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447B1 - 플러시글라스 - Google Patents

플러시글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447B1
KR101886447B1 KR1020120122919A KR20120122919A KR101886447B1 KR 101886447 B1 KR101886447 B1 KR 101886447B1 KR 1020120122919 A KR1020120122919 A KR 1020120122919A KR 20120122919 A KR20120122919 A KR 20120122919A KR 101886447 B1 KR101886447 B1 KR 10188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operating
handle
pi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708A (ko
Inventor
김원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2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4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시글라스를 열고 닫는 방향과 그 작동핸들의 작동방향을 일치시켜 작동성을 향상시킨 플러시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러시글라스(1)의 작동글라스(3)에 고정되는 하우징(64), 상기 하우징에 축설되어 좌우로 회동가능한 작동핸들(60), 상기 작동핸들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축설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작동핀(65), 상기 작동핸들의 축(62)과 상기 작동핀의 축(67)에 형성된 캠부재(621)와 가이드홈(671)은, 상기 작동핸들(60)을 정위치에 두었을 때 상기 작동핀(65)이 상기 플러시글라스의 고정홀(11)로 삽입되고 상기 작동핸들(6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작동핀(65)이 상기 플러시글라스의 고정홀(11)로부터 퇴피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플러시글라스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글라스의 잠금 해제 방향과 작동글라스의 개폐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별도의 잠금 해제 동작 없이 간단하게 손잡이만을 조작하여 개폐를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플러시글라스{Flush Glass}
본 발명은 플러시글라스에 관한 것으로, 플러시글라스를 열고 닫는 방향과 그 작동핸들의 작동방향을 일치시켜 작동성을 향상시킨 플러시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슬라이드 도어가 장착되는 차량이 증가하면서, 슬라이드 도어에 채용되는 글라스 개폐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슬라이드 도어에 장착되는 글라스가 종전과 같은 승하강 타입일 경우 많은 메커니즘 부품들을 수반하게 되어 도어의 중량이 증가하고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그레이드가 낮을수록 고정식 글라스를 선호하게 되는데, 고정식 글라스는 개방감이 부족하여 불만이 제기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절충하여 최근에는 고정 타입 글라스의 일종인 플러시글라스가 채택되고 있는데, 이는 승하강 타입 만큼은 아니지만, 고정글라스의 일부를 작동글라스로 변경하여 오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스위블 글라스보다 개방감을 현저히 개선하였다.
종래의 플러시글라스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플러시글라스(1)는 플러시글라스의 반 정도의 면적을 차지하는 고정글라스(2), 그리고 나머지 반 정도의 면적을 차지하는 작동글라스(3)로 이루어져 있고, 작동글라스는 측면으로 여닫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작동글라스(3)에 설치된 록핸들(30)을 조작하여 작동글라스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작동글라스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것이다.
그 메커니즘을 간단히 설명하면, 플러시글라스(1)에는 고정홀(11)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글라스(3)의 고정핀(31)이 여기 끼워져 작동글라스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도 2의 a 참조). 작동글라스(3)를 열거나 닫기 위해 사용자는 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손잡이(33)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모이도록 당기게 되고 이때 고정핀(31)이 고정홀(11)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도 2의 b 참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록핸들(30)을 그대로 잡은 채로 창문을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록핸들(30)은 작동글라스(3)의 잠금 해제방향과 작동글라스의 개폐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루기에 힘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록핸들(30)을 상하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다시 작동글라스(3)를 좌우로 밀거나 당겨 창문을 열거나 닫아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에게 과도한 작동력을 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동글라스를 밀고 당기는 방향과 작동글라스의 잠금해제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는 플러스글라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러시글라스 상에서 좌우로 개폐되는 작동글라스, 작동글라스에 고정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축설되어 좌우로 회동가능한 작동핸들, 작동핸들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서 하우징에 축설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작동핀을 포함하며, 작동핸들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고정되되, 외면에 캠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된 캠축을 포함하며, 작동핀은, 플러시글라스에 요입되게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 또는 퇴피되는 핀부, 일단은 핀부와 연결되되, 타단은 캠축을 내부에 수용하며, 캠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면서 캠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한 가이드축, 핀부와 가이드축의 단차진 부분에 구비되되, 핀부를 고정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핀복원스프링을 포함하며, 가이드홈은, 좌측 또는 우측 말단보다 중간부분이 작동 핸들에 가깝게 배치되며, 가이드축과 연결되지 않은 핀부의 타단이 통과되도록 통과홀이 형성된 지지부재는 하우징에 연결되며, 지지부재 및 단차진 부분의 사이에 핀복원스프링이 배치되며, 작동핸들이 정위치일 경우, 핀부는 고정홀에 삽입되고, 작동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하였을 시, 작동핸들과 함께 캠부재는 가이드홈의 좌측 또는 우측 말단으로 회동하여 핀부를 고정홀로부터 퇴피시킴으로써 작동핸들의 회동방향과 작동글라스의 개폐방향이 일치하는 플러시글라스를 제공한다.
