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488A - 대용량 착즙기 - Google Patents

대용량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488A
KR20180085488A KR1020170009073A KR20170009073A KR20180085488A KR 20180085488 A KR20180085488 A KR 20180085488A KR 1020170009073 A KR1020170009073 A KR 1020170009073A KR 20170009073 A KR20170009073 A KR 20170009073A KR 20180085488 A KR20180085488 A KR 20180085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shaft
juice
rotating bod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840B1 (ko
Inventor
이문현
Original Assignee
이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현 filed Critical 이문현
Priority to KR102017000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840B1/ko
Priority to PCT/KR2017/014903 priority patent/WO2018135762A1/ko
Priority to US16/477,898 priority patent/US20200113366A1/en
Priority to EP17893001.2A priority patent/EP3571936A4/en
Priority to CN201780083548.9A priority patent/CN110177474A/zh
Publication of KR20180085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rotary pressing members, other than worms or screws, e.g. rollers, rings, discs
    • B30B9/207Roller-and-r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베이스(210)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210)에 구비되는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50)와; 상기 제1지지대(2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1지지축(275)과, 상기 제1지지대(230)와 제2지지대(250) 사이에 위치하며 제2지지대(250)를 향하여 개구되고 복수의 배출공(27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축(275)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중공의 외부회전체(271)로 이루어진 제1착즙체(270)와; 상기 제1지지축(275)과 편심되어 상기 제2지지대(2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지지축(293)과, 상기 제1착즙체(270) 내에서 편심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축(293)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내부회전체(291)로 이루어진 제2착즙체(290)와; 상기 제1지지축(275)을 구동하는 제1구동수단(240)과; 상기 제2지지축(293)을 구동하는 제2구동수단(260)으로 이루어지지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의 원주속도를 별도로 제어하여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의 원주속도의 조정이 용이하며, 착즙 성능이 향상된 대용량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용량 착즙기{A large capacity juicer}
본 발명은 대용량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며 착즙 성능이 향상된 대용량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란 각종 채소 또는 과일 등의 재료(이하에서 '착즙물'이라 한다)를 압착하여 즙을 추출하는 녹즙기의 일종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착즙기(100)는 지지대로서 작용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 상에 고정된 지지수단(130)과, 상기 지지수단(1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착즙부(150)와, 상기 착즙부(150)로 착즙물을 공급하는 투입부(170)와, 상기 착즙부(150)로부터 착즙 잔류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180)와, 상기 착즙부(15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들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2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즙부(150)는 제1착즙체(151)와 상기 제1차즙체(151) 내측으로 위치하는 제2착즙체(15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착즙체(151)는 제3축부(1455)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2착즙체(155)는 제2 축부(1453)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된다. 상기 제1착즙체(150)의 회전축인 제3축부(1455)와 제2착즙체(155)의 회전축인 제2축부(1453)는 편심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수단(130)은 베이스(110) 위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1지지대(131)와, 제2지지대(133)와, 제3지지대(1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대(133)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제1지지대(131)와 제3지지대(121)가 구비된다. 상기 제3지지대(121)는 하우징(120)의 일측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덮개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대(121)를 보강 지지하기 위하여 하단이 베이스(110)에 고정되며 측방으로 제3지지대(12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보강지지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130)은 베어링을 매개로 제1축부(1451)와, 제2축부(1453)와, 제3축부(145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1착즙체(151)는 원통형의 제1원통부(1511)와, 상기 제1원통부(1511)에 연결되어 반경 방향으로 제1원통부(1511)를 지지하는 환형의 제1환형부(1513)로 이루어지며, 제2지지대(133)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축부(1455)가 제1환형부(1513)에 연결된다. 상기 제3축부(1455)가 제1환형부(1513)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부(1455)는 제1환형부(1513)에 대하여 제1제1원통부(1511)와 반대방향으로 연장 연결된다. 상기 제1착즙체(151)는 길이방향 일측으로 상기 제1환형부(1513)가 제3축부(1455)에 연결되어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제1착즙체(151)의 제1원통부(1511) 타측은 제3지지대(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161)에 의하여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롤러(161)는 제3지지대(121)에 제1원통부(1511)를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제1원통부(15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1원통부(1511)의 타측 단부에 지지링(1515)을 설치하고, 지지링(1515)이 지지롤러(161)와 회전 가능하게 접촉함으로써 제1원통부(1511)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통부(1511)의 하부 외측에서 접촉되도록 지지롤러(161)를 제3지지대(121)에 설치한다. 상기 제3축부(1455)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착즙체(151)는 길이방향 우측을 향하여 개구된 구조로 된다.
