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017A -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 Google Patents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017A
KR20100102017A KR1020090020500A KR20090020500A KR20100102017A KR 20100102017 A KR20100102017 A KR 20100102017A KR 1020090020500 A KR1020090020500 A KR 1020090020500A KR 20090020500 A KR20090020500 A KR 20090020500A KR 20100102017 A KR20100102017 A KR 20100102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rod
grip knob
sliding plate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1262B1 (ko
Inventor
박홍미
Original Assignee
(주)삼미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미가구 filed Critical (주)삼미가구
Priority to KR1020090020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26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2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movable, resilient or yieldable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구조를 보다 간편하게 개선하여 보다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물건을 수납하는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을 닫아주는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분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상기 잠금고리부분이 결속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사물함의 슬라이딩식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잠금고리부분은 슬라이딩지지판과 슬라이딩판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지지판은 수납로드와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판은 그립노브와 그립노브 양 사이드로 슬라이딩 로드편을 구비하되, 상기 그립노브는 상기 슬라이딩판의 말단과 끝단사이에 절곡되어 U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로드에는 로드공을 형성하여, 상기 그립노브가 상기 로드공 내로 삽입되어 안착되어 상기 로드공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 로드편은 상기 수납로드의 로드공의 사이드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편에는 나사공이 구비되어 사물함의 내부공간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구조이다.
사물함, 잠금구조

Description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with operation utility}
본 발명은 작동 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함 사용자가 사물함을 사용할 때 돌출되어 나온 잠금구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신체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구조를 보다 간편하게 개선하여 보다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외관의 간결함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치작업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사물함 잠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소지하는 물품을 소정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구비된 본체와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내의 수납공간의 물품의 도난이나 훼손방지를 위하여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잠금장치의 형태는 현재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태는 본체에 결합되어 돌출되게 형성된 잠금고리부재와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고리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걸쇠부재의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문 제점은 항상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손상이 우려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가지 방향에서 문제해결의 시도가 있다. 첫째로는 본체에 결합되는 잠금고리부재의 이동성을 부여하는 형태이고 둘째로는 도어에 형성되어 걸쇠부재를 보호하는 형태를 취하여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는 형태이다. 사물함이 잠겨 있는 상태에서 돌출된 부분에 부딪혀서 손상을 당하는 경우보다는 사물함 사용자가 사물함을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신체손상이 훨씬 많다는 것이며, 주로 사용중 부주의로 머리나 이마 등에 상처를 입는 경우를 예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사물함이 잠겨 있는 상태에서 돌출된 부분에 부딪혀서 손상을 당하는 경우를 구조적으로 막는 것은 쉽지 않아 첫번째의 문제해결을 위한 시도가 현실적이 연구되고 있다.
첫번째의 방법은 슬라이딩 방식과 회전식 방식이 있는데, 슬라이딩 방식에 관한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슬라이딩 방식에서는 잠금고리부재의 출몰을 위해 버튼방식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버튼 방식채택을 위해 잠금고리부재의 수납을 위해 다층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다양한 탄성부재를 다양하게 사용하여야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진다. 보통 이경우에는 박스 형태의 수납공간내에서 내부장치를 구비하고 슬라이딩할 수 있는 로드를 만들어 주는 형태이다. 또 하나의 형태로 잠금고리부재가 몰입되도록 스프링등으로 잡아 당긴 상태로 존재하다가, 도어를 잠글 때에 이를 잡아당겨 걸쇠부재와 결합시키는 형태이다. 그러나, 잠금고리부재를 나오게 할 때, 이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를 별도로 구성해야 하며, 장치가 복잡해짐으 로써, 부분 고장이 잦아지며, 고장시 수리가 번잡해진다. 특히 종래의 잠금고리부재를 일정한 부분정도만 나오게 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부분이나, 고정된 부분은 단지 단턱에 걸리게 하는 등의 형태이기 때문에 자물쇠를 잠근상태에서 잡아당기게 되면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또 다른 형태로 매우 간단한 형태가 하나 있는데, 잠금고리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잠금고리부재가 내부로 몰입되면서 충격완화와 돌출길이의 감소가 이루어짐으로써 손상을 줄이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외력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방식에서 스프링 등을 비롯한 여러부품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그 장치들의 수납을 위한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종으로 또는 횡으로 또는 상하로 폭이 넓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사물함의 경우, 학교나 쇼핑몰, 지하철 구내등에서 다수개가 설치되고, 또한 다수인이 사용하는 것이어서 고장이 잦거나 수리 필요성이 많아진다. 