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883A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883A
KR20180079883A KR1020170000595A KR20170000595A KR20180079883A KR 20180079883 A KR20180079883 A KR 20180079883A KR 1020170000595 A KR1020170000595 A KR 1020170000595A KR 20170000595 A KR20170000595 A KR 20170000595A KR 20180079883 A KR20180079883 A KR 20180079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antenna
linear portion
magnetic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856B1 (ko
Inventor
권순광
유영석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856B1/ko
Priority to US15/833,443 priority patent/US10417550B2/en
Priority to CN201820009371.XU priority patent/CN207800888U/zh
Priority to CN201810004246.4A priority patent/CN108270067A/zh
Publication of KR20180079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77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 G06K19/07779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active tags, i.e. provided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in passive tags, i.e. deriving power from RF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18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magne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18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magne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2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magnetically detectable marking the magnetic marking being em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1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interrogator/reader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04B5/0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로, 고리 형상의 나선형 배선을 구비하는 안테나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배선은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선형부 및 미앤더 라인으로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안테나 장치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에 대한 것이다.
근래에 휴대 단말기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나, 무선 태그(RFID), 근거리 통신(NFC),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등의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들은 일반적으로 코일 형태의 안테나 배선을 통해 수행되며, 이에 휴대 단말기에는 안테나 배선이 형성된 안테나 장치가 탑재되고 있다.
이중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및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등은 교통, 티켓, 결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안테나 배선의 경우 대부분 단순한 나선형 패턴으로 제작되고 있어 안테나 배선과 리더기의 접근 방식이나 위치에 따라 무선 통신 과정에서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2112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안테나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고리 형상의 나선형 배선을 구비하는 안테나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배선은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선형부 및 미앤더 라인으로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나선형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배선은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선형부와, 미앤더 라인으로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휴대 단말기와 무선 신호 수신 장치가 무선 통신하는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 전체에 걸쳐 높은 인식률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I-I′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I-II′에 따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휴대 단말기와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무선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무선 신호 수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는 내부에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다. 안테나 장치는 휴대 단말기(30)의 제어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는 송신 코일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수신 코일을 구비한 무선 신호 수신 장치(10)와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신호 수신 장치(10)는 마그네틱 카드 리더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3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무선 신호 수신 장치(1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I-I′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는 휴대폰(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트북이나 테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 휴대가 가능하며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3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해 주요 구성들이 결합된 단말기 본체(35), 그리고 상기한 무선 신호 수신 장치(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30)의 케이스(31)의 내부에 수용되어 케이스(31)의 내부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00)는 자성부(102) 및 코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102)는 편평한 판 형상(또는 시트 형상)으로, 코일부(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코일부(110)에 고정 부착된다. 자성부(102)는 코일부(110)의 안테나 배선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자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위해 자성부(102)는 자로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페라이트 시트(ferrite sheet)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자성부(102)의 외부면에는 전자파나 누설 자속을 자폐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금속 시트를 더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 시트는 알루미늄(aluminu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코일부(110)와 자성부(102)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 접착되도록, 코일부(110)와 자성부(102) 사이에 접착부(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접착부는 코일부(110)와 자성부(102)의 사이에 배치되며, 자성부(102)와 코일부(110)를 상호 접합시킨다. 이러한 접착부는 접착 시트(sheet)나 접착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부(110)나 자성부(102)의 표면에 접착제나 접착성을 갖는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착부가 페라이트 분말을 함유하도록 구성하여 접착부(104)가 자성부(102)와 함께 자성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부(110)는 기판의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일부(110)는 절연 기판(121)과, 절연 기판(121)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안테나 배선(130), 그리고 절연 보호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기판(121)은 일면 또는 양면에 안테나 배선(130)을 형성할 수 있는 기판으로, 예를 들어 절연 필름(예컨대 폴리이미드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부(110)는 연성 기판(Flexible PCB)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께가 얇고 양면에 회로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안테나 배선(130)은 절연 기판(121)의 양면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동박 등으로 형성된 회로 배선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배선(130)은 양면 동박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s)을 패터닝(patterning)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름과 같은 연성의 절연 기판 양면에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방식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면 구조의 FPCB(Flexible PCB)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코일부(110)는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다층 기판으로 제조되거나, 강성을 갖는 인쇄회로기판(PCB)의 형태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부(110)는 무선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마그네틱 보안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틱 보안전송(MST) 안테나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배선(130)은 나선형 배선(131, 132), 인출 배선(137), 및 접속 패드(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패드(138)는 코일부(110)가 단말기 본체(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의 기능을 갖는다.
