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066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066A
KR20180079066A KR1020160184438A KR20160184438A KR20180079066A KR 20180079066 A KR20180079066 A KR 20180079066A KR 1020160184438 A KR1020160184438 A KR 1020160184438A KR 20160184438 A KR20160184438 A KR 20160184438A KR 20180079066 A KR20180079066 A KR 2018007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th
acrylate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지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6018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066A/ko
Priority to US15/846,352 priority patent/US10377892B2/en
Priority to EP17208947.6A priority patent/EP3342818B1/en
Publication of KR2018007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06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2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14 중량% 내지 25 중량% 및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75 중량% 내지 86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C)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폴리아미드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제전용 수지 2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RESIN ART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명성, 대전방지성, 내충격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기계적 물성, 가공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외장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가전제품, 의료 기기, 완구 등의 제품 분야에서는 최근 시장 트렌드로 투명, 반투명 소재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며, 디자인 난이도가 증가됨에 따라 고충격, 고유동 특성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내충격성 강화를 위해 실리콘계 화합물 등의 충격보조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충격보조제를 포함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되거나, 저온방치 시 제품 표면에 백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충격보조제를 과량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쉬우며, 헤이즈 특성이 높고, 전광선 투과율이 낮아 투명한 외관이 요구되는 제품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투명성과 내충격성을 동시에 높이면서도, 표면 저항 특성, 항균성 등이 우수하여 가전제품, 자동사무화 기기, 의료 기기, 완구 등의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 문헌으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2802호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투명성, 대전방지성, 내충격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지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14 중량% 내지 25 중량% 및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75 중량% 내지 86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C)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폴리아미드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제전용 수지 2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초 수지 중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및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중량비는 1:3 내지 1:6 일 수 있다.
상기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20 중량% 내지 40 중량%;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60 중량%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C) 제전용 수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을 1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초 수지는 굴절률이 1.25 내지 1.75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기초 수지와 제전용 수지의 굴절률 차이가 0.3 이하일 수 있다.
[식 1]
굴절률 차이 = |(R1 - R2)|
상기 식 1에서, R1은 기초 수지의 굴절률이고, R2는 제전용 수지의 굴절률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치가 2.0 내지 7.0 이고,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치가 1.0 내지 7.5일 수 있다.
[식 2]
항균 활성치 = log(M1/M2)
상기 식 2에서, M1은 블랭크(blank) 시편에 대한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균 수이고, M2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에 대한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균 수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5 mm 두께의 시편에 대해 ASTM D1003에 의해 측정한 헤이즈가 10% 이하이고,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5 mm 두께의 시편에 대해 ASTM D250에 의해 23℃, 50%RH에서 측정한 표면 저항이 10×108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식 3]
1000 mm ≤ Id
상기 식 3에서, Id는 두께 2mm로 사출된 시편에 대하여, 1kg의 금속 추를 이용하여 듀폰 드롭 테스트(dupont drop test)법에 의해 측정한 낙추높이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성, 대전방지성, 내충격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지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14 중량% 내지 25 중량% 및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75 중량% 내지 86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C)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폴리아미드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제전용 수지 2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투명성, 대전방지성, 내충격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특히, 투명성, 대전방지성, 내충격성 및 항균성이 모두 균형있게 우수하여 가전 제품, 자동사무화 기기 등의 하우징, 완구 등의 용도에 적용될 경우 산업적으로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는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열안정성 및 상용성을 증가시키고, 투명성 및 내충격성을 구현한다.
단,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는 고무계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 고무성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는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 개시제와 함께 통상적인 중합과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제는 예를 들어, 과산화물, 과황산염, 시아노화 아조 화합물, 레독스계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의 중합과정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괴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및 푸마로니트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중량(100 중량%) 중 1 중량%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5 중량% 내지 45 중량%, 구체적으로 10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중량(100 중량%) 중 1 중량%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5 중량% 내지 45 중량%, 구체적으로 10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내충격성 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알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중량(100 중량%) 중 10 중량%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40 중량% 내지 80 중량%, 구체적으로 60 중량%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20 중량% 내지 40 중량%;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60 중량%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g/mol 내지 200,000 g/mol, 구체적으로 35,000 g/mol 내지 150,000 g/mol, 더욱 구체적으로, 40,000 g/mol 내지 110,000 g/mol 이 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성, 내열성 및 유동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는 기초 수지 100 중량% 중 14 중량% 내지 25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14 중량% 미만인 경우 열안정성, 내충격성 등을 구현하기 어렵고,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투명한 외관 특성이 구현되기 어려우며, 대전방지 특성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는 14 중량% 내지 20 중량%, 15 중량% 내지 1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투명성, 대전 방지성 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합체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종의 단독 중합체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2종 이상을 중합단위로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가소성 수지에 우수한 투명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초 수지의 투명성 및 내충격성을 더욱 높이면서도 굴절률을 조절하기에 유리하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기초 수지 100 중량% 중 75 중량% 내지 86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함량이 75 중량% 미만인 경우 헤이즈가 높과 전광선 투과율이 낮아져, 투명한 외관 특성이 구현되기 어렵고, 86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 저항이 높아 대전 방지성이 불충분하며 우수한 내충격성이 구현되기 어렵다.
