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506A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506A
KR20180082506A KR1020187016047A KR20187016047A KR20180082506A KR 20180082506 A KR20180082506 A KR 20180082506A KR 1020187016047 A KR1020187016047 A KR 1020187016047A KR 20187016047 A KR20187016047 A KR 20187016047A KR 20180082506 A KR20180082506 A KR 20180082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back side
longitudinal direction
waist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야스 요시오카
준 후카사와
노리코 나가세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adjustable by adding or removing material, e.g. umbilical cord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0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as umbilical bandage
    • A61F2013/150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as umbilical bandage for avoiding contact with umbilical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61F2013/5512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the disposal system being a bag or a pocket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diaper

Abstract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포함하고, 배측부(30); 등측부(40); 가랑이부(20); 몸통 둘레 개구(BH); 및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LH, LH)를 포함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가 제공된다. 상기 배측부(30)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는, 상기 등측부(40)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41BH)보다 상기 가랑이부(20) 쪽으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37)를 포함한다. 상기 등측부(40)의 비피부측면에는, 상기 기저귀(1)를 폐기할 때에 상기 기저귀(1)를 상기 세로 방향으로 작게 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테이프 부재(48)가, 상기 세로 방향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BH) 쪽으로 연장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37)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48)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본 개시 내용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각각,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포함한다. 또한, 동 기저귀는 각각, 착용자의 배측에 위치하는 배측부,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부, 및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를 포함한다. 배측부와 등측부는 가로 방향의 양단의 각 위치에서 연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세로 방향의 일방측에는 몸통 둘레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로 방향의 타단측에서는 배측부와 등측부가 가랑이부를 통해 연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가랑이부의 가로 방향의 양측에는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기저귀(1')의 사용 후에 이루어지는 폐기 처리의 설명도이다.
우선,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30')가 내측이 되도록 하면서 세로 방향의 가랑이부(20') 측으로부터 기저귀(1')를 세로 방향으로 말고, 이에 따라, 도 1b와 같이, 동 기저귀(1')를, 세로 방향의 크기가 작은 콤팩트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등측부(40')의 비피부측면에 마련된 후처리 테이프(48')를 몸통 둘레 개구(BH') 쪽으로 연장시키고, 이에 따라, 동 후처리 테이프(48')가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0BH', 40BH')를 세로 방향으로 넘어 연장된다. 이후에, 상기 가장자리부(30BH', 40BH')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1p')에, 후처리 테이프(48')의 세로 방향의 단부(48e')를, 동 단부(48e')의 점착층 등으로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귀(1')는 상기한 콤팩트 상태로 유지되어 폐기된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실용공고 평8-10305호
그러나, 기저귀(1')를 말 때에는, 소위 자동차에서 말하는 내륜차와 닮은 현상(이하, 내륜차 현상이라고 함)이 일어날 수 있다. 즉, 기저귀(1')를 가랑이부(20') 측으로부터 말 때에 배측부(30')를 내측으로 하는 점에서, 배측부(3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0BH')가 등측부(4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40BH')보다 세로 방향으로 크게 돌출되어 버린다. 그러면, 전자의 가장자리부(30BH')가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분만큼, 이들 가장자리부(30BH', 40BH')를 세로 방향으로 넘어 연장되도록 위치하는 기저귀의 부분(1p')이, 후처리 테이프(48')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멀어져 버린다. 그 결과, 상기 부분(1p')에 후처리 테이프(48')를 단단히 체결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개시 내용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저귀의 폐기에 사용하는 후처리 테이프 등의 테이프 부재를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에 단단히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양태는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포함하고, 배측부; 등측부; 가랑이부; 몸통 둘레 개구; 및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를 포함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배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등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가랑이부 쪽으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측부의 비피부측면에는, 상기 기저귀를 폐기할 때에 상기 기저귀를 상기 세로 방향으로 작게 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테이프 부재가, 상기 세로 방향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 쪽으로 연장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 내용에 의하면, 기저귀의 폐기에 사용되는 후처리 테이프 등의 테이프 부재가,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에 단단히 체결 가능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의 사용 후에 이루어지는 폐기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의 일례로서의 3 피스 타입의 기저귀(1)를 배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a는 전개 상태의 기저귀(1)를 피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를 등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화살표 B-B를 따른 개략 확대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를 폐기 처리하기 위해 동 기저귀(1)를 가랑이부(20) 측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마는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를 배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깊이(L37d)가 깊은 오목부(37)를 포함하는 기저귀(1)를 둘로 접는 경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깊이(L37d)가 얕은 오목부(37)를 포함하는 기저귀(1)를 둘로 접는 경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오목부(37)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각각의 후처리 테이프(48)가 가로 방향의 중앙부(CL40)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오목부(37)의 위치의 설명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포함하고, 배측부; 등측부; 가랑이부; 몸통 둘레 개구; 및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를 포함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배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등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가랑이부 쪽으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측부의 비피부측면에는, 상기 기저귀를 폐기할 때에 상기 기저귀를 상기 세로 방향으로 작게 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테이프 부재가, 상기 세로 방향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 쪽으로 연장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된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배측부의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에는, 등측부의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보다 가랑이부 쪽으로 세로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목부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기저귀를 폐기하기 위해 기저귀를 전술한 콤팩트 상태로 했을 때에, 만일 전술한 내륜차 현상이 생긴 경우라도, 이 오목부의 분만큼, 테이프 부재로부터,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세로 방향으로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부재를 세로 방향의 몸통 둘레 개구 쪽으로 연장했을 때에, 동 오목부를 통해, 전술한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에 테이프 부재를 도달시키기 쉬워진다. 