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522A - 연료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522A
KR20180078522A KR1020160183329A KR20160183329A KR20180078522A KR 20180078522 A KR20180078522 A KR 20180078522A KR 1020160183329 A KR1020160183329 A KR 1020160183329A KR 20160183329 A KR20160183329 A KR 20160183329A KR 20180078522 A KR20180078522 A KR 20180078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fuel
heat
heat transfer
catalys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788B1 (ko
Inventor
최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6018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788B1/ko
Priority to PCT/KR2017/015683 priority patent/WO2018124787A1/ko
Priority to CN201780081202.5A priority patent/CN110114923B/zh
Priority to EP17888640.4A priority patent/EP3565045B1/en
Publication of KR20180078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4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followed by reaction of water vapour with carbon mon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4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461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4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461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 B01J8/0465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the beds being concen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4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461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 B01J8/0469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the beds being superimposed one abov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96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C01B3/38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the catalyst being continuously externally h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6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 C01B3/58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including a catalytic reaction
    • C01B3/583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contacting with solids; Regeneration of used solids including a catalytic reaction the reaction being the selective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2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in a modular combined reactor/fuel cell structure
    • H01M8/0631Reactor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reactor/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68Removal of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168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 B01J2208/00203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168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 B01J2208/00212Plates; Jackets;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504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means of a bur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53Controlling multiple zones along the direction of flow, e.g. pre-heating and after-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548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C01B2203/0227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 C01B2203/0233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the reforming step being a steam reform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83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CO-shift step, i.e. a water gas shift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35Catalytic purification
    • C01B2203/044Selective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65Composition of the impurity
    • C01B2203/047Composition of the impurity the impurity being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 C01B2203/06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with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11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combustion of fuel
    • C01B2203/0816Heating by fl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72Methods of cooling
    • C01B2203/0888Methods of cooling by evaporation of a fluid
    • C01B2203/0894Generation of ste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Feed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05Composition of the feed
    • C01B2203/1211Organic compounds or organic mixtures used in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35Hydrocarbons
    • C01B2203/1241Natural gas or m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80Aspect of 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not covered by groups C01B2203/02 - C01B2203/1695
    • C01B2203/82Several process steps of C01B2203/02 - C01B2203/08 integrated into a singl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연료개질부와 상기 연료개질부를 가열하도록, 상기 장치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열부와 상기 연료개질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CO변성반응부 및 상기 CO변성반응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록스반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의 배치를 통해 열전달 및 냉각효율이 개선되고 개질반응 및 CO제거반응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며,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료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FUEL}
본 발명은 연료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의 배치를 통해 열전달 및 냉각효율이 개선되고 개질반응 및 CO제거반응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며,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한 연료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시스템에 사용되는 연료처리장치는 개질기(reformer), CO 변성기(CO shift converter) 및 CO 제거기(remov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질기는 메탄과 같은 연료가스를 수증기와 반응시켜 버너를 통한 흡열반응을 통해 수소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개질기에서 생성된 수소는 일산화탄소가 통상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일산화탄소가 포함된 수소가 그대로 연료전지시스템에 공급되면, 연료전지 내부에서 반응촉매에 피독을 일으켜 연료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생성된 수소를 연료전지시스템에 공급하기 전에 일산화탄소를 제거해야 하며, 이때 CO 변성기 및 CO 제거기가 사용되게 된다.
CO 변성기에서는 일산화탄소를 수증기와 반응시켜,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변화시키고, 추가적인 수소를 생성한다. CO 변성기를 거치는 동안 수소내 함유되어 있던 일산화탄소는 10~15%에서 1%이하로 감소하게 된다.
CO 변성기를 거친 수소는 다시 CO 제거기로 유입되고, 일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산화반응을 통해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변화시켜, 통상 10ppm 이하로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CO가 제거된 연료가스는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극(anode)으로 공급되고, 공기극(cathode)으로는 공기(산소)가 공급되어 전해질막을 매개로 전기화학반응이 이뤄져 전류가 생성되고, 부수적으로 물과 열이 발생한다.
