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768A -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 Google Patents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768A
KR20180078768A KR1020160183869A KR20160183869A KR20180078768A KR 20180078768 A KR20180078768 A KR 20180078768A KR 1020160183869 A KR1020160183869 A KR 1020160183869A KR 20160183869 A KR20160183869 A KR 20160183869A KR 20180078768 A KR20180078768 A KR 20180078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package
product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518B1 (ko
Inventor
김기원
최원준
김용진
공용식
Original Assignee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5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는,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일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된 제1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나머지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상기 제1 포장재에 교차되는 형상으로 배치된 제2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에 구비된 포장재 조립수단을 포함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재 조립수단에 의해서 제1 포장재와 제2 포장재를 조립하여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만을 포장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포장이 불필요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생략하여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의 소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EXPANDED PLASTICS TYPE PACKAGING MATERIALS FOR PACKAGING PRODUCT}
본 발명은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피스(piece)로 이루어져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분만을 포장하는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재(packaging materials)는 제품의 포장에 사용된 재료 혹은 용기로써, 제품의 수송, 보관, 취급, 사용 등의 과정에서 제품의 가치와 상태를 보호하거나 품질을 보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포장재는 제품의 재질, 형상, 크기, 무게, 경제성, 이송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포장재의 소재로는 종이, 목재, 플라스틱, 가죽, 천, 금속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발포성 플라스틱(expanded plastics)은 발포제에 의해 플라스틱의 내부에 미세한 거품상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경량성 및 완충성 등이 우수하여 포장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발포성 플라스틱으로는 발포 폴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 발포 폴리에틸렌(EPE, expanded polyethylene),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는 제품을 감싸도록 배치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거나, 또는 제품의 하면부와 측면부에 배치하여 제품의 흔들림과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는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분을 덮는 구조로 성형되므로,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분뿐만 아니라 제품의 포장이 불필요한 부분도 함께 포장될 가능성이 높다. 만약,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를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분만 덮는 구조로 성형하면, 금형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금형 비용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제품의 하중이나 외부 충격이 집중되는 부위에 별도의 보강 구조나 보강 부재를 추가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3836호(발명의 명칭: 가전제품용 포장재, 공개번호: 2016.10.26)에서는 가전 제품의 하중이 많이 받는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밀도가 높게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에 별도의 보강 부재를 추가하거나 또는 포장재의 소재를 제품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하면,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의 제조 공정이 추가적으로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개의 피스(piece)를 간단히 조립하여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분만을 포장하는 형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장 제품의 포장이 불필요한 부분에 대한 소재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금형의 생산성 및 사용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일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된 제1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나머지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상기 제1 포장재에 교차되는 형상으로 배치된 제2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에 구비된 포장재 조립수단을 포함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재 조립수단에 의해서 제1 포장재와 제2 포장재를 조립하여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만을 포장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포장이 불필요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생략하여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의 소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 포장재의 겹침 부위에는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침 부위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1 삽입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침 부위에는 상기 제1 포장재의 겹침 부위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상기 제2 삽입홈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에 교차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를 포장하도록 상기 포장 제품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중간부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중간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포장재 또는 상기 제2 포장재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된 조립 돌기부, 및 상기 조립 돌기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상기 제1 포장재 또는 상기 제2 포장재 중 다른 하나에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 끼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 돌기부와 상기 조립 끼움부의 조립시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제1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된 제1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제2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제1 포장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제3 부분를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제1 포장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3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에 상기 제2 포장재 또는 상기 제3 포장재 중 적어도 하나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에 각각 구비된 포장재 조립수단을 포함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포장재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제2 포장재의 일단부 또는 상기 제3 포장재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1 삽입홈부가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포장재의 일측 또는 타측이 각각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상기 제2 삽입홈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 및 상기 제3 포장재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 및 상기 제3 포장재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를 포장하도록 상기 포장 제품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는 상기 제1 포장재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의 중간부의 양측면부에 상기 포장 제품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포장재의 중간부의 양측면부 및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포장재의 양측 또는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된 조립 돌기부, 및 상기 조립 돌기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상기 제1 포장재의 양측 또는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의 