상기 제2착즙체(155)의 회전축으로 되는 제2축부(1453)의 일측은 상기 제1지지대(131)에 의하여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은 제3지지대(121)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축부(1453)는 중공의 제3축부(1455) 내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부(1453)는 제1착즙체(151)가 연결된 제3축부(1455)와 그 중심이 편심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축부(1453)에는 제2착즙체(155)가 설치되어, 제2축부(1453)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2착즙체(155)는 제1착즙체(151) 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2착즙체(155)는 원통형의 제2원통부(1553)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외경이 상기 제2원통부(1553)에 연결된 복수의 제2환형부(155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축부(1453)는 제2환형부(1551)에 제2환형부(155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2착즙체(155)는 제1착즙체(151) 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원통부(1511)와 제2원통부(1553)는 서로 편심된 회전 중심을 가져 회전 중심을 달리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원통부(1511)와 제2원통부(1553)의 간격은 상부에서 크게 형성되고, 하부에서 작게 형성되도록 회전 중심을 달리하여 설치된다. 도 5에서 1455a는 제1 착즙체(151)의 회전 중심을 도시한 것이며, 1453a는 제2착즙체(155)의 회전 중심을 도시한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착즙체(155)의 회전 중심(1453a)은 제1착즙체(151)의 회전 중심보다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착즙물(S)은 제1원통부(1511)와 제2원통부(1553) 사이의 간격이 크게 형성된 부분으로 투입되며, 투입된 착즙물은 중력과 도 5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착즙체(151)와 제2착즙체(155)에 의하여 간격이 작게 형성된 하방으로 안내되면서, 제1원통부(1511)의 내면과 제2원통부(1553)의 외면 사이에서 가압되어 착즙된다.
상기 구동부(140)는 모터(141), 제1축부(1451)에 결합된 제1기어(1471) 및 제3기어(1475), 제2축부(1453)에 결합된 제2 기어(1473), 제3축부(1455)에 결합된 제4기어(14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모터(141)가 설치되며, 상기 제2축부(1453)와 제3축부(1455)는 모터(141)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한다. 상기 모터(141)의 축에 풀리가 장착되고, 상기 제1축부(1451)의 길이방향 좌측 단부에 풀리가 장착되며, 양 풀리를 벨트(143)로 연결하여 모터(141)의 회전이 제1축부(1451)로 전달된다.
상기 제1축부(1451)에는 풀리 일측으로 제1기어(1471)가 설치되고, 상기 제3축부(1455)로부터 길이방향 좌측으로 돌출된 제2축부(1453) 부분에 상기 제1기어(1471)와 치합하는 제2기어(1473)가 설치된다. 상기 제1축부(1451)의 길이방향 우측 단부에는 제3기어(1475)가 설치되고 상기 제3축부(1455)에는 상기 제3기어(1475)와 치합하는 제4기어(1477)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41)가 구동되면, 벨트(143)와 풀리에 의하여 제1축부(1451)가 회전하고, 제1기어(1471)와 제2기어(1473)의 연결에 의하여 제2축부(1453)가 회전하며, 제3기어(1475)와 제4기어(1477)의 연결에 의하여 제3축부(1455)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축부(1453)에 연결된 제2착즙체(155)와 제3축부(1455)에 연결된 제1착즙체(15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착즙체(151)와 제2착즙체(155)는 도 5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기어(1471)와 제2기어(1473)와 제3기어(1475)와 제4기어(1477)의 기어비를 조정하여 원주 속도가 같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착즙체(151)의 제1원통부(1511)와 제2착즙체(155)의 제2원통부(1553) 사이로 착즙물을 투입하는 투입부(170)가 구비된다. 그리고 착즙 후 상기 제1원통부(1551)와 제2원통부(1553) 사이에 잔류한 착즙 잔류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부(170)와 배출부(180)는 제1원통부(1511)와 제2원통부(1553) 사이의 간격이 넓은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투입부(170)는 중공의 투입하우징(173)과, 상기 투입하우징(173)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크루 컨베이어(177)와, 상기 제1원통부(151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노출된 투입하우징(173) 부분에서 투입하우징(173)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부분을 가지는 중공의 투입호퍼(171)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호퍼(171)는 투입하우징(173)으로부터 상부로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투입부(170)는 상부의 중심으로부터 제1착즙체(151)와 제2착즙체(155)의 회전 방향으로 편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투입하우징(173)의 일부는 상기 제1원통부(1511)의 내면과 제2원통부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1착즙체(151)의 제1원통부(151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투입하우징(173)은 제3지지대(121)에 고정 설치되어,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제3지지대(121) 좌측으로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길이방향으로 제3지지대(121)의 우측으로 위치한다. 