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381A - 선루프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선루프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381A
KR20180081381A KR1020170002530A KR20170002530A KR20180081381A KR 20180081381 A KR20180081381 A KR 20180081381A KR 1020170002530 A KR1020170002530 A KR 1020170002530A KR 20170002530 A KR20170002530 A KR 20170002530A KR 20180081381 A KR20180081381 A KR 20180081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 tube
cable
sunroof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수
신광식
최종오
백동수
문정민
서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심원 filed Critical (주)심원
Priority to KR102017000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381A/ko
Publication of KR2018008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선루프 구동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는, 자동차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에 설치되는 선루프 프레임;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튜브; 및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루프 구동 장치{SUNROOF DRIVING DEVICE}
아래의 실시예는 선루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현대인의 삶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계장치이다. 기존의 자동차에는 차량의 문에 형성되는 창문을 통해서만, 자동차 내부와 외부를 환기할 수 있었다.
최근, 자동차의 고급화와 대중화에 따라, 선루프가 장착된 자동차가 대중화되고 있다. 선루프는 차량의 내부 환기 및 쾌적한 개방감을 사용자에게 느끼게 해주기 위해 자동차에 마련되는 보조 창문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선루프는 자동차의 지붕에 장착되는데, 선루프는 자동차의 지붕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선루프는 자동차의 지붕에 형성되는 오프닝에 배치되는 글라스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오프닝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선루프에 설치되는 글라스는 케이블을 매개로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오프닝을 개폐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글라스에 동력을 전달하는 케이블은 선루프의 골격을 형성하는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데, 이 경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과 같은 구조가 요구된다. 기존에는, 글라스를 지지하기 위한 스틸(steel) 재질의 튜브를 프레임에 인서트하여, 케이블의 이동경로를 유지하였는데, 모터 작동에 따른 케이블의 움직임에 따라 케이블 및 튜브의 마찰로 인한 소음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금속 재질의 튜브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금속과 금속의 마찰로 인한 소음으로 인해, 자동차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불만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반면,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튜브가 강성이 낮은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힘을 튜브가 충분히 지지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선루프 구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면서도, 동력을 전달하는 케이블을 충분히 지지하기 위한 선루프 구동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82892호는 자동차용 선루프 구동장치에 대한 발명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선루프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튜브 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루프 구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선루프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선루프 구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는, 자동차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에 설치되는 선루프 프레임;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구비되는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튜브; 및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가이드 튜브에 삽입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튜브 내에서 이동 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글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글라스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는, 상기 구동 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글라스에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일측을 수용하는 구동 튜브; 및 상기 케이블의 타측을 수용하는 아이들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튜브 지지부는, 상기 구동 튜브를 지지하는 구동 지지부; 및 상기 아이들 튜브를 지지하는 아이들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튜브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튜브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 부재는, 상기 가이드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튜브 지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이드 튜브의 단면에 대응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튜브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부재 및 상기 튜브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 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는, 선루프 작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는,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1)는, 선루프에 설치되는 부재, 예를 들어, 선루프에 설치된 글라스(60)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선루프의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선루프 구동 장치(1)는, 선루프 프레임(10), 글라스(60), 구동 유닛(20), 케이블(30), 가이드 튜브(40) 및 튜브 지지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루프 프레임(10)은, 자동차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루프 프레임(10)은 오프닝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프레임(101)과, 프론트 프레임(101)의 양측에 연결되고 오프닝의 양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선루프 프레임(10)은 오프닝에 둘레에 설치됨으로써, 선루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글라스(60)는 선루프 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글라스(60)는 선루프 프레임(10)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오프닝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루프 프레임(10)에는 오프닝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글라스(60)는 양측이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오프닝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구동 유닛(20)은, 선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구동 유닛(20)은 글라스(6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닝을 개폐시킬 수 있다. 구동 유닛(20)은, 전기를 제공받아 회전 운동하는 모터와,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20)은 선루프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20)은 오프닝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선루프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루프 프레임(10)의 전방 하측, 예를 들어, 프론트 프레임(101)의 하측에는 모터 및 기어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루프 프레임(10)에는 모터 및 기어를 회피하기 위한 구동 유닛 회피부(101a, 101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30)은 구동 유닛(20)이 제공하는 동력을 글라스(60)에 전달할 수 있다. 