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745A -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745A
KR20180080745A KR1020170001535A KR20170001535A KR20180080745A KR 20180080745 A KR20180080745 A KR 20180080745A KR 1020170001535 A KR1020170001535 A KR 1020170001535A KR 20170001535 A KR20170001535 A KR 20170001535A KR 20180080745 A KR20180080745 A KR 20180080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mobility
slide leg
sli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334B1 (ko
Inventor
구동한
이석원
최재영
박준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334B1/ko
Priority to US15/711,639 priority patent/US10286851B2/en
Priority to CN201710962834.4A priority patent/CN108263290B/zh
Publication of KR2018008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 도어에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수납함에 따라 차량 실내 공간 또는 트렁크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차량의 도어에서 바로 꺼낼 수 있고,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틸팅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MOBILITY CONTAINER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차량에 수납하기 위한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 문제 및 사용상의 재미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최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라는 1인용 차량의 개발이 증대되고 있다.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의 일례로 세그웨이(segway)와 전동식 킥보드(kick board)가 있다.
특히, 전동식 킥보드 형태의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의 경우 휴대성의 향상을 위해 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실내 후석 또는 트렁크 적재 공간에 수납한다.
그러나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의 경우 폴딩하더라도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트렁크 적재 공간 또는 실내 후석에 적재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아울러, 적재된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꺼낼 때에도,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 무게가 무거운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꺼내야 함에 따라 불편함이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도어에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수납함에 따라 실내 공간 문제를 해소하고, 차량 도어에서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쉽게 꺼낼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도어; 수납공간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공간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프레임; 슬라이딩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빌리티가 적재되는 틸팅 프레임; 및 슬라이딩 프레임에 설치되고 틸팅 프레임에 연결되어 틸팅 프레임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록킹하되 슬라이딩 프레임이 수납공간에서 인출되면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과 연동되어 록킹 해제됨으로써 틸팅 프레임의 회전을 허용하는 록킹기구;를 포함한다.
틸팅 프레임은 회전 중심점이 슬라이딩 프레임의 일측 끝단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공간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프레임은, 가이드슬롯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록킹기구가 마련된 슬라이드레그 및 슬라이드레그에 결합되며 수납공간을 덮도록 형성된 슬라이드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슬롯에는 슬라이드레그와 연결되어 슬라이드레그를 인출 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록킹기구는, 슬라이드레그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슬라이딩 프레임의 인출시 가이드슬롯에 걸리도록 형성된 가이드바; 및 슬라이드레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바가 연결되며 회전 여부에 따라 틸팅 프레임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슬롯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의 끝단에 돌출된 가이드턱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드레그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걸림부와 걸림부에서 연장되되 걸림부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어 가이드턱 사이로 슬라이딩되는 연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바는 연장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이동바와 이동바의 일측끝단에서 절곡되어 걸림부를 따라 연장됨에 따라 가이드턱에 대응되는 걸림바로 구성되고, 이동바의 타측 끝단에 걸림후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슬롯의 가이드턱에는 가이드바의 걸림바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후크는 일측 끝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슬라이드레그의 연장부에 힌지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가 가이드바의 이동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후크는 타측 끝단부에 유격제거슬롯이 연장 형성되고, 이동바에는 유격제거슬롯에 관통 연결되는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틸팅 프레임에는 슬라이딩 프레임에서 미회전시 걸림후크의 걸림턱이 연결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레그에는 가이드바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에는 가이드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가이드바가 슬라이딩 프레임의 인출 방향으로 탄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레그의 안착홈에는 가이드바의 