상기 투입호퍼(171)는 제3지지대(121)의 우측으로 위치한 투입하우징(173) 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투입하우징(173)의 길이방향 우측 단부에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77)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7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하우징(173)의 길이방향 좌측 단부에서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7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원통부(1511) 내면과 제2원통부(1553) 외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투입하우징(173) 부분에 하방으로 배출공(174)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수단(178)을 구동시키면서 투입호퍼(171)로 착즙물을 투입하면, 투입호퍼(171)를 통하여 투입하우징(173)으로 낙하한 착즙물은 투입하우징(173)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루 컨베이어(177)에 의하여 길이방향 좌측으로 이송되고, 투입하우징(173)에 형성된 배출공(174)을 통하여 상기 제1원통부(1511)의 내면과 제2원통부(1553)의 외면 사이로 낙하하게 되며, 낙하한 착즙물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원통부(1511)와 제2원통부(1553) 사이의 간격이 좁은 부분으로 안내되면서 제1원통부(1511)의 내면과 제2원통부(1553)의 외면에 의하여 가압되어 착즙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제2착즙체(155)가 하방으로 편심된 경우, 착즙물은 하방으로 갈수록 가압되면서 착즙되고 하중 중심부에서 최대로 가압되며, 하중 중심부를 지나면서 착즙물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상기 제1착즙체(151)에 구비된 제1원통부(1511)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공(1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원통부(1511)의 내면에는 복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망체(1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세공은 착즙은 배출되고 착즙 잔류물은 배출되지 않는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원통부(1511)와 제2원통부(1553) 사이에서 가압되어 생성된 착즙은 제1원통부(1511)에 형성된 통공(1512)과 망체의 미세공을 통하여 배출되며, 착즙 잔류물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1원통부(1511)의 내측 또는 망체(153)를 구비하는 경우 망체(153) 내측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으로 부착된 착즙 잔류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189)이 제1원통부(1511)의 외측으로 제1원통부(1511)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분리수단(189)은 제1원통부(1511)의 외측으로부터 내향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한다. 상기 분리수단(189)은 분사노즐로서 에어컨 등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냉각사이클에 연결되어 저온의 유체(예를 들면, 공기)를 제1원통부(1511)로 분사한다. 상기 분리수단(189)은 제1원통부(15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노즐공을 가진 분사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온의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착즙에 의하여 착즙기(100)를 이루는 구성들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착즙물로부터 생성된 착즙은 상기 제1원통부(1511)를 통하여 배출되어 하방으로 낙하하며 상기 제1원통부(1511) 하부로 구비된 수집안내부(157)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수집부로 모이게 된다. 상기 수집안내부(157)는 제1원통부(1511)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원통부(1511)로부터 낙하하는 착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경사지며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수집안내부(157)는 제1원통부(1511)의 투영 면적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180)는 상기 제1원통부(1511) 내면과 제2원통부(1553) 외면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배출하우징부와, 배출하우징부와 연통되며 배출하우징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배출안내부(189)와, 상기 배출하우징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크루 컨베이어(1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하우징부는 상기 제1원통부(1511) 내면과 제2원통부(1553) 외면 사이에 위치한 단면이 원호형인 배출하우징(183)과, 상기 배출하우징(183)으로부터 제1원통부(151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배출하우징(18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하우징(183)과 제1배출하우징(185)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배출안내부(189)는 제1배출하우징(185)으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88)의 내측 단부는 배출하우징(18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측 단부는 제1배출하우징(18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배출하우징(183)은 내측 단부에 상기 스크루컨베이어(188)의 내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하우징지지부(1831)를 구비한다.