구체예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기초 수지 중 78 중량% 내지 85 중량%, 80 중량% 내지 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투명성, 대전 방지성 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C) 제전용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제전용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또는 이로부터 제조된 시편)의 항균성, 대전방지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폴리아미드 중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C) 제전용 수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항균성, 대전방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전술한 기초 수지와의 상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아미드계 블록, 폴리에테르계 블록 및 에스테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비스페놀 A 등의 비스페놀 골격을 가지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양끝단에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비스페놀 A글리시딜에테르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탄소수 6 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염;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의 염으로는, ω-아미노카프론산, ω-아미노에난트산, ω-아미노카프릴산, ω-아미노펠콘산, ω-아미노카프린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과 같은 아미노카르복실산류; 카프로락탐, 에난트락탐, 카프릴락탐, 라우릴락탐등과 같은 락탐류;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핀산의 염, 헥사메틸렌디아민-이소프탈산의 염등과 같은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아미노도데칸산, 카프로락탐, 헥사메틸렌디아민-아디핀산의 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1,2- 및 1,3-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콜과 테트라히드로퓨란의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테레프탈산, 1,4-시클로헥사카르복실산, 세바신산, 아디핀산, 도데카노카르복실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 염;과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의 결합은 에스테르 결합일 수 있고,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아미노 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디카르복실산염;과 상기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카르복실산;의 결합은 아미드 결합일 수 있고,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과 상기 탄소수 4 내지 20의 디카르복실산;의 결합은 에스테르 결합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을 10 중량% 내지 95 중량%, 구체적으로 15 중량% 내지 9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20 중량% 내지 8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항균성, 대전방지성 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전용 수지는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제전용 수지가 25 중량부 미만 사용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항균성 및 대전방지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충분히 발휘되기 어려우며, 헤이즈가 증가하고, 전광선 투과율이 낮아져 외관 특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전용 수지는 상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7 중량부 내지 33 중량부, 28 중량부 내지 3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투명성, 대전 방지성 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D) 첨가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충진제,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기초 수지 중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및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중량비는 1:3 내지 1:6, 구체적으로는 1:3 내지 1: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대전방지성, 내충격성 및 항균성의 밸런스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및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초 수지와 제전용 수지의 굴절률 차이를 저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헤이즈를 낮추고, 전광선 투과율을 더욱 향상시켜 더욱 우수한 외관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초 수지는 굴절률이 1.25 내지 1.75, 구체적으로는 1.45 내지 1.5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투명성이 높고, 전광선 투과율이 높으며 헤이즈가 낮은 우수한 광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기초 수지와 제전용 수지의 굴절률 차이가 0.3 이하, 구체적으로는 0.2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0.15 이하일 수 있다.
[식 1]
굴절률 차이 = |(R1 - R2)|
상기 식 1에서, R1은 기초 수지의 굴절률이고, R2는 제전용 수지의 굴절률이다. 이러한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투명성이 더욱 향상되면서, 제전용 수지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에서 헤이즈, 착색성을 저감하는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내지 280℃, 예를 들면 220℃ 내지 25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파우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포도상구균, 대장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세균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치가 2.0 내지 7.0 이고,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치가 1.0 내지 7.5 일 수 있다.
