 20180085502 A KR20180085502 A KR 20180085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ser
target
set value
environmen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현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502A/ko
Publication of KR2018008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locking or memorising of control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용자 성향에 기초하여 차량의 공조 시스템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축적된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온도에 대응하는 목표 추정 온도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도록 온도 설정 단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및 공기 순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IR CONDITIONER IN A VEHICLE}
사용자 맞춤형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기술에 연관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 성향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 및 분석한 결과를 제어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차량의 공조 시스템을 최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차량에 구비되는 공조 시스템은 자동차 내부의 냉/난방을 제공하거나, 자동차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에 의해 자동차 앞 유리에 발생하는 성에를 제거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 시스템은 공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데, 일반적인 공조 제어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설정해둔 목표 온도를 기준으로 현재 온도와의 차이를 고려하여 풍량 세기를 조절하거나 시스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공조 제어가 수행된다. 다만, 이러한 방식의 기존 공조 제어 방식은 사용자의 성향에 관계 없이 목표 온도에 맞추어 시스템이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만족스럽지 못한 동작 제어가 수행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운전 중 지속적으로 목표 운동을 재설정하거나 수동모드로 직접 풍량 등을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650190호 (공개일 2016년09월06일), "차량의 스마트 히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2. 등록특허공보 제10-1538016호 (공개일 2015년07월22일), "개인생활공간 맞춤형 스마트 자동전력제어 장치 및 그 방법"
3. 등록특허공보 제10-1477233호 (공개일 2014년12월29일), "맞춤형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상기 문헌들 중 특허문헌 1은 설정된 시간에 히팅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히터 및 열선을 조작하여 내부온도 제어 및 결빙을 제거하는 내용이고, 특허문헌 2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개인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개인생활공간의 내부 전력을 제어하는 내용이다. 또한, 특허문헌 3은 탑승자의 체온을 계측하여 맞춤형으로 냉방 또는 난방이 제공되도록 공조기를 제어하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들의 경우 사전에 미리 설정된 조건이나 사용자의 현재 체온을 기초로 공조 제어를 수행하는 내용이 대부분이고, 일정 양 이상 축적된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조 제어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춘 최적의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도록 자동으로 공조 설정 값을 제어하는 기술은 아직 제시된 바가 없다.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성향에 기초하여 차량의 공조 시스템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축적된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온도에 대응하는 목표 추정 온도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도록 온도 설정 단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및 공기 순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온도 및 상기 목표 온도에 대응하는 설정 값을, 설정 시점의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와 연관되도록 저장한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수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자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온도를 상기 목표 추정 온도로 치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성향에 기초하여 차량의 공조 시스템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온도 및 상기 목표 온도에 대응하는 설정 값을, 설정 시점의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와 연관시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축적된 상기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온도에 대응하는 목표 추정 온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도록 온도 설정 단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및 공기 순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현재 온도를 기초로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에 대응하는 설정 값이 저장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공조 제어 시스템은 단순히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 온도에 따라 차량 내부의 냉/난방을 제어하지 않고, 사용자의 성향 분석을 토대로 최적의 차량 내부 환경을 설정하는 시스템으로서, 공조 제어 장치(100), 온도 센서(110) 및 공조 시스템(120)을 포함한다.
온도 센서(110)는 공조 제어를 위해 차량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외기 온도 센서 및 내기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110)를 통해, 사용자가 탑승 중인 차량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측정뿐만 아니라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 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차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최적의 차량 내부 환경을 설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공조 시스템(120)는 차량 내 냉방이나 난방, 환기 등을 위해 구비되는 장치들로서, 에어컨 시스템, 히터 시스템, 환기 시스템 등이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공조 제어 장치(100)는 일정 양 이상 축적된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조 제어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 성향에 맞춘 최적의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도록 공조 시스템(120)의 설정 값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공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온도 센서(110)로부터 측정된 외기 온도 및 내기 온도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별다른 추가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차량 내부 환경 설정 정보들을 기초로 현재 온도에 대응하는 설정 값을 분석하여 상기 공조 시스템(120)을 제어한다. 상기 공조 제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은 아래 도 2와 같이 구현 가능하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200)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운전자)의 차량 내부 환경 설정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 및 분석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춘 최적의 차량 내부 환경을 하도록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계산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계산부(210)는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축적된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온도에 대응하는 목표 추정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온도 및 상기 목표 온도에 대응하는 설정 값을, 설정 시점의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와 연관되도록 저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정 값을 변경할 때마다, 상기 변경 시점에서의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가 상기 변경 설정 값과 함께 저장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수집된 환경 설정 정보가 일정 양 이상 저장되면 분석에 의해 상기 목표 추정 온도의 계산이 가능해진다. 이를 테면, 상기 환경 설정 정보가 100세트 이상 축적되면, 상기 계산부(210)는 상기 환경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표 추정 온도를 계산하고, 상기 목표 추정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설정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기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도록 온도 설정 단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및 공기 순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200)는 수동모드(Manual Temperature Control mode) 또는 자동모드(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mode)로 동작할 수 있는데, 초기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성향에 맞춘 목표 추정 온도에 대한 판단이 어려우므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동작하다가 일정 양 이상의 사용자 환경 설정 정보가 축적되면 상기 모드 설정에 따라 동작 방식이 상이해진다.