인출 방향에 대해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가이드바의 초기 위치를 구속하는 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케이스는 모빌리티를 감싸도록 내측부와 외측부로 구성되고, 틸팅 프레임은 내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모빌리티가 안착되는 바닥면과 바닥면에서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틸팅 프레임에는 슬라이드케이스에 연결되는 제3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제3탄성스프링에 의해 틸팅 프레임이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딩 프레임에는 래치기구가 구비되고, 도어에는 래치기구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대응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에 따르면, 차량 도어에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수납함에 따라 차량 실내 공간 또는 트렁크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차량의 도어에서 바로 꺼낼 수 있고,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틸팅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7은 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7은 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모빌리티는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이하 모빌리티)로서, 원휠, 투휠 전동 보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퀵보드 형태의 모빌리티로 도식하였다. 즉, 본 발명의 경우 퀵보드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모빌리티(M)의 수납이 가능하며, 종류에 따라 하기 설명할 수납공간(120) 및 슬라이드케이스(240)의 형태를 모빌리티(M)의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다양한 모빌리티(M)를 적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20)이 형성된 도어(100); 수납공간(120)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공간(120)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프레임(200); 슬라이딩 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빌리티(M)가 적재되는 틸팅 프레임(300); 및 슬라이딩 프레임(200)에 설치되고 틸팅 프레임(300)에 연결되어 틸팅 프레임(30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록킹하되 슬라이딩 프레임(200)이 수납공간(120)에서 인출되면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이동과 연동되어 록킹 해제됨으로써 틸팅 프레임(300)의 회전을 허용하는 록킹기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어(100)에 수납공간(120)이 형성됨에 따라 하차시 도어(100)에서 모빌리티(M)를 자연스럽게 꺼낼 수 있고, 적재 공간으로 도어(100)를 이용함에 따라 실내 공간 및 트렁크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00)의 수납공간(120)에는 하기 설명할 슬라이딩 프레임(200) 및 틸팅 프레임(300)이 구비되며, 틸팅 프레임(300)은 슬라이딩 프레임(200)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록킹기구(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팅 동작이 수행된다.
이처럼, 슬라이딩 프레임(200)이 수납공간(120)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고 인출이 완료되면 록킹기구(400)가 록킹 해제 동작됨에 따라 틸팅 프레임(300)의 상하방향 회전이 허용됨으로써 틸팅 프레임(300)이 상방향으로 회전 동작된다. 이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프레임(300)은 도어(100)에서 인출 및 상승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모빌리티(M)를 꺼내기 위해 허리를 굽이지 않아도 편하게 모빌리티(M)를 꺼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프레임(300)은 회전 중심점이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일측 끝단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100)에 수납공간(120)이 형성됨에 따라 도어(100)를 개방하여 하차하면서 자연스럽게 틸팅 수납부에 적재된 모빌리티(M)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경우 수납공간(120)의 일측 끝단에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일측이라 함은 도어(100)의 전방 측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10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프레임(200) 및 틸팅 프레임(300)에 적재된 모빌리티(M)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위치되어 사용자의 편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20)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슬롯(122)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프레임(200)은, 가이드슬롯(122)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록킹기구(400)가 마련된 슬라이드레그(220) 및 슬라이드레그(220)에 결합되며 수납공간(120)을 덮도록 형성된 슬라이드케이스(24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프레임(200)은 슬라이드레그(220)와 슬라이드케이스(240)로 구성되며, 슬라이드레그(220)가 가이드슬롯(122)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레그(220)에는 틸팅 프레임(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기구(400)가 마련되고 슬라이드레그(220)가 수납공간(120)에서 인출시 록킹기구(400)가 연동되어 틸팅 프레임(300)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레그(220)와 록킹기구(400)에 연동 관계에 대해서는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슬라이드레그(220)에 결합되는 슬라이드케이스(240)는 수납공간(120)을 덮어 폐쇄하도록 형성되며, 도어(100)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슬롯(122)에는 슬라이드레그(220)와 연결되어 슬라이드레그(220)를 인출 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스프링(S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슬롯(122)에는 슬라이드레그(220)를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스프링(S1)이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드레그(22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받아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프레임(200)은 수납공간(120)에서 제1탄성스프링(S1)에 의해 자연스럽게 측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슬라이딩 프레임(200)에는 래치기구(280)가 구비되고, 도어(100)에는 래치기구(280)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대응기구(1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슬라이딩 프레임(200)에서 슬라이드케이스(240)에는 래치기구(280)가 구비되고, 래치기구(280)가 도어(100)에 구비된 대응기구(180)에 체결시 슬라이딩 프레임(200)은 수납공간(120)에서 인출되지 못한다. 