일단부 중 다른 하나에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 끼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 돌기부와 상기 조립 끼움부의 조립시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를 포장하도록 형성된 포장재 본체,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1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 본체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 측면부에 배치되는 제1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2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 본체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2 측면부에 배치되는 제2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3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 본체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3 측면부에 배치되는 제3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4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 본체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4 측면부에 배치되는 제4 포장재, 및 상기 포장재 본체에 상기 제1 포장재, 상기 제2 포장재, 상기 제3 포장재, 또는 상기 제4 포장재 중 적어도 하나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와 상기 제1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 상기 포장재 본체와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 상기 포장재 본체와 상기 제3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 및 상기 포장재 본체와 상기 제4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에 각각 구비된 포장재 조립수단을 포함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4 측면부에는 상기 제1 포장재 내지 상기 제4 포장재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1 삽입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4 포장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 측면부 내지 제4 측면부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상기 제2 삽입홈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 본체와 상기 제1 포장재 내지 상기 제4 포장재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포장재 본체의 상부 및 상기 제1 포장재 내지 상기 제4 포장재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를 포장하도록 상기 포장 제품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4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 본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 또는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4 포장재가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4 측면부에 상기 포장 제품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4 측면부 및 상기 제1~4 포장재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4 측면부 또는 상기 제1~4 포장재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된 조립 돌기부, 및 상기 조립 돌기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4 측면부 또는 상기 제1~4 포장재의 일단부 중 다른 하나에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 끼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 돌기부와 상기 조립 끼움부의 조립시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 끼움부는 상기 제1~4 포장재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조립 돌기부는 상기 조립 끼움부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는, 포장재 조립수단에 의해서 제1 포장재와 제2 포장재를 조립하여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만을 포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가 포장 제품의 포장이 불필요한 부위를 포장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포장이 불필요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에 대한 자체 중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는, 금형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포장이 불필요한 부분에 대한 성형이 생략되므로, 기존과 동일한 크기의 금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품 포장재의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포장재로 분리하거나 하나의 제품 포장재로 조립 가능하므로, 제품 포장재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 포장재의 이송과 회수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는,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에 대응하여 조립되는 포장재의 개수와 형상 및 조립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 제품의 포장 부위의 크기에 따라 포장재의 조립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포장 제품의 종류에 따라 포장재의 종류를 적절히 교체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포장재 조립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C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D-D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포장재 조립수단(13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은 제1 포장재(110), 제2 포장재(120), 및 포장재 조립수단(130)을 포함한다.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도면의 식별성을 위하여 도 1 내지 도 5의 제1 포장재(110)에 점 해칭을 표시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포장재(110) 및 제2 포장재(120)는 금형을 이용하여 발포성 플라스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포장재(110) 및 제2 포장재(120)는 발포 폴리스티렌(EPS, expanded polystyrene), 발포 폴리에틸렌(EPE, expanded polyethylene), 또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는 포장 제품(10)의 상면부, 측면부, 하면부 등에 모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포장 제품(10)은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에 의해서 포장되는 기기로서, 제품의 보관 및 이송을 위하여 포장이 필요한 제품이다. 일례로, 포장 제품(10)은 세탁기, 냉장고, 식기 세척기 등과 같은 가정용 기기 또는 압축기, 펌프, 전동기 등과 같은 산업용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포장 제품(10)이 세탁기 또는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정용 기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제품 포장재(100)가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배치되면, 제품 포장재(100)가 포장 제품(10)의 하면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제품 포장재(100)는 포장 제품(10)의 하중도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포장재(11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일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포장재(11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불필요한 부위(S)에 배치되지 않는다.
포장 제품(10)의 하면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포장재(110)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대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4개 모서리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장재(110)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포장 제품(10)의 4개 다리 중에서 서로 대각선으로 배치된 2개의 다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포장재(110)의 상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를 포장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제1 안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14)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포장재(110)는 제2 포장재(120)와 일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가 서로 층 형상으로 겹쳐지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 포장재(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포장재(110)의 중간부에는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1 삽입홈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가 제1 삽입홈부(112)에 삽입 안착되면, 제2 포장재(120)는 제1 삽입홈부에 걸려서 회전 또는 좌우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포장재(12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나머지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포장재(120)도 제1 포장재(110)와 마찬가지로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불필요한 부위(S)에 배치되지 않는다.