[식 2]
항균 활성치 = log(M1/M2)
상기 식 2에서, M1은 블랭크(blank) 시편에 대한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균 수이고, M2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에 대한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균 수이다. 이러한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우수한 항균성을 구현할 수 있어, 가전 제품, 완구 등의 제품에 이용되기에 유리한 특성을 갖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5 mm 두께의 시편에서 ASTM D1003에 의해 측정한 헤이즈가 10% 이하이고, 전광성 투과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우수한 투명성을 구현할 수 있어, 가전 제품, 완구 및 투명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특성의 제품에 이용되기에 유리한 특성을 갖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5 mm 두께의 시편에서 ASTM D250에 의해 23℃, 50%RH에서 측정한 표면 저항이 10×108Ω/□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우수한 대전 방지성 및 전압 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 가전 제품, 사무자동화기기, 완구 및 우수한 전기적 특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제품에 이용되기에 유리한 특성을 갖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식 3]
1000 mm ≤ Id
상기 식 3에서, Id는 두께 2mm의 성형품 시편에 대하여, 1kg의 금속 추를 이용하여 듀폰 드롭 테스트(dupont drop test)법에 의해 측정한 낙추 높이이다. 이러한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할 수 있어, 충격 특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제품에 이용되기에 유리한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은 투명성, 대전방지성, 내충격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지므로 특히, 가전 제품, 사무자동화기기 등의 하우징, 완구 등의 용도에 적용될 경우 산업적으로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a1)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73.85중량%, 아크릴로니트릴 5 중량% 및 스티렌 21.15중량%를 투입하여 현탁중합을 실시한 다음, 탈수 및 건조하여 분자량이 약 105,000 g/mol 수준의 특성을 갖는 비드(bead)형태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제조사: 롯데MRC, 제품명: TF-9)를 사용하였다.
(C) 제전용 수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전용 수지(제조사: Sanyo, 제품명: PELECTRON AS)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3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50℃, 금형 온도: 6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A) 17 56 56 43 30
(B) 83 44 44 57 70
(C) 30 - 30 30 30
상기 표 1에서, (A) 및 (B)의 중량기준은 (A)+(B)의 총합(100%)에 대한 중량%이고, (C)의 중량기준은 (A)+(B)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이다.
물성 평가 방법
(1) 헤이즈(%) 및 전광선 투과율(%): 각 2.5 mm 두께 사출시편에 대해 ASTM D1003에 따라 헤이즈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표면 저항(Ω/□): 각 2.5 mm 두께 사출시편에 대해 ASTM D250에 따라 23℃, 50%RH에서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3) 항균 활성치: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하기 식 2에 따라 항균 활성치를 구하였다.
[식 2]
항균 활성치 = log(M1/M2)
(상기 식 2에서, M1은 블랭크(blank) 시편에 대한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균 수이고, M2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에 대한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균 수이다.)
(4) 듀폰 드롭 테스트: 듀폰 드롭 테스트 방법에 따라, 2mm 두께 사출시편에 대해 각각 고무 재질의 추 0.5kg, 금속 재질의 추 1kg을 1000 mm 높이에서 20회 낙하하여 크랙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듀폰 드롭 테스트를 통과한 경우 ○, 크랙이 발생하여 듀폰 드롭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로 평가하였다.
(5) 외관 특성: 앞서 측정된 헤이즈가 10% 이하이고,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으로 외관 특성이 우수한 경우, 헤이즈가 10%를 초과하거나 전광선 투과율이 90% 미만으로 외관 특성이 불충분한 경우 ×로 평가하였다.
(6) 전기적 특성: 앞서 측정된 표면 저항이 10 x 108 Ω/□ 이하로 전기적 특성이 가전제품 등의 용도에 사용하기 적합한 만족하는 경우 ○, 표면 저항이 10 x 108 Ω/□를 초과하여 전기적 특성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 ×로 평가하였다.
(7) 내충격성: 듀폰 드롭 테스트 방법에 따라, 2mm 두께 사출시편에 대해 금속 재질의 추 1kg을 1000 mm 높이에서 20회 낙하하여 평균 낙추 높이를 측정한 후, 하기 식 3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내충격성을 평가하였다.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경우 ○, 만족하지 않는 경우 ×로 평가하였다.