그 결과, 테이프 부재를 상기 부분에 단단히 체결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 위치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테이프 부재를 세로 방향의 몸통 둘레 개구 쪽으로 연장했을 때에, 테이프 부재의 보다 많은 부분을 전술한 오목부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를 통해,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에 테이프 부재를 한층 더 도달시키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가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테이프 부재를 세로 방향의 몸통 둘레 개구 쪽으로 연장했을 때에, 테이프 부재의 가로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테이프 부재를 전술한 오목부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를 통해,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에 테이프 부재를 한층 더 도달시키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배측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저귀를 상기 세로 방향으로 둘로 접음으로써 상기 등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랑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단부가 서로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의 위치에서 중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가 상기 등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배측부의 전술한 오목부의 바닥부가 등측부의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보다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에 테이프 부재를 한층 더 도달시키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배측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저귀를 상기 세로 방향으로 둘로 접음으로써 상기 등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랑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단부가 서로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의 위치에서 중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가 상기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배측부의 전술한 오목부의 바닥부가 등측부의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보다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등측부의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뿐만 아니라, 배측부의 전술한 오목부의 바닥부에도, 테이프 부재를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바닥부를 포함하는 바닥부 함유 부분은, 상기 가랑이부의 상기 단부의 색과 상이한 색으로 피부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색 상이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기저귀를 세로 방향으로 작게 한 상태에서 오목부의 바닥부를 시인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기저귀를 폐기하는 작업자는, 기저귀에서 테이프 부재가 체결될 대상 부분을 잘못 아는 일 없이, 상기 오목부를 통해 테이프 부재를 기저귀에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등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오목부가 배측부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자의 배꼽에 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배꼽에 기저귀를 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예컨대, 신생아의 배꼽이 습윤되어 있는 경우나 출혈 방지용의 클립이 배꼽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이 기저귀가 적합한 기저귀이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는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귀는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으로 수축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축력이 전혀 부여되지 않는 것으로 가상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오목부의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가 흡수성 코어의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의 치수는 기저귀가 착용자의 배꼽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필요 최소한의 크기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귀의 몸통 둘레 개구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부분은 피부에 대한 우수한 피트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오목부 함유 부분의 시트의 적층 장수는,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함유 부분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시트의 적층 장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배측부에 있어서의 오목부 함유 부분의 강성은 높게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오목부가 변형되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오목부를 통해,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에 테이프 부재를 보다 도달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배측부에 있어서 오목부 함유 부분의 가로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강성은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분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 시에 기저귀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기저귀는 용이하게 폐기된다.
=== 본 실시형태===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의 일례로서의 3 피스 타입의 기저귀(1)를 배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a는 전개 상태의 기저귀(1)를 피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동 기저귀(1)를 등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화살표 B-B를 따른 개략 확대도이다.
이 기저귀(1)는, 도 2의 팬츠형 상태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으로서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과 두께 방향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 팬츠형 상태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을 각각 "몸통 둘레 개구측" 및 "가랑이측"이라고도 하고, 두께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을 각각 "배측" 및 "등측"이라고도 한다.
도 3a 및 도 3b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도,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으로서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과 두께 방향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 전개 상태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을 각각 "배측" 및 "등측"이라고도 하고, 두께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을 각각 "피부측" 및 "비피부측"이라고도 한다.
또한, 팬츠형 상태에서의 가로 방향은 전개 상태에서의 가로 방향과 서로 동의어이다. 한편, 전개 상태의 세로 방향은 팬츠형 상태의 세로 방향을 따르고 있고, 전개 상태의 두께 방향은 팬츠형 상태의 두께 방향을 따르고 있다.
이 기저귀(1)는 소위 3 피스 타입이며, 이에 따라, 도 3a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제1 부품으로서,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10)를 포함하고, 제2 부품으로서 배측 띠 부재(31)를 포함하고, 제3 부품으로서 등측 띠 부재(41)를 포함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배측 띠 부재(31)와 등측 띠 부재(41)가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들 양 부재(31, 41)에 걸쳐 흡수성 본체(10)가 연장되어 있다. 동 흡수성 본체(10)의 세로 방향의 각 단부(10ea, 10eb)는 각각 가장 가까운 띠 부재(31, 41)에 접합 고정되어 있어, 그 외관 형상은 평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H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H 형상을 갖는 이러한 전개 상태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세로 방향의 소정 위치(CL10)(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기저귀(1)의 중앙 위치(CL1)에 상당하는 위치)를 접음 위치로 하여 동 흡수성 본체(10)가 둘로 접힌다. 이 둘로 접은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띠 부재(31, 41)끼리가 가로 방향의 각 단부(31e, 41e)에서 용착 등으로 접합되면, 이들 띠 부재(31, 41)끼리가 환상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몸통 둘레 개구(BH) 및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LH, LH)가 형성된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가 된다.