제2 포장재(120)는 제1 포장재(110)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배치되되, 제1 포장재(110)에 교차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는 서로 교차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대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는 포장 제품(10)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겹침 부위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시 포장 제품(10)의 하중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X'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포장재(110)는 포장 제품(10)의 4개 다리 중에서 서로 대각선으로 배치된 2개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포장재(120)는 포장 제품(10)의 4개 다리 중에서 서로 대각선으로 배치된 다른 2개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제1 포장재(110)와 다른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는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가 배치되지 않는 부위(S)가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4개 모서리부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가 배치되지 않는 부위(S)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 중에서 포장이 불필요한 부위(S)에 해당될 수 있으며, 그 부위(S)에 해당하는 공간만큼 제품 포장재(10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는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포장재(120)의 상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를 포장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제2 안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24)도 제1 안착부(114)와 마찬가지로 포장 제품(10)의 하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포장재(110)의 중간부가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의 상측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의 상부에는 제2 안착부(124)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는 서로 층 형상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므로,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에는 제1 포장재(110)의 중간부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제1 포장재(110)의 중간부가 제2 삽입홈부(122)에 삽입 안착되면, 제1 포장재(110)는 제2 삽입홈부에 걸려서 회전 또는 좌우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포장재 조립수단(130)은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부재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는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개별적으로 제조, 이송, 보관, 및 회수할 수 있고, 포장 제품(10)을 포장하는 경우에만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서로 조립해서 포장 제품(10)의 포장에 사용할 수 있다.
포장재 조립수단(130)은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겹치는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장재 조립수단(130)은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제1 삽입홈부(112)와 제2 삽입홈부(122)에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재 조립수단(130)은 조립 돌기부(132) 및 조립 끼움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조립 돌기부(132)는 제1 포장재(110) 또는 제2 포장재(120)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립 끼움부(134)는 조립 돌기부(132)가 끼워져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립 끼움부(134)는 제1 포장재(110) 또는 제2 포장재(120) 중 다른 하나에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 돌기부(132)가 제1 포장재(110)의 하부에 돌기 형상으로 하측을 향해 돌출되고, 조립 끼움부(134)가 제2 포장재(120)의 상부 중에서 조립 돌기부(132)와 대향되는 위치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조립 돌기부(132)는 제1 포장재(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립 끼움부(134)는 제2 포장재(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립 돌기부(132) 및 조립 끼움부(134)는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사출 성형시 제1 포장재(110) 및 제2 포장재(120)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조립 돌기부(132)의 단부 또는 조립 끼움부(134)의 입구부에는 조립 돌기부(132)가 조립 끼움부(134)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조립 돌기부(132)와 조립 끼움부(134)는 제품 포장재(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는 조립 돌기부(132)와 조립 끼움부(134)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돌기부(132')가 제1 포장재(110)의 하부에 돌기 형상으로 하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조립 끼움부(134')가 제2 포장재(120)의 상부 중에서 조립 돌기부(132)와 대향되는 위치에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돌기부(132'')가 제2 포장재(120)의 상부에 돌기 형상으로 상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조립 끼움부(134'')가 제1 포장재(110)의 하부 중에서 조립 돌기부(132)와 대향되는 위치에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돌기부(132''')가 제2 포장재(120)의 상부에 돌기 형상으로 상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조립 끼움부(134''')가 제1 포장재(110)의 하부 중에서 조립 돌기부(132)와 대향되는 위치에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립 돌기부(132) 또는 조립 끼움부(134)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 방지 돌기(136)가 형성될 수 있고, 조립 돌기부(132) 또는 조립 끼움부(134) 중 다른 하나에는 조립 돌기부(132)와 조립 끼움부(134)의 조립시 이탈 방지 돌기(136)가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138)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이탈 방지 돌기(136)가 조립 돌기부(132)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이탈 방지홈(138)이 조립 끼움부(134)의 측벽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 포장재(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탈 방지 돌기(136)와 이탈 방지홈(138)이 형성되면, 조립 돌기부(132)가 조립 끼움부(13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탈 방지 돌기(136)가 이탈 방지홈(138)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 방지 돌기(136)와 이탈 방지홈(138)은 조립 돌기부(132)가 조립 끼움부(134)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하도록 조립 돌기부(132)와 조립 끼움부(134)에 소정의 걸림력을 제공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조립 돌기부(132)를 조립 끼움부(134)에 적정 위치까지 삽입했는지를 안내하기 위한 디텐트(detent)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에 대한 제조 및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포장재(110) 및 제2 포장재(120)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제작한다. 제품 포장재(100)의 금형은 조립 돌기부(132)를 제1 포장재(110)와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시킴과 아울러 조립 끼움부(134)를 제2 포장재(120)와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시키는 구조로 제작한다.