설치의 편리성뿐만 아니라, 보수의 편리성도 필요하며, 작동이 편리해야 하며 사용이 번거롭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연구된 슬라이딩 방식의 잠금구조를 채택하는 예가 거의 없다. 요컨대, 실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서 효과가 뛰어난 잠금구조를 가져야 하는 등의 사물함의 작동실용성이 좋아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돌출된 잠금고리부재로 인해 사물함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하거나 꺼낼 때, 머리, 손 등의 신체 손상을 당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매우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 실용성을 가지는 잠금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는 슬라이딩 방식을 채택하지만, 구조의 개선을 통해서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그리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물함의 잠금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부수적으로 제조가 간편하고, 시공이 편하며, 보수가 매우 편리한 형태가 되며 내구성이 강한 잠금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물건을 수납하는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을 닫아주는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분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상기 잠금고리부분이 결속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사물함의 슬라이딩식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잠금고리부분은 슬라이딩지지판과 슬라이딩판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지지판은 수납로드와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판은 그립노브와 그립노브 양 사이드로 슬라이딩 로드편을 구비하되, 상기 그립노브는 상기 슬라이딩판의 말단과 끝단사이에 절곡되어 U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로드에는 로드공을 형성하여, 상기 그립노브가 상기 로드공 내로 삽입되 어 안착되어 상기 로드공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 로드편은 상기 수납로드의 로드공의 사이드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편에는 나사공이 구비되어 사물함의 내부공간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구조이다.
또한, 상기 로드공은 크기는, 상기 그립노브를 몰입시켰을 때 슬라이딩판의 앞부분이 슬라이딩지지판의 앞부분과 일치하는 라인이 형성되는 범위에 오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편은 사물함의 내부의 천정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납로드의 깊이는 상기 슬라이딩판의 두께보다 0.5 내지 2.5 mm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사물함 사용자의 신체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실질적인 구현 형태를 보여주며, 제조의 간편성과 시공의 간편성, 보수의 간편성을 가지며,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구현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잠금구조는 사물함(A)의 내부 벽체와 도어(D)부분에 설치되어 자물쇠(L)를 이용하여 잠금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사물함 본체의 내부측벽중 상부(천정)에 잠금고리부재를 형성한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걸쇠부재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좌측벽에 형성하는 경우도 가능하며, 이에 맞추어 걸쇠부재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구조를 알 수 있다. 크게 2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사물한 본체의 측벽에 고정되는 부분(10, 20)과, 사물함의 도어 부분에 고정될 결속부재(30)로 이루어진다. 측벽에 고정되는 부분은 슬라이딩 지지판(10)과 슬라이딩판(20)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지지판(10)이 측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판(20)이 슬라이딩 지지판(10) 내에서 슬라이드 되어 이동할 수 있는 형태이다. 슬라이딩판(20)이 내부로 몰입된 상태에서는 외부로 돌출되어 나오는 부분이 없게되고, 슬라이딩판(20)이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도어여 고정되어 있는 결속부재(30)와 연동되어 자물쇠를 채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결속부재(30)는 잠금관통공(31), 보조잠금판(32), 보조잠금공(33)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름꽃이부분, 손잡이 등의 필요한 요소를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판(20)이 돌출되어 나온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면, 슬라이딩판의 앞부분이 잠금관통공(31)을 통과하게 되고, 보조잠금판(32)과 대칭된 위치로 오게 되어 슬라이딩판(20)의 잠금공이 보조잠금판(32)의 보조잠 금공(33)과 대응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후, 자물쇠를 잠금공에 넣어 잠금상태를 만든다. 한편, 결속부재(30)에서 보조잠금판(32)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결속부재(30)에 잠금관통공(31)만을 형성하여 슬라이딩판(20)의 앞부분이 이를 통과한 후 자물쇠로 잠궈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결속부재가 아니라 도어에 잠금관통공을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을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판(20)이 돌출되어 나오는 정도를 세밀하게 조절하여야 문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할 필요는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분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의 단면을 보여주며,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분의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기본적인 작동원리는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과 흡사하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교적 간단하지만, 아주 중요한 구조의 변화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보다 구조의 변화부분에 대해 살펴본다.