이 팬츠형 상태(도 2)에서, 기저귀(1)는, 전술한 것과 상이한 단위의 3개의 구분된 부분(20, 30, 40)으로 파악될 수 있다. 즉, 동 기저귀(1)를, 두께 방향에 관하여 착용자의 배측에 위치하는 배측부(30), 동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하는 등측부(40), 및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20)의 3개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의 배측부(30)는, 배측 띠 부재(31)와, 흡수성 본체(10) 중에서 배측 띠 부재(31)와 중복되는 부분(10p1)을 포함하고, 가랑이부(20)는, 흡수성 본체(10) 중에서 배측 띠 부재(31) 및 등측 띠 부재(41)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10p3)을 포함하고, 등측부(40)는, 등측 띠 부재(41)와, 흡수성 본체(10) 중에서 등측 띠 부재(41)와 중복되는 부분(10p2)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기저귀(1)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16, 18, 35, 45)에 의한 수축력이 전혀 없는 것으로 가상하여 기저귀(1)가 펼쳐진 상태를 "형지(paper pattern) 상태"라고 한다. 또한, 기저귀(1)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 즉, 동 기저귀(1)가 전술한 탄성 부재(16, 18, 35, 45)의 수축력에 의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수축한 상태를 "자연 상태"라고 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전개 상태의 기저귀(1)를 형지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3a 및 도 3b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는, 평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이 세로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는 또한 흡수체(11), 동 흡수체(11)를 피부측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된 톱 시트(13), 및 동 흡수체(11)를 비피부측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된 백 시트(15)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11)는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11c)와, 동 코어(11c)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11c)는, 소정 형상의 일례로서 평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으로 형성된 소정의 액체 흡수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액체 흡수성 소재로는,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나,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 등의 액체 흡수성 입상물을 예시할 수 있다. 코어 랩 시트에는, 티슈 페이퍼나 부직포 등의 액 투과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랩 시트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코어(11c)의 형상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의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톱 시트(13)는 흡수체(11)로부터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평면 사이즈를 갖는 부직포 등의 액 투과성의 시트이다. 백 시트(15)도, 흡수체(11)로부터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평면 사이즈를 갖는 시트이다. 그 일례로는, 이층 구조의 라미네이트 시트(15)를 들 수 있다(도 3b). 라미네이트 시트(15)는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액 불투과성의 샘 방지 시트(15a); 및 샘 방지 시트(15a)의 비피부측에 부착된 부직포제의 외장 시트(15b)를 포함한다. 이들 톱 시트(13)와 백 시트(15) 사이에 흡수체(11)를 끼운 상태에서, 흡수체(11)로부터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서 이들 양 시트(13, 15)끼리가 예컨대 액자형으로 접착이나 용착 등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흡수성 본체(10)가 형성된다. 백 시트(15)는 외장 시트(15b)를 포함하지 않고, 샘 방지 시트(15a)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예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흡수체(11)보다 가로 방향의 외측의 부분(10LG)에, 각각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레그 개더(LG)를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레그 개더(LG)는 다리 둘레 개구(LH)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레그 개더(LG)의 신축성의 부여는, 전술한 부분(10LG)에, 세로 방향을 따라 실고무 등의 탄성 부재(16)를 세로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서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전술한 부분(10LG)에는 탄성 부재(16)로부터 세로 방향의 수축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연 상태에 있어서는, 각 부분(10LG)이 복수의 접힘을 형성하면서 세로 방향으로 수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힘이 완전히 펴지기까지의 신축성이 레그 개더(LG)에 부여되어 있다.
이 예와 같이, 레그 개더(LG)보다 가로 방향의 내측의 위치에 한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LSG, LSG)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레그 사이드 개더(LSG)는 입체 개더라고도 불리며, 배설물의 가로 방향의 샘을 방지하기 위해 톱 시트(13)의 피부측면으로부터 기립한다. 즉, 톱 시트(13)의 피부측면에는 부직포제의 레그 사이드 개더 시트(17)가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17)의 일부(도시되지 않음)가 톱 시트(13)에 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동 시트(17)에 있어서 상기 일부보다 가로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17LSG)이 기립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내측의 부분(17LSG)의 기립의 실현은, 동 내측의 부분(17LSG)에 세로 방향을 따라 실고무 등의 탄성 부재(18)가 세로 방향으로 신장하에서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내측의 부분(17LSG)에는 전술한 탄성 부재(18)로부터 세로 방향의 수축력이 부여되어 있고, 이에 따라, 내측의 부분(17LSG)이 복수의 접힘을 형성하면서 세로 방향으로 수축한다. 그 결과, 내측의 부분(17LSG)은 톱 시트(13)의 피부측면으로부터 기립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띠 부재(31)는, 평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며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를 소재로 한 시트 부재이다. 이 예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32, 33)를 2장 겹쳐 접합함으로써 배측 띠 부재(31)를 형성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띠 부재(31)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가,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배측의 단부(10ea)에 비피부측으로부터 중첩되어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배측 띠 부재(31)에서, 흡수성 본체(10)로부터 가로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단부(31eL)(도 3a)는 다리 둘레 개구(LH)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을 따른 실고무 등의 복수 개의 탄성 부재(35, 35 …)가 배측 띠 부재(31)에 관련된 2장의 부직포(32, 33)끼리의 사이에 개재된 채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가로 방향으로 신장하에서 동 부직포(32, 33)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측 띠 부재(31)에는 가로 방향의 수축력이 부여되어 있다. 즉, 배측 띠 부재(31)에는 가로 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띠 부재(31)에 있어서 흡수체(11)와 중복되는 부분(예컨대,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관해서는, 흡수체(11)의 주름의 발생을 막기 위해, 탄성 부재(35)가 비연속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부분에 관해서는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예에서는, 후술하는 오목부(37)와 세로 방향의 위치가 동일한 탄성 부재(35)에 관해서도, 상기 오목부(37)의 위치에서 비연속으로 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측 띠 부재(41)는, 평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며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를 소재로 한 시트 부재이다. 