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963A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3963A KR20180023963A KR1020187002489A KR20187002489A KR20180023963A KR 20180023963 A KR20180023963 A KR 20180023963A KR 1020187002489 A KR1020187002489 A KR 1020187002489A KR 20187002489 A KR20187002489 A KR 20187002489A KR 20180023963 A KR20180023963 A KR 201800239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color
- sheet member
- waist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0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as umbilical bandage
- A61F2013/150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as umbilical bandage for avoiding contact with umbilical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4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printed or coloured, e.g. to match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9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die cut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는 세로방향 및 상기 세로방향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을 가지며,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11)가 구비된 흡수성 본체(10), 상기 흡수성 본체(10)의 일단면에 위치하는 등측 몸통둘레부(30), 및 흡수성 본체의 타단면에 위치하는 배측 몸통둘레부(40)를 포함한다. 배측 몸통둘레부(40)는 절결(45)을 포함하고, 상기 절결(45)은 세로 방향으로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상측단부에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배측에서 볼 때, 배측 몸통둘레부(40)에서의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46)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 및 등측 몸통둘레부(4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유아 등에 대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배설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체가 구비된 흡수성 본체, 흡수성 본체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등측 몸통둘레부, 및 흡수성 본체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배측 몸통둘레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를 신생아에게 착용시키는 경우에, 배꼽에 습기가 많기 때문에 신생아의 배꼽은 일회용 기저귀와 접촉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은 하방으로 볼록 형태를 갖는 절결이 배측 몸통둘레부(배측)의 상단 가장자리의 일부에 구비되고, 이로써 기저귀가 착용되는 경우에 신생아의 배꼽 등이 배측 몸통둘레부와의 접촉되지 않게 하는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일반적으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측(배측) 및 후측(등측)은 거의 동일한 형상, 색 등을 가지고, 이는 전후를 구분하기 곤란하게 한다. 특히, 신생아용 기저귀는 소형이고, 배측 몸통둘레부(전신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구비된 절결이 눈에 띄지 않고, 이에 따라 절결이 인식되지 않고, 기저귀(1)가 반대로 착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졌으며, 그의 목적은 배측 상에 절결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보다 용이하게 절결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양태는 세로방향 및 상기 세로방향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가 구비된 흡수성 본체; 상기 흡수성 본체에 일단측에 위치하는 등측 몸통둘레부; 및 흡수성 본체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배측 몸통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는 절결을 포함하며, 절결은 세로 방향으로 배측 몸통둘레부의 상단부에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배측 몸통둘레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배측에서 볼 때, 배측 몸통둘레부에서의 상기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 및 등측 몸통둘레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로부터 명확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배측에 절결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절결을 용이하게 인식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전개 상태로의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도 3]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도 4a는 절결(45)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절결(45)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도 5a 및 도 5b는 배측에 구비된 별개의 시트 부재(50)가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흡수성 본체(10)의 백시트 부재(15)의 배측 상의 일부가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도 7은 흡수성 본체(10)의 톱시트 부재(13)의 등측 상의 일부가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배측 몸통둘레부(40)의 비피부측 상의 일부 영역이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등측 몸통둘레부(30)의 피부측 상의 일부 영역이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비피부측 시트(32)의 구성이 변형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기저귀(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실고무(43a 및 43b)의 일부 영역이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전개 상태로의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도 3]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도 4a는 절결(45)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절결(45)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도 5a 및 도 5b는 배측에 구비된 별개의 시트 부재(50)가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흡수성 본체(10)의 백시트 부재(15)의 배측 상의 일부가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도 7은 흡수성 본체(10)의 톱시트 부재(13)의 등측 상의 일부가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배측 몸통둘레부(40)의 비피부측 상의 일부 영역이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등측 몸통둘레부(30)의 피부측 상의 일부 영역이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비피부측 시트(32)의 구성이 변형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기저귀(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실고무(43a 및 43b)의 일부 영역이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형태의 설명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로부터 적어도 하기 사항이 명확해질 것이다.
세로 방향 및 상기 세로 방향에 교차하는 가로 방향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하기를 포함한다: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가 구비된 흡수성 본체; 흡수성 본체의 일단측에 위치한 등측 몸통둘레부; 및 흡수성 본체의 타단측에 위치한 배측 몸통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는 절결을 포함하며, 상기 절결은 세로 방향으로 배측 몸통둘레부의 상단부에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 배측 몸통둘레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배측에서 볼 때에서,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에서의 상기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 및 등측 몸통둘레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진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 및 등측 몸통둘레부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장자리부가 보다 눈에 띄며,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절결의 위치 및 형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절결의 존재는 보다 용이하게 인식되며, 이에 따라 기저귀의 전후를 구분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된 시트 부재가 배측 몸통둘레부에 적층되고, 배측에서 볼 때,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가장자리부의 중복 영역 및 등측 몸통둘레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상기 등측 몸통둘레부, 및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의 가장자리부와 중복된 부분에 구비된 시트 부재는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절결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의 크기, 배치, 색 등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유형, 형상, 크기 등의 차이점에 따라 절결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상기 시트 부재는 배측 몸통둘레부에 구비된 디자인 시트이고, 디자인 