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122A - 대용량 착즙기 - Google Patents

대용량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122A
KR20170081122A KR1020160103634A KR20160103634A KR20170081122A KR 20170081122 A KR20170081122 A KR 20170081122A KR 1020160103634 A KR1020160103634 A KR 1020160103634A KR 20160103634 A KR20160103634 A KR 20160103634A KR 20170081122 A KR20170081122 A KR 20170081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arc member
support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두리
Original Assignee
김점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두리 filed Critical 김점두리
Priority to KR1020160103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1122A/ko
Publication of KR2017008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16H1/1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one of the members being internally toot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용량 착즙기는 베이스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와, 외통지지축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며 제2 지지대를 향하여 개구되고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중공의 제1 착즙체와, 상기 외통지지축과 편심된 내통지지축에 의하여 상기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착즙체 내에서 편심되어 구비되는 제2 착즙체와, 상기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는 길이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서 단면적이 증가되는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용량 착즙기{A large capacity juicer}
본 발명은 대용량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며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의 원주 속도를 조절 하기 위한 기어비 조정이 용이하며, 착즙의 누출이 방지되는 대용량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란 각종 채소 또는 과일 등의 재료(이하에서 '착즙물'이라 한다)를 압착하여 즙을 추출하는 녹즙기의 일종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착즙기(100)는 지지대로서 작용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 상에 고정된 지지수단(130)과, 상기 지지수단(1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착즙부(150)와, 상기 착즙부(150)로 착즙물을 공급하는 투입부(170)와, 상기 착즙부(150)로부터 착즙 잔류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부(180)와, 상기 착즙부(15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들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12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즙부(150)는 제1 착즙체(151)와 상기 제1 차즙체(151) 내측으로 위치하는 제2 착즙체(15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착즙체(151)는 제3 축부(1455)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2 착즙체(155)는 제2 축부(1453)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된다. 상기 제1 착즙체(150)의 회전축인 제3 축부(1455)와 제2 착즙체(155)의 회전축인 제2 축부(1453)는 편심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수단(130)은 베이스(110) 위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1 지지대(131), 제2 지지대(133) 및 제3 지지대(1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지지대(133)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제1 지지대(131)와 제3 지지대(121)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지지대(121)는 커버(120)의 일측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덮는 덮개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대(121)를 보강 지지하기 위하여 하단이 베이스(110)에 고정되며 측방으로 제3 지지대(12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보강지지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130)은 베어링을 매개로 제1 축부(1451), 제2 축부(1453) 및 제3 축부(145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1 착즙체(151)는 원통형의 제1 원통부(1511)와, 상기 제1 원통부(1511)에 연결되어 반경 방향으로 제1 원통부(1511)를 지지하는 환형의 제1 환형부(1513)로 이루어지며, 제2 지지대(133)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 축부(1455)가 제1 환형부(1513)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축부(1455)가 제1 환형부(1513)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축부(1455)는 제1 환형부(1513)에 대하여 제1 원통부(1511)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 연결된다. 상기 제1 착즙체(151)는 길이 방향 일측으로 상기 제1 환형부(1513)가 제3 축부(1455)에 연결되어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제1 착즙체(151)의 제1 원통부(1511) 타측은 제3 지지대(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161)에 의하여 반경 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롤러(161)는 제3 지지대(121)에 제1 원통부(1511)를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제1 원통부(15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1 원통부(1511)의 타측 단부에 지지링(1515)을 설치하고, 지지링(1515)이 지지롤러(161)와 회전 가능하게 접촉함으로써 제1 원통부(1511)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원통부(1511)의 하부 외측에서 접촉되도록 지지롤러(161)를 제3 지지대(121)에 설치한다. 상기 제3 축부(1455)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착즙체(151)는 길이 방향 우측을 향하여 개구된 구조로 된다.