생성된 전류는 집전체(current collector)를 통해 집전되고 인버터(inverter)에서 교류로 전환되어 부하에 공급되며, 발생된 열은 열교환기를 통해 온수로 저장되어 급탕 및 난방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현재 연료전지는 그 활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며, 선진국에서는 앞다투어 연료전지의 개량 및 효율 향상을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연료전지를 미래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보고,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관련 기술분야에서는 연료전지의 주원료인 수소의 효율적 생성을 위한 연료처리장치의 성능 개선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는 장치를 보다 소형화하고, 장치 내부적으로 배치된 개질기, CO 변성기 및 CO 제거기간의 배가스 폐열 회수를 통한 열효율 향상 및 상호간의 열전달을 통한 냉각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국내특허 공개번호:10-2016-009766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배치를 통해 열전달 및 냉각효율이 개선되고 개질반응 및 CO제거반응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며,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한 연료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연료개질부와 상기 연료개질부를 가열하도록, 상기 장치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열부와 상기 연료개질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CO변성반응부 및 상기 CO변성반응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록스반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료개질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하단과 연결되어 배치되는 연료가스 유입구와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와 연결되고, 유입되는 연료가스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되는 개질촉매층 및 상기 개질촉매층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로의 내측에 배치되며, 개질촉매반응을 거친 연료가스를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공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CO변성반응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하측에서 상기 연료개질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CO변성촉매층과 상기 장치바디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CO변성촉매층을 연결하는 제3 유로 및 상기 장치바디의 외부에서 상기 CO변성촉매층과 상기 프록스반응부를 연결하고, CO변성촉매반응을 거친 연료가스를 상기 프록스반응부로 흐르도록 제공되는 제4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록스반응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상측에서 상기 가열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CO제거촉매층과 상기 CO제거촉매층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유로와 연결되는 프록스 유입구 및 상기 CO제거촉매층의 타측에 배치되고, CO제거촉매반응을 거친 연료가스를 배출하는 프록스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상측 중앙부에 배치되는 센터버너와 상기 버너의 하측에서 상기 개질촉매층의 상단에 배치되는 열분산판 및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연료개질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배가스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부는, 상기 센터버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버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분산판은, 상기 센터버너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버너는 상기 열분산판의 표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와 상기 CO변성부간에 열교환되도록, 상기 가열부와 상기 CO변성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열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열교환부는, 상기 배가스유로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배가스유로와 연결되는 제1 열교환몸체 및 상기 제1 열교환몸체의 내부 둘레를 따라 복수회로 감기며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흐르는 제1 열전달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열교환몸체를 흐르는 배가스와 상기 제1 열전달파이프를 흐르는 열전달유체간에 열교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록스반응부를 냉각하도록, 상기 프록스반응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프록스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록스냉각부는, 상기 CO제거촉매층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유입되는 냉각유체 유입구 및 상기 냉각기의 타측에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유출되는 냉각유체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가스와 열전달 유체간에 열교환되도록, 상기 프록스냉각부와 상기 제1 열교환부간에 연결되는 제2 열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열교환부는, 상기 제1 열교환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열전달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구비되는 제2 열교환몸체 및 상기 제2 열교환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열교환몸체와 연결되며, 배가스가 흐르는 제2 열전달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열교환몸체의 유출홀은 상기 냉각유체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유체 유출구는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개질부, CO변성반응부 및 프록스(PROX)반응부의 최적의 배치를 통해 배가스의 폐열 회수에 의한 열전달 및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층의 냉각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이는 장치 내부에서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에 대한 개질반응 및 CO제거반응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하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최적의 배치를 통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연료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A-A' 정단면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연료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배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열전달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중 버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는 본 발명 중 버너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연료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A-A'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연료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배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열전달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중 버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 중 버너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상에서 연료가스, 열전달유체 및 배가스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유입구 또는 유출구의 배치위치는 약간씩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흐름을 통한 열효율 및 냉각능력 개선이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인식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배치위치가 변경되는 것은 고려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연료처리장치(100)의 실시예에서는 장치바디(200), 연료개질부(300), 가열부(290), CO변성반응부(400), 프록스반응부(500), 제1 열교환부(610), 제2 열교환부(650) 및 프록스 냉각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장치바디(200)는 전반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높은 열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및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장치바디(200)의 하단에는 장치바디(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원판형상의 받침판(252) 및 받침판(252)과 연결되며 장치바디(20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빔(251)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료개질부(300)는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장치바디(200)의 중앙측 내부에 별도로 구획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개질부(300)는 연료가스 유입구(310), 제1 유로(320), 개질촉매층(330) 및 제2 유로(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310)는 상기 장치바디(200)의 하단과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로(320)는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310)와 연결되고, 유입되는 연료가스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장치바디(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질촉매층(330)은 상기 제1 유로(320)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200)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로(340)는 상기 개질촉매층(330)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로(320)의 내측에 배치되며, 개질촉매층(330)을 거친 연료가스를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질촉매층(330)에서는 하이드로카본-수증기 개질반응(흡열반응 ; 적정촉매 반응온도 400~650℃ )에 의해 수소 및 일산화탄소가 혼합된 개질가스(연료가스 중 일 형태)를 생성하게 된다.
