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542A -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원심 집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7542A KR20180077542A KR1020160181993A KR20160181993A KR20180077542A KR 20180077542 A KR20180077542 A KR 20180077542A KR 1020160181993 A KR1020160181993 A KR 1020160181993A KR 20160181993 A KR20160181993 A KR 20160181993A KR 20180077542 A KR20180077542 A KR 20180077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upply pipe
- dust collecting
- dust
- ca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4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7/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2—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with cleaning means
- B04C5/23—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with cleaning means using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2—Construction of inlets by which the vortex flow is generated, e.g. tangential admission, the fluid flow being forced to follow a downward path by spirally wound bulkheads, or with slightly downwardly-directed tangential admission
- B04C5/04—Tangential in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원심 집진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원심 집진 장치의 일 양태는, 그 내부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 및 이물질이 집진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집진 케이싱;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기팬; 상기 흡기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기팬에 의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유닛;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식 원심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심 집진 장치란,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포집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원심 집진 장치의 집진 효율은, 원심 집진 장치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비례한다. 그런데 공기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원심 집진 장치의 내부를 선회하는 공기의 속도에 비례하므로, 원심 집진 장치의 집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선회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한편 선회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원심 집진 장치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팬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팬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고출력의 팬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의 증가 및 팬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서 일정한 크기의 원심 집진 장치의 내부에 부품의 배치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심 집진 장치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세정수를 분사하거나 원심 집진 장치의 내부에서 선회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5676호(이하에서는, '선행특허문헌 1'이라고 칭함)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20114호(이하에서는, '선행특허문헌 2'라고 칭함)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집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선행특허문헌 1에서는, 싸이클론 챔버(20)의 내부에서 공기가 나선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이물질이 1차 제거된 후 벤츄리관(72)의 내부에서 나선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이물질이 2차 제거되고, 벤츄리관(72)의 내부에 위치되는 벤츄리 분사노즐(74)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미세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선행특허문헌 2에서는, 세정액 주입 장치(160)에 의하여 주입되는 세정액에 의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미세한 크기 및 중량의 이물질의 집진 효율이 증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선행특허문헌 1에서는, 벤츄리 분사 노즐(74)이 벤츄리관(72)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벤츄리관(72)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상승이 간섭될 우려가 있다. 다시 말하면, 벤츄리관(72)의 내부에서 나산 방향으로 상승하는 공기는, 싸이클론 챔버(20)의 내벽과의 충돌/접촉에 의하여 유속이 저하된 상태인데, 벤츄리 분사 노즐(74) 및 상승하는 공기와 반대 방향으로 분사되는 물이 벤츄리관(72)의 내부에서 그 유동에 대한 장애물로 작용함으로써, 벤츄리관(72)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공기의 유속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선행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일반적인 원심 집진 장치에 단순히 벤츄리 분사 노즐(74) 및 세정액 주입 장치(160)가 추가된다. 다시 말하면, 선행특허문헌 1 및 2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나선 방향의 하강 및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한 싸이클론 챔버(20) 및 벤츄리관(72)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원심 집진 장치에 벤츄리 분사 노즐(74) 및 세정액 주입 장치(160)가 추가된 것에 불과하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이나 세정액과 접촉한 이물질은 그 중량의 증가에 의하여 유속이 저하되므로, 실질적으로 싸이클론 챔버(20) 등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원심력이 저하됨으로써, 벤츄리관(20) 등의 내부에서의 실질적인 공기의 유속이 저하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특허문헌 1 및 2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싸이클론 챔버(20) 등의 내부에서의 하강한 후 벤츄리관(72) 등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공기가 충분한 유속을 확보하지 못하게 2차 집진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습식 원심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선회하는 공기의 속도를 적극적으로 증가시켜서 집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습식 원심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원심 집진 장치의 일 양태는, 그 내부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 및 이물질이 집진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집진 케이싱;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기팬; 상기 흡기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기팬에 의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집진 케이싱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하여 중량이 증가된 상태로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 후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이물질의 1차 집진이 이루어지는 1차 집진 공간; 및 상기 1차 집진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1차 집진 공간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나산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의 2차 집진이 이루어지는 2차 집진 공간; 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1차 집진 공간은, 그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집진 공간은, 상기 1차 집진 공간의 상단과 동일한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1차 집진 공간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2차 집진 공간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2차 집진 공간의 상단과 연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기 공급관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유동 단면적이 감소되는 제1공급관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유동 단면적이 증가되고, 그 하류측 단부가 상기 흡기구와 연통되는 제2공급관부; 및 상기 제1공급관부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공급관부의 상류측 단부를 연결하고,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과 연결되는 연결관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은,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 저장부; 상기 세정수 저장부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세정수 펌프; 및 상기 세정수 펌프에 의하여 상기 공기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유동되는 세정수 공급관;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집진이 이루어지는 집진 공간을 정의하는 집진 케이싱;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기팬; 상기 흡기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기팬에 의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공급관; 및 상기 공기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을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에 의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하여 중량이 증가된 상태로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어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1차 