제2 착즙체(155)의 회전축으로 되는 제2 축부(1453)의 일측은 상기 제1 지지대(131)에 의하여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은 제3 지지대(121)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 축부(1453)는 중공의 제3 축부(1455) 내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축부(1453)는 제1 착즙체(151)가 연결된 제3 축부(1455)와 그 중심이 편심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축부(1453)에는 제2 착즙체(155)가 설치되어, 제2 축부(1453)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2 착즙체(155)는 제1 착즙체(151) 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착즙체(155)는 원통형의 제2 원통부(1553)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외경이 상기 제2 원통부(1553)에 연결된 복수의 제2 환형부(155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축부(1453)는 제2 환형부(1551)에 제2 환형부(155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2 착즙체(155)는 제1 착즙체(151) 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원통부(1511)와 제2 원통부(1553)는 서로 편심된 회전 중심을 가져 회전 중심을 달리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원통부(1511)와 제2 원통부(1553)의 간격은 상부에서 크게 형성되고, 하부에서 작게 형성되도록 회전 중심을 달리하여 설치된다. 도 5에서 1455a는 제1 착즙체(151)의 회전 중심을 도시한 것이며, 1453a는 제2 착즙체(155)의 회전 중심을 도시한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착즙체(155)의 회전 중심(1453a)은 제1 착즙체(151)의 회전 중심보다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착즙물(S)은 제1 원통부(1511)와 제2 원통부(1553) 사이의 간격이 크게 형성된 부분으로 투입되며, 투입된 착즙물은 중력과 도 5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착즙체(151)와 제2 착즙체(155)에 의하여 간격이 작게 형성된 하방으로 안내되면서, 제1 원통부(1511)의 내면과 제2 원통부(1553)의 외면 사이에서 가압되어 착즙된다.
상기 구동부(140)는 모터(141), 제1 축부(1451)에 결합된 제1 기어(1471) 및 제3 기어(1475), 제2 축부(1453)에 결합된 제2 기어(1473), 제3 축부(1455)에 결합된 제4 기어(14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모터(141)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축부(1453)와 제3 축부(1455)는 모터(141)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한다. 상기 모터(141)의 축에 풀리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축부(1451)의 길이 방향 좌측 단부에 풀리가 장착되며, 양 풀리를 벨트(143)로 연결하여 모터(141)의 회전이 제1 축부(1451)로 전달된다.
상기 제1 축부(1451)에는 풀리 일측으로 제1 기어(1471)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축부(1455)로부터 길이 방향 좌측으로 돌출된 제2 축부(1453) 부분에 상기 제1 기어(1471)와 치합하는 제2 기어(1473)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축부(1451)의 길이 방향 우측 단부에는 제3 기어(1475)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축부(1455)에는 상기 제3 기어(1475)와 치합하는 제4 기어(1477)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41)가 구동되면, 벨트(143)와 풀리에 의하여 제1 축부(1451)가 회전하고, 제1 기어(1471)와 제2 기어(1473)의 연결에 의하여 제2 축부(1453)가 회전하며, 제3 기어(1475)와 제4 기어(1477)의 연결에 의하여 제3 축부(1455)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축부(1453)에 연결된 제2 착즙체(155)와 제3 축부(1455)에 연결된 제1 착즙체(15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착즙체(151)와 제2 착즙체(155)는 도 5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기어(1471), 제2 기어(1473), 제3 기어(1475) 및 제4 기어(1477)의 기어비를 조정하여 원주 속도가 같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착즙체(151)의 제1 원통부(1511)와 제2 착즙체(155)의 제2 원통부(1553) 사이로 착즙물을 투입하는 투입부(170)가 구비된다. 그리고 착즙 후 상기 제1 원통부(1551)와 제2 원통부(1553) 사이에 잔류한 착즙 잔류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부(170)와 배출부(180)는 제1 원통부(1511)와 제2 원통부(1553) 사이의 간격이 넓은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투입부(170)는 중공의 투입하우징(173)과, 상기 투입하우징(173)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크루 컨베이어(177)와, 상기 제1 원통부(1511)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노출된 투입하우징(173) 부분에서 투입하우징(173)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부분을 가지는 중공의 투입호퍼(171)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호퍼(171)는 투입하우징(173)으로부터 상부로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투입부(170)는 상부의 중심으로부터 제1 착즙체(151)와 제2 착즙체(155)의 회전 방향으로 편향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하우징(173)의 일부는 상기 제1 원통부(1511)의 내면과 제2 원통부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1 착즙체(151)의 제1 원통부(1511)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투입하우징(173)은 제3 지지대(121)에 고정 설치되어,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제3 지지대(121) 좌측으로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제3 지지대(121)의 우측으로 위치한다. 