이때, 제품 포장재(100)의 금형은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개별적으로 제조하도록 제1 포장재(110)를 제조하는 금형과 제2 포장재(120)를 제조하는 금형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거나, 또는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동시에 제조하도록 제1 포장재(110)의 캐비티와 제2 포장재(120)의 캐비티를 구비한 구조로 금형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포장재(100)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를 모두 덮는 구조의 기존 제품 포장재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금형의 전체 크기를 줄이거나, 또는 기존 제품 포장재의 금형과 동일한 크기에서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복수개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보다 금형 비용을 줄이거나, 또는 금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금형을 이용하여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제조하면,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개별적으로 보관 및 이송하고, 포장 제품(10)의 포장시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조립하여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배치하며, 포장 제품(10)의 설치시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제거한 후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서로 분리한 상태로 회수한다. 따라서, 제품 포장재(100)의 취급성 및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조립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포장재(110)의 제1 삽입홈부(112)에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를 삽입시키고, 제2 포장재(120)의 제2 삽입홈부(122)에 제1 포장재(110)의 중간부를 삽입시킨다. 그와 동시에, 제1 포장재(110)의 중간부의 하부에 형성된 조립 돌기부(132)를 제2 포장재(120)의 중간부의 상부에 형성된 조립 끼움부(134)에 삽입시킨다.
조립 돌기부(132)의 이탈 방지 돌기(136)가 조립 끼움부(134)의 이탈 방지홈(138)에 삽입되면, 조립 돌기부(132)를 조립 끼움부(134)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중단하여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조립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포장재 조립수단(130)에 의해서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조립이 완료되면,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배치한다.
이때,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 중에서 네 모서리부 및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 중에서 네 모서리부 및 중앙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포장 제품(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200)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C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200)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와 상이한 점은, 제1 포장재(210)의 일측에 제2 포장재(220)이 배치되고, 제1 포장재(210)의 타측에 제3 포장재(230)가 배치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포장재(220)의 일단부가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좌측면부에 겹치도록 연결되고,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가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우측면부에 겹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의 배치 구조는 제품 포장재(2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는 제1 포장재(21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2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와 동일하게 'X' 형상으로 형성되어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포장재(210)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및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는 포장 제품(10)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장재(210)와 제2 포장재(220)의 겹침 부위 또는 제1 포장재(210)와 제3 포장재(230)의 겹침 부위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시 포장 제품(10)의 하중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200)는 제1 포장재(210), 제2 포장재(220), 제3 포장재(230), 및 포장재 조립수단(240)을 포함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제1 포장재(21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제1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1 포장재(2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포장재(110)에 비교하여 구성과 배치 구조가 동일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포장재(210)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는 제2 포장재(220)의 일단부 또는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1 삽입홈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장재(210)의 상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1 부위를 포장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1 부위가 안착되기 위한 제1 안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제2 포장재(22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제2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포장재(220)는 제1 포장재(210)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좌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포장재(220)의 일단부가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좌측면부에 연결된 구조로서, 제2 포장재(220)는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에서 좌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포장재(220)의 일단부에는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좌측면부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포장재(220)의 상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2 부분을 포장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2 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2 안착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제3 포장재(23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제3 부분를 포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포장재(230)는 제1 포장재(210)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우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가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우측면부에 연결된 구조로서, 제3 포장재(230)는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에서 우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에는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우측면부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포장재(230)의 상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3 부분을 포장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3 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3 안착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포장재 조립수단(240)은 제1 포장재(210)에 제2 포장재(220)의 일단부 또는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부재이다. 