개질가스의 개념은 연료가스 중 개질반응을 거친 가스로서,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하 검토할 CO변성촉매층(410) 진입 전단계의 연료가스를 지칭한다.
기본 화학반응식은 CH4 + H2O → CO + 3H2 와 같다. 물론 장치마다 약간 다를 수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는 유추적용될 수 있다. 즉 메탄과 물이 혼합되어 개질촉매층(330)에 유입되면, 연료개질부(300)의 촉매층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 수소와 일산화탄소가 생성되게 된다.
연료처리장치(100)상에서 연료가스의 흐름에 대해서는 도 3을 설명할 때,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다음 상기 CO변성반응부(400)는 상기 연료개질부(300)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CO변성반응부(400)는 CO변성촉매층(410), 제3 유로(420) 및 제4 유로(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O변성촉매층(410)은 상기 장치바디(200)의 하측에서 상기 연료개질부(3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유로(420)는 상기 장치바디(20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로(340)와 상기 CO변성촉매층(410)을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4 유로(430)는 상기 장치바디(200)의 외부에서 상기 CO변성촉매층(410)과 상기 프록스반응부(500)를 연결하고, CO변성촉매반응을 거친 연료가스를 상기 프록스반응부(500)로 흐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CO변성촉매층(410)에서는 개질촉매층(330)에서 생성된 개질가스를 CO변성반응(발열반응 ; 적정촉매 반응온도 1~250℃)을 통해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변화시켜, 연료가스 내 일산화탄소 비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화학반응식은 CO + H2O → H2 + CO2 와 같다. 물론 장치마다 약간 다를 수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는 유추적용될 수 있다.
즉 일산화탄소가 물과 반응하며, 수소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게 되고, 일산화탄소는 산화반응을 통해 이산화탄소로 변성되게 된다.
다음 상기 프록스반응부(500)는 상기 CO변성반응부(400)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록스반응부(500)는 CO제거촉매층(510), 프록스 유입구(520) 및 프록스 유출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O제거촉매층(510)은 상기 장치바디(200)의 상측에서 상기 가열부(29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록스 유입구(520)는 상기 CO제거촉매층(5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유로(43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록스 유출구(530)는 상기 CO제거촉매층(510)의 타측에 배치되고, CO제거촉매반응을 거친 연료가스를 배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CO제거촉매층(510)에서는 CO변성촉매층(410)에서 생성된 연료가스를 일산화탄소 선택적 산화반응(PROX;preferential oxidation reaction, 발열반응, 적정촉매 반응온도 80~160℃)을 통해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변화시켜, 연료가스 내 일산화탄소의 비율을 보다 더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목표되는 일산화탄소의 함유량은 연료가스 내 10ppm이하이다.
화학반응식은 2CO + O2 → 2CO2 와 같다. 물론 장치마다 약간 다를 수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는 유추적용될 수 있다.
즉 일산화탄소가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로 변화되며, 연료가스 내 일산화탄소가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연료개질부(300), CO변성반응부(400) 및 프록스반응부(500)에서의 연료가스 흐름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3을 설명할 때, 살펴보도록 한다.
다음 상기 가열부(290)는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연료개질부(300)를 가열하도록, 상기 장치바디(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290)는 버너몸체(291)의 하단에 연결된 센터버너(292), 열분산판(293), 배가스유로(29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버너(292)는 상기 장치바디(200)의 상측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열분산판(293)은 상기 버너의 하측에서 상기 연료개질부(3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가스유로(297)는 상기 장치바디(200)의 내부에서 상기 연료개질부(3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가열부(290)의 다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센터버너(292)의 둘레를 따라 사이드버너(29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버너(294)는 상기 센터버너(292)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파이프(292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사이드파이프(294a)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버너(294)는 방사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열분산판(293)을 센터버너(292)뿐만 아니라 사이드버너(294)에서 동시에 가열하게 되므로, 개질촉매층(330)을 보다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8을 참고하면, 사이드버너(294)가 사이드파이프(294a)상에서 열분산판(293) 방향으로 각도(θ)가 형성되어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열분산판(293)은 상기 센터버너(292)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버너(294)가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열분산판(293)의 표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분산판(293)이 반구 형상으로 가공되면, 개질촉매층(330)은 상부뿐만 아니라 측부도 열을 받을 수 있어, 보다 넓은 영역에서 직접 열을 받게 되어, 이는 보다 더 균일한 가열을 가능하게 한다.
