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373A - 금속재 방범망 - Google Patents

금속재 방범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373A
KR20180085373A KR1020180034558A KR20180034558A KR20180085373A KR 20180085373 A KR20180085373 A KR 20180085373A KR 1020180034558 A KR1020180034558 A KR 1020180034558A KR 20180034558 A KR20180034558 A KR 20180034558A KR 20180085373 A KR20180085373 A KR 20180085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ecurity
net
horizonta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Priority to KR1020180034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373A/ko
Publication of KR2018008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05Wire network per 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2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e.g. connected by kni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재 방범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방향으로 찢거나 째는 것이 곤란하여 방범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벌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통풍은 원활하게 하는 금속재 방범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재 방범망은 가로 금속사와 세로 금속사를 직각으로 엇갈려 교차시켜 직조하는 금속재 방범망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금속사와 세로 금속사를 교차시켜 형성되는 망눈(opening)은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재 방범망{SECURITY METAL MESH}
본 발명은 금속재 방범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방향으로 찢거나 째는 것이 곤란하여 방범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벌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통풍은 원활하게 하는 금속재 방범망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방범창은 굵기가 굵은 강재를 촘촘하게 배열하여 침입자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방범창은 체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 봉으로 제작되며, 이와 같은 알루미늄봉은 간단한 도구로 어려움이 없이 절단 가능하여 불법 침입자가 방범창을 통하여 침투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있는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범창은 내, 외측에서 볼 때 답답한 느낌을 주며, 주위 환경 미화에 지장을 주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613호(고안의 명칭: 복합기능창)에서 스테인레강의 일종인 13 크롬강 및 18-8강으로 제작되어 내식성과 강도가 높은 금속망체를 활용하여 다수, 다종의 방충, 방범 기능을 갖는 금속망체를 적용한 창호나 문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로 금속사(100)와 세로 금속사(200)가 연속 교차하면서 균등하게 배열된 많은 조직점(30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칼 등의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하여 금속망체를 찢거나 째는데 특별한 저항력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등록특허 제1227418호가 제안되었다. 상기 등록특허 제1227418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금속사(100)와 세로 금속사(200)가 교차하되, 2올씩 건너 뛰면서 연속적으로 상, 하 위치가 반전되는 형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직이 성글게 되고, 연속하여 상, 하 위치가 반전되는 2올씩의 조직점(300)이 형성된 것이다.
종래의 개선된 특허는 가로 금속사(100)와 세로 금속사(200)가 연속으로 교차하면서 상, 하 위치가 반전되도록 직조하여 연속적으로 균등하게 배열된 조직점(300)을 형성하여서 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범망과는 달리 가로 금속사(100)와 세로 금속사(200)가 두 가닥 건너 상하로 교차 및 위치 반전하면서 직조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즉, 종래의 방범망의 경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금속사(100)와 세로 금속사(200)가 연속 교차하면서 균등하게 배열된 많은 조직점(30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나 종래의 개선된 특허의 경우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금속사(100)와 세로 금속사(200)가 교차하되, 2올씩 건너 뛰면서 연속적으로 상, 하 위치가 반전되는 형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직이 성글게 되고, 연속하여 상, 하 위치가 반전되는 2올씩의 조직점(300)이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도 2로 보인 바와 같이, 종래에는 도검 등의 도구(400)를 밀어 넣고 균등 배열되어 응력이 균등하게 배포된 상태에서 방범망을 파손할 수 있는 강제력으로 밀어 주면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조직점(300) 사이로 통과하면서 방범망이 파손되는 것이나, 도 4의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도검 등의 도구(400)를 밀어 넣고 강제력으로 밀어 주었을 시 2올씩 건너 뛴 부분에 의하여 가로 금속사(100)나 세로 금속사(200)가 밀려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부위에서 밀려난 가로 금속사(100)나 세로 금속사(200)가 도 4의 점선 부분에서 실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모이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더욱 강한 힘으로 도구(400)를 밀게 되면 종래의 개선된 특허는 미는 방향에 따라 더 많은 수의 가로 금속사(100) 또는 세로 금속사(200)가 밀리면서 뭉치게 되는 것이므로, 날카로운 도구(400)라 하더라도 쉽게 자를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개선된 특허는 이러한 과정에서 도 6의 화살표로 보인 바와 같은 2올씩 건너 뛴 부분의 가로 금속사(100)나 세로 금속사(200)가 점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밀려나면서 응력이 약한 건너 뛴 사선 방향으로 도구(400)의 진행 방향이 변화되는 것이며, 가로 금속사(100)나 세로 금속사(200)가 밀려나면서 뭉친 방향으로는 진행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 개선된 특허에서는 도검 등의 도구(400)가 침투하였을 시 방범망을 의도한 방향으로 절단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비껴 나가면서 도구(400)의 날 등이 손상되거나 부러지게 되는 결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 