상기 투입호퍼(171)는 제3 지지대(121)의 우측으로 위치한 투입하우징(173) 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투입하우징(173)의 길이 방향 우측 단부에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77)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7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하우징(173)의 길이 방향 좌측 단부에서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7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원통부(1511) 내면과 제2 원통부(1553) 외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투입하우징(173) 부분에 하방으로 배출공(174)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수단(178)을 구동시키면서 투입호퍼(171)로 착즙물을 투입하면, 투입호퍼(171)를 통하여 투입하우징(173)으로 낙하한 착즙물은 투입하우징(173)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루 컨베이어(177)에 의하여 길이 방향 좌측으로 이송되고, 투입하우징(173)에 형성된 배출공(174)을 통하여 상기 제1 원통부(1511)의 내면과 제2 원통부(1553)의 외면 사이로 낙하하게 되며, 낙하한 착즙물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원통부(1511)와 제2 원통부(1553) 사이의 간격이 좁은 부분으로 안내되면서 제1 원통부(1511)의 내면과 제2 원통부(1553)의 외면에 의하여 가압되어 착즙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제2 착즙체(155)가 하방으로 편심된 경우, 착즙물은 하방으로 갈수록 가압되면서 착즙되고 하중 중심부에서 최대로 가압되며, 하중 중심부를 지나면서 착즙물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상기 제1 착즙체(151)에 구비된 제1 원통부(1511)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공(1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원통부(1511)의 내면에는 복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망체(1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세공은 착즙은 배출되고 착즙 잔류물은 배출되지 않는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원통부(1511)와 제2 원통부(1553) 사이에서 가압되어 생성된 착즙은 제1 원통부(1511)에 형성된 통공(1512)과 망체의 미세공을 통하여 배출되며, 착즙 잔류물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1 원통부(1511)의 내측 또는 망체(153)를 구비하는 경우 망체(153) 내측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으로 부착된 착즙 잔류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189)이 제1 원통부(1511)의 외측으로 제1 원통부(1511)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분리수단(189)은 제1 원통부(1511)의 외측으로부터 내향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한다. 상기 분리수단(189)은 분사노즐로서 에어컨 등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냉각사이클에 연결되어 저온의 유체(예를 들면, 공기)를 제1 원통부(1511)로 분사한다. 상기 분리수단(189)은 제1 원통부(15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노즐공을 가진 분사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온의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착즙에 의하여 착즙기(100)를 이루는 구성들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착즙물로부터 생성된 착즙은 상기 제1 원통부(1511)를 통하여 배출되어 하방으로 낙하하며 상기 제1 원통부(1511) 하부로 구비된 수집안내부(157)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수집부로 모이게 된다. 상기 수집안내부(157)는 제1 원통부(1511)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 원통부(1511)로부터 낙하하는 착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경사지며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수집안내부(157)는 제1 원통부(1511)의 투영 면적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180)는 상기 제1 원통부(1511) 내면과 제2 원통부(1553) 외면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배출하우징부와, 배출하우징부와 연통되며 배출하우징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배출안내부(189)와, 상기 배출하우징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크루 컨베이어(1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하우징부는 상기 제1 원통부(1511) 내면과 제2 원통부(1553) 외면 사이에 위치한 단면이 원호형인 배출하우징(183)과, 상기 배출하우징(183)으로부터 제1 원통부(1511)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배출하우징(18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하우징(183)과 제1 배출하우징(185)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배출안내부(189)는 제1 배출하우징(185)으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88)의 내측 단부는 배출하우징(18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측 단부는 제1 배출하우징(18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배출하우징(183)은 내측 단부에 상기 스크루컨베이어(188)의 내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하우징지지부(1831)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배출하우징(185)의 길이 방향 우측 단부에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88)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8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178, 188)는 모터(141)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하우징(183)은 유체를 분사하는 분리수단(189)의 하부로 위치하며 분리수단(189)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을 가진다. 상기 제1 배출하우징(185)은 중공의 관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원호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부(18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중심부에서 제1 착즙체(151)와 제2 착즙체(155)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편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분리수단(189)으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에 의하여 착즙 후 제1 원통부(1511)의 내면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여 온 착즙 잔류물은 제1 원통부(1511)로부터 분리되어 배출하우징부의 배출하우징(183)으로 향하여 낙하하며, 배출하우징(183)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루 컨베이어(187)에 의하여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송되며, 제1 배출하우징(185)에 연결된 배출안내부(189)를 통하여 하향 배출된다.