시트는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을 가지고,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이 보다 눈에 띄게 하는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절결의 위치 및 형상은 보다 용이하게 인식되고,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자인 시트를 적층시킴으로써, 배측 몸통둘레부에서의 시트의 수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디자인 시트가 적층되는 부분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흡수성 본체가 피부측에서 흡수체를 덮는 톱시트, 및 비피부측에서 흡수체를 덮는 백시트를 가지고, 상기 시트 부재는 백시트이고, 상기 백시트는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을 갖고,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흡수성 본체의 백시트의 일부에 간단히 색을 부가함으로써, 절결의 위치 및 형상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백시트와 상이한 별개의 시트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의 복잡성의 증가 및 제조 비용의 상승을 용이하게 억제한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시트 부재는 등측 몸통둘레부에 적층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고, 배측에서 볼 때, 가장자리부 및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의 중복 영역 및 시트 부재는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에 구비된 절결의 가장자리부 및 상기 등측 몸통둘레부에서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에 구비된 시트 부재는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고, 이에 따라 절결은 보다 용이하게 인식된다. 또한, 상기 시트 부재의 크기, 배치, 색 등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유형, 형상, 크기 등의 차이점에 따라 절결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흡수성 본체는 피부측에서 흡수체를 덮는 톱시트, 및 비피부측에서 흡수체를 덮는 백시트를 가지고, 상기 시트 부재는 톱시트이고, 상기 백시트는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와 시트 부재가 중복되는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와 시트 부재가 중복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흡수성 본체의 톱시트의 일부에 간단히 색을 부가함으로써, 절결의 위치 및 형상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톱시트와 상이한 별개의 시트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의 복잡성의 증가 및 제조 비용의 상승을 용이하게 억제한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배측 몸통둘레부의 비피부측 면에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색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예를 들면 기저귀의 표면 디자인의 일부에 색을 부가함으로써, 절결부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또한 기저귀의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부재가 배측 몸통둘레부의 비피부측을 구성하는 부재(부직포) 및 등측 몸통둘레부를 구성하는 부재(부직포)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에, 인쇄 등의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등측 몸통둘레부의 피부측 면은 절결과 상대하는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등측 몸통둘레부의 피부측 면의 일부에 색을 부가함으로써, 절결의 위치 및 형상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부재가 등측 몸통둘레부의 피부측을 구성하는 부재(부직포) 및 배측 몸통둘레부를 구성하는 부재(부직포)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에, 인쇄 등의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등측 몸통둘레부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피부측 시트 및 비피부측 시트를 가지고, 상기 비피부측 시트는 피부측 시트의 상단부 위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피부측으로 되접혀 있고, 상기 비피부측 시트의 되접힘부는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를 가지고,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비피부측 시트의 되접힘부의 일부에 색을 부가함으로써, 절결의 위치 및 형상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되접혀 있는 비피부측 시트는 착용자의 피부가 피부측 시트의 상단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제한하고, 이는 기저귀에 보다 양호한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배측 몸통둘레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중복되고, 탄성 부재는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의 상단의 부근에 구비된 탄성 부재(예를 들면, 실고무)의 일부에 색을 부가함으로써, 절결의 위치 및 형상이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색 등이 부가된 탄성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에, 제조 공정에서 착색 등이 필요 없으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에서의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의 색과 상기 등측 몸통둘레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의 색 사이의 색차는 1.5 이상이고, 색차는 L*a*b* 표색계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상기 2개 영역의 색 간의 차이는 육안으로 분명하게 인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견하여 절결의 위치 및 형상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기저귀의 전후와 관련된 실수가 억제된다.
===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간단히, 기저귀(1)로서 지칭함)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의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라 취해진 개략 단면도이다.
이러한 기저귀(1)는 신생아에게 주로 착용되며, 도 1의 팬츠형(팬츠-형상)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는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또한, 도 2의 전개 상태에서의 가로 방향은 도 1의 팬츠형 상태에서의 가로 방향과 동의어이다. 전개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은 팬츠형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에 따르지만, 이들 양자는 약간 그 의미가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하기 설명에서, 필요에 따라, 팬츠형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과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도 2에서의 세로 방향이 "전개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 등으로 지칭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과 관련하여, 착용자에게 접촉되는 측면은 "피부측"으로 지칭될 것이고, 이의 반대면은 "비피부측"으로 지칭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는 기저귀에 있어서 소위 3피스 타입이며, 3개의 부품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기저귀(1)는 제1 부품으로서 착용자의 고간부에 대해 배치되어, 배설물, 예컨대 소변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흡수성 본체(10)를 포함하고; 제2 부품으로서 착용자의 등측부를 덮는 등측 몸통둘레부(30)를 가지며; 제3 부품으로서 착용자의 배측부를 덮는 배측 몸통둘레부(40)를 가진다.
도 2의 전개 상태에서, 상기 등측 몸통둘레부(30)와 배측 몸통둘레부(40)는 세로 방향(전개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에서 이들 사이의 간격을 가진 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흡수성 본체(10)는 이러한 간격에 걸쳐 있다. 등측 몸통둘레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일단부(10a)에 고정되고, 배측 몸통둘레부(40)는 타단부(10b)에 고정되고, 외부 형상은 평면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H-형상이다. 환언하면, 등측 몸통둘레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일단측에 위치하고, 배측 몸통둘레부(40)는 흡수성 본체(10)의 타단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흡수성 본체(10)는 이후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즉, 세로 방향)에서의 기저귀(1)의 중앙(전개 상태에서의 기저귀(1)의 세로 방향으로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앙)에 있는 위치인 접힘 위치에서 2개로 접혀진다. 이러한 2개 접힘 상태로 서로 상대하는 등측 몸통둘레부(30)와 배측 몸통둘레부(40)가 가로 방향으로 접합되고/연결되는 경우에, 이 몸통둘레부들은 고리 형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기저귀(1)는 등측 몸통둘레부(30)의 가로 방향으로 양 등측 가장자리부(30a)를 각각 배측 몸통둘레부(40)의 가로 방향으로 양 배측 가장자리부(40a)에 연결(접합)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는 도 1에 도시된 몸통둘레부 개구(1a) 및 한 쌍의 다리주위 개구(1b)가 형성된, 착용된 상태로의 기저귀(1)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상단(40b)의 세로 방향으로 위치가 세로 방향의 등측 몸통둘레부(30)의 상단(30b)의 세로 방향으로 위치와 일치된 상태로, 2개의 등측 가장자리부(30a) 및 2개의 배측 가장자리부(40a)가 각각 접합된다는 것을 주지한다. 환언하면, 2개의 등측 가장자리부(30a)의 상단 및 2개의 배측 가장자리부(40a)의 상단이 각각 접합된다.
흡수성 본체(10), 배측 몸통둘레부(40), 등측 몸통둘레부(30)인 3개의 부품을 이러한 순서로 하기에 기재하고 있다.