상기 제1배출하우징(185)의 길이방향 우측 단부에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88)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8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78, 188)는 모터(141)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하우징(183)은 유체를 분사하는 분리수단(189)의 하부로 위치하며 분리수단(189)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을 가진다. 상기 제1배출하우징(185)은 중공의 관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원호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부(18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중심부에서 제1착즙체(151)와 제2착즙체(155)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편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분리수단(189)으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에 의하여 착즙 후 제1원통부(1511)의 내면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여 온 착즙 잔류물은 제1원통부(1511)로부터 분리되어 배출하우징부의 배출하우징(183)으로 향하여 낙하하며, 배출하우징(183)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루 컨베이어(187)에 의하여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송되며, 제1배출하우징(185)에 연결된 배출안내부(189)를 통하여 하향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착즙기(100)는 제1착즙체(151)와 제2착즙체(155)의 원주속도가 같게 형성되므로 착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착즙체(151)와 제2착즙체(155)의 간격을 좁혀 압력을 크게 해야 했다. 하지만, 제1착즙기(151)의 두께는 한정되어 있어 압력이 커지면 제1착츱체(151)의 변형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제출원번호 PCT/KR2010/009221(2010.12.2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제1착즙체(151)의 두께로부터 같은 압력으로 착즙 성능이 향상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제1착즙체와 제2착즙체의 원주속도의 조정이 용이한 대용량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대용량 착즙기는 베이스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1지지축과,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며 제2지지대를 향하여 개구되고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중공의 외부회전체로 이루어진 제1착즙체와; 상기 제1지지축과 편심되어 상기 제2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지지축과, 상기 제1착즙체 내에서 편심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내부회전체로 이루어진 제2착즙체와; 상기 제1지지축을 구동하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제2지지축을 구동하는 제2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내부회전체는 원통형이며, 상기 내부회전체의 외경면에는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외부회전체의 원주속도와 내부회전체의 원주속도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내부회전체의 원주속도는 상기 외부회전체의 원주속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구동수단과 제2구동수단이 연결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착즙물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착즙물에 따라 상기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의 회전속도 값이 정해진 회전속도DB가 저장된 저장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착즙물이 입력되며, 입력된 착즙물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회전속도DB의 회전속도 값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구동수단과 제2구동수단이 연결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착즙물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착즙물에 따라 상기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의 회전속도 값이 정해진 회전속도DB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착즙물 및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의 회전 \속도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의 회전속도 값의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의 회전속도 값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착즙 성능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착즙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착즙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착즙기에 구비되는 투입부의 일부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종래의 착즙기에 구비되는 배출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배출부의 일부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제1착즙체를 도시한 단면도 및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제2착즙체를 도시한 단면도 및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제1착즙체를 도시한 단면도 및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제2착즙체를 도시한 단면도 및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9의 가로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고, 도 9의 세로방향을 "두께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또한, 도 9의 가로방향에서 제1지지대(230)를 향하는 방향을 "좌측"으로 하고, 제2지지대(250)를 향하는 방향을 "우측"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용량 착즙기(200)는 베이스(210)와, 지지수단과, 제1착즙체(270)와, 제2착즙체(290)와, 투입부(220)와, 배출부(도시하지 않음)와, 구동수단과, 수집통(28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들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200a)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210)는 상기 대용량 착즙기(200)의 지지대로서 작용한다.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는 지지수단과, 구동수단의 제1모터(241) 및 제2모터(261)와, 수집통(28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제1지지대(230)와 제2지지대(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대(230)는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제2지지대(250)는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대(230)는 복수의 판상 부재가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대(230)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베어링을 매개로 제1착즙체(270)의 제1지지축(27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1지지대(230)의 판상 부재 사이에 제1구동수단(240)이 구비된다.