종래의 착즙기(100)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1 원통부(1511)의 지지축이 중공체이어야 하므로 지름이 큰 베어링을 사용하여야 하며, 착즙 회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1 착즙체(151)와 제2 착즙체(155)의 원주 속도를 같도록 하기 위해 제1 기어(1471), 제2 기어(1473), 제3 기어(1475) 및 제4 기어(1477)의 기어비를 조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국제출원번호 PCT/KR2010/009221(2010.12.2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의 원주 속도 조정을 위한 기어비 조정이 용이하며, 착즙물이 가압되어 생성된 착즙이 제2 축부를 따라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대용량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대용량 착즙기는 베이스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와, 외통지지축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며 제2 지지대를 향하여 개구되고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중공의 제1 착즙체와, 상기 외통지지축과 편심된 내통지지축에 의하여 상기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착즙체 내에서 편심되어 구비되는 제2 착즙체와, 상기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는 길이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서 단면적이 증가되는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 착즙체에는 외통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착즙체에는 상기 외통기어에 내접하여 치합하는 내통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는 상기 외통기어와 내통기어가 서로 치차 결합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외통지지축과 내통지지축의 연장선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착즙체의 개구된 단부에는 상기 제1 착즙체 내부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반원 형상인 판상으로 이루어진 원호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원호부재는 제1 원호부재와, 2개의 제2 원호부재와, 제3 원호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원호부재는 상기 외통기어와 내통기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원호부재는 상기 제1 원호부재로부터 길이 방향 내향 이격되어 상기 외통기어와 내통기어의 내측에 구비되고, 제3 원호부재의 원호부는 상기 제1 착즙체의 내경과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제2 원호부재는 제1 원호부재와 제3 원호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내통기어를 사이로 이격 구비되며, 상기 제2 원호부재의 원호부는 제1 착즙체의 내경과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원호부재의 원호부는 상기 제1 착즙체의 개구된 단부의 외경과 일치되며, 상기 제1 원호부재의 상부에는 오목한 외측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오목홈의 중심부는 상향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오목홈 중심부의 단부는 상기 내통기어의 내기어 이끝원과 같거나 상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3 원호부재의 상부에는 오목한 내측 제1 오목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 제1 오목홈의 중심부는 상향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제1 오목홈 중심부의 단부는 상기 내통기어의 내기어 이끝원과 같거나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 원호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2 착즙체의 외경과 일치하며 제3 원호부재의 하부가 개구된 내측 제2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 원호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 착즙체의 내통기어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착즙체의 개구부의 타측인 바닥면을 향하는 제2 착즙체의 단부에는 제1 착즙체의 바닥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는 중심부의 단면적이 양단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는 양단부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는 구조가 간단하며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 회전에 필요한 기어 수가 감소하여 제1 착즙체와 제2 착즙체의 원주 속도 조정을 위한 기어비 조정이 용이하며, 착즙물이 가압되어 생성된 착즙이 제2 축부를 따라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착즙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착즙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착즙기에 구비되는 투입부의 일부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종래의 착즙기에 구비되는 배출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배출부의 일부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제1 착즙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제2 착즙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제1 착즙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제2 착즙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의 착즙체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9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제1 착즙체(27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내향"으로 하며, 그 반대 방향을 "외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용량 착즙기(200)는 베이스(210)와, 지지수단과, 제1 착즙체(270)와, 제2 착즙체(290)와, 투입부(220)와, 배출부(도시하지 않음)와, 구동수단(240)과, 수집통(2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들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28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210)는 본 발명에 따르는 착즙기(200)의 지지대로서 작용한다.