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916A - 전원 어셈블리,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 어셈블리,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916A
KR20180083916A KR1020187017179A KR20187017179A KR20180083916A KR 20180083916 A KR20180083916 A KR 20180083916A KR 1020187017179 A KR1020187017179 A KR 1020187017179A KR 20187017179 A KR20187017179 A KR 20187017179A KR 20180083916 A KR20180083916 A KR 20180083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harger
control circuit
power source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104B1 (ko
Inventor
마나부 다케우치
타쿠마 나카노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05Devices without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5Inhalator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Abstract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포함하는 무화 어셈블리와, 상기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전원 어셈블리는, 무화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진다.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다.
충전기가 전원을 충전할 때에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인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원 어셈블리,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POWER SUPPLY ASSEMBLY,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ATION SYSTEM}
본 발명은,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霧化)하는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구비한 전원 어셈블리와, 해당 전원 어셈블리를 구비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와, 해당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구비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 대신에, 담배 등의 향미원(香味源)을 연소시키는 일없이, 향미를 맛 보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전기식 흡연 물품)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에어로졸 생성원을 가지는 전기식 흡연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이 전기식 흡연 물품은,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와, 액체 저장부로부터 보내진 액체를 기화(氣化)하기 위한 히터와,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가진다. 특허문헌 1은, 유저 인증 기술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비정규 유저에 의한 전기식 흡연 물품의 사용을 회피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4/150704호
제1 특징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로서,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포함하는 무화 어셈블리와, 상기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 어셈블리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 어셈블리는, 상기 무화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며, 상기 충전기가 상기 전원을 충전할 때에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인 소정 전류를 검지(檢知)하는 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되는 상기 소정 전류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1 특징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셈블리는, 상기 전원을 수용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인 제1 전극 쌍을 가지는 제1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무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고, 상기 무화부를 수용하고, 제2 전극 쌍을 가지는 제2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 쌍과 상기 제2 전극 쌍이 접촉한 때에, 상기 제1 전극 쌍과 제2 전극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3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계합(係合)하기 위한 계합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3 특징 또는 청구항 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과 제2 전극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외부요소에 의해 도통(導通)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3 특징 내지 제5 특징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과 상기 제2 전극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케이스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3 특징 내지 제5 특징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과 상기 제2 전극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외부요소에 의한 상기 제1 전극 쌍 사이의 도통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7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과 상기 제2 전극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 중의 적어도 한쪽 전극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6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노출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 면(面)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6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노출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노출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한 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의 노출부의 단면(端面)과 상기 제2 전극의 노출부의 단면과의 사이에 단차(段差)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0 특징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양쪽이,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해서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충전이 행해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1 특징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충전기에 의해 상기 전원을 충전할 때에, 상기 제어회로에 충전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류소자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특징은, 제1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정류소자는 애노드 및 캐소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애노드는 상기 검지부에 전기 접속되어 있고, 상기 캐소드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상기 충전기에 의한 충전 시에 양극이 되는 전극과 전기 접속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0 특징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한쪽을 통해서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충전이 행해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0 특징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는 다른 제3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한쪽만을 통해서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충전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 특징은, 제15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중,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에 공급되는 충전 전류의 공급에 기여하지 않는 전극은, 상기 충전기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든지, 상기 충전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저해하는 인슐레이터를 통해서 상기 충전기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든지, 상기 충전기와 전기적인 접속을 하고 있고, 또,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충전 전류의 공급에 기여하지 않는 전극이든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6 특징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무화부로의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8 특징은, 제17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가 검지한 상기 소정 전류의 기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소정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9 특징은, 제17 특징 또는 제18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소정 전류를 소정 기간 내에 복수 회 검지한 때에, 상기 제어회로가 소정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0 특징은, 제18 특징 또는 제19 특징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소정 전류를 연속적으로 소정 시간 이상 검지한 때에는,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소정 제어를 중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1 특징은, 제17 특징 내지 제20 특징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외부요소에 의해 발생한 상기 소정 전류를 검지한 때에,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외부요소의 전기저항값의 크기에 근거하여 소정 제어를 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2 특징은, 제17 특징 내지 제22 특징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전원의 충전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며, 상기 전원의 충전을 검지한 때,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소정 전류의 검출 결과에 관계없이 소정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3 특징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으로서, 제1 특징 내지 제22 특징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와 착탈 가능하고,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충전 전류를 공급 가능한 충전기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4 특징은, 제23 특징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기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3 전극 쌍을 가지며, 상기 충전기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장착된 때에 상기 제3 전극 쌍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제3 전극 쌍을 구성하는 전극끼리가 도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정 전류를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5 특징은, 제24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 쌍을 구성하는 전극끼리의 상태를, 도통 상태와 비도통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전환수단을 상기 충전기가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6 특징은, 전원 어셈블리로서,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무화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고, 상기 충전기가 상기 전원을 충전할 때에,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인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일 태양(態樣)에 있어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무화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극은 아니다.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무화 어셈블리에 설치된 전극 쌍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없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태양에 의하면, 무화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은,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 태양에 의하면, 충전기는, 2차 전지를 가지며, 해당 2차 전지는, 예를 들면 콘센트와 같은 외부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 태양에 의하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상기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어회로가 소정 전류를 검지한 것을 유저에게 전달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1]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화살표 2A 방향에서 본 전원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3]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도 5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충전 중인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도통 시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10 방향에서 본 전원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충전 중인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도통 시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 도 1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충전 중인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 도 1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도통 시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 도 1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충전 중인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 도 18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도통 시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 도 19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도 20은, 도 19의 화살표 20A 방향에서 본 전원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배경 기술에서 언급한 전기식 흡연 물품처럼, 지문 인증을 이용한 유저 인증 기술이 있다. 본 발명은 그것과는 다른 기구에 의해 유저의 인증이나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는 전원 어셈블리,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개시의 개요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포함하는 무화 어셈블리와, 상기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어셈블리는, 상기 무화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고, 상기 충전기가 상기 전원을 충전할 때에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인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개시의 개요에 관계되는 전원 어셈블리는,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구비하며, 상기 무화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고, 상기 충전기가 상기 전원을 충전할 때에,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인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개시의 개요에서는, 유저의 인증이나 동작 모드의 전환 등을 행하기 위한 도통(導通) 검지용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적어도 한쪽을, 전원 어셈블리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전극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2A 방향에서 본 전원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흡구단(吸口端)(E1)으로부터 비흡구단(E2)으로 향하는 방향인 길이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전원 어셈블리(110) 및 무화 어셈블리(120)를 가진다. 전원 어셈블리(110)는, 전원(10) 및 제어회로(50)를 가진다. 전원(10)은, 예를 들면, 리튬이온 전지이다. 전원(10)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10)은, 예를 들면, 제어회로(50)나, 무화 어셈블리(120)에 구비된 무화부(8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어셈블리(110)는, 적어도 전원(10)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110X)를 가진다. 무화 어셈블리(120)는, 적어도 무화부(80)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120X)를 가진다.