상기 제2지지대(250)는 복수의 판상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대(25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베어링을 매개로 제2착즙체(290)의 제2지지축(29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2지지대(250)의 판상 부재 사이에 제2구동수단(26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50)는 하나의 판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250)에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251)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251)는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제2지지대(2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251)는 상기 제1착즙체(270)의 개구측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251)는 제1착즙체(27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251)는 상기 제1착즙체(27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착즙체(270)는 상기 제1지지대(230)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착즙체(270)는 외부회전체(271)와, 내측망(273)과, 제1지지축(275)과, 보강부재(277)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회전체(271)는 상기 제1지지대(230)와 제2지지대(25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외부회전체(271)는 단면이 원형이며 중공체인 제1원통부(2712)와, 상기 제1원통부(2712)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원판형상의 제1원판부(27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회전체(271)는 상기 제2지지대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원통부(2712)의 개구된 단부에 환형의 외통플랜지(2416)가 구비된다. 상기 외통플랜지(2416)는 상기 제1원통부(2712)의 개구된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외통플랜지(2416)의 외경면은 상기 지지롤러(251)와 접한다. 상기 외통플랜지(2416)기 형성되어 상기 제1원통부(2712)의 개구된 단부로 착즙이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제1원통부(2712)에 복수의 배출공(2711)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2711)은 상기 제1원통부(2712)의 외경면에 반경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2711)은 길이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제1원판부(2714)에는 제1축홀(2717)이 형성된다. 상기 제1축홀(2717)은 상기 제2원판부(2714)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축홀(2717)에 상기 제1지지축(275)이 삽입된다.
상기 내측망(273)은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내면에 구비된다. 상기 내측망(273)은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내면에 고정되어 외부회전체(271) 회전시 함께 회전된다. 상기 내측망(273)은 복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망체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망(273)에 형성된 미세공의 크기는 상기 배출공(27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미세공을 통하여 착즙은 배출되고, 착즙 잔류물은 내측망(273) 내측에 잔류하여 남는다.
상기 제1지지축(275)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축(275)의 일측은 상기 제1 지지대(230)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제1축홀(2717)에 삽입되어 상기 제1원판부(2714)에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축(275)은 상기 제1원판부(2714)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원통부(2712)와 평행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축(275)은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중심축이 되며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제1지지축(275)의 우측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결합부(275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751)의 면적은 상기 제1축홀(2717)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751)가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축(275)이 상기 외부회전체(27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보강부재(277)는 환형의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277)의 중심은 상기 제1지지축(275)과 일치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보강부재(277)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지지축(275)이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277)는 제1원판부(2714)의 외면에 나사에 의해 고정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277)를 관통한 제1지지축(275)은 상기 보강부재(277)와 용접을 통해 고정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277)로 인하여 상기 제1지지축(275)은 상기 외부회전체(271)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회전체(271)와 일체로 회전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착즙체(290)는 내부회전체(291)와, 제2지지축(293)과, 고정수단(29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회전체(291)는 단면이 원형이며 중공체인 제2원통부(2912)와, 상기 제2원통부(2912) 양측에 구비되는 원판형상의 제2원판부(29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외경은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내부회전체(291)는 상기 외부회전체(271)와 평행하게 구비된다.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제2원판부(2914)는 상기 제2원통부(2912)에 상기 제2원통부(2912)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 내측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원통부(2912)는 상기 제2원판부(2914)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911)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2911)는 상기 제2원판부(2914)와 체결되는 제2지지축(293)단부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제1원판부(2714) 내측에 접하거나 미소틈새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911)에 의해 착즙물은 외부회전체(271)와 내부회전체(291)에 의하여 간격이 작게 형성된 부분으로 용이하게 안내되어 효율적으로 착즙된다.
상기 내부회전체(291)는 상기 제1지지축(275)과 편심된 제2지지축(293)에 의하여 상기 외부회전체(271) 내에서 외부회전체(271)와 편심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중심은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중심보다 하향 편심되어 위치한다.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제2원통부(2912)에 복수의 돌기(2913)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2913)는 상기 제2원통부(2912)의 외경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2913)는 길이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2913)로 인하여 상기 외부회전체(271)와 내부회전체(291) 사이에서 발생되는 미끄럼이 방지되어 착즙물이 상기 외부회전체(271)와 내부회전체(291)의 사이의 간격이 작게 형성된 부분으로 잘 이끌려가게 된다.