수동모드는 바람 세기, 에어컨 작동 여부, 바람 방향, 공기 순환 방향 등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수동모드에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동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온도 단계나 바람 세기를 설정하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단계나 바람 세기의 설정 값으로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목표 추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단계나 바람 세기를 적용하여 설정 값 제어가 적응적으로 수행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목표 추정 온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단계보다 더 차가운 바람이 나오게 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바람 세기보다 더 약한 바람이 나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동모드는 바람 세기, 에어컨 작동 여부, 바람 방향, 공기 순환 방향 등을 사용자의 목표 온도 설정만으로 자동 제어하는 방식으로, 자동모드에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온도를 상기 목표 추정 온도로 치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동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설정 값이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로 치환하면서 상기 설정 값들 또한 변경 적용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상기 자동차 공조 제어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환경 설정 값들이 입력될 때마다 해당 입력 시점에서의 외기 온도 및 내기 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설정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 값은 온도 설정 단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공기 순환 타입, 에어컨 동작 여부 등의 복수 개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래 표 1과 같이 저장된다.
Figure pat00001
상기 자동차 공조 제어 장치(200)는 일정 시간 이상 또는 일정 양 이상 축적된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를 기초로 하는 사용자의 성향 분석을 통해 최적의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공조 제어의 수동 조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운전 중 주의 분산을 줄이면서 차량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현재 온도를 기초로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에 대응하는 설정 값이 저장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동차 공조 제어 장치가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에 관계없이, 초기 상태에서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가 없어 사용자의 성향 분석에 따른 목표 추정 온도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환경 설정 값에 따라 동작 및 제어된다. 상기 자동차 공조 제어 장치는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 값들을 복수 개의 항목 별로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로서 관리하고, 상기 환경 설정 정보가 일정 기간 이상 또는 일정 양 이상 축적되면 현재 온도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 추정 온도를 유추하여 환경 설정 값들을 추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환경 설정 값들이 설정 또는 변경될 때마다 해당 설정/변경 시점에서의 외기 온도 및 내기 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환경 설정 값들을 복수 개의 항목 별로 저장한 것으로, 상기 복수 개의 항목은 온도 설정 단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공기 순환 타입, 에어컨 동작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설정 단계는 0 내지 10으로 설정 가능한데, 0은 가장 차가운 단계이고 10은 가장 뜨거운 단계를 나타낸다. 상기 바람 세기 또한, 0 내지 10의 단계로 설정할 수 있으며, 0은 바람이 없는 off 상태이고 10은 가장 센 바람을 나타낸다. 상기 바람 방향은 하향, 중앙 및 상향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는데, 상기 3가지 선택 사항 중 둘 이상이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순환 타입은 공기 순환을 내기 또는 외기로 적용할지를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에어컨 동작 여부는 차량에 구비된 공조 시스템 중 에어컨의 전원이 온(On)인지 오프(off)인지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집된 상기 환경 설정 정보가 일정 시간 이상 또는 일정 양 이상 저장되면, 현재 온도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추정 온도의 계산이 가능해진다. 도 3에서, 테이블의 각 행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10개 이상 수집되면, 각 항목별 평균 값 계산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취향에 맞춘 목표 추정 온도와 추정 바람 세기를 정수화하여 설정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추정 바람 방향, 추정 내/외기 선택, 추정 에어컨 동작 여부 등의 다른 항목 설정 값들도 유추하여 설정 가능하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자동차 공조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차량 내부 환경 설정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 및 분석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춘 최적의 차량 내부 환경을 하도록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4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온도 및 상기 목표 온도에 대응하는 설정 값이, 설정 시점의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와 연관시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환경 설정 값들이 입력될 때마다 해당 입력 시점에서의 외기 온도 및 내기 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설정 값들이 저장되며, 상기 설정 값은 온도 설정 단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공기 순환 타입, 에어컨 동작 여부 등의 복수 개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집된 환경 설정 정보가 일정 양 이상 저장되면, 분석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성향에 따른 목표 추정 온도의 계산이 가능해진다.
