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629A - 코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코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629A
KR20180017629A KR1020160101752A KR20160101752A KR20180017629A KR 20180017629 A KR20180017629 A KR 20180017629A KR 1020160101752 A KR1020160101752 A KR 1020160101752A KR 20160101752 A KR20160101752 A KR 20160101752A KR 20180017629 A KR20180017629 A KR 20180017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il pattern
pattern
wireless charging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순정
박근영
이대규
엄재근
한동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629A/ko
Priority to CN201710069152.0A priority patent/CN107733094A/zh
Publication of KR2018001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03Printed circuit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7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formers for receiving several coils with perpendicular winding axes, e.g. for antennae or inductive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는 코일 기판에 형성된 코일 패턴을 소성 변형시켜, 코일 패턴의 코일 선 사이의 간격을 줄이고 코일 패턴의 코일 선의 표면이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을 갖도록 함으로써,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조립체{Coil assembly}
본 발명은 코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휴대 단말기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나, 무선 태그(RFID), 근거리 통신(NFC),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등의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들은 일반적으로 코일을 통해 수행되며, 이에 휴대 단말기에는 복수의 코일이 탑재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성능을 개선 시키기 위해서는 복수의 코일들의 배선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나, 복수의 코일들은 박형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므로, 공간 상의 제약에 의하여 복수의 코일들의 배선 수를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는 코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코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는 코일 기판에 형성된 코일 패턴을 소성 변형시켜, 코일 패턴의 코일 선 사이의 간격을 줄이고 코일 패턴의 코일 선의 표면이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을 갖도록 함으로써,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에 의하면,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코일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일 조립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의 제1 코일 패턴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는 무선 충전 장치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충전 기기(20)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휴대 단말기(10)일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는 배터리(12)와, 배터리(12)에 전력을 공급하여 배터리(12)를 충전하는 전력 수신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2)는 충,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 수신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10)의 케이스(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케이스(11)의 내부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케이스(11)의 내부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력 수신 장치(100)는 자성부(102) 및 코일 조립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102)는 편평한 판 형상(또는 시트 형상)으로, 코일 조립체(1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코일 조립체(110)에 고정 부착된다.
자성부(102)는 코일 조립체(110)의 코일 배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자로를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자성부(102)는 자로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페라이트 시트(ferrite sheet)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자성부(102)의 외부면에는 전자파나 누설 자속을 자폐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금속 시트를 더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 시트는 알루미늄(aluminu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신 장치(100)는 코일 조립체(110)와 자성부(102)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 접착되도록, 코일 조립체(110)와 자성부(102) 사이에 접착부(104)가 개재될 수 있다.
접착부(104)는 코일 조립체(110)와 자성부(102) 사이에 배치되며, 자성부(102)와 코일 조립체(110)를 상호 접합시킨다. 이러한 접착부(104)는 접착 시트(sheet)나 접착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일 조립체(110)나 자성부(102)의 표면에 접착제나 접착성을 갖는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착부(104)가 페라이트 분말을 함유하도록 구성하여 접착부(104)가 자성부(102)와 함께 자성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충전 기기(20)는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12)를 충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충전 기기(20)는 케이스(21) 내부에 전압 변환부(22)와 전력 송신 장치(20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압 변환부(2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정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원을 다시 특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력 송신 장치(200)에 제공한다.
상기한 교류 전압이 전력 송신 장치(200)에 인가되면, 전력 송신 장치(200) 주변의 자기장이 변화된다. 이에 전력 송신 장치(2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휴대 단말기(10)의 전력 수신 장치(100)에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고, 이로 인해 배터리(12)가 충전된다.
전력 송신 장치(200)는 전술한 전력 수신 장치(10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전력 송신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전력 수신 장치(100) 및/또는 전력 송신 장치(200)를 구성하는 코일 조립체(110)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코일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일 조립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110)는 코일 기판(120)과, 코일 기판(120)의 적어도 일 면에 구비되는 코일 배선(130)을 포함한다.