이 예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42, 43)를 이층 구조로 접합함으로써 등측 띠 부재(41)가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측 띠 부재(41)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가,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등측의 단부(10eb)에 비피부측으로부터 중첩되어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등측 띠 부재(41)에서, 흡수성 본체(10)로부터 가로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단부(41eL)(도 3a)는 다리 둘레 개구(LH)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을 따른 실고무 등의 복수 개의 탄성 부재(45, 45 …)가 등측 띠 부재(41)에 관련된 2장의 부직포(42, 43)끼리의 사이에 개재된 채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가로 방향으로 신장하에서 동 부직포(42, 43)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등측 띠 부재(41)에는 가로 방향의 수축력이 부여되어 있다. 즉, 등측 띠 부재(41)에는 가로 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측 띠 부재(41)에 있어서 흡수체(11)와 중복되는 부분(예컨대,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관해서는, 흡수체(11)의 주름의 발생을 막기 위해, 탄성 부재(45)가 비연속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부분에 관해서는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측 띠 부재(41)의 비피부측면에는 후처리 테이프(48)(테이프 부재에 상당)가 마련되어 있다. 후처리 테이프(48)는 사용 후의 기저귀(1)를 폐기할 때에 사용된다. 즉, 폐기 시에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배측부(3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세로 방향의 가랑이부(20) 쪽으로부터 기저귀(1)를 세로 방향을 따라 마는 것에 의해, 도 5b와 같이, 기저귀(1)를 세로 방향의 크기가 작은 콤팩트 상태로 한다. 후처리 테이프(48)는 기저귀(1)를 이 콤팩트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후처리 테이프(48)는 세로 방향을 따라 긴 띠 형상 부재를 본체로서 포함한다. 동 후처리 테이프(48)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각각 기저귀(1)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에서, 후처리 테이프(48)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48e1)가, 등측 띠 부재(41)의 비피부측면에 접착제(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박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또한, 후처리 테이프(48)의 타단부(48e2)는, 도 5b와 같은 콤팩트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개구(BH) 쪽으로 연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테이프(48)의 타단부(48e2)의 점착층(48A)을, 이 콤팩트 상태에 있어서 몸통 둘레 개구(BH)를 넘어 위치하는 기저귀의 부분(1p)에 체결함으로써, 기저귀(1)를 콤팩트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사용의 후처리 테이프(48)는, 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Z 자형으로 절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Z 자형으로 절첩된 상태의 후처리 테이프(48)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는, 박리 가능한 점착 강도의 점착층(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고, 이에 따라, 후처리 테이프(48)는 Z 자형의 절첩 상태로 가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타단부(48e2)의 선단부가 되접혀 형성된 손잡이부(48e2t)(도 4b)를, 도 4a의 2점 쇄선과 같이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전술한 점착층에 의한 면끼리의 밀착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동 테이프(48)를, 도 5b와 같이 세로 방향의 몸통 둘레 개구(BH) 쪽으로 신속히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48)의 소재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소재를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테이프(48)의 소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소재는 종이 등의 펄프 소재여도 좋다. 또한, 테이프(48)의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양면에 평활면을 가진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테이프(48)의 형태는 부직포나 직포 등의 섬유 집합체여도 좋다. 또한, 타단부(48e2)의 점착층(48A) 대신에,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의 후크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이 예에서, 이 테이프(48) 자신은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비신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테이프(48)는, 이 테이프(48) 자신이 고무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테이프(48)가 신축성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테이프(48) 자신이 길이 방향으로 수축함으로써, 미사용 시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은 콤팩트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테이프(48)는 전술한 테이프(48)의 예와 같은 Z 자형으로 절첩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절첩 형태도 전술한 Z 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절첩 형태는 둘로 접은 V 자형이어도 좋고, 넷으로 접은 W 자형이어도 좋고, 혹은 테이프(48)가 W 자형보다 많은 절곡 횟수로 절첩해도 좋다.
이상, 기저귀(1)의 주된 구성 부품(10, 31, 41)에 관하여 설명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1)를 폐기할 때에 전술한 내륜차 현상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 가능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즉, 도 5b의 콤팩트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후처리 테이프(48)를,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 41BH)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1p)에 단단히 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하, 이 고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를 배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이 팬츠형 상태 또한 자연 상태(또는 형지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배측부(30)에 속하는 배측 띠 부재(31)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는, 등측부(40)에 속하는 등측 띠 부재(41)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41BH)보다 가랑이부(20) 쪽으로 세로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37)를 포함하고 있다. 즉, 후자의 가장자리부(41BH)는 가로 방향을 따르고 있고 전자의 가장자리부(31BH)도 기본적으로는 가로 방향을 따르고 있지만, 상기 전자의 가장자리부(31BH)는 가로 방향의 소정 위치에 오목부(37)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오목부(37)의 유무의 확인은, 배측부(30)와 등측부(40)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기저귀(1)를 책상 등의 평면 상에 놓고 동 기저귀(1)를 평탄하게 한 상태에서, 동 기저귀(1)를 두께 방향의 배측으로부터 봄으로써 행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오목부(37)가, 형지 상태에 있어서는 원호형으로 만곡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형지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37)의 세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L37d)는, 예컨대 10 mm∼30 mm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이 예에서는 15 mm이다. 오목부(37)의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L37w)는, 예컨대 50 mm∼100 mm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이 예에서는 85 mm이다.
또한, 도 6에는, 후처리 테이프(48)를 가상적으로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오목부(37)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테이프(48)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오목부(37)는, 등측부(40)에 속하는 등측 띠 부재(41)의 비피부측면 중에서 후처리 테이프(48)가 고정되는 부분과 가로 방향의 위치를 대응시켜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37)는 상기 후처리 테이프(48)와 가로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있다.