포장재 조립수단(240)은 제1 포장재(210)와 제2 포장재(220)의 겹치는 부위 및 제1 포장재(210)와 제3 포장재(230)의 겹치는 부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장재 조립수단(240)은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좌측면부와 제2 포장재(22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우측면부와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포장재 조립수단(240)은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형성된 제1 삽입홈부(212) 및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2 삽입홈부(222)에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재 조립수단(240)은 조립 돌기부(242) 및 조립 끼움부(244)를 구비할 수 있다. 조립 돌기부(242)는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또는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립 끼움부(244)는 조립 돌기부(242)가 끼워져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립 끼움부(244)는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또는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 중 다른 하나에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 돌기부(242) 또는 조립 끼움부(244)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 방지 돌기(246)가 형성될 수 있고, 조립 돌기부(242) 또는 조립 끼움부(244) 중 다른 하나에는 조립 돌기부(242)와 조립 끼움부(244)의 조립시 이탈 방지 돌기(246)가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24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 돌기부(242)가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의 하부에 돌기 형상으로 하측을 향해 돌출되고, 조립 끼움부(244)가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의 일단부의 상부 중에서 조립 돌기부(242)와 대향되는 위치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탈 방지 돌기(246)가 조립 돌기부(242)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이탈 방지홈(248)이 조립 끼움부(244)의 측벽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포장재 조립수단(24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포장재 조립수단(240)과 비교하여 조립 돌기부(242)와 조립 끼움부(244)의 조립 방식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지만, 조립 돌기부(242)와 조립 끼움부(244)의 위치 및 구성요소 간의 연결 관계는 서로 상이하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200)는 제1 포장재(210)의 중간부의 양측면부에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의 일단부를 각각 연결한 구조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200)는 제1 포장재(210)에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를 개별적으로 연결하므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가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연결하는 것과 비교하여 작업 공수가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도 6에 도시된 제품 포장재(200)의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품 포장재(100)의 제2 포장재(120)보다 절반 이하의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제품 포장재(200)의 취급성 및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금형의 크기를 줄이거나 또는 금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제품 포장재(200)의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제2 포장재(220)와 제3 포장재(230)의 부품 공용화가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300)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D-D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300)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와 상이한 점은, 포장재 본체(310)의 측면부 둘레를 따라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재 본체(310)의 둘레를 따라 제1~4 측면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일단부가 제1~4 측면부에 각각 겹치도록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배치 구조는 제품 포장재(3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포장재(320)와 제3 포장재(340)가 포장재 본체(3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포장재(330)와 제4 포장재(350)가 포장재 본체(3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3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와 동일하게 'X' 형상으로 형성되어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포장재 본체(310)의 제1~4 측면부 및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일단부는 포장 제품(10)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재 본체(310)와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겹침 부위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시 포장 제품(10)의 하중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300)는 포장재 본체(310), 제1 포장재(320), 제2 포장재(330), 제3 포장재(340), 제4 포장재(350), 및 포장재 조립수단(360)을 포함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포장재 본체(31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를 포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포장재 본체(310)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중앙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포장재 본체(310)의 측면부 둘레에는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일단부가 연결되기 위한 제1~4 측면부가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포장재 본체(310)의 제1~4 측면부에는 제1 포장재(320), 제2 포장재(330), 제3 포장재(340), 또는 제4 포장재(350)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1 삽입홈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포장재 본체(310)의 상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중앙 부위를 포장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중앙 부위가 안착되기 