코일 기판(120)은 절연 기판(121) 상에 코일 배선(130)을 형성한 기판으로, 예를 들어, 절연 필름(예컨대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배선을 형성한 연성 기판(Flexible PCB)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께가 얇고 양면에 회로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코일 배선(130)은 절연 기판(121)의 적어도 일 면에 구비되며, 절연 기판(121) 상에 동박 등으로 형성된 회로 배선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기판(120)은 양면 동박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s)을 패터닝(patterning)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름과 같은 연성의 절연 기판 양면에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방식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면 구조의 FPCB(Flexible PCB)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코일 기판(110)은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다층 기판으로 제조되거나, 강성을 갖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배선(130)은 코일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나선형 배선(131, 135, 136)을 포함한다.
일 예로, 무선 충전을 위한 전력의 송수신에 이용되는 제1 코일 패턴(131), 그리고 안테나로 이용되는 제2, 제3 코일 패턴(135, 13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3 코일 패턴(135, 136)은 각각 무선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마그네틱 보안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배선(130)은 인출 배선(137)과 접속 패드(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패드(138)는 코일 조립체(110)가 다른 구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의 기능을 갖는다.
제1 코일 패턴 내지 제3 코일 패턴(131, 135, 136)은 절연 기판(121)의 일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절연 기판(121)의 타면에는 인출 배선(137) 중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여기서 인출 배선(137)은 제1 코일 패턴 내지 제3 코일 패턴(131, 135, 136)과 접속 패드(138)를 연결하는 배선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연 기판(121)의 타면에도 나선형 배선을 형성하거나, 인출 배선(137) 전체를 절연 기판(121)의 타면에 배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각 코일 패턴(131, 135, 136)은 절연 보호층(미도시)으로 덮여 보호될 수 있다. 절연 보호층(미도시)은 각 코일 패턴(131, 135, 136)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외부와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접속 패드(138)는 외부 구성 요소와 접촉하며 외부 구성 소요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접속 패드(138) 상에는 절연 보호층(미도시)이 부분적으로 제거되며, 이에 따라 접속 패드(미도시)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배선(130)은 제2, 제3 코일 패턴(135, 136)에 의해 구현되는 안테나용 코일 패턴에 최적화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제3 코일 패턴(135, 136)은 RFID, NFC, MST의 안테나로 이용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에 요구되는 코일 패턴보다 얇은 두께로 코일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무선 충전에 이용되는 제1 코일 패턴(131)도 제2, 제3 코일 패턴(135, 136)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코일 패턴(131)의 폭은 제2, 제3 코일 패턴(135, 136)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 패턴(131)과 제2, 제3 코일 패턴(135, 136)은 모두 12㎛ (또는 1/3oz)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제1 코일 패턴(131)이 제조되는 과정에 대하여만 도시되었으나, 제2 및 제3 코일 패턴(135, 136)도 제1 코일 패턴(13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제1 코일 패턴(1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판재를 타발(press) 가공하여 형성한 프레스 코일일 수 있다. 또는, 제1 코일 패턴(1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기판(121)에 동박을 형성한 후, 에칭을 통해 형성한 에칭 코일일 수 있다. 또는, 제1 코일 패턴(1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형태의 코일(Wire coil)일 수 있다. 다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코일 패턴(131)은 다양한 형태의 코일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110)는 절연기판(121) 상에 형성된 제1 코일 패턴(131)에 지그(140) 등을 이용하여 압축 하중을 가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제1 코일 패턴(13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제1 코일 패턴(131)에 압축 하중을 가할 경우 제1 코일 패턴(131)이 소성 변형되므로, 제1 코일 패턴(131)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하여 제1 코일 패턴(131)의 선간 간격이 줄어들 수 있다.
제1 코일 패턴(131)에 가해지는 압축 하중을 고려하여, 제1 코일 패턴(131)을 절연기판(121) 상에 형성할 때 원하는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도록 한다(도 5 내지 도 7의 좌측 그림 참고). 이후 제1 코일 패턴(131)에 압축 하중을 가하여, 제1 코일 패턴(131)을 원하는 높이로 형성하는 한편, 제1 코일 패턴(131)의 선간 간격을 줄이도록 한다(도 5 내지 도 7의 우측 그림 참고).
전자 기기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코일 조립체(110)의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코일 조립체(110)에 구비된 코일 배선(130)의 배선 수를 증가시켜야 한다.