나선형 배선(131, 132)은 절연 기판(121)의 일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절연 기판(121)의 타면에는 인출 배선(137) 중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여기서 인출 배선(137)은 나선형 배선(131, 132)과 접속 패드(138)를 연결하는 배선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연 기판(121)의 타면에도 나선형 배선(131, 132)을 형성하거나, 인출 배선(137) 전체를 절연 기판(121)의 타면에 배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나선형 배선(131, 132)은 나선(spiral) 형태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배선(131, 132)은 배선의 형상에 따라 선형부(131)와, 굴곡부(132)로 구분할 수 있다.
선형부(131)는 배선이 선형으로 형성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선형은 직선이나 곡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30)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배선(131, 132)은 전체적인 윤곽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선형부(131)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직사각을 이루는 네 개의 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에는 굴곡부(132)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선형 배선(131, 132)은 직사각 형상에서 마주보는 두 변(예컨대, 단변)이 선형부(131)로 형성되고, 나머지 두 변(예컨대, 장변)이 굴곡부(132)로 형성될 수 있다.
굴곡부(132)는 배선이 굴곡지게 형성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굴곡부(132)는 구불구불한 미앤더 라인(Meander line)으로 형성된다. 또한 직사각 형상 중 마주보는 두 장변은 선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굴곡부(132)의 미앤더 라인은 선형부(13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 패턴부(132a), 그리고 선형부(131)와 수직을 이루며 제1 패턴부들(132a)을 서로 연결하는 제2 패턴부(132b)를 포함한다.
제1 패턴부(132a)가 선형부(131)와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제1 패턴부(132a)도 직사각 형상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또한 제1 패턴부(132a)가 선형부(131)와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제1 패턴부(132a)에서는 선형부(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자기장(이하 제1 자기장)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패턴부(132b)는 선형부(131)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므로, 제2 패턴부(132b)에서는 선형부(131)에서 형성되는 자기장과 수직을 이루는 자기장(이하 제2 자기장)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휴대 단말기와 무선 신호 수신 장치의 무선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의 경우, 휴대 단말기(30)에서 생성된 제1 자기장(M1)과 같이 무선 신호 수신 장치(10, 이하 마그네틱 카드 리더)에 형성된 카드 삽입 슬롯(S)과 나란하게 자기장이 형성되어야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반면에 제2 자기장(M2)과 같이 카드 삽입 슬롯(S)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인식률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또한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30)를 마그네틱 카드 리더(10)에 접근시키며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휴대 단말기(30)는 길이 방향이 마그네틱 카드 리더(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률이 높은 제1 자기장(M1)은 선형부(131)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선형부(131)가 마그네틱 카드 리더(10) 내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헤드(미도시)에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인식률이 증가하고, 멀리 위치하는 경우 인식률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굴곡부(132)를 구비한다. 굴곡부(132)는 선형부(13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 패턴부(132a)를 구비한다.
각각의 제1 패턴부(132a)에서는 선형부(131)와 동일하게 카드 삽입 슬롯(S)과 나란한 자기장(M1)이 형성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선형부(131)가 상기한 마그네틱 헤드로부터 멀어지더라도 굴곡부(132)의 제1 패턴부(132a)에서 형성되는 자기장(M1)을 통해 마그네틱 카드 리더(10)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위치에서만 인식률이 증가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30) 전체에 걸쳐 높은 인식률을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직사각 형상의 나선형 배선(131, 132) 중 모든 변들이 선형부(131)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나선형 배선(131, 132)의 장변에서는 제1 자기장(M1)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장변에서의 인식률은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단변 뿐만 아니라, 장변에서도 제1 자기장(M1)이 형성되므로 휴대 단말기(30)의 인식률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절연 보호층(140)은 후술되는 안테나 배선(130) 상에는 배치될 수 있다. 절연 보호층(140)은 안테나 배선(13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외부와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접속 패드(138)는 외부 구성 요소와 접촉하며 외부 구성 소요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접속 패드(138) 상에는 절연 보호층(140)이 부분적으로 제거되며, 이에 접속 패드(138)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코일부(110)는, 절연 기판(121) 상에 도전성 배선으로 안테나 배선(130)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금속 판재를 타발(press) 가공하여 형성한 프레스 코일이나, 절연 피복이 코팅된 평각선 코일(flat type coil, edge wise coil) 등으로 코일부를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0)의 코일부(110)는 안테나로 이용되는 제1, 제2 안테나 배선(130, 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제2 안테나 배선(130, 150)은 각각 무선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마그네틱 보안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 배선(130)은 마그네틱 보안전송(MST)에 이용되는 안테나이고, 제2 안테나 배선(150)은 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에 이용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제2 안테나 배선(150)은 나선 형상의 고리형 안테나로 형성된다.