또한, 작동핸들은, 상기 캠축과 연결되어, 상기 캠축과 함께 회전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핸들에는 상기 작동핸들을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핸들복원스프링(63)이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글라스의 잠금 해제 방향과 작동글라스의 개폐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별도의 잠금 해제 동작 없이 간단하게 손잡이만을 조작하여 개폐를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플러시글라스의 작동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플러시글라스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시글라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플러시글라스의 작동핀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플러시글라스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핸들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시글라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플러시글라스의 작동핀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플러시글라스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핸들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플러스글라스(1)는 플러시글라스에 고정되는 고정글라스(2), 그리고 플러스글라스(1)에서 측방으로 개폐가 가능한 작동글라스(3)로 이루어진다.
플러스글라스(1)에는 작동글라스(3)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작동글라스(3)를 위치 고정하는 고정홀(11; 도 3의 좌측 고정홀)과, 작동글라스(3)가 완전히 열린 위치에서 작동글라스(3)를 위치 고정하는 고정홀(11; 도 3의 우측 고정홀)을 포함한다.
작동글라스(3)의 일측 변에는 하우징(64)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64)은 창틀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창틀의 미감을 준다.
이러한 하우징(64)의 중간부분에는 작동핸들(6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작동핸들(60)도 외면이 하우징(64)과 일치하도록 디자인되어 전체적으로 하우징(64)과 함께 창틀 느낌을 주게 된다.
상기 작동핸들(60)은 하우징의 중간부분에 노출되는 손잡이(61)와, 손잡이(61)로부터 상하로 연장된 캠축(6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작동핸들은 이러한 캠축(62)을 축의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결합된다.
손잡이의 중간부분에는 핸들복원스프링(63)이 설치되어 있어 핸들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지지한다. 가령 도 5의 (b)의 위치에 손잡이(61)가 위치하는 경우 핸들복원스프링(63)은 그 위치를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손잡이에 부여하며, 손잡이가 도 5의 (a)나 (c)의 위치로 이동한 경우 핸들복원스프링(63)은 손잡이를 다시 도 5의 (b)의 정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탄성력을 손잡이에 부여하게 된다.
작동핸들(60)은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면서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하우징에 고정되고, 손잡이(61)와 캠축(62)은 일체로 구성되어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핸들(6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작동핀(65)이 설치되는데, 이는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은 규제되면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된다.
작동핀(65)은 하우징의 상단 또는 하단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홀(11)에 끼워지거나 퇴피하는 핀부(66)와, 상기 핀부(66)와 연결되며 상기 캠축(62)에 외삽되는 중공형상의 가이드축(67)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동핀(65)은 캠축(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는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지만 하우징 등에 설치되는 통상의 구성(키와 키홈 등)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은 제한된다.
이러한 작동핀(65)에는 작동핀을 상하방향으로 외측으로, 즉 핀부가 고정홀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작동핀을 탄성지지하는 핀복원스프링(68)이 설치되어 있다. 핀복원스프링의 위치는 가령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아니면 손잡이(61)와 가이드축(67) 사이에 노출된 캠축(62) 부분에 삽설될 수도 있으며, 다만 그 탄성력이 핀부가 고정홀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하면 족하다.
상기 작동핸들(60)의 캠축(62)에는 캠부재(621)가 외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축(67)에는 상기 캠부재가 끼워지는 반원형상의 가이드홈(671)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의 중간부분이 손잡이에 가깝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핸들(60)이 도 5의 (a)와 같이 좌측으로 회전하면 캠부재(621)가 같이 회전하면서 가이드홈(671)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캠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된 대신 가이드축(67)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우므로 가이드축(67)이 손잡이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핀부(66)가 고정홀(11)로부터 퇴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핸들을 그대로 잡은 상태로 작동글라스(3)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작동글라스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작동핸들(60)이 도 5의 (c)와 같이 우측으로 회전하면 캠부재(621)가 같이 회전하면서 가이드홈(671)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캠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된 대신 가이드축(67)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우므로 가이드축(67)이 손잡이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핀부(66)가 고정홀(11)로부터 퇴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핸들을 그대로 잡은 상태로 작동글라스(3)를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작동글라스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구조는 작동글라스의 잠금해제 방향과 여닫는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잠금해제에 따른 작동력을 별도로 작용시킬 필요 없이 손잡이를 여닫기 위한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잠금해제와 작동글라스의 개폐가 함께 일어나게 되어 매우 편리한 것이다.
또한 개폐동작이 끝난 상태에서 손잡이를 놓기만 하면 핸들복원스프링(63)과 핀복원스프링(68)에 의해 손잡이는 중앙의 정위치로, 작동핀은 고정홀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복원되므로 복원을 위해 별다른 조작을 할 필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동핸들에 캠부재가 설치되고 작동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축이 캠축에 외삽되는 형태의 실시예를 제시하였으나, 이들의 삽입구조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작동핸들을 좌우로 회전시켰을 때 그 회동력을 작동핀의 상하방향으로의 작동력으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구조이면 족하다.
1: 플러시글라스
11: 고정홀
2: 고정글라스
3: 작동글라스
30: 록핸들
31: 고정핀
32: 스프링
33: 손잡이
60: 작동핸들
61: 손잡이
62: 캠축
621: 캠부재
63: 핸들복원스프링
64: 하우징
65: 작동핀
66: 핀부
67: 가이드축
671: 가이드홈
68: 핀복원스프링