상기 제2원통부(2912)의 우측 단부에 구비된 제2원판부(2914)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291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915)에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회전축인 제2지지축(293)이 관통 삽입된다.
상기 제2원통부(2912)의 좌측 단부에 구비된 제2원판부(2914)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291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2917)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291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2917)에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회전축인 제2지지축(293)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축(293)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지지축(293)의 일측은 상기 제2지지대(250)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관통홀(2915)을 지나 상기 삽입홀(2917)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제2원판부(2914)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회전체(291)에 상기 제2지지축(293)이 고정되어 상기 내부회전체(291)는 제2지지축(293)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축(293)은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중심축이 되어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제2지지축(293)은 상기 제1지지축(275)보다 하향 편심되어 위치하며, 제1지지축(275)과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지지축(293)의 좌측 단부에는 턱부가 형성된 삽입부(293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931)의 직경은 상기 제2지지축(293)의 우측 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931)는 상기 내부회전체(291)에 형성된 삽입홀(2917)에 삽입되며 상기 제2원판부(2914)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2931)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2911)의 단부보다 길이방향 내측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2원판부(2914)의 외면으로 돌출된 삽입부(2931)에 고정수단(29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295)은 너트로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2917)의 외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2917)와 고정수단(295)은 나사채결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2지지축(293)은 상기 내부회전체(291)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부(220)와, 배출부(도시하지 않음)는 기존의 착즙기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집통(280)은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수집통(280)은 상기 제1착즙체(270)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집통(280)은 상기 제1착즙체(270)를 향하여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수집통(280)은 상기 제1착즙체(270)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구비된다. 상기 수집통(280)은 상기 하우징(200a)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출납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지지축(275)과 연결된 제1구동수단(240)과 상기 제2지지축(293)과 연결된 제2구동수단(2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구동수단(240)은 상기 제1지지대(230)에 구비된다. 상기 제1구동수단(240)은 상기 제1착즙체(270)의 제1지지축(275)과 연결된다. 상기 제1구동수단(240)은 제1모터(241)와, 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모터(241)는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모터(241)는 상기 제1지지축(275)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모터(241)와 상기 제1지지축(275)에는 풀리가 고정 구비된다.
상기 제2구동수단(260)은 상기 제2지지대(250)에 구비된다. 상기 제2구동수단(260)은 상기 제2착즙체(290)의 제2지지축(293)과 연결된다. 상기 제2구동수단(260)은 제2모터(261)와, 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모터(261)는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모터(261)는 상기 제2지지축(293)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모터(261)와 상기 제2지지축(293)에는 풀리가 고정 구비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이 회전함으로써 외부회전체(271)와 내부회전체(271)가 회전된다.
착즙물은 상기 외부회전체(271)와 내부회전체(291) 사이의 간격이 크게 형성된 부분으로 투입되며, 투입된 착즙물은 중력과 도 1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외부회전체(271)와 내부회전체(291)에 의하여 간격이 작게 형성된 부분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내면과 내부회전체(291)의 외면 사이에서 가압되어 착즙된다.
상기 제1구동수단(240)은 제1지지축(275)과 연결되고, 상기 제2구동수단(260)은 제2지지축(293)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원주속도(V1)와 내부회전체(291)의 원주속도(V2)는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외부회전체(271)와 내부회전체(291)의 원주속도가 다르게 형성되어 착즙물이 회전하며 착즙된다.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원주속도(V1)가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원주속도(V2)보다 크게 형성되면 상기 착즙물은 외부회전체(271)와 내부회전체(291)의 회전방향과 같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원주속도(V2)가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원주속도(V1)보다 크게 형성되면, 상기 착즙물은 외부회전체(271)와 내부회전체(29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착즙물은 공전과 자전을 하며 착즙되므로 같은 속도로 형성되어 착즙될 때보다 착즙 성능이 향상된다.