제1 안테나 배선(13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안테나 배선(도 3의 130)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2 안테나 배선(15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 안테나 배선(130)이 굴곡부(132)를 구비하므로, 제1 안테나 배선(130)이 제2 안테나 배선(15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300)의 코일부(110)는 안테나로 이용되는 제1, 제2 안테나 배선(130, 150), 그리고 무선 충전을 위한 전력의 송수신에 이용되는 코일 배선(170)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제2 안테나 배선(130, 150)은 각각 무선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마그네틱 보안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 배선(130)은 마그네틱 보안전송(MST)에 이용되는 안테나이고, 제2 안테나 배선(150)은 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에 이용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코일 배선(170)은 제1 안테나 배선(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안테나 배선(130)은 제2 안테나 배선(130)과 코일 배선(17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추가적인 안테나 배선(150)과 무선 충전용 코일 배선(17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무선 신호 수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는 웨어러블 기기일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팔, 머리 등의 인체에 착용되거나 스트랩(strap)에 의해 특정 구조물에 고정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 시계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는 단말기 본체가 원반 형태로 형성되며, 단말기 본체에 연결되어 단말기 본체를 손목에 착용시키는 스트랩(33)을 구비한다.
또한 단말기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400)도 원반 형태로 형성되며, 나선형 배선은 전체적인 윤곽이 원형(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테나 배선(130)의 선형부(131)는 곡선 형태의 호(弧) 형으로 형성되며, 굴곡부(132)는 선형부(131) 사이에서 미앤더 라인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형부(131)를 직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손목 시계 형태의 휴대 단말기(3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팔이 마그네틱 카드 리더(10)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결재가 이루어지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의 안테나 장치(400)는 제1 패턴부(132a)가 휴대 단말기(30′) 스트랩(33)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형부(131)의 경우 호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패턴부(132a)와 평행을 이루지는 않지만, 대략 제1 패턴부(132a)의 배치 방향과 유사하게 배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무선 신호 수신 장치, 마그네틱 카드 리더
30, 30′: 휴대 단말기
35: 단말기 본체
100, 200, 300: 안테나 장치
102: 자성부
130, 150: 안테나 배선
131: 선형부
132: 굴곡부
132a: 제1 패턴부
132b: 제2 패턴부
170: 코일 배선

Claims (16)

  1. 고리 형상의 나선형 배선을 구비하는 안테나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배선은,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선형부; 및
    미앤더 라인으로 형성되는 굴곡부;
    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배선은 전체적인 윤곽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는 상기 직사각 형상의 적어도 한 변에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는 상기 사각 형상의 단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굴곡부는 장 변에 각각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선형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패턴들과, 상기 제1 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들은,
    상기 제1 패턴들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배선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로 이용되는 안테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배선의 외측에 배치되어 근거리 통신(NFC)에 이용되는 제2 안테나 배선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배선의 내측에 배치되어 무선 전력 전송에 이용되는 코일 배선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배선은 전체적인 윤곽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형부는 호형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배선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 배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자로를 제공하는 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선형부에서 형성되는 자기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안테나 장치.