전원 어셈블리(110)는, 무화부(8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전극 쌍(118)과, 전원(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을 가진다.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적어도 한쪽은, 전원(1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300)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다. 또한,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은, 무화 어셈블리(120)에 설치된 후술하는 제2 전극 쌍(128)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은, 제2 전극 쌍(128)과는 전기적으로 접속 불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화 어셈블리(120)는, 전원 어셈블리(11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케이스(120X)가 제1 케이스(110X)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제1 케이스(110X) 및 제2 케이스(120X)의 적어도 한쪽이, 제1 케이스(110X)와 제2 케이스(120X)를 계합하기 위한 계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계합수단의 구체적 구성은 임의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계합수단은, 암커넥터(111) 및 수커넥터(121)에 의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어셈블리(110)는, 무화 어셈블리(120)에 인접하는 부위에 암커넥터(111)를 가지고 있다. 암커넥터(111)는, 길이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나선 모양의 홈을 가지고 있다. 무화 어셈블리(120)는, 전원 어셈블리(110)에 인접하는 부위에 수커넥터(121)를 가진다. 수커넥터(121)는, 길이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나선 모양의 돌기를 가진다. 암커넥터(111) 및 수커넥터(121)의 나합(螺合)에 의해, 무화 어셈블리(120)와 전원 어셈블리(110)가 서로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 대신에, 무화 어셈블리(120)가 암커넥터를 갖고, 전원 어셈블리(110)가 무화 어셈블리의 암커넥터에 나합하는 수커넥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1 케이스(110X)는, 그 내부에 공동(空洞)을 가진다. 제2 케이스(120X)는, 그 내부에 공동을 가진다. 무화 어셈블리(120)가 전원 어셈블리(110)에 설치된 때에, 제1 케이스(110X) 내의 공동(104)이, 제2 케이스(120X) 내의 공동(105)과 연통(連通)한다. 제2 케이스(120X)는, 적어도 흡인 동작에서 이용하는 흡구 개구(120out)를 가진다. 흡구 개구(120out)는, 제2 케이스(120X)의 흡구단(E1)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케이스(120X) 내의 공동(105)과 연통한다.
제1 케이스(110X) 및 제2 케이스(120X)는, 흡인 동작에서 이용하는 통기 개구(110in 및 120in)를 가진다. 통기 개구(110in 및 120in)는, 제1 케이스(110X) 및 제2 케이스(120X) 내의 공동(104, 105)과 연통한다. 통기 개구(110in) 및 개구(120in)는, 암커넥터(111) 및 수커넥터(121)가 접속된 상태에서 연통한다.
무화 어셈블리(120)는, 제2 전극 쌍(128)을 가진다. 제2 전극 쌍(128)은, 제2 케이스(120X)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전극 쌍(128)은, 무화부(8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무화 어셈블리(120)가, 전원 어셈블리(110)에 설치된 때에, 제1 전극 쌍(118)과 제2 전극 쌍(128)이 서로 접촉한다. 제1 전극 쌍(118)과 제2 전극 쌍(128)이 접촉한 때에, 제1 전극 쌍(118)과 제2 전극 쌍(128)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전극 쌍(118)과 제2 전극 쌍(128)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극 쌍(118)은, 금속편(片)이나 금속플레이트와 같은 도전체에 의한 제1 전극 쌍(118) 사이의 도통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극 쌍(118)과 제2 전극 쌍(128)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극 쌍(118)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제1 전극 쌍(118)과 제2 전극 쌍(128)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극 쌍(118) 중 양쪽의 전극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금속편이나 금속플레이트와 같은 도전체가, 제1 전극 쌍(118) 사이를 도통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전원 어셈블리(110)에 있어서의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은, 제1 케이스(110X)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은, 제1 케이스(110X)의 비흡구단(E2)의 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전극 쌍(118)과 제2 전극 쌍(128)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전원 어셈블리(110)에 설치된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외부요소, 예를 들면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도통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극 쌍(118)과 제2 전극 쌍(128)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은, 제1 케이스(110X)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211)의 노출부는, 제1 케이스(110X)의 측면에 위치한다. 제2 전극(212)의 노출부는, 제1 케이스(110X)의 비흡구단(E2)측의, 길이방향 A로 향한 면(面)에 위치한다. 제3 전극(213)의 노출부는, 제1 케이스(110X)의 비흡구단(E2)측의, 길이방향 A로 향한 면에 위치한다. 제3 전극(213)의 노출부의, 길이방향 A에 있어서의 비흡구단(E2)측의 단부는, 제2 전극(212)의 노출부의, 길이방향 A에 있어서의 비흡구단(E2)측의 단부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즉, 제2 전극(212)의 노출부와 제3 전극(213)의 노출부는, 제1 케이스(110X)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한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전극(212)의 노출부의 단면(端面)과 제3 전극(213)의 노출부의 단면은, 서로 단차가 부여되어 있다.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과 제3 전극(213)을 절연하는 절연부재(21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케이스(210X)의 측면에는, 대기(大氣) 공간으로 연통하는 개구(21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14)는, 제1 전극(211)과 후술하는 센서(20)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214)는, 비흡구단(E2)측의 단면과는 달리, 제1 케이스(110X)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3 전극(213)의 노출부의, 길이방향 A에 있어서의 비흡구단(E2)측의 단부가, 제2 전극(212)의 노출부의, 길이방향 A에 있어서의 비흡구단(E2)측의 단부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이 대신에, 제2 전극(212)의 노출부의, 길이방향 A에 있어서의 비흡구단(E2)측의 단부가, 제3 전극(213)의 노출부의, 길이방향 A에 있어서의 비흡구단(E2)측의 단부보다도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노출부는, 제1 케이스(110X)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 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금속편이나 금속플레이트와 같은 도전체가 뜻밖으로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노출부를 서로 도통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3 전극(213)이 도 1에 나타내는 제1 전극(211)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1 전극(211)이 도 1에 나타내는 제3 전극(213)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전극(211)의 노출부와 제2 전극(212)의 노출부는, 제1 케이스(110X)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한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전극(211)의 노출부의 단면과 제2 전극(212)의 노출부의 단면은 서로 단차가 부여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위치에 단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금속편이나 금속플레이트와 같은 도전체가 뜻밖으로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노출부를 서로 도통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단차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단차는, 유저의 손가락에 의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을 용이하게 도통시킬 수 있는 정도이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단차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또한, 해당 단차는, 제1 전극(211)이 제2 전극(212)보다도 돌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제2 전극(212)이 제1 전극(211)보다도 돌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원 어셈블리(110)는, 센서(20)와, 발광소자(40)를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센서(20)는,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을 검지한다. 상세하게는, 센서(20)는, 센서(20)로 비흡구단(E2)측의 공동의 내압(內壓)과, 센서(20)로 흡구단(E1)측의 공동의 내압과의 차압(差壓)을 검출한다.