단계 420에서는, 자동차 공조 제어 장치의 계산부가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축적된 상기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온도에 대응하는 목표 추정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환경 설정 정보가 100세트 이상 축적되면, 상기 계산부는 상기 환경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표 추정 온도를 계산하고, 상기 목표 추정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 설정 값을 추정할 수 있다.
단계 430에서는, 자동차 공조 제어 장치의 제어부가 단계 420에서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도록 온도 설정 단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및 공기 순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공조 설정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는 수동모드(Manual Temperature Control mode) 또는 자동모드(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mode)로 동작된다. 다만, 초기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성향에 맞춘 목표 추정 온도에 대한 판단이 어려우므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동작하다가 일정 양 이상의 사용자 환경 설정 정보가 축적되면 상기 모드 설정에 따라 동작 방식이 상이해진다.
수동모드는 바람 세기, 에어컨 작동 여부, 바람 방향, 공기 순환 방향 등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어부는 수동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동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온도 단계나 바람 세기를 설정하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단계나 바람 세기의 설정 값으로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목표 추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단계나 바람 세기를 적용하여 설정 값 제어가 적응적으로 수행된다.
자동모드는 바람 세기, 에어컨 작동 여부, 바람 방향, 공기 순환 방향 등을 사용자의 목표 온도 설정만으로 자동 제어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어부는 자동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온도를 상기 목표 추정 온도로 치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동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설정 값이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로 치환하면서 상기 설정 값들 또한 변경 적용하도록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축적된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온도에 대응하는 목표 추정 온도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도록 온도 설정 단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및 공기 순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온도 및 상기 목표 온도에 대응하는 설정 값을, 설정 시점의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와 연관되도록 저장한 것인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온도를 상기 목표 추정 온도로 치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제어하는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5.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표 온도 및 상기 목표 온도에 대응하는 설정 값을, 설정 시점의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와 연관시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축적된 상기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온도에 대응하는 목표 추정 온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목표 추정 온도에 상응하도록 온도 설정 단계, 바람 세기, 바람 방향 및 공기 순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방법.
KR1020170009108A 2017-01-19 2017-01-19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85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108A KR20180085502A (ko) 2017-01-19 2017-01-19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108A KR20180085502A (ko) 2017-01-19 2017-01-19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502A true KR20180085502A (ko) 2018-07-27

Family

ID=6307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108A KR20180085502A (ko) 2017-01-19 2017-01-19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5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86A (ko) * 2019-01-22 2020-07-3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맞춤형 자동 공조제어기 및 그것을 이용한 맞춤형 자동 공조제어방법
CN111716991A (zh) * 2020-05-29 2020-09-29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空调参数自适应标定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286A (ko) * 2019-01-22 2020-07-3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맞춤형 자동 공조제어기 및 그것을 이용한 맞춤형 자동 공조제어방법
CN111716991A (zh) * 2020-05-29 2020-09-29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空调参数自适应标定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8146B2 (en) Vehicle microclimat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RU266701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ки режима работы климат-контро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GB2551999B (en) Climate control method and system
US9724980B2 (en) Windshield defogging system and method
US8701427B2 (en) Fog detection error protection for window fog control
US7845182B2 (en) Fan control limitation logic in auto defog system
CN106143420B (zh) 用于车辆除雾的方法和系统
US20140083672A1 (en) Automatic Recirculation Control for Vehicular HVAC System
US20160167480A1 (en) Method of controlling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40329450A1 (en) A/c floor mode for vehicle comfort
KR20180085502A (ko) 자동차 공조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7206226A (ja) 車両の自動霜取り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962925B (zh) 针对声学舒适度的基于温度的鼓风机策略
US8011597B2 (en) Auto A/C solar compensation control
CN105371417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装置
JP6168972B2 (ja) 鉄道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US8463492B2 (en) Efficient AC operation using dew-point temperature
CN108068573A (zh) 应用于大巴车的空调系统控制方法及装置
CN110239304B (zh) 车载空调的控制方法及装置
GB2552045B (en) Climate control method and system
JP2019104294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及び車両用空気調和方法
DE112015000103T5 (de) Fahrzeug-Wärmepumpen-Klimatisierungssteuerungsvorrichtung
JP2008279793A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この制御方法
JP572177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1199332A (ja) 鉄道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