래치기구(280)의 해제시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인출이 허용되고, 슬라이딩 프레임(200)은 제1탄성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되어 수납공간(120)에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래치기구(280)와 대응기구(180)는 이미 널리 알려진 래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푸시래치와 같은 다양한 록킹 구조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기구(280) 및 푸시래치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기술 사항인바, 그 구조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프레임(200)은 제1토션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슬라이딩 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틸팅 프레임(300)을 통해 모빌리티(M)의 위치가 틸팅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여기서, 틸팅 프레임(300)은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인출이 완료된 후 상승 동작되어야 하는바, 록킹기구(400)에 의해 틸팅 프레임(300)의 상하방향 회전이 록킹된다. 록킹기구(400)의 록킹 해제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록킹기구(4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기구(400)는, 슬라이드레그(22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인출시 가이드슬롯(122)에 걸리도록 형성된 가이드바(420); 및 슬라이드레그(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바(420)가 연결되며 회전 여부에 따라 틸팅 프레임(300)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걸림후크(4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록킹기구(400)는 가이드바(420)와 걸림후크(440)로 구성되고, 가이드바(420)는 슬라이드레그(220)와 함께 이동되되 슬라이드레그(220)의 인출이 적정 수준에 도달하면 가이드슬롯(122)에 접촉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슬라이드레그(220)만 이동된다. 즉, 슬라이드레그(220)가 가이드슬롯(122)에서 인출시 가이드바(420)가 가이드슬롯(122)에 접촉되면 가이드바(420)와 슬라이드레그(220) 간에 위치차가 발생되고, 이러한 위치차에 의해 가이드바(4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후크(440)가 회전됨에 따라 틸팅 프레임(300)에서 체결 해제되어 틸팅 프레임(300)의 회전이 허용되는 것이다.
상세하게,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슬롯(122)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122a)과 가이드홈(122a)의 끝단에 돌출된 가이드턱(122b)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드레그(220)는 가이드홈(122a)에 삽입되어 가이드홈(122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걸림부(222)와 걸림부(222)에서 연장되되 걸림부(222)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어 가이드턱(122b) 사이로 슬라이딩되는 연장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레그(220)는 걸림부(222)가 가이드홈(122a)에서 슬라이딩되고 연장부(224)가 가이드턱(122b)에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인출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가이드턱(122b) 사이의 폭은 가이드홈(122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드레그(220)의 걸림부(222)가 가이드턱(122b)에 접촉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여기서, 가이드바(420)는 연장부(22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이동바(422)와 이동바(422)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되어 걸림부(222)를 따라 연장됨에 따라 가이드턱(122b)에 대응되는 걸림바(424)로 구성되고, 이동바(422)의 타측 끝단에 걸림후크(4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바(420)는 슬라이드레그(220)의 걸림부(222)와 대응되게 형성된 이동바(422)와 연장부(224)와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바(424)로 이루어짐으로써 슬라이드레그(220)의 슬라이딩 이동시 슬라이드레그(220)와 함께 이동되는 가이드바(420)의 걸림바(424)가 가이드슬롯(122)의 가이드턱(122b)에 접촉될 수 있다.
특히, 이동바(422)에는 틸팅 프레임(300)에 체결되는 걸림후크(4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레그(220)가 이동됨에 따라 걸림바(424)가 가이드턱(122b)에 접촉시 이동바(422)가 슬라이드레그(220)에서 이동됨으로써 걸림후크(440)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걸림후크(440)는 슬라이드레그(22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 동작됨으로써 틸팅 프레임(300)과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슬롯(122)의 가이드턱(122b)에는 가이드바(420)의 걸림바(424)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핀(122c)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턱(122b)에는 돌출핀(122c)이 돌출됨으로써 슬라이드레그(220)의 슬라이딩시 슬라이드레그(220)의 걸림부(222)가 가이드턱(122b)에 접촉하기 전에 가이드바(420)의 걸림바(424)가 먼저 돌출핀(122c)에 접촉되어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레그(220)가 가이드슬롯(122)에서 인출시 가이드바(420)의 걸림바(424)가 돌출핀(122c)에 접촉되어 먼저 위치가 구속되고 슬라이드레그(220)는 가이드턱(122b)까지 더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바(420)와 슬라이드레그(220) 간에 위치차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차에 의해 가이드바(420)의 이동바(422)에 설치된 걸림후크(440)가 회전될 수 있다.