실험을 해본 결과,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원주속도(V2)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원주속도(V1)가 크게 형성되는 것보다 착즙 성능이 더 향상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용량 착즙기(200)에 상기 제1구동수단(240)과 제2구동수단(260)이 연결된 제어부(C)와,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착즙물을 입력하는 입력부(I)와,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착즙물에 따라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 값이 정해진 회전속도DB가 저장된 저장부(S)와,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착즙물 및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D)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구동수단(240)의 제1모터(241)와 제2구동수단(260)의 제2모터(261)가 연결되어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상기 압력부(I)는 상기 입력부(I)를 통해 착즙물이 입력되거나,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 값이 입력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C)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I)를 통해 착즙물이 입력되면, 입력된 착즙물에 따라 상기 저장부(S)에 저장된 회전속도DB의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 값이 정해지고, 상기 저장부(S)에서 정해진 회전속도 값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I)를 통해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 값을 직접 입력하여, 상기 입력부(I)에서 입력된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 값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를 제어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입력부(I)로 인하여 착즙물에 따라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입력된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 값으로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 착즙기
210 : 베이스 220 : 투입부
230 : 제1지지대 240 : 제1구동수단
250 : 제2지지대 260 : 제2구동수단
270 : 제1착즙체 280 : 수집통
290 : 제2착즙체

Claims (6)

  1. 베이스(210)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210)에 구비되는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50)와; 상기 제1지지대(2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1지지축(275)과, 상기 제1지지대(230)와 제2지지대(250) 사이에 위치하며 제2지지대(250)를 향하여 개구되고 복수의 배출공(27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축(275)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중공의 외부회전체(271)로 이루어진 제1착즙체(270)와; 상기 제1지지축(275)과 편심되어 상기 제2지지대(2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지지축(293)과, 상기 제1착즙체(270) 내에서 편심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축(293)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내부회전체(291)로 이루어진 제2착즙체(290)와; 상기 제1지지축(275)을 구동하는 제1구동수단(240)과; 상기 제2지지축(293)을 구동하는 제2구동수단(2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회전체(291)는 원통형이며,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외경면에는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29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원주속도(V1)와 내부회전체(291)의 원주속도(V2)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회전체(291)의 원주속도(V2)는 상기 외부회전체(271)의 원주속도(V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240)과 제2구동수단(260)이 연결된 제어부(C)와,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착즙물을 입력하는 입력부(I)와,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착즙물에 따라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 값이 정해진 회전속도DB가 저장된 저장부(S)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입력부(I)를 통해서 착즙물이 입력되며, 입력된 착즙물에 따라 상기 저장부(S)에 저장된 회전속도DB의 회전속도 값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240)과 제2구동수단(260)이 연결된 제어부(C)와,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착즙물을 입력하는 입력부(I)와,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착즙물에 따라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 값이 정해진 회전속도DB가 저장된 저장부(S)와,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착즙물 및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D)가 더 포함되며;
    상기 입력부(I)는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 값의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입력부(I)에서 입력된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 값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지지축(275)과 제2지지축(29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KR1020170009073A 2017-01-19 2017-01-19 대용량 착즙기 KR101925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73A KR101925840B1 (ko) 2017-01-19 2017-01-19 대용량 착즙기