흡수성 본체(10)는 착용자의 고간(가랑이 영역)에 대응되며, 배설물 예컨대 소변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하고, 길이 방향(장변 방향)이 전개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에 따르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체(11), 피부측에서 흡수체(11)를 덮는 톱시트 부재(13), 및 비피부측에서 흡수체(11)를 덮는 백시트 부재(15)를 포함하고, 흡수성 본체(10)의 외장을 형성한다.
흡수체(11)는 액체-흡수 물질의 층을 적층하여 얻은 부재(흡수성 코어)이고, 배설물 예컨대 소변을 흡수할 수 있다. 흡수체(11)는 펄프(펄프 섬유) 및 흡수성 폴리머(SAP)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11)는 실질적으로 평면에서 볼 때 모래시계-형상임을 주지한다. 구체적으로, 전개 상태에서의 흡수체(11)는 흡수체(11)의 세로 방향으로 중앙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12)를 포함하고, 흡수체(11)의 폭은 오목부(12)에서 가장 좁다. 세로 방향으로 오목부(12)의 위치는 도 2에서의 중앙 기준으로 배측 몸통둘레부(40) 측에 있지만, 또한 세로 방향으로 오목부(12)의 위치가 기저귀(1)의 크기에 따라 등측 몸통둘레부(30) 측에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주지한다. 다른 한편, 오목부(12)는 흡수체(11)의 세로 방향으로 단부(흡수체(11)의 등측 상단(11a) 및 배측 상단(11b))에 구비되지 않고, 흡수체(11)의 폭은 이러한 단부(흡수체(11)의 등측 상단(11a) 및 배측 상단(11b))에서 가장 크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흡수체(11)의 최대폭(W11)은 실질적으로 120 mm이다. 또한, 흡수체(11)는 액체 투과성 시트 예컨대 티슈 페이퍼 또는 부직포로 제조된 코어랩(도시되지 않음)으로 피복될 수 있다.
톱시트 부재(13)는 예를 들면 흡수체(11)의 것보다 더 큰 평면 크기를 갖는 액체 투과성 부직포로 제조된 시트 부재이다. 백시트 부재(15)는 예를 들면 흡수체(11)의 것보다 더 큰 평면 크기를 갖는 시트 부재이고, 일 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제조된 액체 불투과성 방누 시트(15a) 및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외장 시트(15b)를 함께 접합시켜 구성된 2층 구조를 갖는 시트이다. 흡수체(11)는 백시트 부재(15)와 톱시트 부재(13) 사이에 개재되고, 이후 흡수체(11)의 사면으로부터 외부에 놓여 있는 백시트 부재(15) 및 톱시트 부재(13)의 일부가 액자형으로 접합되고, 이에 의해 흡수성 본체(10)를 형성한다. 백시트 부재(15)가 외장 시트(15b) 없이 방누 시트(15a)만으로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한다.
또한, 세로 방향에 따라 신축하는 레그 개더 LG(레그 신축부)가 각각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부분, 즉, 한 쌍의 사이드 플랩(26) 각각에 구비된다. 레그 개더 LG는 부직포로 형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구체적으로, 편의상 LG 실고무(26a)로서 지칭되는 실고무)를 포함한다. LG 실고무(26a)는 사이드 플랩(26)에 신축성을 부여하고, 이에 의해 레그 개더 LG가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 LSG(입체 개더)는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으로 레그 개더 LG(사이드 플랩(26))에 비해 내측에 구비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 LSG는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구비되고, 다리 주변의 간격을 통한 액체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레그 사이드 개더 LSG는 부직포로 형성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 LSG 각각은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으로 레그 사이드 개더 LSG의 내측 단부에 정점(28)을 포함하고, 정점(28) 및 상기 정점(28)에 비해 외측에 있는 부직포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레그 사이드 개더 LSG의 정점(28)에는 세로 방향에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구체적으로, 편의상 LSG 실고무(29)로서 지칭되는 실고무)가 구비된다.
배측 몸통둘레부(40)는 착용자의 복부를 덮는 시트형 부재이다. 이러한 배측 몸통둘레부(40)는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시트이고,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길이 방향(장변 방향)이 가로 방향에 따르도록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측 몸통둘레부(40)는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으로부터 적층된 피부측 시트(41) 및 비피부측 시트(42)로 형성되고, 이후 함께 접합된다. 배측 몸통둘레부(40)는 흡수성 본체(10)의 타단부(10b)에 적층되고, 접합되어 이에 고정된다. 흡수성 본체(10)에 배치되는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일부는 가로 방향으로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또한, 피부측 시트(41) 및 비피부측 시트(42)와 상이한 시트 부재인 별개의 시트 부재(50)가 배측 몸통둘레부(40)에서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비된다. 도 3에서, 별개의 시트 부재(50)는 피부측 시트(41)와 비피부측 시트(42)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나, 별개의 시트 부재(50)는 비피부측 시트(42)보다도 비피부측(즉,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최외장)에 구비될 수 있거나, 또는 피부측 시트(41)보다도 피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환언하면, 별개의 시트 부재(50)는 배측 몸통둘레부(40)에서 흡수성 본체(10)보다도 비피부측에 구비되는 시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별개의 시트 부재(50)는 필름,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고, 소정의 색 또는 이의 표면에 제공된 화상을 갖는 디자인 시트이다. 이러한 별개의 시트 부재(50)의 제공은 기저귀(1)의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개의 시트 부재(50)가 적층된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영역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별개의 시트 부재(50)의 크기, 배치 등의 상세설명은 이하에서 기재될 것이다.
절결(45)은 배측 몸통둘레부(40)의 가로 방향으로 중앙부에 있고, 세로 방향으로 상단(40b)에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절결(45)은 착용자의 배꼽, 배꼽에 부착된 클립 등이 기저귀(1)에 접촉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는 절결(45)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결(45)은 팬츠형 상태로의 기저귀(1)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아래로 만곡된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절결(45)의 세로 방향으로 깊이(D1)는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40b)과 절결(45)의 세로 방향으로 하단(40a)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환언하면, 깊이(D1)는 절결(45)의 세로 방향으로 최대 길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깊이(D1)는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15mm이다. 절결(45)의 가로 방향으로 폭(W1)은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40b)과 절결(45) 사이의 교차점인 양 측단(45b)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환언하면, 폭(W1)은 절결(45)의 가로 방향으로 최대 거리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폭(W1)은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85 mm이다. 이러한 폭(W1)은 흡수체(11)의 전술한 최대 폭(W11)(120 mm)보다 더 작고, 절결(45)의 측단(45b)은 모두 흡수체(11)의 가장 넓은 부분의 측단(15)보다도 가로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다 (도 2 참조).