위한 제1 안착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제1 포장재(32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1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장재(320)는 포장재 본체(310)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포장재 본체(310)의 제1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포장재(320)의 일단부는 포장재 본체(310)의 제1 측면부에 연결된 구조로서, 제1 포장재(320)는 포장재 본체(310)의 측면에서 포장 제품(10)의 네 모서리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포장재(320)의 일단부에는 포장재 본체(310)의 제1 측면부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장재(320)의 상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1 부분을 포장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2 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2 안착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제2 포장재(33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2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포장재(330)는 포장재 본체(310)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포장재 본체(310)의 제2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포장재(330)의 일단부는 포장재 본체(310)의 제2 측면부에 연결된 구조로서, 제2 포장재(330)는 포장재 본체(310)의 측면에서 포장 제품(10)의 네 모서리부 중에서 제1 포장재(320)가 배치되지 않은 다른 모서리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포장재(330)의 일단부에는 포장재 본체(310)의 제2 측면부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포장재(330)의 상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2 부분을 포장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2 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3 안착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제3 포장재(34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3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포장재(340)는 포장재 본체(310)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포장재 본체(310)의 제3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포장재(340)의 일단부는 포장재 본체(310)의 제3 측면부에 연결된 구조로서, 제3 포장재(340)는 포장재 본체(310)의 측면에서 포장 제품(10)의 네 모서리부 중에서 제1 포장재(320)와 제2 포장재(330)가 배치되지 않은 다른 모서리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포장재(340)의 일단부에는 포장재 본체(310)의 제3 측면부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포장재(340)의 상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3 부분을 포장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3 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4 안착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제4 포장재(350)는 포장 제품(10)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4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 포장재(350)는 포장재 본체(310)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포장재 본체(310)의 제4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포장재(350)의 일단부는 포장재 본체(310)의 제4 측면부에 연결된 구조로서, 제4 포장재(350)는 포장재 본체(310)의 측면에서 포장 제품(10)의 네 모서리부 중에서 제1 포장재(320)와 제2 포장재(330) 및 제3 포장재(340)가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모서리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4 포장재(350)의 일단부에는 포장재 본체(310)의 제4 측면부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포장재(350)의 상부에는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4 부분을 포장하도록 포장 제품(10)의 하면부의 제4 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5 안착부(35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포장재 조립수단(360)은 포장재 본체(310)에 제1 포장재(320), 제2 포장재(330), 제3 포장재(340), 또는 제4 포장재(350) 중 적어도 하나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부재이다. 포장재 조립수단(360)은 포장재 본체(310)와 제1 포장재(320)의 겹치는 부위, 포장재 본체(310)와 제2 포장재(330)의 겹치는 부위, 포장재 본체(310)와 제3 포장재(340)의 겹치는 부위, 및 포장재 본체(310)와 제4 포장재(350)의 겹치는 부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장재 조립수단(360)은 포장재 본체(310)의 제1 측면부와 제1 포장재(32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포장재 본체(310)의 제2 측면부와 제2 포장재(33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포장재 본체(310)의 제3 측면부와 제3 포장재(34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포장재 본체(310)의 제4 측면부와 제4 포장재(35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포장재 조립수단(360)은 포장재 본체(310)의 제1~4 측면부에 형성된 제1 삽입홈부(312) 및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2 삽입홈부(322)에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재 조립수단(360)은 조립 돌기부(362) 및 조립 끼움부(364, 365)를 구비할 수 있다. 조립 돌기부(362)는 포장재 본체(310)의 제1~4 측면부 또는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립 끼움부(364, 365)는 조립 돌기부(362)가 끼워져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립 끼움부(364, 365)는 포장재 본체(310)의 제1~4 측면부 또는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일단부 중 다른 하나에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 돌기부(362) 또는 조립 끼움부(364, 365)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 방지 돌기(366)가 형성될 수 있고, 조립 돌기부(362) 또는 조립 끼움부(364, 365) 중 다른 하나에는 조립 돌기부(362)와 조립 끼움부(364, 365)의 조립시 이탈 방지 돌기(366)가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368, 369)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립 끼움부(364, 365)가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립 돌기부(362)는 조립 끼움부(364, 365)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 제품(10)의 크기에 따라서 제품 포장재(300)의 크기도 조절 가능하므로, 제품 포장재(300)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포장 제품(10)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 돌기부(362)가 포장재 본체(310)의 제1~4 측면부의 하부에 돌기 형상으로 하측을 향해 돌출되고, 조립 끼움부(364, 365)가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일단부의 상부 중에서 조립 돌기부(362)와 대향되는 위치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탈 