도 4는, 센서(20)의 구체적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케이스(110X)는, 센서(20)에 대해 흡구단(E1)측에 설치되는 제1 공동(104)과, 센서(20)에 대해 비흡구단(E2)측에 설치되는 제2 공동(106)을 포함한다. 센서(20)는, 제1 공동(104)의 내압과 제2 공동(106)의 내압과의 차압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센서(20)는, 콘덴서를 가진 센서이며, 제1 공동(104)의 내압과 제2 공동(106)의 내압과의 차압에 대응한 콘덴서의 전기용량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면, 전압값)을 출력한다. 센서(2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1)와, 기판(22)과, 전극막(23)과, 고정전극(24)과, 제어회로(25)와, 개구(26)와, 개구(27)를 가진다. 커버(21)와 제1 케이스(110X)의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 않으며, 제1 공동(104) 및 제2 공동(106)은, 제1 케이스(110X) 내에서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센서(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기판(22)에는, 고정전극(24) 및 제어회로(25)가 설치된다. 전극막(23)은, 제1 공동(105)의 내압과 제2 공동(106)의 내압과의 차압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형된다. 고정전극(24)은, 전극막(23)과 콘덴서를 형성한다. 콘덴서의 전기용량은, 전극막(23)의 변형에 의해 변화한다. 제어회로(25)는, 전극막(23)의 변형에 의해 변화하는 전기용량을 검출한다. 개구(26)는, 제1 공동(104)에 연통한다. 따라서, 흡인 동작에 의해 제1 공동(104)의 내압이 변화함과 함께 전극막(23)이 변형된다. 개구(27)는, 제2 공동(106)에 연통한다. 따라서, 소정 동작에 의해 제2 공동(106)의 내압이 변화함과 함께 전극막(23)이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흡인 동작을 행한 경우, 제1 공동(104)의 내압이 저하하는 반면, 제2 공동(106)의 내압은 실질적으로는 변화하지 않고, 대기압과 거의 같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센서(20)는 제1 공동(104)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예를 들면, 취입 동작을 행한 경우, 제1 공동(104)의 내압이 상승하는 반면, 제2 공동(106)의 내압은 실질적으로는 변화하지 않고, 대기압과 거의 같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센서(20)는 제1 공동(104)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예를 들면, 소정 동작을 행한 경우, 제2 공동(106)의 내압이 상승하는 반면, 제1 공동(104)의 내압은 실질적으로는 변화하지 않고, 대기압과 거의 같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센서(20)는 제2 공동(106)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발광소자(40)는, 예를 들면, LED나 전등 등의 광원이다. 발광소자(40)는, 발광 태양(態樣), 즉, 발광의 색, 점등/소등, 점등 시의 광량 패턴 등에 의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상태를 통지한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상태는, 예를 들면, 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 등의 상태여도 되고, 흡인 상태 또는 비흡인 상태 등의 상태여도 된다.
제어회로(5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회로(50)의 상세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무화 어셈블리(120)는, 리저버(60)와, 액보유부재(70)와, 무화부(80)와, 파괴부(90)와, 캡슐유닛(130)과, 흡구유닛(140)을 가진다. 여기서, 무화 어셈블리(120)는, 대기를 내부로 취입하기 위한 개구(120in)와, 수커넥터(121)를 통해서 전원 어셈블리(110)에 연통하는 공기유로(122)와, 통 모양으로 배치되는 세라믹(123)을 가진다. 제2 케이스(120X)는, 무화 어셈블리(120)의 외형을 형성하는 통 형상을 가진다. 세라믹(12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공기유로를 형성한다. 즉, 세라믹(12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및 상술한 공기유로(122)는, 공동(105)의 일부를 형성한다.
리저버(60)는, 에어로졸원을 저장한다. 리저버(60)는, 수지 웹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孔質體)이다. 리저버(60)는, 액보유부재(70)에 에어로졸원을 공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액보유부재(70)의 일부와 적어도 접촉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세라믹(123)이 리저버(6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 리저버(60)에 의해 유지되는 에어로졸원의 휘발이 억제된다.
액보유부재(70)는, 리저버(6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졸원을 보유한다. 예를 들면, 액보유부재(70)는, 유리섬유에 의해 구성되는 윅이다.
무화부(80)는, 액보유부재(70)에 의해 보유되는 에어로졸원을,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무화한다. 예를 들면, 무화부(80)는, 무화부(80)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저항 발열체이다. 무화부(80)는, 액보유부재(70)에 둘러 감긴(卷回)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무화부(80)로서,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가열 타입의 부품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무화부는,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되어, 초음파에 의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초음파 타입의 부품이어도 된다.
파괴부(90)는, 캡슐유닛(13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소정 막(133)의 일부를 파괴하기 위한 부재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괴부(90)는, 무화 어셈블리(120)와 캡슐유닛(130)을 칸막이하기 위한 격벽부재(126)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격벽부재(126)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이다. 파괴부(90)는, 예를 들면, 길이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원통 모양의 중공 침(針)이다. 중공(中空) 침의 선단을 소정 막(133)에 찌르는 것에 의해, 소정 막(133)의 일부가 파괴된다. 또한, 중공 침의 내측 공간에 의해 무화 어셈블리(120)와 캡슐유닛(130)을 공기(空氣)적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중공 침의 내부에는, 담배원(131)을 구성하는 원료가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거칠기(눈 크기)를 가진 망목(網目)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괴부(90)는, 캡슐유닛(130)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소정 막(133)에 인접하는 위치여도 된다. 이러한 부위에 대해 유저가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소정 막(133)의 일부가 파괴되어도 된다.