다만, 공간 상의 제약에 의하여, 코일 배선(130)의 배선 수를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110)는, 제1 코일 패턴(131)에 압축 하중을 가함으로써, 제1 코일 패턴(131)의 높이를 낮춤과 동시에 선간 간격을 좁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한된 공간에서 제1 코일 패턴(131)의 배선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자 기기의 성능(일 예로, 무선 충전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및 제3 코일 패턴(135, 136)도 제1 코일 패턴(131)과 마찬가지로 제조 과정에서 압축 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나, 제1 코일 패턴(131)과는 달리 압축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 코일 패턴(131)의 코일 선 사이의 간격은 제2 및 제3 코일 패턴(135, 136)의 코일 선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인 제1 코일 패턴(131)에는 RFID, NFC, MST의 안테나용 코일 패턴인 제2, 제3 코일 패턴(135, 136)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전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전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은 상기한 안테나용 코일 패턴들보다 큰 표면적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코일 패턴(131)에 압축 하중을 가할 때, 표면에 돌기가 있는 지그(140) 등을 이용함으로써, 압축 하중을 가한 후에 제1 코일 패턴(131)의 표면에 거친 면(131a)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는, 제1 코일 패턴(131)에 압축 하중을 가한 뒤에, 제1 코일 패턴(131)의 표면을 부식시켜 거친 면(131a)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코일 패턴(131)의 표면 중 거친 면(131a)은 다른 부분보다 표면 조도가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코일 패턴(131)의 코일 선의 단면적은 제2 및 제3 코일 패턴(135, 136)의 코일 선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코일 패턴(131)의 단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제1 코일 패턴(131)의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제1 코일 패턴(131)을 보호하는 절연 보호층(미도시)과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의 제1 코일 패턴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코일 패턴(131)의 코일 선의 표면은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코일 패턴(131)의 코일 선의 측면은 곡률을 가지는 곡면이고, 측면의 곡률은 적어도 한번 변할 수 있다.
제1 코일 패턴(131)의 코일 선의 표면은 평평하게 형성된 제1 면(131-1) 및 제2 면(131-2)과, 곡률 가지는 제3 면(131-3) 및 제4 면(13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131-1)은 절연기판(121)에 부착되는 면이고, 제2 면(131-2)은 압축 하중이 가해지는 면이며, 제3 면(131-3) 및 제4 면(131-4)은 제1 면(131-1)과 제2 면(131-2)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코일 패턴(131)의 제2 면(131-2)에 압축 하중을 가하게 되므로, 제1 면(131-1)과 제2 면(131-2)을 연결하는 면인 제3 면(131-3) 및 제4 면(131-4)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코일 패턴(131)의 코일 선의 표면에는 불연속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불연속면은 제1 코일 패턴(131)의 코일 선의 표면에서 곡률이 변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코일 패턴(131)에 가해지는 압축 하중에 의해, 제1 코일 패턴(131)은 소성 변형되므로, 제3 면(131-3)과 제4 면(131-4)은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3 면(131-3)과 제4 면(131-4)의 곡률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면(131-3)과 제4 면(131-4)의 곡률은 적어도 한번 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면(131-3)과 제4 면(131-4)의 중간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면(131-1)과 가까운 곳의 곡률(R1)과 제2 면(131-2)과 가까운 곳의 곡률(R2)은 다르다.
압축 하중에 의한 소성 변형이 일어날 때, 제1 면(131-1)은 절연기판(121)에 부착된 면이므로, 제2 면(131-2)과 비교하여 변형이 작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소성 변형 후에, 제1 면(131-1)에 인접한 곳의 곡률(R1)과 제2 면(131-2)에 인접한 곳의 곡률(R2)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일 예로, 제2 면(131-2)에 인접한 곳의 곡률(R2)이 제1 면(131-1)에 인접한 곳의 곡률(R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면(131-1)은 제2 면(131-2)과 비교하여 변형이 작게 일어나게 되므로, 제1 면(131-1)의 길이(D1)과 제2 면(D2)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면(131-1)의 길이(D1)보다 제2 면(131-2)의 길이(D2)가 더 길 수 있다.