집진된 후, 상기 집진 케이싱의 내부에서 나산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공기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2차 집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집진 공간의 하부에서는, 이물질의 1차 집진이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 공간의 상부에서는, 이물질의 2차 집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원심 집진 장치에서는, 원심력에 의한 공기 중의 이물질의 1차 집진이 이루어지는 제1집진 케이싱이 고정 케이싱 및 고정 케이싱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케이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 케이싱이 고정 케이싱에 대하여 제1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선회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집진 케이싱의 내부에서 선회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고, 이에 의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의 집진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집진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는 별도의 부재가 아니라 공기가 그 내면에 접촉되는 제1집진 케이싱 자체가 공기의 선회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집진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나 제1집진 케이싱의 형상 등과 같은 인자와 무관하게 선회하는 공기의 속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공기가 선회하는 궤적 내에 추가적인 구성이 위치되지 않으므로 공기의 유동이 간섭받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원심 집진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원심 집진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원심 집진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습식 원심 집진 장치는, 집진 케이싱(100), 흡기팬(200), 공기 공급관(300) 및 세정수 공급 유닛(4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공급관(300)을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400)에 의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하여 중량이 증가된 상태로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은, 그 중량의 증가에 의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1차 집진된 후,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공기가 나산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과정에서 2차 집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 케이싱(100)은, 집진 공간(100S)을 정의한다. 상기 집진 공간(100S)은, 실질적으로,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 중의 이물질의 집진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상기 집진 공간(100S)은, 1차 및 2차 집진 공간(100S2)을 포함한다.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은, 이물질의 1차 집진이 이루어지는 곳이고,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은, 이물질의 2차 집진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은, 그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은,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의 상단과 동일한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에서 1차 집진된 이물질은,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의 하방을 향하게 되고,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내부에서는 공기가 나산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집진 케이싱(100)에는, 흡기구(110), 배기구(120) 및 집진 개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110)는,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고, 상기 배기구(120)는 이물질이 집진된 공기가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집진 개구(130)는, 공기로부터 제거된 이물질 및 세정수가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구(110)는,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하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20)는,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상단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집진 개구(130)는, 별도의 밸브나 댐퍼 등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에서만 나선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흡기팬(200)은,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 실질적으로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킨다. 실질적으로 상기 흡기팬(20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으로의 공기의 흡입,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에서의 나선 방향으로 상승하는 공기의 유동 및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외부로의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관(300)은, 상기 흡기팬(200)에 의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공급관(300)이, 제1 및 제2공급관부(310)(320) 및 연결관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공급관부(310)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유동 단면적이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급관부(320)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유동 단면적이 증가되고, 상기 제2공급관부(320)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흡기구(110)와 연통된다. 상기 연결관부(330)는, 상기 제1공급관부(310)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공급관부(320)의 상류측 단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부(330)에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400), 실질적으로 후술할 세정수 공급관(430)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400)은, 상기 공기 공급관(300)을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400)이, 세정수 저장부(410), 세정수 펌프(420) 및 세정수 공급관(430)을 포함한다. 상기 세정수 저장부(410)에는, 세정수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 펌프(420)는, 상기 세정수 저장부(410)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공기 공급관(300)으로 공급한다. 상기 세정수 공급관(430)은, 상기 세정수 펌프(420)에 의하여 상기 공기 공급관(300)으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유동되는 곳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식 원심 집진 장치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흡기팬(200)의 구동에 의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공기 공급관(300)을 통하여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관(300)에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관(430)을 통하여 세정수가 상기 공기 공급관(300)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관(300)을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세정수 공급관(430)을 통하여 상기 공기 공급관(300)으로 공급되는 세정수와 접촉 또는 충돌하여 상대적으로 중량이 증가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 공급관(300)의 유동 단면적의 증감에 의하여 상기 세정수 공급관(430)을 통하여 세정수가 공급되는 부분에서의 공기의 유속이 증가됨으로써, 그 압력이 저하됨으로써, 상기 세정수 공급관(430)을 통하여 상기 공기 공급관(300)으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미스트화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과의 접촉 또는 충돌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관(300)을 유동하는 공기는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 실질적으로 2차 집진 공간(100S2)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은 세정수에 의하여 그 중량이 증가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과 무관하게,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1차 집진 공간(100S1)으로 유동됨으로써, 이물질의 1차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접선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내부를 나선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한다. 따라서 이물질의 1차 집진이 이루어진 공기는,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내부에서 나선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발생되는 원심력, 이물질에 작용하는 중력 및 이물질과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공기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2차 집진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이물질이 1차 및 2차 집진된 공기는,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을 유동한 후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외부, 즉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2차 집진된 이물질은,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에서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으로 낙하한 후 1차 집진된 이물질과 함께 집진 개구(130)를 통하여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의 외부, 즉,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실질적으로 이물질이 1차 및 2차 집진되는 과정에서, 세정수도 이물질과 함께 낙하하게 될 것이다.