실제 제품에서, 제품을 평면 상태에서 볼 때, 배측 몸통둘레부(40)가 탄성 부재 예컨대 배측 실고무(43)의 작용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수축하기 때문에 절결(45)의 폭(W1)은 실질적으로 20 mm 내지 40 mm임을 주지하고, 이는 후술될 것이다. 이러한 폭이 탄성 부재의 수축 정도에 따라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을 수 있는 경우가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상기 기재된 깊이(D1) 및 폭(W1)의 길이는 수축력이 각종 탄성 부재 예컨대 배측 실고무(43)에 의해 발현되지 않을 때 배측 몸통둘레부(40)를 평평하게 편 상태로 측정한 길이이다.
배측 몸통둘레부(40)는 가장자리부(46)를 포함하고, 이는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소정의 폭을 갖는 영역이다. 도 4a에 사선으로 도시된 영역에서, 가장자리부(46)는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D2)로 정의된 범위로 구비된다. 환언하면, 가장자리부(46)은 절결(45)의 형태에 따른 연장된 폭(D2)을 갖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장자리부(46)의 폭(D2)은 절결(45)의 깊이(D1)와 동등한 길이이다(D1= D2). 폭(D2)의 최대값은 10 mm이고, 깊이(D1)가 10mm보다 작은 경우에, 폭(D2)이 깊이(D1)를 초과하는 경우(D1<D2)가 존재함을 주지하여야 한다.
또한, 절결(45)은 반드시 원호형일 필요는 없고,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4b는 절결(45)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변형예의 절결(45)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D1) 및 폭(W1)을 갖는 직사각형이다. 이러한 경우에 또한, 도 4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장자리부(46)는 폭(D2)을 갖고, 직사각형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직사각형 형상 이외에, 예를 들면, 다른 형상 예컨대 세로 방향으로 아래로 돌출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로 되돌아가면, 가로 방향에 따라 신축되는 복수개의 탄성 부재(구체적으로, 편의상 배측 실고무(43)로서 지칭될 것인 실고무)가 배측 몸통둘레부(40)에서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배측 실고무(43)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의 배측 몸통둘레부(40)에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배측 몸통둘레부(40)는 가로 방향으로 신축성이 부여되고, 기저귀(1)의 몸통둘레부 개구(1a)에 신축성이 부여된다.
제공되는 복수개의 배측 실고무(43) 중에는,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40b)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실고무(43a)를 포함하는 소정의 수의 실고무(43)가 가로 방향으로 중앙부에 있는 절결(45)의 가장자리부(46)와 중복되는 부분을 가진다. 도 2에서, 2개의 실고무(43a 및 43b)는 가장자리부(46)와 중복되도록 세로 방향(전개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환언하면, 이러한 2개의 실고무(43a 및 43b)는 모두 절결(45)의 하단(45a)보다 세로 방향으로 더 상측에 구비된다.
등측 몸통둘레부(30)는 착용자의 등을 덮는 시트형 부재이다. 이러한 등측 몸통둘레부(30)는 부직포 등으로 제조되고,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을 갖는 시트이고, 이의 길이 방향(장변 방향)이 가로 방향에 따르도록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측 몸통둘레부(30)는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으로부터 적층된 피부측 시트(31) 및 비피부측 시트(32)로 형성되고, 이후 함께 접합하여 형성된다. 등측 몸통둘레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일단부(10a)에 위치되고, 이에 접합되어 고정된다. 흡수성 본체(10)에 위치한 등측 몸통둘레부(30)의 일부는 등측 몸통둘레부(30)의 가로 방향으로 중앙부에 구비된다. 또한, 배측 몸통둘레부(40)와 유사하게, 별개의 시트 부재(50)는 등측 몸통둘레부(30)에 구비될 수 있다.
배측 몸통둘레부(4)와는 달리, 등측 몸통둘레부(30)는 절결(45)이 구비되지 않음을 주지한다. 그 이유는 절결(45)의 목적이 착용자의 배꼽, 배꼽에 부착된 클립 등이 기저귀(1)에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배측 몸통둘레부(4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가로 방향에 따라 수축되는 복수개의 탄성 부재(구체적으로, 편의상 등측 실고무(33)로 지칭될 것인 실고무)는 등측 몸통둘레부(30)에서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도 2 참조). 등측 실고무(33)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등측 몸통둘레부(30)에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고정된다. 이는 등측 몸통둘레부(30)에 가로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고, 기저귀(1)의 몸통둘레부 개구(1a)에 신축성을 부여한다.
