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954A - 수온 직접 센싱형 정수기용 이중관 냉각모듈 - Google Patents

수온 직접 센싱형 정수기용 이중관 냉각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954A
KR20180079954A KR1020170000739A KR20170000739A KR20180079954A KR 20180079954 A KR20180079954 A KR 20180079954A KR 1020170000739 A KR1020170000739 A KR 1020170000739A KR 20170000739 A KR20170000739 A KR 20170000739A KR 20180079954 A KR20180079954 A KR 2018007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vaporator
inlet
du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영
남현석
천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7000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954A/ko
Publication of KR2018007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5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by circulating a cooling fluid along beverage supply lines, e.g. pythons
    • B67D1/0867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by circulating a cooling fluid along beverage supply lines, e.g. pythons the cooling fluid being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two coaxial cond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42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내부 유체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검지함으로써, 음용수의 냉각 온도 감지 시 응답속도를 개선하는 동시에 과냉 방지를 위한 제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을 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은 음용수의 이동을 위한 내관 및 상기 내관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냉매에 대한 유로를 형성하는 외관을 포함하여 상기 냉매 및 상기 음용수 간의 열교환에 따른 냉각수를 생성하는 이중관 증발기와, 상기 이중관 증발기를 케이싱하는 증발기 케이스 및 상기 이중관 증발기의 입구단 또는 출구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이중관 증발기로의 입수 또는 출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이중관 증발기의 입구단 및 출구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관으로 상기 음용수를 인계하기 위한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내부로 삽입, 장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온 직접 센싱형 정수기용 이중관 냉각모듈{Dual pipe cooling module for direct water temperature sensing type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센서를 이중관 증발기의 입수 또는 출수와 직접 맞닿게 함으로써, 온도 센싱을 위한 응답 속도를 개선하는 동시에 과냉 방지를 위한 제어의 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도나 생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통하여 수돗물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상온의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용수를 냉각시킨 냉수 또는 음용수를 가열한 온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는 냉수를 냉수 탱크에 저류하였다가 공급하는 저수형 냉각장치가 일반적이다.
저수형 냉각장치는 냉수탱크를 구비하여 냉수탱크 내부에 증발기를 설치하거나 냉수탱크의 외면에 증발기를 접촉 배치하고, 음용수를 냉수탱크 내부에 저장하여 음용수를 냉각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저수형 냉각장치의 경우, 냉수탱크에 주류된 냉수의 온도를 냉온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장치를 오랜 시간 가동하여야 하므로, 전력 사용량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 냉수탱크의 오염에 의하여 냉수탱크 내부에 저장된 냉수가 오염된 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도 있는 등 위생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이중관 냉각 방식의 경우, 냉수를 저장하는 별도의 탱크 없이 냉매가 지나는 외부관과 음용수가 지나는 내부관 상호 간의 대향류 열교환을 통한 직접 순간 냉각 방식으로 냉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이중관 냉각 방식에서는 원수 온도에 따라 냉각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계절별로 원수의 온도 조건이 다양하게 분포되는 국내에서의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는 냉수 성능 편차를 낮춰야 하는 등 설계 목적에 걸맞는 성능 발휘를 위한 필터 장착 위치나 구조와 같은 최적화 관련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는 냉수 생성 시 온도 제어를 위한 센서가 대부분 이중관의 외부에 장착되어 유로 바깥의 온도를 센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종래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는 외부 단열재 절개 후 장착시킨 온도센서로 인해 센서 외부의 결로 발생은 물론, 외부 온도 영향으로 인한 제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센싱의 응답 속도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09989호(2016. 1. 2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28042호(2016. 6. 