아래의 [표 1]은 본 실시예와 비교예에서의 이물질의 집진율을 비교한 실험결과이다. 실험은, 10㎛ 크기인 분진의 함량이 10%가 되도록 상기 흡기팬(200)을 4000RPM으로 구동시켜서 최종적으로 집진되는 분진의 비율, 즉, 집진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공기가 내부에서 나선 방향으로 하강 및 상승하는 2중 케이싱 구조(아웃터 케이싱과 이너 케이싱)의 경우이고, [비교예 2]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되, 추가적으로 세정수가 공급되는 경우이다.
본 실시예 | 비교예 1 | 비교예 2 | |
집진율(%) | 99.80% | 97.60% | 97.00% |
[표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가, 2중 케이싱 구조인 [비교예 1] 및 2중 케이싱 구조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비교예 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집진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오히려 집진 효율이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교예 2]에서는, 세정수와의 접촉/충돌에 의하여 공기의 유속이 저하됨으로써, 이물질의 중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원심력의 저하에 따른 집진 효율의 저하로 추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집진 케이싱
110: 흡기구
120: 배기구 130: 집진 개구
200: 흡기팬 300: 공기 공급관
310: 제1공급관부 320: 제2공급관부
330: 연결관부 400: 세정수 공급 유닛
410: 세정수 저장부 420: 세정수 펌프
430: 세정수 공급관
120: 배기구 130: 집진 개구
200: 흡기팬 300: 공기 공급관
310: 제1공급관부 320: 제2공급관부
330: 연결관부 400: 세정수 공급 유닛
410: 세정수 저장부 420: 세정수 펌프
430: 세정수 공급관
Claims (8)
- 그 내부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110) 및 이물질이 집진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20)가 형성되는 집진 케이싱(100);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기팬(200);
상기 흡기구(1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기팬(200)에 의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공급관(300); 및
상기 공기 공급관(300)을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유닛(400); 을 포함하는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케이싱(100)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400)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하여 중량이 증가된 상태로 상기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된 후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이물질의 1차 집진이 이루어지는 1차 집진 공간(100S1); 및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과 연통되도록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11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나산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의 2차 집진이 이루어지는 2차 집진 공간(100S2); 을 정의하는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은, 그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은,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의 상단과 동일한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110)는, 상기 1차 집진 공간(100S1)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배기구(120)는, 상기 2차 집진 공간(100S2)의 상단과 연통되는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관(300)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유동 단면적이 감소되는 제1공급관부(310);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유동 단면적이 증가되고, 그 하류측 단부가 상기 흡기구(110)와 연통되는 제2공급관부(320); 및
상기 제1공급관부(310)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공급관부(320)의 상류측 단부를 연결하고,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400)과 연결되는 연결관부(330); 를 포함하는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400)은,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 저장부(410);
상기 세정수 저장부(410)에 저장된 세정수를 상기 공기 공급관(300)으로 공급하는 세정수 펌프(420); 및
상기 세정수 펌프(420)에 의하여 상기 공기 공급관(300)으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유동되는 세정수 공급관(430); 을 포함하는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집진이 이루어지는 집진 공간(100S)을 정의하는 집진 케이싱(100);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기팬(200);
상기 흡기구(1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기팬(200)에 의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공급관(300); 및
상기 공기 공급관(300)을 통하여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유닛(400);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관(300)을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400)에 의하여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하여 중량이 증가된 상태로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1차 집진된 후, 상기 집진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나산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공기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2차 집진되는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공간(100S)의 하부에서는, 이물질의 1차 집진이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 공간(100S)의 상부에서는, 이물질의 2차 집진이 이루어지는 습식 원심 집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1993A KR20180077542A (ko) | 2016-12-29 | 2016-12-29 |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CN201710795684.2A CN108246026A (zh) | 2016-12-29 | 2017-09-06 | 湿式离心集尘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1993A KR20180077542A (ko) | 2016-12-29 | 2016-12-29 |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7542A true KR20180077542A (ko) | 2018-07-09 |