<절결(45)의 시인성>
기저귀(1)의 배측 몸통둘레부(40)에 상기 기재된 절결(45)이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절결(45)은 원래 작은 크기를 갖고, 또한 배측 실고무(43)에 의해 부여된 신축성으로 인해 가로 방향으로 수축되며, 이에 따라 통상 상태에서 인식하기 곤란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 절결(45)에서의 시인성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착용자)는 일견하여 절결(45)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귀(1)를 배측에서 볼 때, 배측 몸통둘레부(40)에 구비된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46)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 및 등측 몸통둘레부(3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는 보다 눈에 띈다. 이에 따라, 사용자(착용자)는 절결(45)의 위치 및 형상을 인식할 수 있고, 기저귀(1)의 전후 방향을 올바르게 구분할 수 있다. 본원에서, 문구 "기저귀(1)를 배측에서 볼 때"는 팬츠형의 기저귀(1)의 배측 몸통둘레부(40) 및 등측 몸통둘레부(30)가 평면 상태로 중첩된 상태(제품이 평평하게 놓임)에서의 배측 몸통둘레부(40) 측(즉, 배측)에서 기저귀(1)를 보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이는 기저귀(1)를 배측이 위를 향하여 책상과 같은 평평한 표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기저귀(1)를 보는 경우, 또는 몸통둘레부(40 및 30)가 중첩되어 가로 방향으로 외측으로 퍼지도록 신장된 상태에서의 배측 몸통둘레부(40) 측에서 기저귀(1)를 보는 경우이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배측 몸통둘레부(40) 및 등측 몸통둘레부(30)의 적어도 하나에서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시트 부재의 예정된 부분의 색은 배측 몸통둘레부(40) 및 등측 몸통둘레부(30)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색과 상이한 색이도록 설정되고, 이에 따라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는 보다 눈에 띄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배측에 구비된 별개의 시트 부재(50)가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에서, 상기 기재된 별개의 시트 부재(50)은 몸통둘레부에 적층되는 시트 부재로서 사용된다. 별개의 시트 부재(50)의 가로 방향으로 폭은 절결(45)의 폭(W1)보다 더 크고, 별개의 시트 부재(50)의 세로 방향으로 길이는 절결(45)의 깊이(D1)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또한, 별개의 시트 부재(5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50b)은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40b)과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별개의 시트 부재(50)는 두께 방향으로 가장자리부(46)의 전체 영역과 중복된다. 절결(45)이 배측 몸통둘레부(40)의 피부측 시트(41) 및 비피부측 시트(42)와 별개의 시트 부재(50)와 중복되고, 이후 통합된 상태로 커터 등을 이용하여 이러한 시트 부재를 커팅함으로써 형성된다는 것을 주지한다.
도 5a에서, 별개의 시트 부재(50) 및 가장자리부(46)가 중복되는 영역(중복 영역)은 흑색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중복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별개의 시트 부재(50)의 색은 등측 몸통둘레부(30)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색과 상이하다. 예를 들면, 도 5a에서, 별개의 시트 부재(50)의 사선부로 도시된 전체 영역은 색이 부가되어 있고, 흑색으로 도시된 가장자리부(46)도 색이 부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저귀(1)를 피부측에서 볼 때, 배측 몸통둘레부(40) 및 등측 몸통둘레부(30)의 가장자리부(46)는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고, 가장자리부(46)는 보다 눈에 띄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절결(45)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한다.
2개의 영역이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상태는 비교를 위한 2개의 영역 사이에 색차가 육안으로 시인할 수 있는 상태를 지칭함을 주지한다. "색차"는 측정을 위해 2개의 지점 (2개의 영역) 상에서 측색을 수행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측색기를 사용하고, 이후 JIS Z 8729 등에 규정된 CIE1976(L*a*b*) 색 공간에 기초하여 수치화한 값을 비교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을 위한 2개의 지점의 L* 값 사이의 차가 ΔL*, a* 값 사이의 차가 Δa*, b* 값 사이의 차가 Δb*이 되게 하여, 색차 ΔE*ab를 [(ΔL*)2+(Δa*)2+(Δb*)2]1/2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짐"은 이러한 색차 ΔE*ab가 1.5 이상, 또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인 경우에 충족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ΔE*ab의 값이 1.5 이상인 경우, 인간이 색이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이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절결(45)을 충분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의 소정의 영역에 "색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는 단일 색 또는 그레데이션으로 이루어진 색조가 부가되는 경우, 및 문자, 모양 등을 포함하는 화상이 부직포 소재의 색과 이미지 부분의 색과 상이하도록 제공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상태 "색을 부가함"을 실현하는 경우, 시트 부재는 다른 시트 부재와 상이한 색을 갖도록 인쇄 등이 될 수 있거나, 또는 시트 부재 그 자체의 색(예를 들면, 소재 예컨대 시트 부재를 구성하는 섬유의 색)이 다른 시트 부재와 상이할 수 있다.
기저귀(1)를 구성하는 부직포가 보통 백색 계열 색을 가진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시트 부재에 색을 부가하는 경우, 시원함/청량감 및 청결감을 갖도록 청색 계열 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별개의 시트로서 유채색으로 착색된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서, 측정을 위한 2개의 지점 중 하나가 유채색 착색된 시트의 색이고, 측정을 위한 다른 지점은 유채색 착색된 시트의 색과 관련하여 보색관계에 있는 색일 때, 2개의 지점의 색 간의 차이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한다.
도 5b에서, 별개의 시트 부재(50)의 배치가 도 5a에서의 경우와 상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에서, 별개의 시트 부재(5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50b)은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40b)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그 결과, 도 5b에 흑색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시트 부재(50)는 가장자리부(46)의 하측 영역과 중복되고, 상측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중복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별개의 시트 부재(50)의 색은 등측 몸통둘레부(30)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색과 상이하다. 이에 따라, 등측 몸통둘레부(30) 및 가장자리부(46)의 흑색부로 도시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고, 가장자리부(46)는 보다 눈에 띄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절결(45)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장자리부(46)의 일부에서라도 색이 상이한 경우에, 절결(45)이 인식될 수 있다. 가능한 가장 넓은 가장자리부(46)에 상이한 색을 부가함으로써, 영역의 시인성이 증가되고(도 5a 참조), 이에 따라 절결(45)을 보다 더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별개의 시트 부재(50)에 색을 부가하는 경우, 디자인에 의해 임의의 색 또는 화상 등을 임의의 영역에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가장자리부(46)와 중복되는 영역이 보다 눈에 띄게 하는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절결(45)은 보다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인식될 수 있고, 기저귀(1)의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절결(45)은 몸통둘레부에 적층되는 시트 부재로서 별개의 시트 부재(50) 이외의 다른 시트 부재의 소정의 영역에 색을 부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인식되게 할 수 있다. 도 6은 흡수성 본체(10)의 백시트 부재(15)의 배측 상의 부분이 상이한 색을 가지는 경우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에 구비되는 방누 시트(15a)의 배측 상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부 영역(도 6에서 사선부로 도시된 영역)에 색이 부가된다. 배측 몸통둘레부(40) 및 방누 시트(15a)는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이로써 사선으로 도시된 이러한 영역이 가장자리부(46)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된다. 그 결과, 도 6에서의 흑색부로 도시된 가장자리부(46)의 영역에서, 방누 시트(15a)에 대해 부가되는 색은 배측 몸통둘레부(40)를 통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등측 몸통둘레부(30) 및 가장자리부(46)의 흑색부로 도시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고, 절결(45)은 보다 용이하게 인식된다.