사이드버너(294) 또한 열분산판(293)의 표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각도 배치되므로, 가열 중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버너 구조가 제시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까지 유추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상기 제1 열교환부(610)는 상기 가열부(290)와 연결되고, 상기 가열부(290)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와 상기 CO변성부간에 열교환되도록, 상기 가열부(290)와 상기 CO변성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열교환부(610)는 제1 열교환몸체(611) 및 제1 열전달파이프(6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몸체(611)는 상기 배가스유로(297)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배가스연결홀(613)을 통해 상기 배가스유로(297)와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열전달파이프(612)는 상기 제1 열교환몸체(611)의 내부 둘레를 따라 복수회로 감기며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흐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달유체는 물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온성분이 제거된 DI water(Deionized water)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증기(steam)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프록스냉각부는 상기 프록스반응부(500)를 냉각하도록, 상기 프록스반응부(5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록스냉각부는 냉각기(631), 냉각유체 유입구(632) 및 냉각유체 유출구(6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631)는 상기 CO제거촉매층(5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 유입구(632)는 상기 냉각기(631)의 일측에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냉각유체 유출구(633)는 상기 냉각기(631)의 타측에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유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 열교환부(650)는 배가스와 열전달 유체간에 열교환되도록, 상기 프록스냉각부와 상기 제1 열교환부(610)간에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열교환부(650)는 제2 열교환몸체(651) 및 제2 열전달파이프(6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열교환몸체(651)는 상기 제1 열교환몸체(61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열전달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열전달파이프(655)는 상기 제2 열교환몸체(651)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열교환몸체(611)와 연결되며, 배가스가 흐르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열교환몸체(651)의 유출홀은 상기 냉각유체 유입구(632)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체 유출구(633)는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3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를 통해 열전달 유체 및 배가스의 흐름을 유도하게 되는데, 도 4 및 도 5를 살펴볼 때,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연료가스, 열전달유체 및 배가스의 흐름을 검토하여 본 발명의 작동방식을 살펴보아, 전체적인 열효율 및 냉각능력 개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우선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연료가스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연료공급부(230)에서 연료가 공급되고, 연료는 제1 열교환부(610)에서 배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고 제1 유출홀(615)에서 유출된 열전달유체(증기 상태의 물)와 혼합되어 장치바디(200)의 하단에 배치된 연료가스 유입구(310)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연료는 메탄이며, 연료가스는 메탄과 증기상태의 물이 혼합된 상태에 있다.
연료가스 유입구(310)로 유입된 연료가스는 장치바디(200)의 중앙측에 형성된 제1 유로(320)로 유입된다. 제1 유로(320)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한 연료가스는 개질촉매층(330)에 도달하게 된다.
개질촉매층(330)에서 개질반응을 통해 상기된 화학반응식과 같이, 수소와 일산화탄소가 생성되게 된다. 이때 개질촉매층(330)의 적정 반응온도 형성을 위해 센터버너(292)의 점화를 통해 열분산판(293)을 가열하고, 열분산판(293)이 개질촉매층(330)에 적절히 열을 전달하여 개질촉매층(330)이 적정 반응온도인 400 ~ 650℃를 유지하게 된다.
이제 개질반응을 거친 연료가스(개질가스)는 제1 유로(32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유로(340)로 취합되어 다시 장치바디(200)의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유로(340)의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제3 유로(4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료가스는 제3 유로(420)를 따라 장치바디(200)의 외측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 뒤에, CO변성촉매층(410)으로 유입되게 된다.
연료가스는 CO변성촉매층(410)에서 산화반응을 통해 일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로 더욱 변성되게 된다. 이때 적정반응온도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열교환몸체(611)를 흐르는 배가스로부터 열을 공급받게 된다. 이를 통해 적정 반응온도인 180~250℃를 유지하게 된다.