캡슐유닛(130)은, 본체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캡슐유닛(130)은, 담배원(131)과, 필터(132)와, 소정 막(133)을 가진다. 또한, 소정 막(133)과 필터(13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에, 담배원(131)이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유닛이란, 무화 어셈블리(120) 중, 캡슐유닛(130) 이외의 부위에 의해 구성되는 유닛이다. 예를 들면, 본체유닛은, 상술한 리저버(60), 액보유부재(70) 및 무화부(80)를 포함한다.
담배원(131)은, 에어로졸원을 보유하는 리저버(60)보다도 흡구단(E1)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로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향미를 발생시킨다. 담배원(131)으로서는, 살담배, 담배 원료를 입상(粒狀)으로 성형한 성형체, 담배 원료를 시트 모양으로 성형한 성형체를 이용할 수 있다. 담배원(131)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필터(132)는, 담배원(131)에 대해 흡구단(E1)측에 인접되고 있으며, 통기성을 가진 물질에 의해 구성된다. 필터(132)는,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2)는, 담배원(131)을 구성하는 원료가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거칠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막(133)은, 필터(132)와 일체로서 성형되어 있으며, 통기성을 갖고 있지 않은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소정 막(133)은, 담배원(131)의 외면 중, 필터(132)와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피복한다.
흡구유닛(140)은, 흡구 개구(120out)를 가진다. 흡구 개구(120out)는, 필터(132)를 노출하는 개구(開口)이다. 유저는, 흡구 개구(120out)로부터 에어로졸을 흡인하는 것에 의해, 에어로졸과 함께 향미를 흡인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구유닛(140)은, 캡슐유닛(13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대신에, 흡구유닛(140)은, 캡슐유닛(130)과 일체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흡구유닛(140)은, 캡슐유닛(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충전기)
도 5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10)을 충전하는 충전기(300)를 나타내고 있다. 충전기(30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와 착탈 가능하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에 충전 전류를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와 충전기(30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을 구성한다. 충전기(30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에 설치되는 전원(10)을 충전하기 위한 장치이다.
충전기(300)는, 케이스(310)와, 힌지(314)에 의해 개폐 가능한 뚜껑(312)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충전기(300)는 2차 전지(330)를 가지고 있으며, 2차 전지(330)는 전력케이블을 통해 외부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력케이블은, 외부전원으로서의 AC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이어도 된다. 이 대신에, 전력케이블은, 외부전원으로서의 전자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케이블이어도 된다.
충전기(30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유지 가능한 홀더(320)를 가진다. 케이스(310)는, 교환 가능한 무화 어셈블리(120)를 복수(複數) 수용하는 수용부(34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홀더(320)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세운 상태로 유지한다. 홀더(320)에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전원 어셈블리(110)에 설치된 전원(10)을 충전하기 위한 전극 쌍(332)이 설치되어 있다. 충전기(300)의 전극 쌍(332)은, 2차 전지(3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홀더(320)에 유지된 상태에서, 전원 어셈블리(110)의 제2 전극(212)과 제3 전극(213)이, 충전기(300)의 전극 쌍(33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7도 참조).
(제어회로)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5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50)를 나타낸다. 도 6은, 무화 어셈블리(120)가 전원 어셈블리(110)로부터 떼어내진 상태의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무화 어셈블리(120)가 전원 어셈블리(110)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극 쌍(118)은, 제2 전극 쌍(12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회로(50)는, 적어도 전원(10)으로부터 무화부(80)로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1)를 가진다. 제어부(51)는, 적어도 흡인 동작에 근거하여, 에어로졸원의 무화를 개시 또는 종료를 행하는 무화부(80)의 무화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51)는, 흡인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2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무화부(80)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도 7은, 제어회로(50)에 있어서 충전 중인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충전기(300)의 홀더(320)에 끼워진 때, 전원 어셈블리(110)의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이, 충전기(300)측의 전극 쌍(33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충전기(300)는,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을 통해, 전원 어셈블리(110)의 전원(10)에 충전 전류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전원(10)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충전 시에 있어서의 전류의 흐름 방향이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전원 어셈블리(110)의 제1 전극(211)은, 충전기(300)로부터 전원(10)에 공급되는 충전 전류의 공급에 기여하지 않는 전극이다. 충전 전류의 공급에 기여하지 않는 제1 전극(211)은, 충전기(30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대신에, 충전 전류의 공급에 기여하지 않는 제1 전극(211)은, 충전기(30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저해하는 인슐레이터를 통해서 충전기(300)와 물리적으로 접촉해 있어도 된다. 또한, 충전 전류의 공급에 기여하지 않는 제1 전극(211)은, 충전기(3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전극(211)은, 충전기(300)에 설치된, 충전기(300)로부터 전원(10)으로의 충전 전류의 공급에 기여하지 않는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50)에 있어서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 시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예를 들면 유저의 손가락과 같은 외부요소(500)가,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에 동시에 접촉한 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이 서로 도통된다. 이때, 전원(10)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 사이에 소정 전류가 흐른다. 이 소정 전류는, 적어도 제2 전극(212)인 곳에서, 충전 전류와는 역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도 8에서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 시에 있어서의 소정 전류의 방향이,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 있다.
제어회로(50)는, 충전기(300)가 전원(10)을 충전할 때에 제2 전극(212)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충전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인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검지부(52)를 가진다. 검지부(52)는, 충전 전류가 흘러들지 않는 위치로서, 충전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상기 소정 전류가 흘러드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검지부(52)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을 서로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검지부(52)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 사이에 흐르는 상기 소정 전류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회로(50)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이 외부요소에 의해 서로 도통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을 동시에 만졌는지 아닌지를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회로(50)는, 검지부(52)가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 사이에 흐르는 소정 전류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을 검지한다. 그러나,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의 검지는, 이 태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회로(50)는 충전 중인 전류의 방향과,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 시의 전류의 방향과의 차이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회로(50)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이 외부요소에 의해 서로 도통되었는지 어떤지를 검지할 수 있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검지부(52)가 소정 전류를 검지한 것을 유저에게 전달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갖고 있어도 된다. 표시수단은, 예를 들면 상술한 발광소자(40)여도 된다. 발광소자(40)의 발광 태양에 의해, 소정 전류를 검지한 것을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어회로(50)는, 충전기(300)가 전원(10)을 충전할 때에 제2 전극(212)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소정 전류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소정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회로(50)는, 소정 전류를 검지한 기간의 길이에 따라 소정 제어를 행한다. 일례로서, 제어회로(50)가 소정 전류를 몇 초간 검지한 때에, 제어회로(50)는, 소정 제어를 행한다. 단, 제어회로(50)가 소정 전류를 연속적으로 소정 시간(제1 문턱값) 이상 검지한 때에는, 제어회로(50)는 소정 제어를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소정 제어로서 발광소자(40)에 의한 정보의 통지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제어회로(50)가 소정 전류를 연속적으로 제1 문턱값 이상의 시간을 검지한 때에는, 발광소자(40)에 의한 정보의 통지를 중지한다. 또한, 소정 제어로서, 유저 인증이나 사용 모드의 전환 제어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제어회로(50)가 소정 전류를 연속적으로 제1 문턱값 이상의 시간을 검지한 때에는, 이들 제어가 취소된다.