개선된 특허는 이에 더하여 도 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표시한 부분과 같이 2올씩 건너뛰면서 상, 하 교차하던 것을 부분적으로 1올로 줄여 직조하면 도 6의 좌측과 우측의 조직점(300) 배열과 같이 조직점(300) 배열 방향이 변화되면서 사선으로 됨과 동시에 대칭이 되며, 이에 따라 도구(400)을 강하게 밀어 중심선까지 진행한 경우에는 진행 방향이 중심선에서 급격하게 변화되므로, 강제력을 가한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방범망을 칼 등의 날카로운 도구로 찢거나 쨀 때는 통상 힘을 세로방향으로 가하게 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종래 개선된 기술은 세로방향에 대하여 특별히 도구의 진행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방범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로 입체감이 부여되는데, 이 경우, 서로 다른 사선방향의 무늬가 겹치는 'V'자의 끝부분에서는 망눈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서 벌레가 침투하는 것이 용이한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613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274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방향으로 찢거나 째는 것이 곤란한 금속재 방범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통풍은 원활하게 하는 금속재 방범망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금속재 방범망은 가로 금속사와 세로 금속사를 직각으로 엇갈려 교차시켜 직조하는 금속재 방범망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금속사와 세로 금속사를 교차시켜 형성되는 망눈(opening)은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망눈은 세로가 가로보다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 금속사와 세로 금속사의 선경(線徑)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 금속사의 선경이 세로 금속사의 선경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 금속사는 2가닥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기 가로 금속사의 선경이 세로 금속사의 선경보다 더 작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칼 등의 도구로 가로방향으로 찢거나 째는 것이 곤란한 금속재 방범망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망눈의 세로가 가로보다 긴 장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벌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통풍은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범망 조직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방범망 조직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개선된 기술에 의한 방범망의 조직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종래 개선된 기술에 의한 방범망의 조직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방범망에 의한 조직점의 배치 및 도검의 진행 방향을 예시한 설명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방범망에 의한 조직점의 배치 및 도검의 진행 방향을 예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방범망 조직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방범망 조직을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10)의 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10)는 가로 금속사(11)와 세로 금속사(12)가 직각으로 엇갈려 교차되어 직조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10)에서 상기 가로 금속사(11)와 세로 금속사(12)의 선경(線徑)을 다르게 형성하였는데,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금속사의 선경(t1)은 0.8mm이고, 세로 금속사(t2)의 선경은 0.6mm로 형성된다. 즉, 가로 금속사(11)가 세로 금속사(12)보다 굵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t1>t2).
이것은 침입자가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방범망을 찢으려고 할 때 세로방향으로 찢어지는 것을 더욱 곤란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가로 금속사(11)가 세로 금속사(12)보다 굵게 형성되어 세로방향으로 찢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실시예(10)는 18×13mesh(세로×가로)로 형성되어 망눈(opening)이 장방형, 특히, 세로변(ℓ1)이 가로변(ℓ2)보다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ℓ1>ℓ2).
이와 같이 망눈의 가로변(ℓ2)이 세로변(ℓ1)보다 작게 형성되면 벌레의 날개가 걸려 망눈을 통과하여 침입하는데 장애가 된다.
이와 더불어, 망눈의 세로변(ℓ1)이 가로변(ℓ2)보다 상대적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정방형의 망눈보다는 통풍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벌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망눈의 가로변(ℓ2)을 작게 형성하고,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세로변(ℓ1)을 길게 형성하여 정방형이 아닌 장방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20)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세로 금속사(22)는 1가닥으로 형성하고, 가로 금속사(21a,21b)는 2가닥으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가로 금속사(21a,21b) 하나의 선경(t3)은 세로 금속사(22)의 선경(t2)보다 작지만(t3<t2), 2가닥을 합하면 결국 세로 금속사의 선경(t2)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다(t4=t3×2>t2).
본 실시예(20)에서는 가로 금속사(21a,21b) 1가닥의 선경(t3)은 0.4mm이고, 세로 금속사의 선경(t2)은 0.6mm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로 금속사가 2가닥이므로 결과적으로 세로 금속사의 선경(t2)보다 큰 것이다.
이와 같이 가로 금속사는 선경(t3)이 얇은 2가닥을 나란히 직조함으로써 침입자가 칼 등의 도구로 가로방향으로 찢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실시예(20)도 18×13mesh(세로×가로)로 형성되어 망눈(opening)이 장방형, 특히, 세로가 가로보다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20)도 제1실시예(10)와 마찬가지로 칼 등의 도구로 가로방향으로 찢거나 째는 것이 곤란하여 방범력이 향상되고, 망눈의 세로가 가로보다 긴 장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벌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통풍은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10: 제1실시예
11: 가로 금속사
12: 세로 금속사
20: 제2실시예
21a,21b: 가로 금속사
22: 세로 금속사