CO변성촉매층(410)을 통과한 연료가스는 이제 제4 유로(430)로 흐르고, 제4 유로(430)와 연결된 프록스 유입구(520)를 통해 CO제거촉매층(510)으로 유입되게 된다.
연료가스는 CO제거촉매층(510)에서 일산화탄소 선택적 산화반응을 통해 연료가스내 일산화탄소 함유량은 10ppm 이하로 감소하게 되고, 원주방향으로 흐른 후 반대편에 형성된 프록스 유출구(530)를 통해 연료전지(F)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CO제거촉매층(510)의 적정 반응온도 형성을 위해 CO제거촉매층(5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프록스 냉각부(630)의 냉각기(631)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일산화탄소 선택적 산화반응은 발열반응이므로, 냉각기(631)를 흐르는 열전달유체에 열을 빼앗겨 적정 반응온도 80~160℃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배가스 및 열전달유체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4를 살펴보면, 배가스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는데, 가열원료 공급부(210)를 통해 가열원료(메탄+공기)가 가열원료 주입구(295)를 통해 센터버너(292)로 주입된다.
한편, 미반응원료 주입구(296)를 통해서는 연료전지(fuel cell)의 스택(stack)에서 미반응된 배출가스가 주입된다. 이러한 미반응원료는 수소와 기타 가스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스택에서는 통상 70~80% 정도의 수소가 소모되고 20~30% 정도는 미반응상태로 배출되며, 이 수소를 주입하여 가열원료 반응성을 높이게 된다.
주입된 가열원료 및 미반응원료는 센터버너(292)에서 점화되어 열분산판(293)을 가열하고 개질촉매층(330)의 적정 반응온도 형성을 위해 사용되게 된다.
연소 후 배출된 배가스는 제1 유로(3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배가스유로(297)를 따라 하방향으로 하강한 후 배가스연결홀(613)을 거쳐 제1 열교환몸체(611) 내부로 유입된다.
제1 열교환몸체(611) 내부에서는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배가스는 CO변성촉매층(410)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제1 열교환몸체(611)의 내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회 감겨 제공되는 제1 열전달파이프(612)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열전달파이프(612)의 내부에는 열전달유체가 흐르고 있다.
배가스는 제1 열전달파이프(612)의 내부를 흐르는 열전달유체에도 열을 전달하여 열전달유체를 가열하게 된다.
제1 열교환몸체(611)는 제2 열전달파이프(655)와 배가스연결파이프(656)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제1 열교환몸체(611)를 흐르는 배가스는 제2 열전달파이프(655)의 내부를 흐르면서, 배가스유출구(657)를 통해 대기(A)로 배출되게 된다.
물론 제2 열교환몸체(651)의 내부에 제2 열전달파이프(655)가 배치되어 있어, 제2 열전달파이프(655) 내부를 흐르는 동안, 제2 열교환몸체(651)에 주입된 열전달유체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적 흐름을 통해 배가스는 제1,2 열교환부(610,650)에서 단계적으로 열전달유체에 열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CO변성촉매층(410)에도 열을 전달하여, 최대한 배가스의 폐열을 재활용하게 된다.
다음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열전달유체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열전달유체 공급부(220)를 통해 열전달유체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전달유체는 물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열전달유체는 제2 유입홀(652)을 통해 제2 열교환몸체(651)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제2 열전달파이프(655)를 흐르는 배가스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가열되게 된다.
이후 제2 열교환몸체(651)의 내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흐른 뒤, 반대편에 형성된 제2 유출홀(653)을 통해 배출되며, 제2 유출홀(653)과 연결된 냉각유체 유입구(632)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냉각유체는 열전달유체를 가리키며, 다만 CO제거촉매층(510)을 냉각시키는데에 사용되므로, 냉각유체라는 표현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냉각유체 유입구(632)로 공급된 열전달유체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냉각기(631)를 흐르면서 CO제거촉매층(510)을 냉각시키게 된다. 열전달유체는 물이고 증기온도는 약 100℃이므로, CO제거촉매층(510)의 적정 반응온도 80~160℃ 유지를 위해 일산화탄소 선택적 산화반응의 발열반응으로부터 열을 빼앗게 된다.