Claims (6)

  1. 플러시글라스 상에서 좌우로 개폐되는 작동글라스;
    상기 작동글라스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설되어 좌우로 회동가능한 작동핸들;
    상기 작동핸들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축설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작동핀;
    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핸들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외면에 캠부재가 돌출되게 형성된 캠축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핀은,
    상기 플러시글라스에 요입되게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 또는 퇴피되는 핀부;
    일단은 상기 핀부와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캠축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캠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캠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한 가이드축;
    상기 핀부와 상기 가이드축의 단차진 부분에 구비되되, 상기 핀부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핀복원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좌측 또는 우측 말단보다 중간부분이 상기 작동 핸들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축과 연결되지 않은 상기 핀부의 타단이 통과되도록 통과홀이 형성된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단차진 부분의 사이에 상기 핀복원스프링이 배치되며,
    상기 작동핸들이 정위치일 경우, 상기 핀부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핸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하였을 시, 상기 작동핸들과 함께 상기 캠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의 좌측 또는 우측 말단으로 회동하여 상기 핀부를 상기 고정홀로부터 퇴피시킴으로써 상기 작동핸들의 회동방향과 상기 작동글라스의 개폐방향이 일치하는 플러시글라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핸들은, 상기 캠축과 연결되어, 상기 캠축과 함께 회전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플러시글라스.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핸들에는 상기 작동핸들을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핸들복원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시글라스.
  6. 삭제
KR1020120122919A 2012-11-01 2012-11-01 플러시글라스 KR101886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919A KR101886447B1 (ko) 2012-11-01 2012-11-01 플러시글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919A KR101886447B1 (ko) 2012-11-01 2012-11-01 플러시글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708A KR20140055708A (ko) 2014-05-09
KR101886447B1 true KR101886447B1 (ko) 2018-08-07

Family

ID=5088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919A KR101886447B1 (ko) 2012-11-01 2012-11-01 플러시글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4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718B1 (ko) * 2006-09-18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윈도 핸들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8147B1 (fr) * 2006-11-07 2008-12-26 Wagon Sas Dispositif de verrouillage a poignee rotative et levier pivotant pour panneau coulissant, dispositif d'obturation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s
KR20080105490A (ko) * 2007-05-31 2008-1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러쉬글래스 록킹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718B1 (ko) * 2006-09-18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윈도 핸들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708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3206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device
KR200461272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011262B1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CN109477350B (zh) 锁止装置
KR101417535B1 (ko) 자동차의 멀티 박스
KR101407021B1 (ko) 문 고정장치
KR101886447B1 (ko) 플러시글라스
JP2007107381A (ja) 引き戸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200424013Y1 (ko) 도어 록
KR200387355Y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0561816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KR20160016112A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JP2008208588A (ja) 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
KR20100024649A (ko) 창호용 잠금장치
JP4462625B2 (ja) 両開きドア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100809810B1 (ko) 도어 록
KR20100134474A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JP2005213900A (ja) 非常脱出ドアの錠装置
JP2012225100A (ja) 引き戸用錠装置
CN112832607A (zh) 齐平式玻璃操作设备
KR101049153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도어
JP3215075U (ja) 引戸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