사물함의 천정 또는 측벽(이하 "측벽"이라 한다)에 고정되고 슬라이딩판(20)을 수납하고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슬라이딩지지판(10)은 로드공(11), 수납로드(14), 고정편(12)과, 나사공(13)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딩지지판(10)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딩판(20)은 잠금공(24), 그립노브(21), 제 1, 2슬라이딩로드편(22, 23)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딩지지판의 수납로드(14)는 슬라이딩지지판의 중앙부분에서 퍼진 형태 의 U자형 협곡과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이 부분에 슬라이딩판(20)이 안착되어 수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수납로드(14)내에는 로드공(11)이 직사각형 형태로 뚫려 있는데, 이 부분에 슬라이딩판(20)의 그립노브(21)가 삽입되어 안착되며, 이 부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립노브(21)는 손으로 접촉하여 앞뒤로 움직이게 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U자형을 이루어, 로드공(11)의 앞부분 및 뒷부분의 걸림턱에 의해 이동공간의 범위가 정해지게 된다. 즉, 그립노브(21)가 로드공(11)의 안쪽부분의 걸림턱에 닿는 경우, 슬라이딩판(20)이 사물함의 본체 내부로 몰입되게 되고, 그립노브(21)가 로드공(11)의 바깥부분의 걸림턱에 닿는 경우, 슬라이딩판(20)이 돌출되어 나와, 결속부재(30)와 연동되어 자물쇠를 채울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4를 보면 이러한 이동공간의 범위를 보다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슬라이딩판(2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슬라이딩판의 사이드에는 로드편(22, 23)이 있다. 로드편은 수납로드(14)의 사이드에 걸치는 부분으로, 그립노브(21)를 기준으로 안쪽편으로 제1로드편(22)과 제 2로드편(23)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의 구조는 그립노브를 펴서 펼친 형태를 가정하면, ㄷ자형의 절곡형태를 기준으로 그립노브의 양편으로 존재한다. 이는 슬라이딩판(20)이 수납로드에 충분히 접촉한 상태로 어느 정도의 마찰력을 가지고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며,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간단히 쉽게 설명하면, 슬라이딩 지지판의 수납로드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슬라이딩판의 로드편이 걸쳐서 미끄러지는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납로드(14)의 깊이는 슬라이딩판(20)의 높이보다 더 깊어야 하지만, 너무 깊은 경우에는 안정성이 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2.5 mm 차이가 가장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범위이다. 종래의 방식에서는 슬라이딩판이 단순히 일자형으로 되어 있거나, 단순히 스프링등을 결속시키기 위한 돌기부분이 있는 등의 형태이지만 본 발명과 같은 경우 그립노브(21)가 충분히 안착되고, 이로써 로드편들이 안정적으로 위치를 잡게되며, 별도의 정지편이 필요없다. 또한, 종횡으로 별도의 여분공간이 필요없어 매우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판(20)의 그립노브(21)를 슬라이딩지지판(10)의 로드공(11)내로 삽입한 상태로, 슬라이딩지지판(10)의 양쪽에 있는 고정편(12)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13)을 통해 사물함의 측벽부분에 나사고정을 시킬 수 있다. 이렇게 고정시키면, 슬라이딩지지판(10)내에서, 슬라이딩판(20)이 슬라이딩될 수 있고, 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슬라이딩판을 몰입시키거나 돌출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판(20)의 이동범위는 로드공(11)과 그립노브(21)의 관계에서 결정되고, 또한, 이러한 형태의 구조는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구조와 대비할 때, 그 내구성은 매우 뛰어나며, 제조 및 시공, 추후 보수의 경우에도 매우 실용성이 높다고 하겠다. 상기 로드공(11)의 크기는 상기 슬라이딩판(20)을 설치하였을 때, 상기 그립노브(21)가 로드공(11)의 가장 안측으로 몰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판과 슬라이딩지지판의 앞부분이 일치하는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이때, 슬라이딩판과 슬라이딩지지판의 뒷부분도 일치하는 것이 보기에 좋다. 즉 결과적으로 슬라이딩판과, 슬라이딩지지판의 길이는 같게 하는 것이 구조상 내지는 미관상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당업자의 입장에서 길이의 변경이나, 두께의 변경, 설치위치의 선택, 로드편의 폭 등의 자명한 변경등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의 것임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구현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이는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분의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라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분의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10 : 슬라이딩 지지판 11 : 로드공
12 : 고정편 13 : 나사공
14 : 수납로드 20 : 슬라이딩판
21 : 그립노브 22 : 제 1슬라이딩로드편
23 : 제 2슬라이딩로드편 24 : 잠금공
30 : 결속부재 31 : 잠금관통공
32 : 보조잠금판 33 : 보조잠금공
A : 사물함, D : 도어, L : 자물쇠

Claims (4)