1 등록)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순간적으로 냉수를 생성함으로써, 냉매 냉각장치의 가동률 및 가동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관로 내부 유체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검지할 수 있도록 된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온도센서의 취부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는 동시에 원가 절감 및 AS 편의성 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용수의 이동을 위한 내관 및 상기 내관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냉매에 대한 유로를 형성하는 외관을 포함하여 상기 냉매 및 상기 음용수 간의 열교환에 따른 냉각수를 생성하는 이중관 증발기와, 상기 이중관 증발기를 케이싱하는 증발기 케이스 및 상기 이중관 증발기의 입구단 또는 출구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이중관 증발기로의 입수 또는 출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이중관 증발기의 입구단 및 출구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관으로 상기 음용수를 인계하기 위한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내부로 삽입, 장착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는, 한쪽 끝단이 다른 쪽 끝단과 직각으로 구부러진 배관 연결구 형태로, 외측면 한쪽에는 내외로 관통된 삽입천공을 포함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이중관 증발기의 입수 또는 출수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직접 접하도록 상기 삽입천공 안으로 결합되는 센싱 몸체와, 상기 센싱 몸체의 머리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플랜지 및 상기 고정플랜지와 상기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를 포함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 사이에는 밀폐 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냉매와 상기 음용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관의 외면은 스파이럴 형상의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에 의하면, 순간적으로 냉수를 생성함으로써, 냉매 냉각장치의 가동률 및 가동시간을 최소화하여 전력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일정온도 이하의 냉수를 계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냉수저장탱크의 오염에 의한 음용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관 증발기 내부의 스파이럴 형상의 냉매유로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음용수를 냉각할 수 있는 등의 기술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에 의하면, 관로 내부 유체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도센서의 외부 결로 발생이나 외부 온도 영향으로 인한 오차를 개선하며 무엇보다도 온도 센싱의 응답속도를 높이면서 과냉 방지 기술효과를 높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에 의하면, 온도센서의 취부 구조 단순화를 통해 부품수를 줄이는 동시에 원가 절감 및 AS 편의성을 높이는 등의 기술효과를 도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의 온도센서에 대한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냉각모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일련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은 이중관 증발기(100), 증발기 케이스(200) 및 온도센서(300)를 포함한다.
이중관 증발기(100)는 내관(110) 및 외관(120)이 내외 이중으로 중첩된 배관 형태로 구비된다. 내관(110)으로는 소정의 음용수가 흐르는 반면, 내관(110)의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외관(120) 즉,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로는 소정의 냉매가 흐르도록 구비된다.
이중관 증발기(100)는 내관(110) 및 외관(120)으로 이루어진 소정의 유로 상을 흐르는 상기 냉매 및 상기 음용수 간의 열교환에 따른 소정의 냉각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이중관 증발기(100)의 입구단으로 유입되는 상온의 음용수는 이중관 증발기(100)의 출구단으로 유출될 때, 냉매와의 열교환에 따른 냉각으로 소정 온도의 냉각수로 전환되어 출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중관 증발기(100)는 중앙에 일정공간을 가지도록 소정의 형태로 말아 올려진 형상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증발기 케이스(200)는, 이중관 증발기(100)의 외곽을 케이싱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서처럼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로 구성될 수 있다.
증발기 케이스(200)에는 소정의 필터 안착부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 안착부는 이중관 증발기(100)의 적층 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앙의 일정 공간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온도센서(300)는 이중관 증발기(100)의 입구단 또는 출구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중관 증발기(100)의 입구 및 출구, 즉 상기 음용수가 이중관 증발기(100)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음용수에 대응되게 배치하여, 이중관 증발기(100)의 입수 또는 출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되, 바람직하게는 출수 쪽 온도를 기본 값으로 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온도 센싱은 정수기의 제어프로세스에 의한 음용수의 냉각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중관 증발기(100)의 입구단 및 출구단에는 내관(110)으로 소정의 음용수를 인계하기 위한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130)(140)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300)는 상기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130)(14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어 이중관 증발기(100)의 입수 또는 출수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직접한 상태로 소정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130)(140) 내부로 삽입, 장착된 온도센서(300)의 결합구조는 종래의 외부 단열재를 절개한 후 장착하던 방식에서 발생하는 결로나 외부 온도 영향으로 인한 제어 온도 오차를 개선하는 기술적 효과를 발휘한다.
더 나아가, 내관(110)으로 흐르는 유체 즉, 음용수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검지하도록 된 온도센서(300)는 무엇보다 음용수의 온도 센싱을 위한 응답속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과냉 방지를 위한 기술효과를 높인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입수 커넥터(130) 및 출수 커넥터(140)는, 한쪽 끝단이 다른 쪽 끝단과 직각으로 구부러진 일종의 배관 연결구 형태라 할 수 있다. 입수 및 출수 커넥터(130)(140)의 외측면 한쪽에는 내외로 관통되는 삽입천공(131)(141)이 구비된다.