PCT/KR2017/014903 WO2018135762A1 (ko) 2017-01-19 2017-12-18 대용량 착즙기
US16/477,898 US20200113366A1 (en) 2017-01-19 2017-12-18 High-capacity juicing machine
EP17893001.2A EP3571936A4 (en) 2017-01-19 2017-12-18 LARGE CAPACITY JUICE EXTRACTION MACHINE
CN201780083548.9A CN110177474A (zh) 2017-01-19 2017-12-18 大容量榨汁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73A KR101925840B1 (ko) 2017-01-19 2017-01-19 대용량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88A true KR20180085488A (ko) 2018-07-27
KR101925840B1 KR101925840B1 (ko) 2019-02-26

Family

ID=6290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073A KR101925840B1 (ko) 2017-01-19 2017-01-19 대용량 착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113366A1 (ko)
EP (1) EP3571936A4 (ko)
KR (1) KR101925840B1 (ko)
CN (1) CN110177474A (ko)
WO (1) WO2018135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60898A1 (en) * 2019-02-20 2020-08-20 I-Tech Usa, Inc. Automatic juicer apparatus and method
CN112586748B (zh) * 2021-01-27 2021-12-10 安徽悦道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自动榨汁装置
CN114771005B (zh) * 2022-03-30 2024-02-02 山东华鲁恒升化工股份有限公司 精细化工生产用过滤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8423A1 (en) * 1995-02-24 1996-08-28 A.I.D. AGRICULTURE INDUSTRIAL DEVELOPMENT S.p.A. Automatic citrus fruit juicer
KR0135675Y1 (ko) * 1996-02-22 1999-02-01 곽곤섭 식품 절단 분쇄기
KR20030003156A (ko) * 2002-11-18 2003-01-09 김석규 녹즙기
KR100680986B1 (ko) * 2004-04-09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급수밸브
WO2010009221A2 (en) 2008-07-16 2010-01-21 Intuitive Surgical, Inc. Four-cable wrist with solid surface cable channels
WO2012086861A1 (ko) * 2010-12-22 2012-06-28 Lee Mun Hyun 착즙기
JP2013078288A (ja) * 2011-10-04 2013-05-02 Masatoshi Katada 回転式圧縮搾汁装置
KR101680986B1 (ko) * 2015-12-31 2016-11-30 김점두리 대용량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3187A (ja) * 2006-03-23 2007-10-04 Kikuchi Kikai Seisakusho:Kk 圧縮装置
CN102736539A (zh) * 2012-06-12 2012-10-17 宁波凯普电子有限公司 智能螺杆榨汁机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JP5841653B2 (ja) * 2014-05-12 2016-01-13 ハッピーコー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上部駆動式搾汁機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8423A1 (en) * 1995-02-24 1996-08-28 A.I.D. AGRICULTURE INDUSTRIAL DEVELOPMENT S.p.A. Automatic citrus fruit juicer
KR0135675Y1 (ko) * 1996-02-22 1999-02-01 곽곤섭 식품 절단 분쇄기
KR20030003156A (ko) * 2002-11-18 2003-01-09 김석규 녹즙기
KR100680986B1 (ko) * 2004-04-09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급수밸브
WO2010009221A2 (en) 2008-07-16 2010-01-21 Intuitive Surgical, Inc. Four-cable wrist with solid surface cable channels
WO2012086861A1 (ko) * 2010-12-22 2012-06-28 Lee Mun Hyun 착즙기
JP2013078288A (ja) * 2011-10-04 2013-05-02 Masatoshi Katada 回転式圧縮搾汁装置
KR101680986B1 (ko) * 2015-12-31 2016-11-30 김점두리 대용량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13366A1 (en) 2020-04-16
WO2018135762A1 (ko) 2018-07-26
CN110177474A (zh) 2019-08-27
KR101925840B1 (ko) 2019-02-26
EP3571936A4 (en) 2020-10-28
EP3571936A1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986B1 (ko) 대용량 착즙기
KR101925840B1 (ko) 대용량 착즙기
CN103202653A (zh) 一种食物处理机预破碎装置及使用其的榨汁机
CA2916106A1 (en) Juice extractor
CN113797831A (zh) 一种石墨烯原料加工工艺
CN112536228A (zh) 基于动力摇晃和动力抖动的循环式葡萄干风选装置及方法
CN107309037A (zh) 一种小型中药粉机
KR20170081122A (ko) 대용량 착즙기
WO2012086861A1 (ko) 착즙기
CN216679022U (zh) 一种固态化工原料输送设备
US4177722A (en)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separation of the flesh of fruit from the pits and skins, especially of the pulp of grapes from their seeds and skins
CN212975517U (zh) 一种用于抗氧化剂生产的离心设备
KR200494872Y1 (ko) 착즙 주스기용 구동 본체 및 이를 이용한 착즙 주스기
CN110903895A (zh) 一种茶籽油生产用压榨装置
US12022855B2 (en) Juicing apparatus and juicing method
CN220678501U (zh) 一种茶叶与茶叶末分离装置
CN216399863U (zh) 一种用于药物生产的旋料式切片机
CN110042511A (zh) 一种可调间隙的棉花开棉机
CN220479435U (zh) 自动分选机的分选单元结构
CN219383897U (zh) 一种茶叶输送设备及具有其的茶叶加工流水线
CN220765368U (zh) 一种防结块的氧化锌加工用下料装置
CN212374322U (zh) 一种输送带式储料斗
US2556996A (en) Fruit juice extractor
JPS6340155B2 (ko)
CN114029109A (zh) 一种固体废弃物筛分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