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는 지지수단과, 모터(M)와, 수집통(260)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80)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수집통(260)은 하우징(280) 개구부를 통하여 출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제1 지지대(230)와 제2 지지대(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대(230)는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제2 지지대(250)는 길이 방향 타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대(230)는 복수의 판상 부재가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대(230)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베어링을 매개로 제1 착즙체(270)의 외통지지축(27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2 지지대(250)는 복수의 판상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지지대(250)의 판상 부재 사이에는 구동수단(24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대(250)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베어링을 매개로 제2 착즙체(250)의 내통지지축(29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2 지지대(250)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251)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251)는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제2 지지대(2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251)는 상기 제1 착즙체(270)의 개구측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251)는 제1 착즙체(27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된다. 상기 지지롤러(251)는 상기 제1 착즙체(27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지지대(230) 및 제2 지지대(250)는 하나의 판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착즙체(270)는 상기 제2 지지대(250)를 향하여 개구된 원통형의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착즙체(270)는 상기 제1 지지대(230)와 제2 지지대(250) 사이에 위치하며 구비된다. 상기 제1 착즙체(270)의 외통지지축(276)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대(230)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착즙체(270)는 외통(271)과, 내측망(279)과, 외통지지축(276)과, 지지축 보강부재(278)와, 외통기어(277)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271)은 상기 제2 지지대(250)를 향하여 개구된 단면이 원형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외통(271)의 측면에는 복수의 배출공(273)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273)은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통(271)의 개구된 단부에는 상기 외통(271)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 연장된 형태의 외통플랜지(275)가 구비된다. 상기 외통플랜지(275)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외통기어(277)가 고정 구비된다. 상기 외통플랜지(275)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고 관통된 홀에 볼트 체결에 의하여 외통기어(277)가 결합된다.
상기 내측망(279)은 상기 외통(271)의 내면에 구비된다. 상기 내측망(279)은 상기 외통(271)의 내면에 고정되어 외통(271) 회전시 함께 회전된다. 상기 내측망(279)은 복수의 미세공이 형성된 망체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망(279)에 형성된 미세공의 크기는 상기 배출공(273)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미세공을 통하여 착즙은 배출되고, 착즙 잔류물은 내측망(279) 내측에 잔류하여 남는다.
상기 외통지지축(276)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외통지지축(276)의 일측은 상기 외통(271)의 개구부의 타측인 바닥부의 외면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외통지지축(276)은 상기 제1 지지대(230)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외통지지축(276)이 상기 외통(271)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지지축 보강부재(278)는 환형의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축 보강부재(278)의 중심은 상기 외통지지축(276)과 일치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지지축 보강부재(278)는 상기 외통(271)의 바닥부의 외측면에 나사에 의해 고정 구비된다. 상기 지지축 보강부재(278)의 중심부에는 상기 외통지지축(276)이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축 보강부재(278)를 관통한 외통지지축(276)은 상기 지지축 보강부재(278)와 용접을 통해 고정 구비된다.
상기 외통기어(277)는 환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외통기어(277)는 내경에 기어가 형성된다. 상기 외통기어(277)는 상기 외통프랜지(275)에 고정 구비된다.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기어(277)의 이끝원 직경(D11)은 외통(271)의 내경(D1)과 동일하다. 도 14에 기재된 D13은 상기 외통기어(277)의 이뿌리원 직경이다. 상기 외통기어(277)는 상기 외통기어(277)에 내접하여 치합하는 제2 착즙체(290)의 내통기어(293)가 서로 치합되어 구동된다.
도 9 내지 도 11,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착즙체(29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착즙체(290)는 상기 제1 착즙체(270) 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착즙체(290)는 내통지지축(295)에 의하여 상기 제2 지지대(250)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착즙체(290)는 상기 외통지지축(276)과 편심된 내통지지축(295)에 의하여 상기 제1 착즙체(270) 내에서 제1 착즙체(270)와 편심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착즙체(290)는 내통(291)과, 내통지지축(295)과, 내통기어(293)와, 원호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통(29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내통(291)은 중공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대(250)를 향하여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통(291)은 상기 외통(271)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내통(291)의 외경(D2)은 상기 외통(271)의 내경(D1)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내통(291)의 중심은 상기 외통(271)의 중심보다 하향 편심되어 위치한다.