Family
ID=6272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1993A KR20180077542A (ko) | 2016-12-29 | 2016-12-29 |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77542A (ko) |
CN (1) | CN10824602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9697B1 (ko) * | 2021-07-08 | 2022-03-29 | 주식회사 위젠트 | 듀얼사이클론 여과기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75100A (en) * | 1988-12-06 | 1990-12-04 | Ocrim S.P.A. | Particle separator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pneumatic conveyance of granular materials |
KR0176069B1 (ko) * | 1996-07-01 | 1999-03-20 | 이종훈 | 싸이클론 마찰대전장치 |
CN1724077A (zh) * | 2004-07-24 | 2006-01-25 | 孔宪功 | 一种杀菌消毒器 |
KR100902656B1 (ko) * | 2008-11-03 | 2009-06-15 | 한국기계연구원 | 공기역학적 응축성 타르 제거장치 |
KR20100029455A (ko) * | 2008-09-08 | 2010-03-17 | 장동현 | 고도산화법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
CN201613092U (zh) * | 2010-03-09 | 2010-10-27 | 江苏智思机械集团有限公司 | 湿式除尘系统 |
KR20110045676A (ko) * | 2009-10-27 | 2011-05-0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원심력 이용 습식 세정장치 |
KR101570613B1 (ko) * | 2014-08-26 | 2015-11-20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공기 정화장치 |
CN205731673U (zh) * | 2016-07-07 | 2016-11-30 | 大冶有色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多产品旋流器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529090Y (zh) * | 2002-02-08 | 2003-01-01 | 王晓利 | 湿式脱硫锅炉烟气净化器 |
CN101468276A (zh) * | 2007-12-28 | 2009-07-01 | 海斯博特(北京)科技有限公司 | 文氏管旋风除尘器 |
RU2482902C1 (ru) * | 2012-02-24 | 2013-05-27 | Олег Савельевич Кочетов | Скруббер вентури |
-
2016
- 2016-12-29 KR KR1020160181993A patent/KR2018007754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
- 2017-09-06 CN CN201710795684.2A patent/CN108246026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75100A (en) * | 1988-12-06 | 1990-12-04 | Ocrim S.P.A. | Particle separator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pneumatic conveyance of granular materials |
KR0176069B1 (ko) * | 1996-07-01 | 1999-03-20 | 이종훈 | 싸이클론 마찰대전장치 |
CN1724077A (zh) * | 2004-07-24 | 2006-01-25 | 孔宪功 | 一种杀菌消毒器 |
KR20100029455A (ko) * | 2008-09-08 | 2010-03-17 | 장동현 | 고도산화법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
KR100902656B1 (ko) * | 2008-11-03 | 2009-06-15 | 한국기계연구원 | 공기역학적 응축성 타르 제거장치 |
KR20110045676A (ko) * | 2009-10-27 | 2011-05-0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원심력 이용 습식 세정장치 |
CN201613092U (zh) * | 2010-03-09 | 2010-10-27 | 江苏智思机械集团有限公司 | 湿式除尘系统 |
KR101570613B1 (ko) * | 2014-08-26 | 2015-11-20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공기 정화장치 |
CN205731673U (zh) * | 2016-07-07 | 2016-11-30 | 大冶有色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多产品旋流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9697B1 (ko) * | 2021-07-08 | 2022-03-29 | 주식회사 위젠트 | 듀얼사이클론 여과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246026A (zh) | 2018-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42525B1 (en) | Air circulation type vacuum cleaner | |
US20160270613A1 (en) | Cyclone separator apparatus | |
KR101270551B1 (ko) | 습식 공기 청정장치 | |
JP2008036271A (ja) | 吸引式清掃装置 | |
KR102185964B1 (ko) |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 |
CN115067827B (zh) | 一种分离单元、离心分离结构、洗地组件及洗地机 | |
KR20180077542A (ko) | 습식 원심 집진 장치 | |
JP2008518775A (ja) | 湿式空気清浄機 | |
JP2008520422A (ja) | 湿式空気清浄機 | |
RU2416355C2 (ru) | Моющий пылесос | |
US7513938B2 (en) | Wet type air cleaner | |
JP6787589B2 (ja) | ミスト・粉塵類の捕集装置 | |
KR100913031B1 (ko) | 복합형 집진장치 | |
CN113164865A (zh) | 废气净化装置及使用该废气净化装置的废气除害装置 | |
CN206121418U (zh) | 一种旋流水膜多管复合型湿式除尘器 | |
KR101651782B1 (ko) | 습식 진공청소기 | |
JP2008520424A (ja) | 湿式空気清浄機用浄化ユニット | |
JP2004148296A (ja) | ミスト分離装置 | |
JP2018031515A (ja) | 空気清浄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化方法 | |
CN207555704U (zh) |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吸油烟机 | |
JP4370197B2 (ja) | 送風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排ガス処理装置 | |
CN220937926U (zh) | 一种用于清洁机的地刷模块及应用该地刷模块的清洁机 | |
KR200356670Y1 (ko) | 진공청소기 흡입관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 |
CN216618015U (zh) | 风机组件和油烟机 | |
CN211796202U (zh) | 气旋吸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