혹은, 제어회로(50)는, 소정 전류를 소정 기간(제2 문턱값) 내에 복수 회 검지한 때에 소정 제어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회로(50)가 몇 초 동안의 사이에 소정 전류를 3회 검지한 때에, 제어회로(50)는 소정 제어를 행한다.
제어회로(50)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외부요소(500)에 의해 발생한 소정 전류를 검지한 때에, 제어회로(50)는 외부요소(500)의 전기저항값의 크기에 근거하여 소정 제어를 행해도 된다. 외부요소(500)의 전기저항값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외부요소(500)가, 사람의 손가락인지, 그 밖의 물건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요소의 전기저항값이 100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Ω 미만인 경우에, 제어회로(50)는, 사람의 손가락은 아니라고 판단하여, 소정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회로(50)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을 도통하는 외부요소의 전기저항값을 직접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대신에, 제어회로(50)는, 전류값 및 전압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전류값 및 전압값으로부터 외부요소의 전기저항값을 추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회로(50)가 외부요소의 전기저항값을 검출 또는 추정하는 것에 의해, 사람의 손가락보다도 전기저항값이 낮은 다른 외부요소에 의한 조작 시에는, 소정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회로(50)는 전원(10)의 충전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여, 전원(10)의 충전을 검지한 때, 제어회로(50)는, 소정 전류의 검출 결과에 관계없이 소정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제어는, 유저가 정규 유저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어이어도 된다. 혹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동작 모드로서 복수의 동작 모드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소정 제어는,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동작 모드의 전환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 제어를 허용하지 않는 슬립 모드(전력 절약 모드)와, 에어로졸원을 무화 가능한 레디 모드의 전환이다. 혹은, 동작 모드의 전환은, 무화부(80)에 대한 전원 출력의 크기(전원 출력의 절대값 또는 듀티 비)의 전환이다. 혹은, 동작 모드의 전환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통신모듈을 갖고 있는 케이스에 있어서, 통신모듈을 이용한 통신을 허용하는지 아닌지의 전환이다. 혹은, 소정 제어는, 제어부(51)로 카운트되고 있는 값(예를 들면, 퍼프 동작의 누적 회수, 1회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의 퍼프 동작의 누적 회수, 퍼프 동작 시리즈의 누적 회수 등)의 리셋 제어이어도 된다. 또한, 퍼프 동작 시리즈란, 소정 회수의 흡인 동작을 반복하는 일련의 동작인 것을 말한다. 혹은, 소정 제어는, 제어부(51)로 관리되고 있는 값(예를 들면, 퍼프 동작의 누적 회수, 1회의 퍼프 동작 시리즈에 있어서의 퍼프 동작의 누적 회수, 퍼프 동작 시리즈의 누적 회수, 전원(10)의 잔량, 에어로졸원의 잔량, 통신모듈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아닌지 등)을 발광소자(40)의 발광 태양에 의해 통지하는 제어이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충전기(300)는, 제2 전극(212)과 제3 전극(213)을 통해서, 전원(10)에 충전 전류를 공급한다. 이 대신에, 충전기(300)는, 제1 전극(211)과 제3 전극(213)을 통해서, 전원(10)에 충전 전류를 공급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전극(212)이, 충전기(300)로부터 전원(10)에 공급되는 충전 전류의 공급에 기여하지 않는 전극이 된다. 이와 같이, 충전기(300)로부터 전원(10)으로의 충전 전류는, 제3 전극(213)과,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의 한쪽만을 통해서 전원 어셈블리(110)에 공급되면 된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A)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10A 방향에서 본 전원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전원 어셈블리(110)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을 가진다.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은, 무화 어셈블리(120)의 전극 쌍(128)과 접속되는 전극은 아닌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제3 전극(213)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양쪽이, 충전기(300)의 전극 쌍(33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은, 제1 케이스(110X)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은, 제1 케이스(110X)의 비흡구단(E2)의 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211)의 노출부는, 제1 케이스(110X)의 비흡구단(E2)측의, 길이방향 A로 향한 면에 위치한다. 제2 전극(212)의 노출부는, 제1 케이스(110X)의 비흡구단(E2)측의, 길이방향 A로 향한 면에 위치한다. 제1 전극(211)의 노출부의, 길이방향 A에 있어서의 비흡구단(E2)측의 단면은, 제2 전극(212)의 노출부의, 길이방향 A에 있어서의 비흡구단(E2)측의 단면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즉, 제1 전극(211)의 노출부와 제2 전극(212)의 노출부는, 제1 케이스(110X)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한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전극(211)의 노출부의 단면과 제2 전극(212)의 노출부의 단면은, 서로 단차가 부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금속편이나 금속플레이트와 같은 도전체가 뜻밖으로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노출부를 서로 도통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단차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단차는, 유저의 손가락에 의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을 용이하게 도통시킬 수 있는 정도이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단차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예의 대신에, 해당 단차는, 제2 전극(212)의 노출부의, 길이방향 A에 있어서의 비흡구단(E2)측의 단면이, 제1 전극(211)의 노출부의, 길이방향 A에 있어서의 비흡구단(E2)측의 단면보다도 돌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50)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어회로(50)는, 적어도 전원(10)으로부터 무화부(80)로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1)를 가진다. 검지부(52)는, 제1 전극(211)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선과, 제2 전극(212)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선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2는, 제어회로(50)에 있어서 충전 중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충전기(300)의 홀더(320)에 끼워진 때, 전원 어셈블리(110)의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이, 충전기(300)측의 전극 쌍(33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충전기(300)는,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을 통해서, 전원 어셈블리(110)의 전원(10)에 충전 전류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전원(10)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충전 시에 있어서의 전류의 흐름 방향이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회로(50)는, 충전기(300)에 의해 전원(10)을 충전할 때에, 검지부(52)에 충전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류소자(54)를 가지고 있다. 정류소자(54)는 애노드(55) 및 캐소드(56)를 구비하고 있다. 애노드(55)는 검지부(52)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캐소드(56)는,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중, 충전기(300)에 의한 충전 시에 양극이 되는 전극과 전기 접속된다. 이에 의해, 충전 시의 대전류가 검지부(5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50)에 있어서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 시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예를 들면 유저의 손가락과 같은 외부요소(500)가,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에 동시에 접촉한 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이 서로 도통된다. 이때, 전원(10)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 사이에 소정 전류가 흐른다. 이 소정 전류는,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에 있어서, 충전 전류와는 역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도 13에서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 시에 있어서의 소정 전류의 방향이,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 있다.