방지 돌기(366)가 조립 돌기부(362)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이탈 방지홈(368, 369)이 조립 끼움부(364, 365)의 측벽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포장재 조립수단(36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포장재 조립수단(360)과 비교하여 조립 돌기부(362)와 조립 끼움부(364, 365)의 조립 방식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지만, 조립 돌기부(362)와 조립 끼움부(364, 365)의 위치 및 구성요소 간의 연결 관계는 서로 상이하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300)는 포장재 본체(310)의 측면부 둘레에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일단부를 서로 이격되게 각각 연결한 구조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300)는 포장재 본체(310)에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를 개별적으로 연결하므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100)가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만을 연결하는 것과 비교하여 작업 공수가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도 8에 도시된 제품 포장재(300)의 포장재 본체(310)와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품 포장재(100)의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를 보다 작게 분할한 구조이므로, 제품 포장재(300)의 취급성 및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금형의 크기를 줄이거나 또는 금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300)의 포장재 본체(310)는 다양한 포장 제품(10)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도 8에 도시된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300)의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제1~4 포장재(320, 330, 340, 350)의 부품 공용화도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포장 제품
100, 200, 300: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110, 210, 320: 제1 포장재
120, 220, 330: 제2 포장재
230, 340: 제3 포장재
350: 제4 포장재
310: 포장재 본체
130, 240, 360: 포장재 조립수단
132, 242, 362: 조립 돌기부
134, 244, 364: 조립 끼움부
136, 246, 366: 이탈 방지 돌기
138, 248, 368, 369: 이탈 방지홈
S: 포장이 불필요한 영역

Claims (16)

  1.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일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된 제1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나머지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상기 제1 포장재에 교차되는 형상으로 배치된 제2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에 구비된 포장재 조립수단;
    을 포함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의 겹침 부위에는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침 부위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1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침 부위에는 상기 제1 포장재의 겹침 부위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상기 제2 삽입홈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에 교차되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를 포장하도록 상기 포장 제품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중간부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연결되고,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중간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포장재 또는 상기 제2 포장재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된 조립 돌기부; 및
    상기 조립 돌기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상기 제1 포장재 또는 상기 제2 포장재 중 다른 하나에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 돌기부와 상기 조립 끼움부의 조립시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6.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제1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된 제1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제2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제1 포장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제3 부분를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제1 포장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3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에 상기 제2 포장재 또는 상기 제3 포장재 중 적어도 하나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에 각각 구비된 포장재 조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제2 포장재의 일단부 또는 상기 제3 포장재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1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포장재의 일측 또는 타측이 각각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상기 제2 삽입홈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 및 상기 제3 포장재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 및 상기 제3 포장재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를 포장하도록 상기 포장 제품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는 상기 제1 포장재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포장재의 중간부의 양측면부에 상기 포장 제품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포장재의 중간부의 양측면부 및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의 일단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포장재의 양측 또는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된 조립 돌기부; 및
    상기 조립 돌기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상기 제1 포장재의 양측 또는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의 일단부 중 다른 하나에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 끼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 돌기부와 상기 조립 끼움부의 조립시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11.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를 포장하도록 형성된 포장재 본체;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1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 본체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 측면부에 배치되는 제1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2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 본체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2 측면부에 배치되는 제2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3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 본체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3 측면부에 배치되는 제3 포장재;