삽입천공(131)(141)은 온도센서(300)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일종의 설치구멍에 해당한다.
온도센서(300)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게 센싱 몸체(310)와 고정플랜지(320) 및 체결나사(330)로 나눠 볼 수 있다.
센싱 몸체(310)는 이중관 증발기(100)의 입수 또는 출수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즉, 소정의 음용수와 직접적으로 접하여 해당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삽입천공(131)(141) 안으로 결합, 구비된다.
이때, 삽입천공(131)(141)과 연계되는 입수 및 출구 커넥터(130)(140) 내에는 센싱 몸체(310)의 삽입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고정플랜지(320)는 센싱 몸체(310)의 머리단 즉,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130)(140)의 삽입천공(131)(141) 외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일체로 구비된다.
체결나사(330)는 고정플랜지(320)와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130)(140) 간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스크류 볼트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온도센서(300)와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130)(140) 사이에는 소정의 밀폐 링(3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밀폐링(340)은 고무 재질의 오링 형태로 온도센서(300)의 고정플랜지(320)와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130)(140)의 삽입천공(131)(141) 외측면 사이에 게재되어 접하는 면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중관 증발기(100)에 공급되는 냉매는 일련의 냉매 냉각장치(400) 즉, 압축기(410), 응축기(420) 및 팽창장치(430)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기(410)는 이중관 증발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시킨다.
그리고, 응축기(420)는 압축기(410)를 통과한 냉매에 포함된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한다. 여기서, 응축기(420)는 응축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응축팬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팽창장치(430)는 응축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로 상변환시키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차가운 냉매가 이중관 증발기(100)로 공급되게 된다.
이중관 증발기(100)에 공급된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인 냉매는 음용수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기체로 상변환 후, 압축기(410)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증발기(100)는 입수 및 출수가 각각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함으로써, 음용수는 일정방향(도 1 또는 도 3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중관 증발기(100)의 냉매는 음용수의 흐름과는 상반된 방향(도 1 또는 도 3에서 도시한 하단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음용수와 냉매의 유입 및 유출이 동일한 쪽에서 이루어지는 이중관 증발기(100)에 비해 음용수와 냉매의 흐름이 상반되게 이루어지는 경우, 음용수와 냉매의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냉각 음용수의 출수 량이나 속도를 늘일 수 있는 등의 기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은 냉수 저류형 냉각모듈과 달리 이중관 증발기(100)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냉수를 생성함으로써, 냉매 냉각장치(400)의 가동률 및 가동시간을 최소화하여 전력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일정온도 이하의 냉수를 계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냉수저장탱크의 오염에 의한 음용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도 2에서처럼 내관(110)과 외관(120) 사이 즉, 내관(110)의 외면 상에는 스파이럴 형상의 냉매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파이럴 형상의 냉매유로는 냉매가 내관(110) 외면을 휘돌며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냉매가 내관(110)의 외면을 따라 접촉면적을 넓히는 기술효과를 발휘하면서 궁극적으로는 내관(110)을 통해 흐르는 음용수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기술효과를 도모한다.
한편, 내관(110) 속으로는 소정의 음용수가 흐르는 점을 감안하여 스테인리스 소재를 적용하되, 내관(110)의 내면 부위에 전해 또는 화학 연마 공정을 가함으로써, 내관(110) 및 음용수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중관 증발기(100)는 단열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증발기 케이스(200) 내부공간에 우레탄 발포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플랜지(320)와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130)(140) 간의 결합 즉, 온도센서(300)의 장착이 체결나사(33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장 및 작동 불량 등에 따른 온도센서(3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체결나사(330)의 해체만으로 온도센서(3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기술효과도 얻는다.