도 6에서의 예에서, 흡수성 본체(10)(방누 시트(15a))의 배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상측단부는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40b)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나, 방누 시트(15a)의 배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상측단부는 배측 몸통둘레부(4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40b)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음을 주지한다. 또한, 상기 예에서, 백시트 부재(15)의 방누 시트(15a)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가 기재되어 있으나, 색은 외장 시트(15b)에 부가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백시트 부재(15)에 색을 부가함으로써, 심지어 별개의 시트 부재(50) 등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서도 절결(45)이 보다 용이하게 인식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1)의 제조 과정에서, 예를 들면, 백시트 부재(15)의 일부에 인쇄를 수행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상이한 색이 부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저귀(1)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지 않게 되고,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흡수성 본체(10)의 톱시트 부재(13)의 등측 상의 일부가 상이한 색을 가지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색, 모양 등은 흡수성 본체(10) 내의 가장 내측(피부측)에 구비되는 톱시트 부재(13)의 등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상측단부 영역(도 7에서 사선부로 도시된 영역)에 부가된다. 등측 몸통둘레부(30) 및 톱시트 부재(13)는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이로써 사선으로 도시된 이러한 영역이 절결(45)과 상대하는 등측 몸통둘레부(30)의 위치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된다. 그 결과, 배측에서 볼 때, 톱시트 부재(13)에 부가된 색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45)을 통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등측 몸통둘레부(30) 및 가장자리부(46)의 적어도 일부가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고, 절결(45)은 보다 용이하게 인식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색이 백시트 부재(15)에 부가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시트 부재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저귀(1)의 몸통둘레부(30 또는 40)에 시트 부재를 구비하고, 시트 부재의 소정 영역에 색을 부가함으로써,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상이한 색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결(45)의 모양 및 위치는 일견하여 보다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고, 기저귀(1)의 전후가 보다 용이하게 구분된다. 또한, 시트 부재에 부가된 색, 색이 부가된 영역 등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자인에서 자유도가 높고, 상이한 색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로써 사용자가 기저귀(1)의 종류, 형상, 크기 등에서의 차이에 따라 절결(45)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 배측 몸통둘레부(40) 또는 등측 몸통둘레부(30)에 색을 부가함으로써 기저귀(1)에서 절결(45)의 위치 및 형상이 보다 용이하게 인식되는 예가 기재되어 있다. 기저귀(1)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따라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8은 배측 몸통둘레부(40)의 비피부측에서의 일부 영역이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배측 몸통둘레부(40)의 비피부측 시트(42)에서 비피부측 면의 상면 상에 사선부로 도시된 영역에 색이 부가된다. 사선으로 도시된 이러한 영역은 도 8에서의 흑색부에서 가장자리부(46)와 중복되고, 이에 따라 이러한 중복 영역은 등측 몸통둘레부(30)와 상이한 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환언하면, 등측 몸통둘레부(30) 및 가장자리부(46)의 적어도 일부는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고, 절결(45)은 보다 용이하게 인식된다.
도 8의 예에서, 가장자리부(46)의 전체 영역과 중복되도록 비피부측 시트(42)에 색이 부가되지만, 색이 가장자리부(46)의 전체 영역과 중복되는 부분에 반드시 부가되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가장자리부(46)의 일부와 중복되는 비피부측 시트(42)의 일부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 예를 들면, 기저귀(1)의 표면 디자인의 일부로서, 가장자리부(46)와 중복되도록 색 또는 화상을 제공함으로써 기저귀(1)의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부직포 소재가 비피부측 시트(42)를 구성하는 부직포로서 그리고 등측 몸통둘레부(30)를 구성하는 부직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조 공정에서의 인쇄 등에 대한 단계가 생략될 수 있고, 용이하게 인식가능한 절결부(45)를 갖는 기저귀(1)를 보다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9는 등측 몸통둘레부(30)의 피부측 상의 일부 영역이 상이한 색을 가지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 등측 몸통둘레부(30)의 피부측 시트(31)의 피부측 면의 사선부로 도시되는 영역에 색이 부가된다. 사선부로 도시된 이 영역은 절결(45)과 상대하는 등측 몸통둘레부(30)의 위치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된다. 그 결과, 배측에서 볼 때, 피부측 시트(31)에 부가된 색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45)을 통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등측 몸통둘레부(30) 및 가장자리부(46)의 적어도 일부는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고, 절결(45)의 인식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등측 몸통둘레부(30)의 비피부측 시트(32)의 구성은 변형될 수 있고, 이 비피부측 시트(32)의 소정의 영역에 색이 부가될 수 있다. 도 10은 비피부측 시트(32)의 구성이 변형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기 위한 기저귀(1)(팬츠형 형상)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등측 몸통둘레부(30)의 비피부측 시트(32)의 세로 방향으로 길이가 피부측 시트(31)의 세로 방향으로 길이보다 더 길고, 비피부측 시트(32)의 세로 방향으로 상측단부가 등측 몸통둘레부(3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30b) 위로 돌출된다. 비피부측 시트(32)의 돌출부(32f)는 등측 몸통둘레부(3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30b)의 위치에서 피부측으로 되접혀 있고, 흡수성 본체(10)에 중첩되어 접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등측 몸통둘레부(30)의 세로 방향으로 상단(30b)의 영역에서 비피부측 시트(32)를 되접어 적층시킴으로써, 몸통둘레부 개구(1a)의 등측의 강도는 증가되고, 착용자의 피부(등측)가 몸통둘레부 개구(1a)에서의 흡수성 본체(10) 및 피부측 시트(31)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억제되며, 이는 몸통둘레부 개구(1a)에서 보다 양호한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비피부측 시트(32)를 되접혀 접합하는 경우에, 색이 되접혀 있는 돌출부(32f)의 피부측 면에 부가된다. 이 되접혀 있는 돌출부(32f)는 등측 몸통둘레부(30)에서의 절결(45)과 상대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 10에서의 사선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측에서 기저귀(1)를 볼 때, 되접혀 있는 돌출부(32f)에 부가된 색을 절결(45)을 통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등측 몸통둘레부(30) 및 가장자리부(46)의 적어도 일부는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고, 절결(45)이 보다 용이하게 인식된다.