상기 내통(291)의 개구부의 타측인 바닥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외통(271)의 바닥면을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원형이며 중공체인 돌출부(2911)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2911)는 상기 외통(271)의 바닥면 내측에 접하거나 돌출부(2911) 단부와 바닥면 내측에 미소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91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통(291)의 바닥면이 상기 외통(271)의 바닥면에 닿지 않는다. 또한, 상기 외통(271) 내부로 내통(291)이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2911)는 내통(291)이 삽입될 깊이를 가이드하여 내통기어(293)와 상기 외통기어(277)가 바로 치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내통(291)의 바닥부의 중심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291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2913)에는 상기 내통(291)의 회전축인 내통지지축(295)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내통지지축(295)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내통지지축(295)의 길이 방향 좌측 단부에는 턱부가 형성된 삽입부(295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953)는 상기 내통(291)의 바닥부에 형성된 삽입홀(2913)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2953)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통지지축(295)은 상기 내통(291)의 바닥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삽입부(2953)가 고정수단(295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2951)으로는 너트 등이 있다. 상기 내통지지축(295)은 상기 내통(291)의 바닥부에 고정되고 상기 내통(291)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기 내통지지축(295)의 타측은 상기 제2 지지대(250)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내통지지축(295)은 상기 내통(291)의 중심축이 되며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내통지지축(295)은 상기 외통지지축(276)과 편심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통지지축(295)과 외통지지축(276)의 연장선은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내통기어(293)는 환형의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내통기어(293)는 외경에 기어가 형성된다. 상기 내통기어(293)는 상기 내통(291)의 개구된 단부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내통기어(293)는 상기 외통기어(277)에 내접하여 치합하도록 구비된다. 도 15에 기재된 D21은 상기 내통기어(293)의 이끝원 직경이고, D23은 상기 내통기어(293)의 이뿌리원 직경이다.
상기 제2 착즙체(290)와 제1 착즙체(270)는 상기 내통기어(293)의 이끝원(D21)과 외통기어(277)의 이뿌리원(D13)이 내접하고, 내통기어(293)의 이뿌리원(D23)과 외통기어(277)의 이끝원(D11)이 내접하여 서로 치차 결합되어 구동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호부재는 상기 제1 착즙체(270)와 제2 착즙체(290)의 개구된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원호부재는 상기 제1 착즙체(270) 내부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반원 형상인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호부재는 제1 원호부재(297)와, 2개의 제2 원호부재(292)와, 제3 원호부재(2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와, 제2 원호부재(292)와, 제3 원호부재(299) 순으로 길이 방향 우측에서 좌측으로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원호부재(292)는 제1 원호부재(297)와 제3 원호부재(299) 사이에 구비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원호부재(297)는 반원 형상인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는 상기 외통기어(277)와 제2 지지대(25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는 상기 외통기어(277)의 길이 방향 외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는 상기 제2 지지대(250)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는 상기 제2 지지대(250)에 부착되어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의 원호부는 상기 외통기어(277)의 외경과 일치된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의 원호부는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의 상부에는 오목한 외측오목홈(2975)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오목홈(2975)의 중심부는 상향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오목홈(2975) 중심부의 단부는 상기 내통기어(293)의 내기어 이끝원(D21)과 같거나 그보다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축홀(2971)이 형성된다. 상기 축홀(2971)은 상기 내통(291)의 회전 중심인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축홀(2971)에는 상기 내통지지축(295)이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3 원호부재(299)는 상기 제1 원호부재(297)로부터 길이 방향 내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3 원호부재(299)는 대략 반원 형태인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3 원호부재(299)는 상기 외통기어(277)와 내통기어(293)의 내측에 구비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원호부재(299)의 원호부는 상기 외통(271)의 내경(D1)과 일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 원호부재(299)의 상부에는 오목한 내측 제1 오목홈(2993)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 제1 오목홈(2993)의 중심부는 상향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제1 오목홈(2993)의 중심부의 단부는 상기 내통기어(293)의 내기어 이끝원(D21)과 같거나 그보다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 원호부재(299)의 중심부에는 내측 제2 오목홈(2995)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 제2 오목홈(2995)은 상기 내통(291)의 외경(D23)과 일치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 제2 오목홈(2995)은 하향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 원호부재(299)의 하단부는 상기 내측 제2 오목홈(2995)에 의해 서로 이격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원호부재(292)는 2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원호부재(292)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원호부재(292)는 제1 원호부재(297)와 제3 원호부재(299)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원호부재(292)는 상기 제1 원호부재(297) 및 제3 원호부재(299)와 접하여 구비된다. 2개의 상기 제2 원호부재(292)는 상기 내통기어(293)를 사이로 서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2 원호부재(292)는 일측에 원호부를 가지며 형성된다. 상기 제2 원호부재(292)의 원호부는 외통(271)의 내경(D1)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외통내경(D1)은 외통기어의 이끝원(D11)과 동일하다). 각각의 상기 제2 원호부재(292)가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내통기어(293)의 이끝원(D21)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원호부재(292)의 두께는 상기 내통기어(293)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원호부재(292)와 제3 원호부재(299)의 원호부는 상기 외통(271)의 내경(D1)과 일치하여 상기 제1 착즙체(270) 조립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와, 제2 원호부재(292)와, 제3 원호부재(299)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결합홀(2973, 2921, 299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원호부재(297), 제2 원호부재(292) 및 제3 원호부재(299)는 상기 결합홀(2973, 2921, 2991)에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구비됨으로써 서로 결합되어 고정 구비된다.