따라서, 도 5b와 같이 기저귀(1)를 말아 콤팩트 상태로 했을 때에, 만일 전술한 내륜차 현상이 생긴 경우라도, 이 오목부(37)의 분만큼, 후처리 테이프(48)로부터, 전술한 가장자리부(31BH, 41BH)를 세로 방향으로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1p)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후처리 테이프(48)를 세로 방향의 몸통 둘레 개구(BH) 쪽으로 연장했을 때에, 전술한 오목부(37)에 후처리 테이프(48)의 적어도 일부를 넣음으로써, 상기 오목부(37)를 통해, 전술한 가장자리부(31BH, 41BH)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1p)에 후처리 테이프(48)를 도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후처리 테이프(48)를 상기 기저귀의 부분(1p)에 단단히 체결 가능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예에서는, 자연 상태(또는 형지 상태)에 있어서, 후처리 테이프(48)의 가로 방향의 중앙 위치(CL48)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37)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후처리 테이프(48)를 세로 방향의 몸통 둘레 개구(BH) 쪽으로 연장했을 때에, 상기 후처리 테이프(48)의 보다 많은 부분을 전술한 오목부(37)에 넣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목부(37)를 통해,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 41BH)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1p)에, 후처리 테이프(48)를 한층 더 도달시키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후처리 테이프(48)의 상기 중앙 위치(CL48)가, 가로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37)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예에서는, 자연 상태(또는 형지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37)의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L37w)가 후처리 테이프(48)의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L48w)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후처리 테이프(48)를 세로 방향의 몸통 둘레 개구(BH) 쪽으로 연장했을 때에, 후처리 테이프(48)의 가로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후처리 테이프(48)를 전술한 오목부(37)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37)를 통해,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 41BH)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1p)에, 후처리 테이프(48)를 한층 더 도달시키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후처리 테이프(48)의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L48w)가 오목부(37)의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L37w)보다 크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예에서는, 후처리 테이프(48)가 등측 띠 부재(41)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 대응시켜, 전술한 오목부(37)가 배측 띠 부재(31)의 전술한 가장자리부(31BH)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배꼽에 기저귀(1)를 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귀(1)를 착용자의 배꼽에 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예컨대, 신생아의 배꼽이 습윤되어 있는 경우나 출혈 방지용의 클립이 배꼽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기저귀(1)를 적합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3a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c)가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가로 방향의 치수를, 동 코어(11c)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양단부와 중앙부에서 비교한 경우에, 전자의 가로 방향의 치수 쪽이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는, 상기 양단부에 있어서 최대치(L11cw)로 되어 있지만, 여기서, 전술한 형지 상태에 있어서는, 오목부(37)의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L37w)가 흡수성 코어(11c)의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L11cw)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37)의 가로 방향의 치수를, 기저귀(1)가 착용자의 배꼽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필요 최소한의 크기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귀(1)의 몸통 둘레 개구(BH)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부분은 피부에 대한 우수한 피트성을 발휘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30)를 내측으로 하여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를 세로 방향으로 둘로 접음으로써, 등측부(4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41BH)와, 가랑이부(20)의 세로 방향의 단부(20e)가, 서로의 가로 방향의 중앙의 위치에서 중복된 상태로 했을 때에, 전체로서 배측부(3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는, 내륜차 현상에 기초하여 등측부(4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41BH)보다 세로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 경우에도, 이 예에서는, 오목부(37)의 바닥부(37b)에 관해서는, 등측부(4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41BH)보다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오목부(37)의 세로 방향의 깊이(L37d)(도 6)는, 오목부(37)가 등측부(4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41BH)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그러한 깊이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기저귀(1)를 말거나 하여 세로 방향으로 작은 콤팩트 상태로 했을 때에,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 41BH)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1p)에 후처리 테이프(48)를 한층 더 도달시키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반대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오목부(37)의 세로 방향의 깊이(L37d)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7)의 바닥부(37b)가 등측부(4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41BH)보다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후처리 테이프(48)를, 등측부(40)의 가장자리부(41BH)뿐만 아니라, 배측부(30)의 전술한 오목부(37)의 바닥부(37b)에도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측부(40)의 가장자리부(41BH)뿐만 아니라 배측부(30)의 가장자리부(31BH)도 후처리 테이프(48)로 직접 고정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 띠 부재(31)에 있어서 오목부(37)의 전술한 바닥부(37b)를 포함하는 바닥부 함유 부분(37bp)은, 가랑이부(20)의 단부(20e)의 색과는 상이한 색으로 피부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색 상이 영역(A37bp)(도 8b에서 도트 모양의 영역을 참조)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8b의 예에서는, 바닥부 함유 부분(37bp)이,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소정 색으로 피부측으로부터 착색된 영역(A37bp)을 포함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영역(A37bp)은, 전술한 가랑이부(20)의 단부(20e)의 색과는 상이한 색으로 시인 가능한 색 상이 영역(A37bp)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저귀(1)를 폐기하기 위해, 기저귀를 교환하는 작업자가,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저귀(1)를 둘로 접음으로써, 동 기저귀(1)를 세로 방향으로 작은 콤팩트 상태로 했을 때에, 동 작업자는, 바닥부 함유 부분(37bp)의 착색 영역(A37bp)과는 상이한 색을 갖는 전술한 가랑이부(20)의 단부(20e)를 배경으로 하여 상기 바닥부 함유 부분(37bp)을 보게 된다. 