슬라이드레그(220)와 가이드바(420)의 위치차에 따른 걸림후크(440)의 회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걸림후크(440)는 일측 끝단부에 걸림턱(442)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슬라이드레그(220)의 연장부(224)에 힌지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가 가이드바(420)의 이동바(4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걸림후크(440)는 중앙부가 슬라이드레그(220)의 연장부(224)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 끝단부가 가이드바(420)의 이동바(4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드레그(220)와 가이드바(420)의 위치차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그(220)와 함께 가이드바(420)의 이동시 가이드바(420)는 돌출핀(122c)에 접촉되어 위치가 구속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레그(220)는 가이드턱(122b)에 접촉되기까지 더 이동됨에 따라 걸림후크(440)의 타측 끝단부에 당김력이 발생되어 회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걸림후크(440)는 타측 끝단부에 유격제거슬롯(444)이 연장 형성되고, 이동바(422)에는 유격제거슬롯(444)에 관통 연결되는 고리(422g)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걸림후크(440)의 유격제거슬롯(444)을 통해 이동바(422)의 고리(422g)가 관통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드레그(220)와 가이드바(420)의 위치차에 따라 발생되는 유격이 흡수되어 원활한 작동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틸팅 프레임(300)에는 슬라이딩 프레임(200)에서 미회전시 걸림후크(440)의 걸림턱(442)이 연결되는 위치에 걸림홈(320)이 형성됨으로써 걸림후크(440)의 걸림턱(442)이 틸팅 프레임(300)의 걸림홈(320)에 삽입시 틸팅 프레임(300)의 회전이 제한되고, 걸림후크(440)가 회전됨에 따라 걸림턱(442)이 걸림홈(320)에서 이탈시 틸팅 프레임(300)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슬라이드레그(220)에는 가이드바(420)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안착홈(226)이 형성되고, 안착홈(226)에는 가이드바(4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스프링(S2)이 구비되어 가이드바(420)가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인출 방향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슬라이드레그(220)에는 안착홈(226)이 형성됨에 따라 안착홈(226)에서 가이드바(420)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특히 안착홈(226)에는 제2탄성스프링(S2)이 구비되어 가이드바(420)가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여기서, 슬라이드레그(220)의 안착홈(226)에는 가이드바(420)의 인출 방향에 대해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가이드바(420)의 초기 위치를 구속하는 고정턱(226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레그(220)의 안착홈(226)에 마련된 가이드바(420)는 제2탄성스프링(S2)에 의해 탄성 지지되되 고정턱(226a)에 의해 위치가 구속됨으로써 슬라이드레그(220)에서 이동되지 않고 초기 위치가 구속되되 가이드바(420)의 걸림바(424)가 가이드슬롯(122)에 형성된 돌출핀(122c)에 접촉시 제2탄성스프링(S2)을 압축시키면서 이동되면서 슬라이드레그(220)와 위치차가 발생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슬라이드케이스(240)는 모빌리티(M)를 감싸도록 내측부(242)와 외측부(2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드케이스(240)의 내측부(242)에는 틸팅 프레임(300)이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부(244)는 도어(100) 디자인에 맞추어 도어(100) 내측면을 이룬다.
틸팅 프레임(300)은 모빌리티(M)가 안착되는 바닥면(340)과 바닥면(340)에서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면(360)으로 구성됨으로써 틸팅 프레임(300)의 회전시 바닥면(340)이 안착된 모빌리티(M)를 들어올리고 지지면(360)을 통해 모빌리티(M)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프레임(300)에는 슬라이드케이스(240)에 연결되는 제3탄성스프링(S3)이 구비되어 제3탄성스프링(S3)에 의해 틸팅 프레임(300)이 상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틸팅 프레임은 슬라이드케이스(240)에 연결된 제3탄성스프링(S3)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틸팅 프레임(300)이 슬라이딩 프레임(200)에서 회전 허용시 자동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3탄성스프링(S3)은 압축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틸팅 프레임(30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틸팅 프레임(300)의 회전 허용시 복원되는 힘에 의해 틸팅 프레임(300)이 회전된다.
하기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M)가 적재된 슬라이딩 프레임(200)과 틸팅 프레임(300)이 수납공간(120) 내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래치기구(280)를 조작하면 도어(100)에 구비된 대응기구(180)와 체결 해제되고, 가이드슬롯(122)에 구비된 제1탄성스프링(S1)이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슬라이드레그(220)를 탄성력으로 밀어줌에 따라 슬라이드레그(220)가 가이드슬롯(122)에서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프레임(200)은 수납공간(120)에서 인출된다.