제어회로(50)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충전기(300)가 전원(10)을 충전할 때에 제2 전극(212)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충전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인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검지부(52)를 가진다. 검지부(52)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 사이에 흐르는 소정 전류의 유무를 검지해도 된다. 이 대신에, 검지부(52)는, 충전 중의 전류 방향과,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 시의 전류 방향과의 차이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검지부(52)가 충전 전류와는 역방향의 소정 전류를 검지함으로써,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을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가,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을 동시에 만졌는지 어떤지를 검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에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2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충전 중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도통 시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어회로(50)는, 적어도 전원(10)으로부터 무화부(80)로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1)와, 충전 전류와는 역방향의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검지부(52)를 가진다. 정류소자(54)는, 제어부(51) 및 검지부(52)를 통해, 제1 전극(211)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선과, 제2 전극(212)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선에 접속되어 있다. 정류소자(54)는 애노드(55) 및 캐소드(56)를 구비하고 있다. 애노드(55)는 검지부(52)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캐소드(56)는,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중, 충전기(300)에 의한 충전 시에 양극이 되는 전극과 전기 접속된다. 이에 의해, 충전 시의 대전류가 검지부(52)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검지부(52)는, 충전기(300)가 전원(10)을 충전할 때에 제2 전극(212)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충전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인 소정 전류를 검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51) 및 검지부(52)는, 기계적으로 동일 장소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어부(51) 및 검지부(52)는, 동일한 기판에 실장 가능하여, 제어회로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제4 실시형태]
이하에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해서 주로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와 동일하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충전기(300)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충전 중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도통 시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제어회로(50)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충전기(300)는, 충전용의 전극 쌍(332)에 더해, 다른 전극(333)을 가진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충전기(300)의 홀더에 삽입한 때에, 전원 어셈블리(110)의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이, 충전용의 전극 쌍(3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충전에 기여하지 않는 제1 전극(211)은, 충전기(300)의 전극(3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충전기(300)는, 충전용의 전극 쌍(332) 중의 한쪽과, 전극(333)을, 도통 상태와 비도통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전환수단(350)을 구비한다. 전환수단(350)은, 예를 들면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치는, 예를 들면, 충전기(300)의 케이스(310)에 설치된 누름 버튼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시에는, 충전용의 전극 쌍(332) 중의 한쪽과, 전극(333)이, 비도통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충전기의 2차 전지(330)가,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을 통해서 제2 전극(212) 및 제3 전극(2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전원(10)을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기(300)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충전용의 전극 쌍(332) 중의 한쪽과, 전극(333)이, 도통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이 도통된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제2 전극(212)인 곳에 있어서, 충전 전류와는 역방향의 소정 전류가 흐른다. 제어회로(50)의 검지부(52)는, 이 충전 전류와는 역방향의 소정 전류를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전기(300)를 이용하여,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을 검지할 수 있다.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도통 검지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 인증이나 모드 전환 동작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이 도통된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충전기의 2차 전지(330)는, 전원(10)과 도통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이 도통된 상태에서는, 전원(10)으로의 충전이 중지된다.
[제5 실시형태]
이하에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9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화살표 20A 방향에서 본 전원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전원 어셈블리(110)에 형성된 대기에 연통하는 개구(214)의 위치가,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개구(214)는, 제1 케이스(110X)의 측면이 아니라, 제1 케이스(110X)의 비흡구단(E2)측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구(214)는, 제2 전극(212)과 제3 전극(213)을 절연하는 절연부재(215)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센서(2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센서(20)는,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을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공동(106)에 연통하는 개구(214)가 제1 케이스(110X)의 비흡구단(E2)측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유저의 손가락이, 제1 케이스(110X)의 비흡구단(E2)측의 단면에서 오목한 위치에 있는 제2 전극(212)을 누를 때에는 동시에 유저의 손가락에 의해 개구(214)도 폐색되게 되며, 이러한 폐색(閉塞)에 의해 공기류가 생김으로써 제2 공동(106)의 내압이 상승한다. 바꿔 말하면, 센서(20)는, 유저가 제2 전극(212)을 만진다고 하는 동작을 검지할 수 있다.
제어회로(50)는, 충전기(300)가 전원(10)을 충전할 때에 제2 전극(212)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소정 전류를 검지하고, 또한 유저가 제2 전극(212)을 만진다고 하는 동작을 센서(20)가 검지한 때에, 상술한 소정 제어를 행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정류소자(54)는 제1 실시형태의 제어회로(50)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향미원으로서 담배원(131)을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향미원은, 담배 재료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더 나아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향미원을 갖고 있지 않고, 에어로졸원에 향끽미(香喫味) 성분이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로졸원을 저장하는 리저버(60)가 공질체인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저버(60)는, 액상의 에어로졸원을 수용하는 탱크여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가 캡슐유닛(130)을 가진 케이스를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향미원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2)의 적어도 한쪽이, 전원(1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300)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었다. 이에 더해, 전원 어셈블리(110)의 제1 전극 쌍(118), 즉 무화부(8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극 쌍이, 충전기(300)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전원 어셈블리(110)와 무화 어셈블리(120)가, 나선 모양의 홈과 나선 모양의 돌기에 의해 서로 나합(나사식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어셈블리(110)의 제1 케이스(110X)에 형성된 돌기 모양의 리브와, 무화 어셈블리(120)의 제2 케이스(120X)에 형성된 오목부의 계합에 의해, 전원 어셈블리(110)와 무화 어셈블리(120)가 서로 계합 가능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20)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무화부(80)가 제어된다. 이 대신에, 유저가 누름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무화부(80)가 제어, 즉 에어로졸원이 무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무화 어셈블리(120)의 흡구단(E1)측에는, 유저에 의해 입에 물리는 마우스피스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대신에, 마우스피스는, 무화 어셈블리(1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마우스피스와 무화 어셈블리(120)는, 일체로서 교환된다.