===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서, 기저귀(1)에서, 배측 몸통둘레부(40)에 구비된 실고무(43a 및 43b)의 일부에 색을 부가함으로써 절결(45)의 위치 및 형상이 보다 용이하게 인식되게 하는 예가 기재되어 있다. 기저귀(1)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따라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1은 실고무(43a 및 43b)의 일부 영역이 상이한 색을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고무(43a 및 43b)는 가로 방향으로 중앙부에서의 절결(45)과 교차하도록 구비된다. 환언하면, 실고무(43a 및 43b)는 가장자리부(46)와 부분적으로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도 11에서, 실고무(43a 및 43b) 및 가장자리부(46)는 흑색으로 도시된 부분에서 중복된다. 제3 실시형태에서, 중복 부분의 일부에서 실고무(43a 및 43b)에 색이 부가된다. 따라서, 등측 몸통둘레부(30) 및 가장자리부(46)의 적어도 일부는 절결(45)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고, 절결(45)의 인식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 미리 색 등이 부가된 탄성 부재(실고무)가 실고무(43a 및 43b)로서 사용되는 경우에서, 기저귀(1)의 제조 공정에서 인쇄 단계 등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조를 간소화하고, 또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신축성 부직포, 신축성 우레판 등이 배측 몸통둘레부(40)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로서 실고무(43)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 그 밖의 실시의 형태===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남 없이 변형되고, 개량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등가물이 말할 필요 없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3가지 부품(10, 30, 및 40)으로 구성된 소위 3피스 타입 기저귀(1)가 흡수성 물품의 예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흡수성 물품은 이러한 타입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또한 하기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등에 적용가능하다: 흡수성 본체(10); 및 배측 몸통둘레부(40) 및 등측 몸통둘레부(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일체형 외장 부재. 이러한 경우 또한, 일체형 외장 부재에서 배측 몸통둘레부의 가로 방향으로 중앙부에, 그리고 세로 방향으로 상측단부의 위치에 절결이 구비된다. 또한, 배측에서 볼 때, 배측 몸통둘레부에서의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 및 등측 몸통둘레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진다. 이에 따라, 배측 몸통둘레부에 구비된 절결의 위치 및 형상이 보다 용이하게 인식되고, 기저귀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실수를 억제한다.
전술의 실시형태로서, L*a*b* 표색계를 사용하여 얻은 수치화된 값을 비교하는 예가 배측 몸통둘레부에 구비된 절결의 가장자리부의 색과 등측 몸통둘레부의 일부의 색 사이의 차이로 표현하는 방법으로서 기재되어 있으나, 색 비교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색차 비교는 다른 표색계, 예컨대 CIE 표색법으로 규정되는 XYZ 표색계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1: 기저귀, 1a: 몸통둘레부 개구, 1b: 다리주위 개구,
10: 흡수성본체, 10a: 일단부, 10b: 타단부,
11: 흡수체, 11a: 등측상단, 11b: 배측상단,
12: 오목부,
13: 톱시트 부재,
15: 백시트 부재, 15a: 방누 시트, 15b: 외장 시트,
26: 사이드 플랩, 26a: LG 실고무,
28: 정점, 29: LSG 실고무,
30: 등측 몸통둘레부, 30a: 등측 가장자리부, 30b: 상단,
31: 피부측 시트, 32: 비피부측 시트, 32f: 돌출부
33: 등측 실고무,
40: 배측 몸통둘레부, 40a: 배측 가장자리부, 40b: 상단, 40c: 양측부,
41: 피부측 시트, 42: 비피부측 시트,
45: 절결, 45a: 하단, 41b: 측단,
43: 배측 실고무, 43a, 43b: 실고무,
46: 가장자리부,
50: 별개의 시트 부재, 50b: 상단,
LG 레그 개더,
LSG 레그 사이드 개더
10: 흡수성본체, 10a: 일단부, 10b: 타단부,
11: 흡수체, 11a: 등측상단, 11b: 배측상단,
12: 오목부,
13: 톱시트 부재,
15: 백시트 부재, 15a: 방누 시트, 15b: 외장 시트,
26: 사이드 플랩, 26a: LG 실고무,
28: 정점, 29: LSG 실고무,
30: 등측 몸통둘레부, 30a: 등측 가장자리부, 30b: 상단,
31: 피부측 시트, 32: 비피부측 시트, 32f: 돌출부
33: 등측 실고무,
40: 배측 몸통둘레부, 40a: 배측 가장자리부, 40b: 상단, 40c: 양측부,
41: 피부측 시트, 42: 비피부측 시트,
45: 절결, 45a: 하단, 41b: 측단,
43: 배측 실고무, 43a, 43b: 실고무,
46: 가장자리부,
50: 별개의 시트 부재, 50b: 상단,
LG 레그 개더,
LSG 레그 사이드 개더
Claims (11)
- 세로방향 및 상기 세로방향과 교차하는 가로방향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가 구비된 흡수성 본체;
상기 흡수성 본체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등측 몸통둘레부; 및
상기 흡수성 본체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배측 몸통둘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는 절결을 포함하며, 상기 절결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의 상단부에, 그리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배측에서 볼 때,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의 상기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의 일부의 또는 전부의 영역 및 상기 등측 몸통둘레부의 일부의 또는 전부의 영역은, 상기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와 중복되는 시트 부재가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에 적층되고,
배측에서 볼 때,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가장자리부의 중복 영역 및 상기 등측 몸통둘레부의 일부의 또는 전부의 영역은, 상기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에 구비된 디자인 시트이고,
상기 디자인 시트는 상기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피부측에서 상기 흡수체를 덮는 톱시트, 및 비피부측에서 상기 흡수체를 덮는 백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백시트이며,
상기 백시트는 상기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에 있어서, 시트 부재가 상기 등측 몸통둘레부에 적층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의 일부 또는 전부와 중복되며,
배측에서 볼 때, 상기 가장자리부, 및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와 상기 시트 부재의 중복 영역은 상기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구분되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피부측에서 상기 흡수체를 덮는 톱시트, 및 비피부측에서 상기 흡수체를 덮는 백시트를 가지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톱시트이며,
상기 백시트는 상기 시트 부재 및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가 중복되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시트 부재 및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가 중복되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의 비피부측 면에서 상기 가장자리부의 일부의 또는 전부의 영역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 몸통둘레부의 피부측 면이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를 가지고,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의 일부의 또는 전부의 영역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측 몸통둘레부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피부측 시트 및 비피부측 시트를 가지고,