[식 3]
1000 mm ≤ Id
상기 식 3에서, Id 는 2mm 두께 사출시편에 대해 1kg 금속 추를 사용하여 듀폰 드롭 테스트에 의한 낙추높이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전광선 투과율(%) 83.84 92 80.58 81.25 83.56
헤이즈(%) 6.26 0.5 26.8 27.5 11.23
표면 저항
(Ω/□)
2*108 2*1016 1.2*109 8*108 2*108
항균성
(포도상구균)
4.6 0 4.6 4.6 4.6
항균성
(대장균)
3.0 0 3.0 3.0 3.0
듀폰드롭테스트
(고무, 0.5kg)
×
듀폰드롭테스트
(금속, 1kg)
×
외관특성 × × ×
전기 적합성 × ×
내충격성 ×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14 중량% 내지 25 중량% 및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75 중량% 내지 86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C)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폴리아미드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제전용 수지 2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투명성, 대전방지성, 내충격성 및 항균성이 모두 우수하며, 이들의 밸런스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를 과량으로 포함하고,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본 발명의 범위 미만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4는 기초 수지와 제전용 수지의 상용성이 부족하여 우수한 전기 적합성, 내충격성 또는 우수한 외관 특성을 구현하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특히, 제전용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 표면 저항이 매우 높고, 크랙이 쉽게 발생하고, 항균성을 구현할 수 없어 전기적 특성, 내충격성 및 항균성이 모두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14 중량% 내지 25 중량% 및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75 중량% 내지 86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 및
    상기 기초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C)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폴리아미드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제전용 수지 25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수지 중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 및 (B)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중량비는 1:3 내지 1:6 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비닐-시안화비닐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20 중량% 내지 40 중량%;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60 중량%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제전용 수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을 1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수지는 굴절률이 1.25 내지 1.75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기초 수지와 제전용 수지의 굴절률 차이가 0.3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식 1]
    굴절률 차이 = |(R1 - R2)|
    상기 식 1에서, R1은 기초 수지의 굴절률이고, R2는 제전용 수지의 굴절률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치가 2.0 내지 7.0 이고,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치가 1.0 내지 7.5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식 2]
    항균 활성치 = log(M1/M2)
    상기 식 2에서, M1은 블랭크(blank) 시편에 대한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균 수이고, M2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에 대한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균 수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5 mm 두께의 시편에서 ASTM D1003에 의해 측정한 헤이즈가 10% 이하이고,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2.5 mm 두께의 시편에서 ASTM D250에 의해 23℃, 50%RH에서 측정한 표면 저항이 10×108Ω/□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성형품:
    [식 3]
    1000 mm ≤ Id
    상기 식 3에서, Id는 두께 2mm로 사출된 시편에 대하여, 1kg의 추를 이용하여 듀폰 드롭 테스트(dupont drop test)법에 의해 측정한 낙추높이이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0160184438A 2016-12-30 2016-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80079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38A KR20180079066A (ko) 2016-12-30 2016-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5/846,352 US10377892B2 (en) 2016-12-30 2017-12-19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EP17208947.6A EP3342818B1 (en) 2016-12-30 2017-12-20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38A KR20180079066A (ko) 2016-12-30 2016-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706A Division KR102161374B1 (ko) 2019-03-29 2019-03-29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066A true KR20180079066A (ko) 2018-07-10

Family

ID=6095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438A KR20180079066A (ko) 2016-12-30 2016-12-30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77892B2 (ko)
EP (1) EP3342818B1 (ko)
KR (1) KR201800790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5765A (zh) * 2022-03-30 2022-06-10 李秋月 一种安全阻燃型亚克力板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3640A (ja) 1995-03-17 1996-10-01 Mitsui Toatsu Chem Inc 帯電防止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
US6277913B1 (en) * 1998-05-25 2001-08-21 Kaneka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interior or exterior parts for vehicle thereof
JP2005248054A (ja) 2004-03-05 2005-09-15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US20070060716A1 (en) * 2005-09-13 2007-03-15 Bala Ambravaneswaran Fatigue resistant thermoplastic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8344043B2 (en) 2009-12-23 2013-01-01 Cheil Industries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scratch resistance and molded article made therefrom
KR101432597B1 (ko) 2012-03-21 2014-08-21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내열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FR3004455B1 (fr) 2013-04-10 2015-03-27 Arkema France Composition a base de pmma transparente et antistatique
US9840618B2 (en) 2014-10-02 2017-12-12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chemical resistance and transparenc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KR101800086B1 (ko) 2014-11-21 2017-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계 공중합체 얼로이 고광택 조성물 및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2818A1 (en) 2018-07-04
EP3342818B1 (en) 2019-08-28
US20180186994A1 (en) 2018-07-05
US10377892B2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6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96796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0516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2818514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EP2599832A1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fire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KR10148656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00148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364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70039015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KR102047246B1 (ko)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9661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2657292A1 (en) Acrylic copolymer resin composition
KR101497131B1 (ko)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76848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2018007906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9003852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7180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45208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광판
KR101534377B1 (ko) 유동성 및 연필경도 특성이 우수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KR100376052B1 (ko) 영구제전성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7007464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10035018A (ko) 내충격성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KR2016012853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6013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5075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0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329

Effective date: 202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