  1. 물건을 수납하는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을 닫아주는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잠금고리부분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상기 잠금고리부분이 결속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사물함의 슬라이딩식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잠금고리부분은 슬라이딩지지판과 슬라이딩판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지지판은 수납로드와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판은 그립노브와 그립노브 양 사이드로 슬라이딩 로드편을 구비하되, 상기 그립노브는 상기 슬라이딩판의 말단과 끝단사이에 절곡되어 U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로드에는 로드공을 형성하여, 상기 그립노브가 상기 로드공 내로 삽입되어 안착되어 상기 로드공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 로드편은 상기 수납로드의 로드공의 사이드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편에는 나사공이 구비되어 사물함의 내부공간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공은 크기는, 상기 그립노브를 몰입시켰을 때 슬라이딩판의 앞부분이 슬라이딩지지판의 앞부분과 일치하는 라인이 형성되는 범위에 오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사물함의 내부의 천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로드의 깊이는 상기 슬라이딩판의 두께보다 0.5 내지 2.5 mm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구조.
KR1020090020500A 2009-03-10 2009-03-10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KR101011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500A KR101011262B1 (ko) 2009-03-10 2009-03-10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500A KR101011262B1 (ko) 2009-03-10 2009-03-10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017A true KR20100102017A (ko) 2010-09-20
KR101011262B1 KR101011262B1 (ko) 2011-01-26

Family

ID=4300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500A KR101011262B1 (ko) 2009-03-10 2009-03-10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9899A (en) * 2012-12-06 2014-07-23 Oliver Simon Isaacs A locking device for a drawer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360B1 (ko) * 2013-08-23 2014-11-27 김두철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2139368B1 (ko) 2020-02-11 2020-07-30 주식회사 이노프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45725B1 (ko) 2020-02-11 2020-08-20 주식회사 이노프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39371B1 (ko) 2020-02-11 2020-07-30 주식회사 이노프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45729B1 (ko) 2020-02-11 2020-08-20 주식회사 이노프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39374B1 (ko) 2020-02-11 2020-07-30 주식회사 이노프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45733B1 (ko) 2020-02-11 2020-08-20 주식회사 이노프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4699T2 (de) * 2001-09-28 2008-06-05 Basf Corporation Anti-klump verbindungen zur verwendung mit expandierbarem polystyrol
KR100923469B1 (ko) * 2002-07-11 2009-10-27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소둔로의 스트립 쏠림 교정장치
KR100533742B1 (ko) 2003-01-15 2005-12-19 주식회사 한국교구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407897Y1 (ko) 2005-11-23 2006-02-06 박덕순 비돌출형 도어를 갖는 사물함의 잠금 구조
KR200437164Y1 (ko) 2007-06-07 2007-11-06 김용덕 몰입식 잠금구를 갖는 사물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9899A (en) * 2012-12-06 2014-07-23 Oliver Simon Isaacs A locking device for a draw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262B1 (ko)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262B1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US7003104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ellular phone
KR200407896Y1 (ko) 사물함용 잠금구조
KR101176797B1 (ko) 도어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손잡이
KR101781593B1 (ko) 자물쇠 고리가 자동으로 돌출하는 잠금장치
KR200450340Y1 (ko) 여닫이문의 잠금 장치
JP6375090B2 (ja) 開き扉の施解錠機構
JP2007107381A (ja) 引き戸
JP4467471B2 (ja) 収納具
KR200424013Y1 (ko) 도어 록
KR101963357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1411269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0834810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갖는 기계식 도어 로크 장치
JP2006288487A (ja) キー変換式錠
JP4302542B2 (ja) ドアガード装置
JP4467228B2 (ja) 収納具
JP4343097B2 (ja) ドアガード
KR101395941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7219069B2 (ja) 平面ハンドル
JP5700628B2 (ja) 面付け錠ユニット
KR101235919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장치
KR20070112642A (ko) 도어 록
JP2008208524A (ja) 建具用ロック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開閉体錠
KR101886447B1 (ko) 플러시글라스
JP2003148026A (ja) 収納体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