이후 열전달유체는 냉각기(631)의 반대편에 배치된 냉각유체 유출구(633)를 통해 유출되고, 이때 냉각유체 유출구(633)는 제1 유입홀(614)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유입홀(614)을 통해 제1 열전달파이프(612)의 내부로 흐르게 된다.
열전달유체는 제1 열전달파이프(612)의 내부를 흐르는 동안, 제1 열교환몸체(611)의 내부를 흐르는 배가스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가열되게 된다.
이후 열전달유체는 제1 열전달파이프(612)와 연결된 제1 유출홀(6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된 연료공급부(230)에서 공급된 연료와 혼합되어 연료가스가 되어 다시 연료가스 유입구(310)를 통해 장치바디(2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연료가스의 흐름을 진행하게 된다.
열전달유체는 최초 열전달유체 공급부(220)에서 공급될 때를 제외하고는, 제2 열교환몸체(651) 및 제1 열전달파이프(612)를 흐르는 동안에는 배가스로부터 열을 받고, 냉각기(631)를 흐르는 동안에는 CO제거촉매층(510)으로부터 열을 받으므로, 대부분의 상태를 증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각종 촉매층, 열교환 및 냉각 부위의 최적의 배치 및 작동방식을 통해 배가스의 폐열을 최대한 회수하고, 각종 촉매층의 적정 반응온도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연료처리장치(100)의 열효율 및 냉각능력을 개선하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연료처리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상의 사항은 연료처리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연료처리장치 200:장치바디
210:가열원료 공급부 220:열전달유체 공급부
230:연료공급부 251:지지빔
252:받침판
290:가열부 291:버너몸체
292:센터버너 292a:연결파이프
293:열분산판 294:사이드버너
294a:사이드파이프 295:가열원료 주입구
296:미반응원료 주입구 297:배가스유로
300:연료개질부 310:연료가스 유입구
320:제1 유로 330:개질촉매층
340:제2 유로
400:CO변성반응부 410:CO변성촉매층
420:제3 유로 430:제4 유로
500:프록스반응부 510:CO제거촉매층
520:프록스 유입구 530:프록스 유출구
610:제1 열교환부 611:제1 열교환몸체
612:제1 열전달파이프 613:배가스연결홀
614:제1 유입홀 615:제1 유출홀
630:프록스 냉각부 631:냉각기
632:냉각유체 유입구 633:냉각유체 유출구
650:제2 열교환부 651:제2 열교환몸체
652:제2 유입홀 653:제2 유출홀
655:제2 열전달파이프 656:배가스연결파이프
657:배가스유출구

Claims (14)

  1. 장치바디;
    상기 장치바디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연료개질부;
    상기 연료개질부를 가열하도록, 상기 장치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열부;
    상기 연료개질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CO변성반응부; 및
    상기 CO변성반응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록스반응부;
    를 포함하는 연료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개질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하단과 연결되어 배치되는 연료가스 유입구;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와 연결되고, 유입되는 연료가스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되는 개질촉매층; 및
    상기 개질촉매층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로의 내측에 배치되며, 개질촉매반응을 거친 연료가스를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공되는 제2 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O변성반응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하측에서 상기 연료개질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CO변성촉매층;
    상기 장치바디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CO변성촉매층을 연결하는 제3 유로; 및
    상기 장치바디의 외부에서 상기 CO변성촉매층과 상기 프록스반응부를 연결하고, CO변성촉매반응을 거친 연료가스를 상기 프록스반응부로 흐르도록 제공되는 제4 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스반응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상측에서 상기 가열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CO제거촉매층;
    상기 CO제거촉매층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유로와 연결되는 프록스 유입구; 및
    상기 CO제거촉매층의 타측에 배치되고, CO제거촉매반응을 거친 연료가스를 배출하는 프록스 유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상측 중앙부에 배치되는 센터버너;
    상기 버너의 하측에서 상기 개질촉매층의 상단에 배치되는 열분산판; 및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연료개질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배가스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센터버너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사이드버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산판은, 상기 센터버너 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이고, 상기 사이드버너는 상기 열분산판의 표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열부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와 상기 CO변성부간에 열교환되도록, 상기 가열부와 상기 CO변성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부는,
    상기 배가스유로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배가스유로와 연결되는 제1 열교환몸체; 및
    상기 제1 열교환몸체의 내부 둘레를 따라 복수회로 감기며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흐르는 제1 열전달파이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열교환몸체를 흐르는 배가스와 상기 제1 열전달파이프를 흐르는 열전달유체간에 열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스반응부를 냉각하도록, 상기 프록스반응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프록스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스냉각부는,
    상기 CO제거촉매층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냉각기;
    상기 냉각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유입되는 냉각유체 유입구; 및
    상기 냉각기의 타측에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유출되는 냉각유체 유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배가스와 열전달 유체간에 열교환되도록, 상기 프록스냉각부와 상기 제1 열교환부간에 연결되는 제2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부는,
    상기 제1 열교환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열전달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열전달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구비되는 제2 열교환몸체; 및
    상기 제2 열교환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열교환몸체와 연결되며, 배가스가 흐르는 제2 열전달파이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몸체의 유출홀은 상기 냉각유체 유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체 유출구는 상기 연료가스 유입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처리장치.