이에 따라, 오목부(37)의 바닥부(37b)를 시인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동 작업자는, 상기 오목부(37)를 통해, 기저귀(1)에 있어서의 후처리 테이프(48)에 대한 체결 대상 부분에 후처리 테이프(48)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8b의 예에서는, 바닥부 함유 부분(37bp)이 피부측으로부터 착색되어 있다. 그러나, 바닥부 함유 부분(37bp)의 착색 영역(A37bp)을 피부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면,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의 배측부(30)의 배측 띠 부재(31)는, 부직포(32, 33)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배측 띠 부재(31)를 투과하여 보는 형태로, 비피부측에 존재하는 것을 피부측으로부터도 시인 가능하다. 따라서, 바닥부 함유 부분(37bp)을 비피부측으로부터 착색해도 좋다. 나아가서는, 배측 띠 부재(31)를 구성하는 2장의 부직포(32, 33)를 착색하는 대신에, 바닥부 함유 부분(37bp)에 중복되도록 별도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마련함으로써, 바닥부 함유 부분(37bp)에 전술한 색 상이 영역(A37bp)을 형성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별도 시트가 배측 띠 부재(31)의 피부측 또는 비피부측에 배치해도 좋고, 혹은, 배측 띠 부재(31)의 2장의 부직포(32, 33)끼리의 사이에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상이한 색"이란, 비교용의 2개의 영역 간의 색차를 육안으로 시인할 수 있는 2개의 색을 말한다. "색차"에 관해서는, 측정 대상이 되는 2점(2개의 영역)에 관하여 시판되는 측색기를 이용하여 측색을 행하고, JIS Z 8729 등에 규정되는 CIE1976(L*a*b*) 색 공간에 기초하여 수치화한 값을 비교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ΔL*가 측정 대상인 2점의 L* 값의 차이고, Δa*가 a* 값의 차이며, Δb*가 b* 값의 차인 것으로 했을 때에, 색차는, 수식 ΔE*ab = [(ΔL*)2+(Δa*)2+(Δb*)2]1/2로 구해진다. 여기서는, 이 색차 ΔE*ab가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인 경우에,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것을 충족하는 것으로 한다. ΔE*ab 값이 1.5 이상이면, 인간이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정도로 색이 상이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기저귀를 교환하는 작업자는, 가랑이부(20)의 단부(20e)를 배경으로 하여, 상기 오목부(37)의 바닥부(37b)에 관련된 색 상이 영역(A37bp)을 인식할 수 있다.
도 9a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30)에 있어서 오목부(37)를 포함하는 오목부 함유 부분(30p)의 시트의 적층 장수가, 동 배측부(30)에 있어서 오목부 함유 부분(30p)의 가로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부분(30s, 30s) 각각의 시트의 적층 장수와 서로 동수로 되어 있다. 즉, 전자의 부분(30p) 및 후자의 부분(30s) 둘 모두가, 배측 띠 부재(31)를 구성하는 2장의 부직포(32, 33)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각 부분(30p, 30s)의 시트의 적층 장수는 각각 2장이다.
한편, 이 변형예에서는, 전자의 부분인 오목부 함유 부분(30p)에 별체 시트(38)가 중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오목부 함유 부분(30p)의 시트의 적층 장수가, 후자의 사이드 부분(30s, 30s)의 시트의 적층 장수보다 많게 되어 있다. 이 변형예는 이러한 점에서 주로 전술한 실시형태와 상이하고, 그 이외의 점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예에서는, 별체 시트(38)가,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11c)로부터 세로 방향의 몸통 둘레 개구(BH) 측으로 돌출되는 시트상 부분(10f)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시트상 부분(10f)을 이루는 톱 시트(13)와 백 시트(15)는 각각, 세로 방향의 몸통 둘레 개구(BH)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배측 띠 부재(31)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의 오목부(37)까지 도달해 있다. 톱 시트(13)와 백 시트(15)는 적어도 오목부(37)의 바닥부(37b)까지 도달해 있다. 이에 따라, 배측부(30)에 있어서의 오목부 함유 부분(30p)은, 배측 띠 부재(31)를 구성하는 2장의 부직포(32, 33)에 더하여 2장의 시트, 즉 톱 시트(13)와 백 시트(15) 만큼 증가한 4장의 시트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오목부 함유 부분(30p)의 강성은 높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자연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37)가 변형되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오목부(37)를 통해,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를 넘은 위치의 기저귀의 부분(1p)에 후처리 테이프(48)를 보다 도달시키기 쉬워진다.
한편,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치수는 배측 띠 부재(31)의 가로 방향의 치수보다 작고, 이에 따라 배측부(30)에 있어서 오목부 함유 부분(30p)의 가로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부분(30s, 30s)에는, 흡수성 본체(10)의 톱 시트(13) 및 백 시트(15)가 위치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각 사이드 부분(30s)의 시트의 적층 장수는, 전술한 오목부 함유 부분(30p)의 적층 장수보다 2장 적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 부분(30s, 30s)은 자신의 낮은 강성으로 인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 시에 기저귀(1)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기저귀(1)가 용이하게 폐기된다.
이러한 별체 시트(38)로서 사용 가능한 시트는, 전술한 흡수성 본체(10)의 톱 시트(13) 및 백 시트(15)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9b와 같이 일러스트 등의 무늬가 그려진 디자인 시트(38d)를 전술한 별체 시트(38)로서 사용해도 좋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b의 예에서는, 배측부(30)의 배측 띠 부재(31)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디자인 시트(38d)가 중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자인 시트(38d)는, 세로 방향의 몸통 둘레 개구(BH)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배측 띠 부재(31)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의 오목부(37)까지 도달해 있다. 디자인 시트(38d)는 적어도 오목부(37)의 바닥부(37b)까지 도달해 있다. 따라서, 오목부 함유 부분(30p)의 강성은 높아져 있다.
한편, 디자인 시트(38d)의 가로 방향의 치수는, 배측 띠 부재(31)의 가로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배측부(30)에 있어서 오목부 함유 부분(30p)의 가로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부분(30s, 30s)에는, 디자인 시트(38d)가 위치하고 있지 않고, 이에 따라, 사이드 부분(30s, 30s) 각각의 시트의 적층 장수는, 전술한 오목부 함유 부분(30p)의 적층 장수보다 1장 적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 부분(30s, 30s)의 강성을 낮게 할 수 있다.