Claims (26)

  1.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를 포함하는 무화 어셈블리와,
    상기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전원 어셈블리,
    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어셈블리는, 상기 무화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고,
    상기 충전기가 상기 전원을 충전할 때에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인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되는 상기 소정 전류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셈블리는, 상기 전원을 수용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인 제1 전극 쌍을 가진 제1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무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고, 상기 무화부를 수용하며, 제2 전극 쌍을 가진 제2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 쌍과 상기 제2 전극 쌍이 접촉한 때에, 상기 제1 전극 쌍과 제2 전극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계합하기 위한 계합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과 제2 전극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외부요소에 의해 도통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과 상기 제2 전극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케이스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과 상기 제2 전극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외부요소에 의한 상기 제1 전극 쌍 사이의 도통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과 상기 제2 전극 쌍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쌍 중 적어도 한쪽 전극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노출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 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노출부와 상기 제2 전극의 노출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을 향한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의 노출부의 단면과 상기 제2 전극의 노출부의 단면 사이에 단차가 부여되어 있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양쪽이,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통해서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충전이 행해지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충전기에 의해서 상기 전원을 충전할 때에, 상기 검지부에 충전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류소자를 가지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정류소자는 애노드 및 캐소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애노드는 상기 검지부에 전기 접속되어 있고,
    상기 캐소드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상기 충전기에 의한 충전 시에 양극이 되는 전극과 전기 접속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4.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한쪽을 통해서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충전이 행해지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5.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는 다른 제3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한쪽만을 통해서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충전 전류가 공급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중,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에 공급되는 충전 전류의 공급에 기여하지 않는 전극은,
    상기 충전기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든지,
    상기 충전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저해하는 인슐레이터를 통해서 상기 충전기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든지,
    상기 충전기와 전기적인 접속을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으로의 충전 전류의 공급에 기여하지 않는 전극이든지,
    의 어느 것인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7.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무화부로의 전력을 제어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가 검지한 상기 소정 전류의 기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소정 제어를 행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9. 청구항 17 또는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소정 전류를 소정 기간 내에 복수 회 검지한 때에, 상기 제어회로가 소정 제어를 행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20. 청구항 18 또는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소정 전류를 연속적으로 소정 시간 이상 검지한 때에는,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소정 제어를 중지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21. 청구항 17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외부요소에 의해 발생한 상기 소정 전류를 검지한 때에,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외부요소의 전기저항값의 크기에 근거하여 소정 제어를 행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22. 청구항 17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전원의 충전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고,
    상기 전원의 충전을 검지한 때,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소정 전류의 검출 결과에 관계없이 소정 제어를 행하지 않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23. 청구항 1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와 착탈 가능하고,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충전 전류를 공급 가능한 충전기를 구비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기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3 전극 쌍을 가지며,
    상기 충전기와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장착된 때에 상기 제3 전극 쌍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제3 전극 쌍을 구성하는 전극끼리가 도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정 전류를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 쌍을 구성하는 전극끼리의 상태를, 도통 상태와 비도통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전환수단을 상기 충전기가 구비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
  26. 연소를 동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무화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과,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이며,
    상기 충전기가 상기 전원을 충전할 때에,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제2 전극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는 역방향의 전류인 소정 전류를 검지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전원 어셈블리.
KR1020187017179A 2015-12-22 2015-12-22 전원 어셈블리,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 KR102132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5879 WO2017109868A1 (ja) 2015-12-22 2015-12-22 電源アセンブリ、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916A true KR20180083916A (ko) 2018-07-23
KR102132104B1 KR102132104B1 (ko) 2020-07-08

Family

ID=5908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179A KR102132104B1 (ko) 2015-12-22 2015-12-22 전원 어셈블리,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80296779A1 (ko)
EP (1) EP3391760B1 (ko)
JP (1) JP6744330B2 (ko)
KR (1) KR102132104B1 (ko)
CN (1) CN108471804B (ko)
CA (1) CA3009050C (ko)
EA (1) EA036828B1 (ko)
HK (1) HK1258059A1 (ko)
TW (1) TWI643565B (ko)
WO (1) WO20171098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666B1 (ko) * 2020-02-05 2021-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함께 이용되는 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5631A1 (en) 2005-07-19 2016-12-01 James Monsees Portable devices for generating an inhalable vapor
US10279934B2 (en) 2013-03-15 2019-05-07 Juul Labs, Inc.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PL3498115T3 (pl) 2013-12-23 2021-12-20 Juul Labs International Inc. Systemy urządzeń do odparowywania
US10159282B2 (en) 2013-12-23 2018-12-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use with a vaporizer device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20160366947A1 (en) 2013-12-23 2016-12-22 James Monsees Vaporizer apparatus
USD825102S1 (en) 2016-07-28 2018-08-07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cartridge
US10076139B2 (en) 2013-12-23 2018-09-18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USD842536S1 (en) 2016-07-28 2019-03-05 Juul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CN112155255A (zh) 2014-12-05 2021-01-01 尤尔实验室有限公司 校正剂量控制
MX2018009703A (es) 2016-02-11 2019-07-08 Juul Labs Inc Cartuchos de fijacion segura para dispositivos vaporizadores.