상기 비피부측 시트는 상기 피부측 시트의 상단부보다 위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피부측으로 되접혀 있고,
상기 비피부측 시트의 되접힘부는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절결과 상대하는 위치의 일부의 또는 전부의 영역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에 가로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장자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와 중복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을 가지고, 상기 가장자리부와 중복되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색이 부여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측 몸통둘레부에서의 상기 절결의 외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의 일부의 또는 전부의 영역에서의 색과 상기 등측 몸통둘레부의 일부의 또는 전부의 영역에서의 색 사이의 색차가 1.5 이상이고, 상기 색차는 L*a*b* 표색계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131815A JP6468960B2 (ja) | 2015-06-30 | 2015-06-30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JPJP-P-2015-131815 | 2015-06-30 | ||
PCT/JP2016/065491 WO2017002490A1 (ja) | 2015-06-30 | 2016-05-25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3963A true KR20180023963A (ko) | 2018-03-07 |
Family
ID=5760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2489A KR20180023963A (ko) | 2015-06-30 | 2016-05-25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EP (1) | EP3318234B1 (ko) |
JP (1) | JP6468960B2 (ko) |
KR (1) | KR20180023963A (ko) |
CN (1) | CN107708633A (ko) |
MY (1) | MY181554A (ko) |
PH (1) | PH12017550150B1 (ko) |
WO (1) | WO201700249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53165B2 (ja) * | 2017-12-28 | 2019-07-3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N114376798B (zh) * | 2018-04-03 | 2022-12-20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短裤型一次性尿布 |
JP7315324B2 (ja) * | 2018-12-28 | 2023-07-26 | 花王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WO2020136917A1 (ja) * | 2018-12-28 | 2020-07-0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84824A (ja) * | 1995-09-26 | 1997-03-31 | Oji Paper Co Ltd |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
US20030158532A1 (en) * | 2002-02-20 | 2003-08-21 | Magee Luke R.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designed to facilitate an easy intuitive change |
JP4091784B2 (ja) * | 2002-04-15 | 2008-05-2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ズリ下がり防止可能なパンツ型おむつ |
US20050155893A1 (en) * | 2003-03-04 | 2005-07-21 | Diaperoos, Llc | Vacuum-sealing diaper in vacuum chamber |
JP4349933B2 (ja) * | 2004-02-27 | 2009-10-21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4357384B2 (ja) * | 2004-08-03 | 2009-11-04 | 花王株式会社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US8506546B2 (en) * | 2005-04-20 | 2013-08-13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iaper with umbilical feature |
US20080004585A1 (en) * | 2006-06-30 | 2008-01-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rticle with serviceable indicia |
US8092439B2 (en) * | 2008-12-15 | 2012-01-1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relief feature |
JP5790051B2 (ja) * | 2011-03-18 | 2015-10-07 |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JP6571323B2 (ja) * | 2014-10-07 | 2019-09-0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着用物品 |
-
2015
- 2015-06-30 JP JP2015131815A patent/JP6468960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05-25 MY MYPI2017705085A patent/MY181554A/en unknown
- 2016-05-25 WO PCT/JP2016/065491 patent/WO201700249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5-25 EP EP16817599.0A patent/EP3318234B1/en active Active
- 2016-05-25 KR KR1020187002489A patent/KR20180023963A/ko unknown
- 2016-05-25 CN CN201680038563.7A patent/CN107708633A/zh active Pending
-
2017
- 2017-12-22 PH PH12017550150A patent/PH12017550150B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PH12017550150A1 (en) | 2018-07-09 |
EP3318234A1 (en) | 2018-05-09 |
EP3318234A4 (en) | 2018-06-27 |
WO2017002490A1 (ja) | 2017-01-05 |
JP6468960B2 (ja) | 2019-02-13 |
EP3318234B1 (en) | 2023-03-29 |
CN107708633A (zh) | 2018-02-16 |
JP2017012403A (ja) | 2017-01-19 |
PH12017550150B1 (en) | 2018-07-09 |
MY181554A (en) | 2020-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60237B2 (en) | Absorbent article | |
US20130079742A1 (en) | Wearing article | |
EP3351226B1 (en) | Pull-up disposable diaper | |
EP3318230B1 (en) | Disposable wearing article | |
KR20180023963A (ko)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
JP5745576B2 (ja) | 吸収性物品 | |
EP3482729B1 (en) | Pull-up type absorbent article | |
KR102538035B1 (ko) |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
JP2015147075A (ja) | 吸収性物品 | |
JP3217272U (ja) | 吸収性物品 | |
KR101560996B1 (ko) | 일회용 기저귀 | |
WO2016104070A1 (ja) | 使い捨ておむつ | |
WO2019221274A1 (ja) | 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 | |
KR101758161B1 (ko) | 일회용 기저귀 | |
EP4378439A1 (en) | Underwear-type absorbent article | |
CN214434825U (zh) | 吸收性物品 | |
TWI657807B (zh) | 短褲型用後即棄式紙尿布 | |
CN115486993A (zh) | 吸收性物品 | |
WO2016103982A1 (ja)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
JP2020058767A (ja) | 吸収性物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