KR1020160183329A 2016-12-30 2016-12-30 연료처리장치 KR101898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29A KR101898788B1 (ko) 2016-12-30 2016-12-30 연료처리장치
PCT/KR2017/015683 WO2018124787A1 (ko) 2016-12-30 2017-12-28 연료처리장치
CN201780081202.5A CN110114923B (zh) 2016-12-30 2017-12-28 燃料处理装置
EP17888640.4A EP3565045B1 (en) 2016-12-30 2017-12-28 Fuel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29A KR101898788B1 (ko) 2016-12-30 2016-12-30 연료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22A true KR20180078522A (ko) 2018-07-10
KR101898788B1 KR101898788B1 (ko) 2018-09-13

Family

ID=6270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329A KR101898788B1 (ko) 2016-12-30 2016-12-30 연료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565045B1 (ko)
KR (1) KR101898788B1 (ko)
CN (1) CN110114923B (ko)
WO (1) WO20181247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2490A1 (en) * 2020-11-25 2022-05-2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ydrogen extraction reactor and hydrogen extraction process using phase change materials
US11485635B2 (en) * 2017-11-09 2022-11-01 Air Water Inc. Hydrogen generator
KR102563958B1 (ko) 2023-05-16 2023-08-09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고효율 연료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556A (ko) 2020-12-30 2022-07-08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고효율 연료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785Y1 (ko) * 2001-05-17 2002-03-06 세일기건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용 연소장치
KR20040034026A (ko) * 2002-10-17 2004-04-28 (주)세티 연료전지를 위한 평판형 연료개질기
JP2007055868A (ja) * 2005-08-26 2007-03-08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燃料改質装置
KR100837679B1 (ko) * 2007-04-20 2008-06-13 지에스퓨얼셀 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의 연료변환장치
KR20100065564A (ko) * 2008-12-08 2010-06-17 한국가스공사 연료처리장치
KR20120084062A (ko) * 2011-01-19 2012-07-27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열교환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개질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859580B (en) * 1985-04-25 1986-08-27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hydrocarbon fuel processing
JPS62138305A (ja) * 1985-12-10 1987-06-22 Yamaha Motor Co Ltd 燃料電池の燃料改質装置
IT1261857B (it) * 1993-10-29 1996-06-03 Kinetics Technology Perfezionamento nei reattori catalitici per reazioni endotermiche, in particolare per la produzione di idrogeno.