=== 그 밖의 실시형태 ===
이상,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이 아니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이나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측부(3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에 포함되는 오목부(37)의 일례로서 원호 형상의 오목부(37)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오목부(37)는,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좋고, 삼각형 형상이어도 좋고, 이들 이외의 다각형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오목부(37)는 곡선과 직선을 조합한 복합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이 예에서는, 오목부(37)가, 예컨대 배측부(30)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오목부(37)는 절결 이외의 방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예컨대, 배측 띠 부재(31)를 구성하는 섬유를 퇴적하여 부직포(32, 33)를 생성할 때에, 오목부(37)를 형성하도록 섬유를 퇴적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측부(3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가, 중앙 위치와 같은 가로 방향의 소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오목부(37)를 포함하고 있지만; 오목부(37)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0과 같이, 가로 방향의 양단부(31e, 31e)보다 가로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전역에 걸치는 크기의 오목부(37)를 배측부(30)가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즉, 가로 방향의 양단부(31e, 31e)보다 가로 방향의 내측의 모든 위치에 걸쳐, 배측부(3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가, 등측부(4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41BH)보다 가랑이부(20) 쪽으로 세로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37)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로서 3 피스 타입의 기저귀(1)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기저귀의 외장을 이루는 외장 시트를 제1 부품으로서 포함하고, 외장 시트의 피부측면에 고정되는 흡수성 본체를 제2 부품으로서 포함하는 2 피스 타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본 개시 내용의 구성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의 톱 시트와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의 백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본 개시 내용의 구성을 적용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처리 테이프(48)를 등측부(40)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CL40)에 마련하고 있으며, 이것에 대응시켜, 배측부(3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가,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오목부(37)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1a와 같이, 후처리 테이프(48)가, 등측부(40)에 있어서 가로 방향의 중앙부(CL40)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어긋난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에 대응시켜, 배측부(3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가, 오목부(37)를, 가로 방향의 중앙부(CL40)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어긋난 부분에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테이프의 일례로서 2개의 후처리 테이프(48, 48)가, 전술한 중앙부(CL40)를 사이에 두는 가로 방향의 부분들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에 대응시켜, 배측부(3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가, 2개의 오목부(37, 37)를, 배측부(30)의 몸통 둘레 개구(BH)의 가장자리부(31BH)에 있어서의 전술한 중앙부(CL40)를 사이에 두는 가로 방향의 부분들에 각각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1: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p: 부분,
10: 흡수성 본체, 10p1: 부분, 10p2: 부분, 10p3: 부분,
10LG: 부분, 10ea: 단부, 10eb: 단부,
10f: 시트상 부분,
11: 흡수체, 11c: 흡수성 코어,
13: 톱 시트, 15: 백 시트,
15a: 샘 방지 시트, 15b: 외장 시트, 16: 탄성 부재,
17: 레그 사이드 개더 시트, 17LSG: 부분, 18: 탄성 부재,
20: 가랑이부, 20e: 단부,
30: 배측부, 31: 배측 띠 부재, 31BH: 가장자리부,
31e: 단부, 31eL: 단부, 30p: 오목부 함유 부분, 30s: 사이드 부분,
32: 부직포, 33: 부직포, 35: 탄성 부재,
37: 오목부, 37b: 바닥부, 37bp: 바닥부 함유 부분,
38: 별체 시트, 38d: 디자인 시트,
40: 등측부, 41: 등측 띠 부재, 41BH: 가장자리부, 41eL: 단부,
42: 부직포, 43: 부직포, 45: 탄성 부재,
48: 후처리 테이프(테이프 부재),
48A: 점착층, 48e: 단부,
48e1: 일단부, 48e2: 타단부, 48e2t: 손잡이부,
BH: 몸통 둘레 개구, LH: 다리 둘레 개구, CL1: 중앙 위치, CL10: 소정 위치,
CL40: 중앙부, CL48: 중앙 위치,
LG: 레그 개더, LSG: 레그 사이드 개더,
A37bp: 영역(색 상이 영역)

Claims (9)

  1.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포함하고,
    배측부;
    등측부;
    가랑이부;
    몸통 둘레 개구; 및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
    를 포함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배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등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가랑이부 쪽으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측부의 비피부측면에는, 상기 기저귀를 폐기할 때에 상기 기저귀를 상기 세로 방향으로 작게 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테이프 부재가, 상기 세로 방향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 쪽으로 연장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 위치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가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보다 큰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저귀를 상기 세로 방향으로 둘로 접음으로써 상기 등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랑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단부가 서로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의 위치에서 중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가 상기 등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저귀를 상기 세로 방향으로 둘로 접음으로써 상기 등측부의 상기 몸통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랑이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단부가 서로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의 위치에서 중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가 상기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바닥부를 포함하는 바닥부 함유 부분이, 상기 가랑이부의 상기 단부의 색과 상이한 색으로 피부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색 상이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등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는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귀는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으로 수축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축력이 전혀 부여되지 않는 것으로 가상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의 최대치보다 작은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오목부 함유 부분의 시트의 적층 장수가, 상기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함유 부분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부분의 시트의 적층 장수보다 많은 것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20187016047A 2015-11-10 2016-06-24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201800825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0184 2015-11-10
JP2015220184A JP6373242B2 (ja) 2015-11-10 2015-11-10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6/068798 WO2017081880A1 (ja) 2015-11-10 2016-06-24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506A true KR20180082506A (ko) 2018-07-18

Family