    상기 포장 제품의 포장이 필요한 부위 중에서 중앙부 이외의 제4 부분을 포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장재 본체와 일단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4 측면부에 배치되는 제4 포장재; 및
    상기 포장재 본체에 상기 제1 포장재, 상기 제2 포장재, 상기 제3 포장재, 또는 상기 제4 포장재 중 적어도 하나를 필요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와 상기 제1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 상기 포장재 본체와 상기 제2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 상기 포장재 본체와 상기 제3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 및 상기 포장재 본체와 상기 제4 포장재의 겹치는 부위에 각각 구비된 포장재 조립수단;을 포함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 2, 3, 4 측면부에는 상기 제1 포장재 내지 상기 제4 포장재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1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3, 4 포장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 측면부 내지 제4 측면부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삽입 안착되기 위한 제2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제1 삽입홈부와 상기 제2 삽입홈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본체와 상기 제1 포장재 내지 상기 제4 포장재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포장재 본체의 상부 및 상기 제1 포장재 내지 상기 제4 포장재의 상부에는 상기 포장 제품의 하면부를 포장하도록 상기 포장 제품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2, 3, 4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 본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3 포장재 또는 상기 제2 포장재와 상기 제4 포장재가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4 측면부에 상기 포장 제품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4 측면부 및 상기 제1~4 포장재의 일단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조립수단은,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4 측면부 또는 상기 제1~4 포장재의 일단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된 조립 돌기부; 및
    상기 조립 돌기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상기 포장재 본체의 제1~4 측면부 또는 상기 제1~4 포장재의 일단부 중 다른 하나에 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 끼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 돌기부 또는 상기 조립 끼움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 돌기부와 상기 조립 끼움부의 조립시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이탈 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끼움부는 상기 제1~4 포장재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 돌기부는 상기 조립 끼움부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KR1020160183869A 2016-12-30 2016-12-30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KR10191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69A KR101914518B1 (ko) 2016-12-30 2016-12-30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69A KR101914518B1 (ko) 2016-12-30 2016-12-30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768A true KR20180078768A (ko) 2018-07-10
KR101914518B1 KR101914518B1 (ko) 2018-11-02

Family

ID=6291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869A KR101914518B1 (ko) 2016-12-30 2016-12-30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5402A (zh) * 2019-11-13 2020-02-11 天津市茂海纸业印刷有限公司 一种柔性印刷高强度节能降耗型瓦楞纸箱
KR20210124626A (ko) * 2020-04-07 2021-10-15 주식회사 태양케미칼 충격 완충 부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465A (ja) * 1991-11-20 1993-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包装装置
JPH0648479A (ja) * 1992-07-21 1994-02-22 Toshiba Corp 脱水兼用洗濯機用梱包装置
JPH0648478A (ja) * 1992-07-21 1994-02-22 Toshiba Corp 洗濯機の包装装置
JP2004217223A (ja) * 2003-01-10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電気洗濯機における梱包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465A (ja) * 1991-11-20 1993-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包装装置
JPH0648479A (ja) * 1992-07-21 1994-02-22 Toshiba Corp 脱水兼用洗濯機用梱包装置
JPH0648478A (ja) * 1992-07-21 1994-02-22 Toshiba Corp 洗濯機の包装装置
JP2004217223A (ja) * 2003-01-10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電気洗濯機における梱包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5402A (zh) * 2019-11-13 2020-02-11 天津市茂海纸业印刷有限公司 一种柔性印刷高强度节能降耗型瓦楞纸箱
CN110775402B (zh) * 2019-11-13 2022-03-01 天津市茂海纸业印刷有限公司 一种柔性印刷高强度节能降耗型瓦楞纸箱
KR20210124626A (ko) * 2020-04-07 2021-10-15 주식회사 태양케미칼 충격 완충 부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518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518B1 (ko) 발포성 타입의 제품 포장재
US20120031807A1 (en) Shock Absorbing Member and Shock Absorbing Structure
JP5165623B2 (ja) 緩衝包装材
JP5340769B2 (ja) 緩衝包装材
KR102105158B1 (ko) 힌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상자
JP5096209B2 (ja) 板状体搬送用ボックス
KR100687922B1 (ko) 포장상자
JP3181222U (ja) 梱包材
JP3191195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JP2010064761A (ja) 果実包装用容器
JP5230323B2 (ja) 保冷容器
KR102411319B1 (ko) 충격 완충 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6691413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JP2007099321A (ja) 運搬用容器
JP2017190159A (ja) 梱包体
JP2000191024A (ja) 底部用包装材
JP5465632B2 (ja) 果実用包装材
JP2018034809A (ja) 集合包装容器
JP7387414B2 (ja) 保護部材、梱包部材、及び梱包物の製造方法
JP3175042U (ja) 部品包装材
JP3183029U (ja) 梱包部材
KR20170061359A (ko) 보강부를 포함하는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S6217435Y2 (ko)
JP3193126U (ja) 梱包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梱包体
JP5419786B2 (ja) 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