EP1351328B1 (en) * 2001-01-12 2011-03-30 Eneos Celltech Co., Ltd. Solid high polymer type fuel cell power generating device
US7182921B2 (en) * 2001-06-04 2007-02-27 Tokyo Gas Co., Ltd. Cylindrical steam reforming unit
DE10142999B4 (de) * 2001-09-03 2006-07-06 Zentrum für Brennstoffzellen Technik ZBT Duisburg GmbH Hocheffiziente, kompakte Reformereinheit zur Wasserstofferzeugung aus gasförmigen Kohlenwasserstoffen im kleinen Leistungsbereich
JP3960002B2 (ja) * 2001-10-12 2007-08-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CN1304275C (zh) * 2002-03-15 2007-03-14 松下电工株式会社 重整装置
JP3719422B2 (ja) * 2002-04-15 2005-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改質システム
CA2448715C (en) * 2002-11-11 2011-07-0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Fuel cell power generating system with two fuel cells of different typ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939633B2 (en) * 2003-09-17 2005-09-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cell shutdown and startup using a cathode recycle loop
CN100483824C (zh) * 2003-12-03 2009-04-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
JP4887021B2 (ja) * 2005-10-18 2012-02-29 出光興産株式会社 Co除去装置,燃料改質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8189504A (ja) * 2007-02-02 2008-08-21 Idemitsu Kosan Co Ltd 改質ユニット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5154272B2 (ja) * 2007-09-27 2013-02-27 三洋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用改質装置
JP5103236B2 (ja) * 2008-03-24 2012-12-19 三洋電機株式会社 改質装置
JP5121533B2 (ja) * 2008-03-31 2013-01-16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水素製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システム
EP2287113B1 (en) * 2008-06-13 2015-03-18 Panasonic Corporation Fuel processor
WO2011108264A1 (ja) * 2010-03-04 2011-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水素生成装置およ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US8545213B2 (en) * 2010-03-09 2013-10-01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Reform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reformer
US20120251899A1 (en) * 2011-03-31 2012-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Solid-oxide fuel cell high-efficiency reform-and-recirculate system
KR101877571B1 (ko) * 2012-07-02 2018-07-11 주식회사 두산 디젤배기가스 정화장치용 연료 주입 장치
DE102014100702B4 (de) * 2014-01-22 2017-06-29 Siqens Gmbh Brennstoffzellensystem zur thermisch gekoppelten Reformierung mit Reformataufbereitung und Verfahren dazu
KR101632119B1 (ko) * 2014-11-27 2016-06-20 에이치앤파워(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원통형 수증기 개질 반응기
CN105655612B (zh) * 2014-12-05 2019-09-13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封闭式甲醇水蒸汽重整燃料电池氢源系统及制氢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785Y1 (ko) * 2001-05-17 2002-03-06 세일기건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용 연소장치
KR20040034026A (ko) * 2002-10-17 2004-04-28 (주)세티 연료전지를 위한 평판형 연료개질기
JP2007055868A (ja) * 2005-08-26 2007-03-08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燃料改質装置
KR100837679B1 (ko) * 2007-04-20 2008-06-13 지에스퓨얼셀 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의 연료변환장치
KR20100065564A (ko) * 2008-12-08 2010-06-17 한국가스공사 연료처리장치
KR20120084062A (ko) * 2011-01-19 2012-07-27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열교환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개질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5635B2 (en) * 2017-11-09 2022-11-01 Air Water Inc. Hydrogen generator
US20220162490A1 (en) * 2020-11-25 2022-05-2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ydrogen extraction reactor and hydrogen extraction process using phase change materials
KR20220072505A (ko) * 2020-11-25 2022-06-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상변화물질을 활용한 수소 추출 반응기 및 수소 추출 공정
US11674068B2 (en) 2020-11-25 2023-06-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ydrogen extraction reactor and hydrogen extraction process using phase change materials
KR102563958B1 (ko) 2023-05-16 2023-08-09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고효율 연료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5045A1 (en) 2019-11-06
CN110114923B (zh) 2022-07-22
KR101898788B1 (ko) 2018-09-13
WO2018124787A1 (ko) 2018-07-05
CN110114923A (zh) 2019-08-09
EP3565045A4 (en) 2020-09-02
EP3565045B1 (en)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6299B2 (ja) 変成装置
KR101898788B1 (ko) 연료처리장치
JP3706611B2 (ja) 燃料電池用水素発生装置
US9240601B2 (en) Fuel cell module
US9343765B2 (en) Fuel cell module
US9246181B2 (en) Fuel cell module
US9419297B2 (en) Fuel cell module
EP2492998B1 (en) Fuel cell system
JP4210912B2 (ja) 燃料改質器および燃料電池発電装置
KR20140008212A (ko)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CA2544705A1 (en) Fuel cell system
EP3022790B1 (en) Fuel cell module
KR101089932B1 (ko) 연료전지시스템의 연료변환장치
KR20220097556A (ko) 고효율 연료처리장치
KR101250418B1 (ko) 연료 전지용 연료 변환 장치
JPH10338501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4872760B2 (ja) 燃料処理装置の運転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6059549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KR102563958B1 (ko) 고효율 연료처리장치
JP2008204662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2002274810A (ja) 燃料改質装置のco変成部構造
US9337506B2 (en) Fuel cell module
JP555232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519945B1 (ko) 유도부재를 구비한 선택적 산화반응기
KR101239638B1 (ko) 선택적 산화반응기 및 이를 구비하는 선택적 산화반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