100 : 이중관 증발기
110 : 내관
120 : 외관
130 : 입수 커넥터
140 : 출수 커넥터
131, 141: 삽입천공
200 : 증발기 케이스
210 : 상부 케이스
220 : 하부 케이스
300 : 온도센서
310 : 센싱 몸체
320 : 고정 플랜지
330 : 체결나사
340 : 밀폐링
410 : 압축기
420 : 응축기
430 : 팽창기

Claims (6)

  1. 음용수의 이동을 위한 내관 및 상기 내관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냉매에 대한 유로를 형성하는 외관을 포함하여 상기 냉매 및 상기 음용수 간의 열교환에 따른 냉각수를 생성하는 이중관 증발기;
    상기 이중관 증발기를 케이싱하는 증발기 케이스; 및
    상기 이중관 증발기의 입구단 또는 출구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이중관 증발기로의 입수 또는 출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이중관 증발기의 입구단 및 출구단에 결합되어 상기 내관으로 상기 음용수를 인계하기 위한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어 상기 이중관 증발기의 입수 또는 출수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직접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는, 한쪽 끝단이 다른 쪽 끝단과 직각으로 구부러진 배관 연결구 형태로, 외측면 한쪽에는 내외로 관통된 삽입천공을 포함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이중관 증발기의 입수 또는 출수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직접 접하도록 상기 삽입천공 안으로 결합되는 센싱 몸체와;
    상기 센싱 몸체의 머리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플랜지; 및
    상기 고정플랜지와 상기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입수 또는 출수 커넥터 사이에는 밀폐 링이 더 구비되는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와 상기 음용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도록 구비된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외면에 스파이럴 형상의 냉매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냉매가 상기 내관 외면을 휘돌며 이동하는 이중관을 이용한 직수형 순간 냉각 정수기용 냉각모듈.
KR1020170000739A 2017-01-03 2017-01-03 수온 직접 센싱형 정수기용 이중관 냉각모듈 KR20180079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39A KR20180079954A (ko) 2017-01-03 2017-01-03 수온 직접 센싱형 정수기용 이중관 냉각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39A KR20180079954A (ko) 2017-01-03 2017-01-03 수온 직접 센싱형 정수기용 이중관 냉각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54A true KR20180079954A (ko) 2018-07-11

Family

ID=6291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39A KR20180079954A (ko) 2017-01-03 2017-01-03 수온 직접 센싱형 정수기용 이중관 냉각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95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291A (ja) * 1997-06-05 1998-12-22 Daikin Ind Ltd コンテナ用冷凍装置
KR200233662Y1 (ko) * 2001-03-10 2001-10-06 장우상 열교환기
JP2002255288A (ja) * 2001-02-26 2002-09-11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KR20110007593U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스파이럴 튜브를 이용한 냉온 정수기용 열교환기
KR20160128655A (ko) * 2015-04-29 2016-11-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전도 기기용 접속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291A (ja) * 1997-06-05 1998-12-22 Daikin Ind Ltd コンテナ用冷凍装置
JP2002255288A (ja) * 2001-02-26 2002-09-11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KR200233662Y1 (ko) * 2001-03-10 2001-10-06 장우상 열교환기
KR20110007593U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스파이럴 튜브를 이용한 냉온 정수기용 열교환기
KR20160128655A (ko) * 2015-04-29 2016-11-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전도 기기용 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2709B2 (en) Solar thermal air conditioning unit
US8020405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TW200732610A (en) Dual temperature refrigeration circuit
JP2015508150A (ja) 飲料冷却装置およびこの冷却装置を用いた飲料供給システム
EP2787314B1 (en) Double-pipe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ing same
CN103542618B (zh) 热交换器
JP6277713B2 (ja) 2重管式熱交換器
KR101826337B1 (ko) 정수기용 이중관 냉각모듈
WO2006101322A1 (en) A refrigeration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having reduced noise from its evaporator
JP2008256360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KR20180079954A (ko) 수온 직접 센싱형 정수기용 이중관 냉각모듈
CN205690798U (zh) 饮水装置
JP6310077B2 (ja) 熱源システム
JP2002310499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14052087A (ja) 給湯用熱交換器
KR101934484B1 (ko) 이중관 냉정수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281631A (ja) 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
JP2007333270A (ja) ヒートポンプ熱源機
JP2586412B2 (ja) 冷凍サイクルの熱交換器
US10281170B2 (en) Sealed refrigeration system and appliance
EP4246051A1 (en) Flow guiding apparatus
KR20120118349A (ko) 정수기의 상온수파이프 연속순간냉각장치
KR20170119540A (ko) 이중관 냉정수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EP4253864A1 (en) Flow guiding apparatus
US11203516B2 (en) Enhanced tankless evapo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