단,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인출이 완료되면 틸팅 프레임(300)이 자동적으로 틸팅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레그(220)가 가이드슬롯(122)에서 이동시 슬라이드레그(220)에 마련된 가이드바(420)가 함께 이동된다. 여기서, 가이드슬롯(122)의 가이드턱(122b)에는 돌출핀(122c)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걸림바(424)가 돌출핀(122c)에 접촉되어 가이드바(420)의 위치가 구속되고 슬라이드레그(220)는 제1탄성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제2탄성스프링(S2)을 압축시키면서 걸림부(222)가 가이드턱(122b)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추가적인 이동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레그(220)와 가이드바(420) 간에 위치차가 발생되고, 가이드바(420)를 이루는 이동바(422)에 설치된 걸림후크(4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슬라이드레그(220)에 힌지 연결되고 끝단부가 이동바(422)에 연결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이동바(422)의 당김력에 의해 회전 동작된다. 이렇게, 걸림후크(440)가 회전됨에 따라 걸림후크(440)에 형성된 걸림턱(442)이 틸팅 프레임(300)의 걸림홈(320)에서 이탈되고, 틸팅 프레임(300)은 회전이 허용됨에 따라 제3탄성스프링(S3)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M)를 쉽게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100)의 수납공간(120)에서 슬라이딩 프레임(200)이 자동적으로 인출된 후 슬라이딩 프레임(200)의 인출 완료시 틸팅 프레임(300)이 자동적으로 틸팅 동작됨으로써 모빌리티(M)를 쉽게 꺼낼 수 있고, 상품성 또한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에 따르면,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차량 도어(100)에 수납함에 따라 차량 실내 공간 또는 트렁크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차량의 도어(100)에서 바로 꺼낼 수 있고, 전동식 퍼스널 모빌리티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동작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도어 120:수납공간
122:가이드슬롯 122a:가이드홈
122b:가이드턱 122c:돌출핀
180:대응기구 200:슬라이딩 프레임
220:슬라이드레그 222:걸림부
224:연장부 226:안착홈
226a:고정턱 240:슬라이드케이스
242:내측부 244:외측부
280:래치기구 300:틸팅 프레임
320:걸림홈 340:바닥면
360:지지면 400:록킹기구
420:가이드바 422:이동바
422g:고리 424:걸림바
440:걸림후크 442:걸림턱
444:유격제거슬롯 M:모빌리티
S1:제1탄성스프링 S2:제2탄성스프링
S3:제3탄성스프링

Claims (16)

  1. 수납공간이 형성된 도어;
    수납공간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공간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프레임;
    슬라이딩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빌리티가 적재되는 틸팅 프레임; 및
    슬라이딩 프레임에 설치되고 틸팅 프레임에 연결되어 틸팅 프레임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록킹하되 슬라이딩 프레임이 수납공간에서 인출되면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과 연동되어 록킹 해제됨으로써 틸팅 프레임의 회전을 허용하는 록킹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틸팅 프레임은 회전 중심점이 슬라이딩 프레임의 일측 끝단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납공간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프레임은, 가이드슬롯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록킹기구가 마련된 슬라이드레그 및 슬라이드레그에 결합되며 수납공간을 덮도록 형성된 슬라이드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가이드슬롯에는 슬라이드레그와 연결되어 슬라이드레그를 인출 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록킹기구는, 슬라이드레그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슬라이딩 프레임의 인출시 가이드슬롯에 걸리도록 형성된 가이드바; 및
    슬라이드레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바가 연결되며 회전 여부에 따라 틸팅 프레임에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가이드슬롯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의 끝단에 돌출된 가이드턱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드레그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걸림부와 걸림부에서 연장되되 걸림부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어 가이드턱 사이로 슬라이딩되는 연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이드바는 연장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이동바와 이동바의 일측끝단에서 절곡되어 걸림부를 따라 연장됨에 따라 가이드턱에 대응되는 걸림바로 구성되고, 이동바의 타측 끝단에 걸림후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가이드슬롯의 가이드턱에는 가이드바의 걸림바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걸림후크는 일측 끝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슬라이드레그의 연장부에 힌지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가 가이드바의 이동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걸림후크는 타측 끝단부에 유격제거슬롯이 연장 형성되고, 이동바에는 유격제거슬롯에 관통 연결되는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틸팅 프레임에는 슬라이딩 프레임에서 미회전시 걸림후크의 걸림턱이 연결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슬라이드레그에는 가이드바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에는 가이드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가이드바가 슬라이딩 프레임의 인출 방향으로 탄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슬라이드레그의 안착홈에는 가이드바의 인출 방향에 대해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가이드바의 초기 위치를 구속하는 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슬라이드케이스는 모빌리티를 감싸도록 내측부와 외측부로 구성되고,
    틸팅 프레임은 내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모빌리티가 안착되는 바닥면과 바닥면에서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15. 청구항 3에 있어서,