상기 투입부(220)와, 배출부(도시하지 않음)는 기존의 착즙기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수단(240)은 상기 제2 지지대(25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250)은 상기 제2 착즙체(290)의 내통지지축(295)과 연결된다. 상기 구동수단(240)은 모터(M)와, 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M)는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모터(M)는 상기 내통지지축(295)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모터(M)와 상기 내통지지축(295)에는 풀리가 고정 구비된다. 상기 벨트는 서로 이격 구비된 풀리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240)은 상기 제1 착즙체(270)와 제2 착즙체(290)가 회전하기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수단(240)은 상기 제2 착즙체(290)의 내통지지축(295)을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수단(240)에 의하여 상기 내통지지축(295)이 회전함으로써 제2 착즙체(290)와 제1 착즙체(270)가 회전되며 착즙물이 착즙된다.
상기 수집통(260)은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수집통(260)은 상기 제1 착즙체(270)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집통(260)은 상향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수집통(260)은 상기 제1 착즙체(270)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200)의 변형 예를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착즙체(270)와 제2 착즙체(290)는 길이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착즙체(270)와 제2 착즙체(290)는 중심부의 단면적이 양단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착즙체(270)와 제2 착즙체(290)는 양단부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예와 같은 착즙기(200)는 착즙물이 착즙되어 길이 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는 쪽(A방향)으로 착즙이 모이며 배출된다.
상기 변형 예와 같이 형성된 제1 착즙체(270)의 내측 상부에는 착즙물 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의 배출 스크류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 스크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예를 들어 고무 등)이 사용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착즙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 착즙기
210 : 베이스 220 : 투입부
230 : 제1 지지대 240 : 구동수단
250 : 제2 지지대 260 : 수집통
270 : 제1 착즙체 280 : 하우징
290 : 제2 착즙체

Claims (10)

  1. 베이스(210)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210)에 구비되는 제1 지지대(230) 및 제2 지지대(250)와, 외통지지축(276)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대(2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지지대(230)와 제2 지지대(250) 사이에 위치하며 제2 지지대(250)를 향하여 개구되고 복수의 배출공(273)이 형성된 중공의 제1 착즙체(270)와, 상기 외통지지축(276)과 편심된 내통지지축(295)에 의하여 상기 제2 지지대(250)에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착즙체(270) 내에서 편심되어 구비되는 제2 착즙체(290)와, 상기 제1 착즙체(250)와 제2 착즙체(29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구동수단(2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착즙체(270)와 제2 착즙체(290)는 길이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서 단면적이 증가되는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즙체(270)에는 외통기어(277)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착즙체(290)에는 상기 외통기어(277)에 내접하여 치합하는 내통기어(293)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착즙체(270)와 제2 착즙체(290)는 상기 외통기어(277)와 내통기어(293)가 서로 치차 결합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지지축(276)과 내통지지축(295)의 연장선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즙체(270)의 개구된 단부에는 상기 제1 착즙체(270) 내부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반원 형상인 판상으로 이루어진 원호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원호부재는 제1 원호부재(297)와, 2개의 제2 원호부재(292)와, 제3 원호부재(299)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원호부재(297)는 상기 외통기어(277)와 내통기어(293)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원호부재(299)는 상기 제1 