케이블(30)은, 구동 유닛(20)에 연결되어, 구동 유닛(20)이 전달하는 회전 동력을 선형 동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30)은, 도 3과 같이 기어에 맞물리게 연결되고, 기어에 회전에 따라 좌 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30)은, 기어에 회전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 가능하도록 외면이 피니언 기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블(30)은 구동 유닛(20)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글라스(60)에 전달함으로써, 글라스(6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60)는 이동부재(미도시)를 통해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고, 케이블(30)은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글라스(6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구동 유닛(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케이블(30)은 구동 유닛(2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오프닝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글라스(6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구동 유닛(2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케이블(30)은 도 3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오프닝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글라스(6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케이블(30)은, 모터의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 가능하도록, 인장력이 강한 재질, 예를 들어, 금속(metal) 재질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40)는, 케이블(3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튜브(4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401)이 형성되고, 중공(401)에는 케이블(30)이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40) 내부에 형성된 중공(401)은, 도 5 및 도6과 같이, 내부에 삽입된 케이블(3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케이블(30)의 단면보다 큰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30)은 구동 유닛(20)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 튜브(4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튜브(40)는 선루프 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루프 프레임(10)에 대한 가이드 튜브(40)의 배치에 따라, 가이드 튜브(40)에 삽입된 케이블(30)의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튜브(40)는, 도 1과 같이, 구동 유닛(20)으로부터 선루프 프레임(10)의 일측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40)는, 구동 유닛(20)을 기준으로 글라스(60)에 연결되는 케이블(30)의 일측을 수용하는 구동 튜브(40a) 및 케이블(30)의 타측을 수용하는 아이들 튜브(40b)로 구분될 수 있다. 구동 튜브(40a)는 구동 유닛(20)로부터 가이드 레일까지 연장됨으로써, 케이블(30)의 일측이 글라스(60)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반면, 아이들 튜브(40b)는, 구동 유닛(20)로부터 선루프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케이블(30)의 타 단부가 선루프 프레임(10)의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 튜브(40)는 내부에 삽입된 케이블(30)의 움직임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튜브(40)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가이드 튜브(40)가 금속재질로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가이드 튜브(40) 내에 삽입된 케이블(3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 튜브(40)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금속간 마찰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루프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저감할 수 있다.
튜브 지지부(50)는 가이드 튜브(40)를 지지함으로써, 선루프 프레임(10)에 설치된 가이드 튜브(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튜브 지지부(50)는 가이드 튜브(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루프 프레임(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 지지부(50)는, 가이드 튜브(40)가 삽입 가능하도록, 프론트 프레임(101)의 외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튜브 삽입구(50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튜브 지지부의 튜브 삽입구(501)에 가이드 튜브(40)가 삽입됨으로써, 선루프 프레임(10)에서의 가이드 튜브(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튜브 지지부(50)는, 구동 튜브(40a)를 지지하는 구동 지지부(50a) 및 아이들 튜브(40b)를 지지하는 아이들 지지부(50b)로 구분될 수 있다. 케이블(30)이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한 쌍의 구동 튜브(40a) 및 아이들 튜브(40b)를 지지하기 위한 구동 지지부(50a) 및 아이들 지지부(50b)도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프론트 프레임(101) 및 사이드 프레임(102)의 연결 부분에서, 구동 튜브(40a) 및 아이들 튜브(40b)가 교차하게 되면, 아이들 지지부(50b)는, 구동 지지부(50a)의 상측으로 휘어짐으로써, 아이들 튜브(40b)를 구동 튜브(40a)의 상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도면과 달리, 구동 지지부(50a)가 아이들 지지부(50b)의 상측으로 휘어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튜브 지지부(50)는, 케이블(30)가 삽입되는 가이드 튜브(40)를 선루프 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튜브(40b)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튜브 지지부(50)는 케이블(30)에 대한 가이드 튜브(40)의 지지력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튜브(40a)는 내부에 수용한 케이블(30)의 움직임에 따른 힘을, 아이들 튜브(40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튜브(40a)에 수용된 케이블(30)는 구동 유닛(2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글라스(60)에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구동 튜브(40a)는 아이들 튜브(40b)에 비하여, 와이어를 더 충분히 지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튜브 지지부(50)는 선루프 프레임(10)에 대한 가이드 튜브(4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가이드 튜브(40)가 케이블(30)의 움직임에 따라 선루프 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30)의 동력 전달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튜브 지지부(50)는, 가이드 튜브(40)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510) 및 각각의 고정 부재(510)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홀(5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510)는 튜브 삽입구(501)에 삽입된 가이드 튜브(40)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가이드 튜브(4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 부재(510)는 가이드 튜브(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튜브 지지부(50)의 상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튜브 지지부(5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부재(510a) 및 하부에 형성된 고정 부재(510b)는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가이드 튜브(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부재(510) 사이에는 가이드 튜브(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홀(520)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개방홀(520)과 하나의 고정 부재(510)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홀(520)의 길이는 고정 부재(5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튜브 지지부(50)의 튜브 삽입구(50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 부재(510a, 510b)가 서로 겹쳐지지 않기 때문에, 선루프 프레임(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정 부재(510) 및 개방홀(520)을 포함하는 튜브 지지부(50)를 사출 성형 함으로써, 튜브 지지부(50)가 선루프 프레임(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튜브(40)는 튜브 지지부(50)의 튜브 삽입구(501)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선루프 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튜브(40)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 