    틸팅 프레임에는 슬라이드케이스에 연결되는 제3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제3탄성스프링에 의해 틸팅 프레임이 상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라이딩 프레임에는 래치기구가 구비되고,
    도어에는 래치기구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대응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KR1020170001535A 2017-01-04 2017-01-04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KR102299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535A KR102299334B1 (ko) 2017-01-04 2017-01-04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US15/711,639 US10286851B2 (en) 2017-01-04 2017-09-21 Storage apparatus for mobility device in vehicle
CN201710962834.4A CN108263290B (zh) 2017-01-04 2017-10-17 车辆中用于移动设备的储存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535A KR102299334B1 (ko) 2017-01-04 2017-01-04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745A true KR20180080745A (ko) 2018-07-13
KR102299334B1 KR102299334B1 (ko) 2021-09-09

Family

ID=6270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535A KR102299334B1 (ko) 2017-01-04 2017-01-04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86851B2 (ko)
KR (1) KR102299334B1 (ko)
CN (1) CN1082632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2004B (zh) * 2020-03-26 2024-03-01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智能座舱侧部收纳结构
KR20220055824A (ko) * 2020-10-27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트레이 장치
US11491919B2 (en) * 2020-11-10 2022-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ing parcel trays on hinged vehicle closure members
KR20220170295A (ko) * 2021-06-22 2022-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도어용 스토리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9769U (ko) * 1995-12-14 1997-07-24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의 맵포켓
JP2003089323A (ja) * 2001-09-18 2003-03-25 Nifco Inc カップホルダー装置
KR100366474B1 (ko) * 1994-04-06 2003-04-10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자동차에설치되는우산용수납장치
KR20120041992A (ko) * 2010-10-22 2012-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자기기 수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513A (en) * 1993-09-20 1995-10-10 Schmidt; Glen D. Sound and water barri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02782944U (zh) * 2012-09-25 2013-03-13 保定延锋江森汽车座椅有限公司 座椅抽屉式储物盒装置
DE102014201566A1 (de) * 2014-01-29 2015-07-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eitenverkleidung für ein Fahrzeug
CN105383270A (zh) * 2015-12-16 2016-03-09 重庆众科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汽车车门
EP3342647B1 (en) * 2016-12-30 2019-06-26 Ford Otomotiv Sanayi Anonim Sirketi Vehicle do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474B1 (ko) * 1994-04-06 2003-04-10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자동차에설치되는우산용수납장치
KR970029769U (ko) * 1995-12-14 1997-07-24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의 맵포켓
JP2003089323A (ja) * 2001-09-18 2003-03-25 Nifco Inc カップホルダー装置
KR20120041992A (ko) * 2010-10-22 2012-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자기기 수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86851B2 (en) 2019-05-14
US20180186296A1 (en) 2018-07-05
KR102299334B1 (ko) 2021-09-09
CN108263290A (zh) 2018-07-10
CN108263290B (zh)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0745A (ko)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JP4480036B2 (ja) アームレストの取付け構造
RU2567714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JP6031523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US20050093304A1 (en) Locking device with releasable latching means
KR102299333B1 (ko)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EP3766760A1 (en) Rod locking mechanism and stroller therewith
KR101575929B1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KR20100102017A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JP2002087166A (ja) 自動車のラゲージフロア装置
JP2003237476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0115315A (ja) 電話機ホルダー
KR20110018712A (ko)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120041015A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KR102042029B1 (ko) 차량의 포브 키
KR101212440B1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US20100188805A1 (en) Cover releasing mechanisms
KR101172138B1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JP2000175765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装置
JP3367765B2 (ja) 開閉体取付装置
KR100857707B1 (ko) 차량의 커버링 쉘프 개폐체
KR20090109710A (ko) 자동차용 접힘식 시동키 장치(i)
JPH0218213Y2 (ko)
KR20010037915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