원호부재(297)로부터 길이 방향 내향 이격되어 상기 외통기어(277)와 내통기어(293)의 내측에 구비되고, 제3 원호부재(299)의 원호부는 상기 제1 착즙체(270)의 내경과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2개의 제2 원호부재(292)는 제1 원호부재(297)와 제3 원호부재(299)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내통기어(293)를 사이로 이격 구비되며, 상기 제2 원호부재(292)의 원호부는 제1 착즙체(270)의 내경과 일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호부재(297)의 원호부는 상기 제1 착즙체(270)의 개구된 단부의 외경과 일치되며, 상기 제1 원호부재(297)의 상부에는 오목한 외측오목홈(2975)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오목홈(2975)의 중심부는 상향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오목홈(2975) 중심부의 단부는 상기 내통기어(293)의 내기어 이끝원(D21)과 같거나 상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호부재(299)의 상부에는 오목한 내측 제1 오목홈(2993)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 제1 오목홈(2993)의 중심부는 상향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제1 오목홈(2993) 중심부의 단부는 상기 내통기어(293)의 내기어 이끝원(D21)과 같거나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 원호부재(299)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2 착즙체(290)의 외경(D23)과 일치하며 제3 원호부재(299)의 하부가 개구된 내측 제2 오목홈(299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호부재(292)의 두께는 상기 제2 착즙체(290)의 내통기어(293)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즙체(270)의 개구부의 타측인 바닥면을 향하는 제2 착즙체(290)의 단부에는 제1 착즙체(270)의 바닥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9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즙체(270)와 제2 착즙체(290)는 중심부의 단면적이 양단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즙체(270)와 제2 착즙체(290)는 양단부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착즙기.
KR1020160103634A 2016-08-16 2016-08-16 대용량 착즙기 KR20170081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34A KR20170081122A (ko) 2016-08-16 2016-08-16 대용량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34A KR20170081122A (ko) 2016-08-16 2016-08-16 대용량 착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176A Division KR101680986B1 (ko) 2015-12-31 2015-12-31 대용량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122A true KR20170081122A (ko) 2017-07-11

Family

ID=5935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634A KR20170081122A (ko) 2016-08-16 2016-08-16 대용량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11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007B1 (ko) * 2023-03-29 2023-12-11 (주)에코트레이딩 착즙장치 및 그에 따른 착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007B1 (ko) * 2023-03-29 2023-12-11 (주)에코트레이딩 착즙장치 및 그에 따른 착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986B1 (ko) 대용량 착즙기
CN101516215B (zh) 具有易清洗功能元件的柑桔果汁提取自动机械
KR101925840B1 (ko) 대용량 착즙기
EP2170215B1 (de) Abscheider zum abscheiden von luft und feststoffen aus einem zahnärztlichen abwassergemisch
CN113797831A (zh) 一种石墨烯原料加工工艺
CN105532778A (zh) 一种小型包子机
KR20170081122A (ko) 대용량 착즙기
JP4010571B2 (ja) 中心軸を有する遠心分離機
WO2012086861A1 (ko) 착즙기
CN209092857U (zh) 固液分离器
US2056885A (en) Centrifugal separating machine
CN108816805A (zh) 一种钮扣分筛装置
CN212550362U (zh) 一种药浴中药材规格分练机
JP6509310B2 (ja) カプセル脱油装置
KR20000051926A (ko) 연속분리식 원심분리기
CN220678501U (zh) 一种茶叶与茶叶末分离装置
CN118001778B (zh) 一种提取天然植物有效成分的方法及设备
CN220558673U (zh) 一种豆渣分离设备
CN207385723U (zh) 一种食品检测用离心分离机
CN215695614U (zh) 一种药液提纯装置
CN216509208U (zh) 一种农业用大豆筛选打包装置
EP3644798B1 (en) A juicing apparatus and juicing method
CN112915629A (zh) 一种食用油加工用分离设备
CN114029109A (zh) 一种固体废弃物筛分处理装置
CN118001778A (zh) 一种提取天然植物有效成分的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