  12.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나선형 배선;
    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배선은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선형부와, 미앤더 라인으로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1 패턴부들을 연결하는 제2 패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를 손목에 착용시키는 스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스트랩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1 패턴부들을 연결하는 제2 패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원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선형부는 호(弧) 형으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선형부에서 형성되는 자기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70000595A 2017-01-03 2017-01-03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260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595A KR102605856B1 (ko) 2017-01-03 2017-01-03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15/833,443 US10417550B2 (en) 2017-01-03 2017-12-06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CN201820009371.XU CN207800888U (zh) 2017-01-03 2018-01-03 天线装置和包括该天线装置的便携式终端
CN201810004246.4A CN108270067A (zh) 2017-01-03 2018-01-03 天线装置和包括该天线装置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595A KR102605856B1 (ko) 2017-01-03 2017-01-03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83A true KR20180079883A (ko) 2018-07-11
KR102605856B1 KR102605856B1 (ko) 2023-11-24

Family

ID=6271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595A KR102605856B1 (ko) 2017-01-03 2017-01-03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17550B2 (ko)
KR (1) KR102605856B1 (ko)
CN (2) CN1082700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9418B (zh) 2012-03-23 2014-11-01 Lg伊諾特股份有限公司 無線功率接收器以及包含有其之可攜式終端裝置
CN107275763B (zh) * 2012-03-23 2020-07-28 Lg 伊诺特有限公司 天线组件
US10608340B2 (en) * 2017-03-31 2020-03-31 Wits Co., Ltd.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35846B1 (ko) * 2017-04-17 202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코일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83109B1 (ko) * 2017-07-20 2018-07-27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KR102561439B1 (ko) * 2020-10-28 2023-07-31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크로스 야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형 rfid 리더기
JP2022133597A (ja) * 2021-03-02 2022-09-14 Tdk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アンテナモジュ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5477A1 (en) * 2010-08-12 2013-03-28 Feinics Amatech Nominee Limited Coupling in and to rfid smart cards
KR20140021127A (ko) 2012-08-08 2014-02-20 주식회사 글로브알에프 엔에프씨 안테나
KR20160122615A (ko) * 2015-04-14 201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3752A (en) * 1991-05-03 1995-09-2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Compact broadband microstrip antenna
JP3106206B1 (ja) * 1999-05-27 2000-11-06 新生化学工業株式会社 情報記憶媒体の携帯具
US7336243B2 (en) * 2003-05-29 2008-02-26 Sky Cross,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US7274338B2 (en) * 2005-10-12 2007-09-25 Kyocera Corporation Meander line capacitively-loaded magnetic dipole antenna
JP2007228326A (ja) * 2006-02-24 2007-09-06 Omron Corp ループアンテナ、およびrfidタグ
KR100854320B1 (ko) 2007-02-01 2008-08-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Rfid 태그용 미앤더 구조의 사각 루프 안테나
US7855697B2 (en) * 2007-08-13 2010-12-21 Corning Cable Systems, Llc Antenna systems for passive RFID tags
US9165240B2 (en) * 2009-10-15 2015-10-20 Feinics Amatech Teoranta Coupling in and to RFID smart cards
US9195932B2 (en) * 2010-08-12 2015-11-24 Féinics Amatech Teoranta Booster antenna configurations and methods
US9633304B2 (en) * 2010-08-12 2017-04-25 Féinics Amatech Teoranta Booster antenna configurations and methods
US9033250B2 (en) * 2010-08-12 2015-05-19 Féinics Amatech Teoranta Dual interface smart card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CN102709686A (zh) * 2012-05-14 2012-10-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天线模块和移动终端设备
WO2013188977A2 (en) * 2012-06-20 2013-12-27 Brule David Allen Wearable rfid storage devices
JP2014200031A (ja) * 2013-03-29 2014-10-23 富士通株式会社 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JP6223067B2 (ja) * 2013-08-28 2017-11-0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4466363A (zh) * 2014-12-11 2015-03-25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用于可穿戴式装置的nfc天线结构及智能手表
JP2016208291A (ja) * 2015-04-23 2016-12-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2017046142A (ja) * 2015-08-26 2017-03-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5477A1 (en) * 2010-08-12 2013-03-28 Feinics Amatech Nominee Limited Coupling in and to rfid smart cards
KR20140021127A (ko) 2012-08-08 2014-02-20 주식회사 글로브알에프 엔에프씨 안테나
KR20160122615A (ko) * 2015-04-14 201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800888U (zh) 2018-08-31
KR102605856B1 (ko) 2023-11-24
US10417550B2 (en) 2019-09-17
US20180189627A1 (en) 2018-07-05
CN108270067A (zh)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9883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80097064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N108695594B (zh) 天线模块和具有该天线模块的电子装置
KR102041222B1 (ko) 안테나 장치 및 전자 기기
US10003120B2 (en) Smartphone antenna in flexible PCB
JP6514960B2 (ja) 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及びアンテナ装置
JP5742143B2 (ja) 通信端末機器
TWI521784B (zh) 天線結構及行動裝置
CN107851901B (zh) 天线模块
CN109216903B (zh) 天线模块及包括该天线模块的电子装置
KR20180055664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6589403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イル部品
CN107408754B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CN109286060B (zh) 天线模块以及具有该天线模块的电子装置
JP2012029258A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通信装置
KR20180017629A (ko) 코일 조립체
JP7103569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KR20190011925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278597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JP6264504B2 (ja) アンテナおよび電子機器
KR102312007B1 (ko) 안테나 모듈
KR20190046029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N220984851U (zh) 天线模块以及移动终端
KR102532887B1 (ko) 안테나 모듈
JP2011049935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