ID=5869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047A KR20180082506A (ko) 2015-11-10 2016-06-24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92876B2 (ko)
EP (1) EP3351226B1 (ko)
JP (1) JP6373242B2 (ko)
KR (1) KR20180082506A (ko)
CN (1) CN108348389A (ko)
BR (1) BR112018009201B1 (ko)
TW (1) TWI687213B (ko)
WO (1) WO2017081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1346A1 (en) * 2017-11-27 2019-05-3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Pant-type absorbent article with a disposal tape
JP6724063B2 (ja) 2018-04-24 2020-07-1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115462968A (zh) * 2018-08-10 2022-12-13 宝洁公司 具有一体化废弃处理带的可穿着制品
CN112512477B (zh) * 2018-08-10 2022-08-26 宝洁公司 具有改善的废弃处理带的可穿着制品
WO2020062132A1 (en) * 2018-09-29 2020-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disposal wrapping means
JP6768877B1 (ja) * 2019-04-26 2020-10-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448424B2 (ja) 2020-06-15 2024-03-12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後処理テープ
JP2022057123A (ja) * 2020-09-30 2022-04-11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11357349B1 (en) 2021-09-09 2022-06-14 Nicolas Gonchar Diaper assist ring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05A (ja) 1991-05-28 1996-01-16 Shigeo Ishioka 身障者入浴装置
MY116333A (en) 1993-04-05 2004-01-31 Kao Corp Disposable diaper
US5358500A (en) 1993-06-03 1994-10-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providing sustained dynamic fit
US6656171B1 (en) * 1999-08-26 2003-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er device and disposable product using the same
SE522562C2 (sv) * 2000-10-18 2004-02-17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US6926704B2 (en) * 2001-06-25 2005-08-0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disposable article
JP4091784B2 (ja) 2002-04-15 2008-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ズリ下がり防止可能なパンツ型おむつ
JP4530249B2 (ja) * 2003-06-27 2010-08-25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式の紙おむつ
US7985210B2 (en) * 2004-02-09 2011-07-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flap handle that aids in the application of said absorbent article
JP4349933B2 (ja) 2004-02-27 2009-10-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23088B2 (ja) 2004-03-31 2010-03-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357384B2 (ja) * 2004-08-03 2009-11-04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6238989A (ja) * 2005-03-01 2006-09-14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US7947028B2 (en) * 2005-03-18 2011-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aper with umbilical feature
US8506546B2 (en) * 2005-04-20 2013-08-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aper with umbilical feature
US7641641B2 (en) * 2005-04-20 2010-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product line
DE602005016026D1 (ko) * 2005-06-01 2009-09-24 Sca Hygiene Prod Ab
WO2010001893A1 (ja) * 2008-06-30 2010-01-0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10050867A1 (en) * 2008-11-03 2010-05-06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for producing pant-type articles having a chassis structure and pant-type articles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JP5155837B2 (ja) * 2008-12-03 2013-03-06 花王株式会社 シートの折り返し装置並びに該装置を用いた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US8092439B2 (en) * 2008-12-15 2012-01-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relief feature
US8016971B2 (en) 2008-12-15 2011-09-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making a waist relief feature
JP5346276B2 (ja) 2009-12-28 2013-1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4976541B1 (ja) 2010-12-27 2012-07-1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8740869B2 (en) * 2011-03-11 2014-06-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articles with tactile visual cues
JP5790051B2 (ja) * 2011-03-18 2015-10-0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789407B2 (ja) * 2011-04-27 2015-10-07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912390B2 (ja) * 2011-10-07 2016-04-27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882105B2 (ja) * 2012-03-30 2016-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250926B2 (ja) 2012-06-18 2017-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2015001040A (es) * 2012-08-01 2015-04-09 Procter & Gamble Articulos absorbentes que comprenden materiales de tela no tejida con patron.
JP6105274B2 (ja) * 2012-12-20 2017-03-2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廃棄用の留め具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6181407B2 (ja) * 2013-04-10 2017-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203988675U (zh) * 2014-07-19 2014-12-10 婴舒宝(中国)有限公司 一种保护婴儿肚脐的防侧漏尿不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1226B1 (en) 2019-09-11
WO2017081880A1 (ja) 2017-05-18
JP2017086469A (ja) 2017-05-25
TW201717867A (zh) 2017-06-01
EP3351226A4 (en) 2018-10-31
US20180325749A1 (en) 2018-11-15
BR112018009201A2 (pt) 2018-11-06
BR112018009201B1 (pt) 2023-02-07
US10292876B2 (en) 2019-05-21
BR112018009201A8 (pt) 2019-02-26
CN108348389A (zh) 2018-07-31
TWI687213B (zh) 2020-03-11
EP3351226A1 (en) 2018-07-25
JP6373242B2 (ja)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2506A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2107273B1 (ko) 흡수성 물품
EP3449883B1 (en) Absorbent article
KR101836190B1 (ko) 팬티형 흡수성 물품
JP6534874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118703B2 (ja) 吸収性物品
RU2740089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WO2010109883A1 (en) Wearing article
US20110066125A1 (en) Disposable pants-type diaper
WO2016203602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20180023963A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CN112367953B (zh) 一次性尿布
KR101560996B1 (ko) 일회용 기저귀
JP6255203B2 (ja) 吸収性物品
KR20180023950A (ko)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KR101758161B1 (ko) 일회용 기저귀
JP6236420B2 (ja) 吸収性物品
JP6421108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6103982A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116634978A (zh) 短裤型一次性尿布
CN116940319A (zh) 内裤状一次性尿布
CA2706606A1 (en) Wearing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