튜브(40)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튜브 삽입구(501)를 통해 튜브 지지부(50)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재(510)는, 가이드 튜브(40)를 상하 방향에서 지지함으로써, 튜브 삽입구(501)에 삽입된 가이드 튜브(40)가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고정 부재(510)는, 가이드 튜브(40)의 단면에 대응하는 접촉면(5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튜브(40)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튜브 지지부(5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 부재(510a)의 접촉면(511a)은, 도 5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양측을 향할수록 하향 곡선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튜브 지지부(50)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 부재(510b)의 접촉면(511b)은, 도 6과 같이, 중심으로부터 양측을 향할수록 상향 곡선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 부재(510)의 접촉면(511)은 가이드 튜브의 단면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튜브(40) 및 고정 지지부(50) 사이의 단차를 최소화하고, 케이블(30)의 이동에 따른 가이드 튜브(40)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가이드 튜브(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510)의 접촉면(511)은 가이드 튜브(40)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튜브(40)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분산시켜, 고정 부재(5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구동 장치(1)는, 튜브 지지부(50)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케이블(30)를 위치시키는 가이드 튜브(40)의 구조를 통해, 선루프의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 지지부(50)가 선루프 프레임(10)에 일체형으로 형성 가능하도록, 고정 부재(510) 및 개방홀(520)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선루프 구동 장치
10: 선루프 프레임
20: 구동 유닛
30: 케이블
40: 가이드 튜브
50: 튜브 지지부

Claims (10)

  1. 자동차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에 설치되는 선루프 프레임;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구비되는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튜브; 및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 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루프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가이드 튜브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선루프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선루프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글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글라스에 연결되는, 선루프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튜브는,
    상기 구동 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글라스에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일측을 수용하는 구동 튜브; 및
    상기 케이블의 타측을 수용하는 아이들 튜브를 포함하는, 선루프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지지부는,
    상기 구동 튜브를 지지하는 구동 지지부; 및
    상기 아이들 튜브를 지지하는 아이들 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루프 구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튜브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 부재는, 상기 가이드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교대로 형성되는, 선루프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지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개방홀을 포함하는, 선루프 구동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가이드 튜브의 단면에 대응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선루프 구동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부재 및 상기 튜브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 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선루프 구동 장치.
KR1020170002530A 2017-01-06 2017-01-06 선루프 구동 장치 KR20180081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30A KR20180081381A (ko) 2017-01-06 2017-01-06 선루프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30A KR20180081381A (ko) 2017-01-06 2017-01-06 선루프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381A true KR20180081381A (ko) 2018-07-16

Family

ID=6304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530A KR20180081381A (ko) 2017-01-06 2017-01-06 선루프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38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094A (ja) * 1991-06-27 1993-07-20 Vermeulen Hollandia Octrooien 2 Bv 車両用のオープンルーフ
JP2006168531A (ja) * 2004-12-16 2006-06-29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駆動モータ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
JP2010184698A (ja) * 2009-01-16 2010-08-26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
KR20130067835A (ko) * 2011-12-14 201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튜브리스 선루프 프레임
JP2014172430A (ja) * 2013-03-06 2014-09-22 Webasto Japan Kk サンルーフ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094A (ja) * 1991-06-27 1993-07-20 Vermeulen Hollandia Octrooien 2 Bv 車両用のオープンルーフ
JP2006168531A (ja) * 2004-12-16 2006-06-29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駆動モータ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
JP2010184698A (ja) * 2009-01-16 2010-08-26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
KR20130067835A (ko) * 2011-12-14 201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튜브리스 선루프 프레임
JP2014172430A (ja) * 2013-03-06 2014-09-22 Webasto Japan Kk サンルー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5344B2 (ja) 自動車のドア
JP5267064B2 (ja) ドアガラス昇降装置
KR900001539A (ko) 자동차 도어 창문조절장치 및 이것을 자동차 도어에 착설하는 방법
WO2013129206A1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6491802B2 (ja) パワースライドウィンドウ
JP2006348668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6384292B2 (ja) 車両ドアモジュール
JP5213776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20180326821A1 (en) Drive system for a movable roof part of a spoiler roof module of a motor vehicle
JP2009114752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US20160325687A1 (en) Protective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JP2006008121A (ja) 車両用開放式屋根構造
JP2018001772A (ja) サンルーフ用給電構造及びサンルーフユニット
JP2019177707A (ja) サンルーフ装置の製造方法
KR20180081381A (ko) 선루프 구동 장치
JP2010007386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18104895A (ja) 車両用ウインドガラス昇降機構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CN211500271U (zh) 用于车辆的门玻璃组件
JP5060209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US4716681A (en) Window regulator for an automotive vehicle
JP2006232222A (ja) 車両のドア構造
JPH0538225Y2 (ko)
KR101705167B1 (ko)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JP3781359B2 (ja) 車両用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