한편, 제1 코일 패턴(131)에는 압축 하중이 가해지므로, 압축 하중이 가해지기 전보다 밀도가 더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조립체(110)는, 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전자 기기
12: 배터리
20: 충전 기기
100: 전력 수진 장치
110: 코일 조립체
120: 코일 기판
130: 코일 배선

Claims (14)

  1.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 및 안테나용 코일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 및 상기 안테나용 코일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을 이루는 코일 선의 표면은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을 갖는 코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 및 상기 안테나용 코일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을 이루는 코일 선의 표면은,
    평평하게 형성된 제1 면과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고,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을 갖는 곡면인 제3 면 및 제4 면을 포함하는 코일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기판에 부착되는 면이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코일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길이보다 상기 제2 면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코일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면과 인접한 부분의 곡률보다 상기 제2 면과 인접한 부분의 곡률이 크게 형성되는 코일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내지 상기 제4 면 중에서, 상기 제2 면의 표면조도가 가장 큰 코일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 및 상기 안테나용 코일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을 이루는 코일 선의 표면에는 불연속면이 형성되는 코일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 및 상기 안테나용 코일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을 이루는 코일 선의 표면에는 표면조도가 다른 부분보다 큰 부분이 형성되는 코일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 및 상기 안테나용 코일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은 프레스 코일, 에칭 코일 및 와이어 코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코일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을 이루는 코일 선 사이의 간격은 상기 안테나용 코일 패턴을 이루는 코일 선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코일 조립체.
  11. 기판; 및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을 이루는 코일 선의 측면은 곡률을 가지는 곡면이고,
    상기 코일 선의 측면의 곡률은 적어도 한번 변하는 코일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 패턴을 이루는 코일 선은,
    평평하게 형성된 제1 면과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고, 적어도 한번 변하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인 제3 면 및 제4 면을 포함하는 코일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기판에 부착되는 면이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이며,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면과 인접한 부분의 곡률보다 상기 제2 면과 인접한 부분의 곡률이 크게 형성되는 코일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표면조도는 다른 면들의 표면조도보다 큰 코일 조립체.
KR1020160101752A 2016-08-10 2016-08-10 코일 조립체 KR20180017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52A KR20180017629A (ko) 2016-08-10 2016-08-10 코일 조립체
CN201710069152.0A CN107733094A (zh) 2016-08-10 2017-02-08 线圈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52A KR20180017629A (ko) 2016-08-10 2016-08-10 코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29A true KR20180017629A (ko) 2018-02-21

Family

ID=6120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52A KR20180017629A (ko) 2016-08-10 2016-08-10 코일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17629A (ko)
CN (1) CN1077330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774A (ko) * 2022-04-29 2023-11-07 주식회사 아모텍 안테나 패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7327A (zh) * 2018-06-12 2018-11-20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一种nfc和无线充电线圈结构以及一种可扩展nfc线圈
CN112781482B (zh) * 2020-08-21 2022-10-14 哈尔滨工业大学(威海) 可变形曲面的空间曲率的测量方法以及电感式空间曲率测量敏感元件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27043D1 (de) * 1996-08-01 2004-02-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rosselspule
JP2002324714A (ja) * 2001-02-21 2002-11-08 Tdk Corp コイル封入圧粉磁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4808996U (zh) * 2013-01-22 2015-11-25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线圈元器件及电子设备
KR101642578B1 (ko) * 2013-10-16 2016-08-10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부품, 그 실장기판 및 포장체
KR101525703B1 (ko) * 2013-12-18 2015-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20160126639A1 (en) * 2014-10-14 2016-05-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structur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774A (ko) * 2022-04-29 2023-11-07 주식회사 아모텍 안테나 패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33094A (zh) 201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621B1 (ko) 무선 충전용 코일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0673131B2 (en) Coil assembly
EP2750145B1 (en) Coil for cordless charging and cordless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179398B1 (ko)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9812256B2 (en) Coil assembly
CN107275763B (zh) 天线组件
US9472340B2 (en)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20120274148A1 (en)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017687A (ko) 코일 조립체
KR102622543B1 (ko) 코일 조립체
US10186875B2 (en)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2015149405A (ja) アンテナ装置、非接触電力伝送用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US10116150B2 (en) Conductive plat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190252768A1 (en)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O2017038797A1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20180079883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80017629A (ko) 코일 조립체
KR20140035196A (ko) 코일, 무선 전력 장치 및 단말기
US9761371B2 (en)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type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40098047A (ko) 무선 충전용 코일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1546720B1 (ko) 박막 코일, 케이스 어셈블리,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0305187B2 (en) Antenna 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tenna device
US20190131057A1 (en) Coil assembly with multiple coil wirings
KR10143410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