Claims (6)

  1. 가로 금속사와 세로 금속사를 직각으로 엇갈려 교차시켜 직조하는 금속재 방범망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금속사와 세로 금속사를 교차시켜 형성되는 망눈(opening)은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범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눈은 세로가 가로보다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범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금속사와 세로 금속사의 선경(線徑)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범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금속사의 선경이 세로 금속사의 선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범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금속사는 2가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범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금속사의 선경이 세로 금속사의 선경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 방범망.
KR1020180034558A 2018-03-26 2018-03-26 금속재 방범망 KR20180085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558A KR20180085373A (ko) 2018-03-26 2018-03-26 금속재 방범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558A KR20180085373A (ko) 2018-03-26 2018-03-26 금속재 방범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923A Division KR102035767B1 (ko) 2017-01-18 2017-01-18 금속재 방범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73A true KR20180085373A (ko) 2018-07-26

Family

ID=6304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558A KR20180085373A (ko) 2018-03-26 2018-03-26 금속재 방범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3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5937A (zh) * 2018-08-28 2020-07-10 郑牧之 高强度大通风量的防蚊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613B1 (ko) 1996-12-30 1999-06-15 구자홍 멀티 히트펌프의 제상방법 및 그 장치
KR101227418B1 (ko) 2011-08-19 2013-01-29 케이엠텍 주식회사 변화 능직을 이용한 금속재 방범 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613B1 (ko) 1996-12-30 1999-06-15 구자홍 멀티 히트펌프의 제상방법 및 그 장치
KR101227418B1 (ko) 2011-08-19 2013-01-29 케이엠텍 주식회사 변화 능직을 이용한 금속재 방범 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5937A (zh) * 2018-08-28 2020-07-10 郑牧之 高强度大通风量的防蚊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1057150B4 (de) Faden und Gewebe für Insektenschutzgitter, Insektenschutzgitter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weben für Insektenschutzgitter
KR20180085373A (ko) 금속재 방범망
EP3541975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cherheitsstrukturen bei einem flächenelement und flächenelement
KR20180085330A (ko) 금속재 방범망
DE2019416A1 (de) Schalldaempfer fuer stroemende Gase
DE202010008501U1 (de) Alarmgesichertes Zaunfeld
KR101227418B1 (ko) 변화 능직을 이용한 금속재 방범 망
EP2775184A1 (de) Sanitärschlauch mit einem Innenschlauch und einer Ummantelung
KR101799457B1 (ko) 비절단형 광섬유 케이블망
EP2206875B1 (de) Insektenschutzgewebe
KR200419342Y1 (ko) 강화방충방
KR20160000379U (ko) 변화 능직망을 이용한 방범창
DE202006001805U1 (de) Schutznetz
DE102016011006B4 (de) Plane mit gewebten Gurtbändern und integriertem Draht
KR102107789B1 (ko) 방범기능이 강화된 방범방충창
EP2047020B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durchbrochenen vliesstoffen
WO2002011156A1 (de) Kabel, insbesondere unterwasserkabel
DE102016011008B4 (de) Plane mit Gurtbändern aus verwebten Kunststofffasern und mittragenden Drähten
AT519889B1 (de) Rollgitter-Toranlage
EP2226446B1 (de) Armierungsgitter
DE959354C (de) Elektrische Raumschutzeinrichtung in Gestalt eines einen Alarmstromkreis beeinflussenden Vorhangs fuer die zu schuetzende Flaeche
EP2987913B1 (de) Sichtschutzwände oder -zäune mit flechtband
EP3624076B1 (de) Netzgewebe aus stahlseilen zur alarmsicherung
KR20140070767A (ko) 권취 가능한 강선 방충망
DE10347717A1 (de) Rolladenkas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