DE202017007467U1 (de) 2016-02-11 2021-12-08 Juul Labs, Inc. Befüllbare Verdampferkartusche
US10405582B2 (en) 2016-03-10 2019-09-10 Pax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with lip sensing
USD849996S1 (en) 2016-06-16 2019-05-28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D851830S1 (en) 2016-06-23 2019-06-18 Pax Labs, Inc. Combined vaporizer tamp and pick tool
USD836541S1 (en) 2016-06-23 2018-12-25 Pax Labs, Inc. Charging device
TWI758468B (zh) * 2017-05-02 2022-03-2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電操作的氣溶膠生成系統、電操作的氣溶膠生成裝置以及充電單元
US11278058B2 (en) 2017-08-28 2022-03-22 Juul Labs, Inc. Wick for vaporizer device
USD887632S1 (en) 2017-09-14 2020-06-16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KR20200043473A (ko) 2017-09-27 2020-04-2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유닛 및 향미 흡인기
JP7187792B2 (ja) * 2018-03-22 2022-12-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時計、液晶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01805234D0 (en) * 2018-03-29 2018-05-16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0888125B2 (en) 2018-06-27 2021-01-12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subassemblies
CN116898146A (zh) * 2018-06-27 2023-10-20 尤尔实验室有限公司 蒸发器装置
EA202190124A1 (ru) * 2018-07-03 2021-05-28 ДжейТи ИНТЕРНЕШНЛ СА Аппарат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генерирующим пар
US20200077700A1 (en) * 2018-09-07 2020-03-12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cigarette anti-roll case
CN111096488A (zh) * 2018-10-26 2020-05-05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非燃烧式吸取器的电源单元、雾化单元以及非燃烧式吸取器
WO2020097080A1 (en) 2018-11-05 2020-05-14 Juul Labs, Inc. Cartridges for vaporizer devices
EP3876760A1 (en) 2018-11-08 2021-09-15 Juul Labs, Inc. Cartridges for vaporizer devices
EP3945893A4 (en) * 2019-04-04 2022-11-09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DEVICE FOR HEATING AEROSOLABLE MATERIAL AND METHOD OF PLACING A DEVICE
JP6683866B1 (ja) * 2019-07-17 2020-04-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診断方法、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診断プログラム
JP7244664B2 (ja) * 2019-09-25 2023-03-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82033B1 (ja) * 2019-11-05 2020-04-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
KR102337231B1 (ko) * 2020-02-07 2021-12-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34425B1 (ko) * 2020-04-14 2022-08-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17693A (ko) * 2020-12-04 2023-08-09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836A (ja) * 1995-07-12 1997-01-28 Uniden Corp 停電検出機能を備えたコードレス電話機
JP2011087569A (ja) * 2009-05-15 2011-05-06 Jbs:Kk 電子タバコ、および充電ユニット
JP2014150704A (ja) 2013-02-04 2014-08-21 Toyota Industries Corp 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US20140299137A1 (en) * 2013-04-05 2014-10-09 Johnson Creek Enterprises, LLC Electronic cigarett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5534458A (ja) * 2012-08-24 2015-12-0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充電デバイスを含むポータブル電子システムおよび二次電池を充電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5559B2 (ja) * 2006-06-06 2013-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異常判定方法および電池パック
ES2676428T3 (es) * 2011-12-18 2018-07-19 Nu Mark Innovations Ltd Sistema de carga para cigarrillo electrónico que comprende un cigarrillo electrónico con un contacto eléctrico magnético en forma de un anillo exterior
WO2013189050A1 (zh) * 2012-06-20 2013-12-27 Liu Qiuming 电子烟盒
CN103181622B (zh) * 2013-04-10 2015-04-22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电热气流式吸烟系统
US10098383B2 (en) * 2013-08-15 2018-10-16 Fontem Holdings 4 B.V.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witchless detection and charging
CN203434706U (zh) * 2013-08-30 2014-02-12 向智勇 一种电子烟充放电电路、电池组件以及电子烟
GB2524736B (en) * 2014-03-31 2021-02-24 Nicoventures Holdings Ltd Re-charging pack for an e-cigarette
CN103989255A (zh) * 2014-04-30 2014-08-20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和用于电子烟的电池装置、供电组件以及组装方法
CN103989253A (zh) * 2014-05-29 2014-08-20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无线感应烟灰缸
GB2528711B (en) * 2014-07-29 2019-02-20 Nicoventures Holdings Ltd E-cigarette and re-charging pack
CN204579890U (zh) * 2015-02-12 2015-08-26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控制电路
US20220046997A1 (en) * 2018-11-02 2022-02-17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JP6905134B1 (ja) * 2020-09-07 2021-07-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836A (ja) * 1995-07-12 1997-01-28 Uniden Corp 停電検出機能を備えたコードレス電話機
JP2011087569A (ja) * 2009-05-15 2011-05-06 Jbs:Kk 電子タバコ、および充電ユニット
JP2015534458A (ja) * 2012-08-24 2015-12-0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充電デバイスを含むポータブル電子システムおよび二次電池を充電する方法
JP2014150704A (ja) 2013-02-04 2014-08-21 Toyota Industries Corp 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US20140299137A1 (en) * 2013-04-05 2014-10-09 Johnson Creek Enterprises, LLC Electronic cigarett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666B1 (ko) * 2020-02-05 2021-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함께 이용되는 카트리지
WO2021157845A1 (en) * 2020-02-05 2021-08-12 Kt&G Corporation Cartridge used together with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918047B2 (en) 2020-02-05 2024-03-05 Kt&G Corporation Cartridge used together with aerosol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44330B2 (ja) 2020-08-19
JPWO2017109868A1 (ja) 2018-09-13
CN108471804A (zh) 2018-08-31
CN108471804B (zh) 2021-03-05
TWI643565B (zh) 2018-12-11
CA3009050A1 (en) 2017-06-29
CA3009050C (en) 2020-06-02
TW201735803A (zh) 2017-10-16
KR102132104B1 (ko) 2020-07-08
US20180296779A1 (en) 2018-10-18
EP3391760A4 (en) 2019-06-26
EA036828B1 (ru) 2020-12-24
EA201891492A1 (ru) 2018-12-28
EP3391760A1 (en) 2018-10-24
EP3391760B1 (en) 2021-02-03
WO2017109868A1 (ja) 2017-06-29
HK1258059A1 (zh)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104B1 (ko) 전원 어셈블리,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형 향미 흡인 시스템
CN111436657B (zh) 用于气雾剂吸入器的电源单元
US10798972B2 (en)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TWI702917B (zh) 電池單元、香味吸嚐器、控制電池單元的方法及程式產品
TWI714832B (zh) 電池單元、香味吸嚐器、控制電池單元的方法及電腦程式產品
US20150020831A1 (en) Charging electronic cigarette
CA3079160C (en) Battery unit, flavor inhaler,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unit, and program
CA3120541A1 (en) Charging control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11246339B2 (en) Cantilevered operating button for an electronic vapor provision system
CN111246754A (zh) 电池单元、香味吸入器、控制电池单元的方法以及程序
CN214962603U (zh) 电子雾化装置
KR20130002328U (ko)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속눈썹 고데 유닛 및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휴대 전화 연결 유닛
KR20240005036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40005885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EA041162B1 (ru) Батарейный бло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дыхания ароматизирующего вещества,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батарейным блоком и програм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