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233A -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233A
KR20180076233A KR1020160180460A KR20160180460A KR20180076233A KR 20180076233 A KR20180076233 A KR 20180076233A KR 1020160180460 A KR1020160180460 A KR 1020160180460A KR 20160180460 A KR20160180460 A KR 20160180460A KR 20180076233 A KR20180076233 A KR 2018007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door
vending machine
latching r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준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233A/ko
Publication of KR2018007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2Locks mounted on the "frame" cooperating with means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음용 하고자 하는 커피나 국산차, 청량음료 등과 같은 각종 음료의 배출이 완료되기 전까지 임의로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투출구 도어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걸림고리;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는 위치의 자동판매기 도어프레임에 상기 걸림고리로 잠금 또는 해제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배출되는 뜨거운 음료에 의해 섭취자가 손이 데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찬 음료로 인한 손이나 의복 등으로 오염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Safety door for outlet door for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용 하고자 하는 커피나 국산차, 청량음료 등과 같은 각종 음료의 배출이 완료되기 전까지 임의로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국산차, 청량음료 등의 각종 음료를 취급하는 자동판매기는 내부에 다수의 원료 통을 구비하고, 섭취자가 선택 버튼을 누르게 됨 따라 컵 투출구로 배출된 컵으로 음료를 배출함으로써, 섭취자로 하여금 필요로 하는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컵 투출구의 전면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음료가 튀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또는 핀 결합방식에 의해 여닫히는 투출구 도어가 마련된다.
허 나,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선택 후 투출구로 공급된 컵으로 음료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급한 마음에 통상 음료가 다 배출되기 전에 투출구 도어를 열어 컵을 잡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때, 음료 중 뜨거운 음료인 커피 등의 경우에는 섭취자가 손을 데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은 물론 시원한 음료의 경우에는 손이나 의복 등을 오염을 시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상기와 같이 자동판매기의 투출구로 음료가 배출되는 자동판매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183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전면에 설치된 컵인출커버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발스위치를 누르면 열리도록 한 구조로, 사람이 컵인출커버를 열기 위해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커피자동판매기용 컵인출커버의 개폐구조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782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컵에 커피의 주입이 완료되면 컵이 자동적으로 밖으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쉽게 컵을 꺼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컵을 집은 후에 다시 커피를 주입할 수 있도록 이동판이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함으로써 다음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커피를 주입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커피의 엎질러짐을 방지하는 커피자동판매기의 컵 배출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705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 투출구의 도어에 설치된 홀더에 커피 등의 음료가 담긴 컵을 파지하는 방식으로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컵을 인출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투출구 도어를 이용한 컵 인출기구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183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78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7052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은 섭취자로 하여금 음용 하고자 하는 음료가 다 컵으로 다 배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어, 음료가 배출 중에도 컵을 인출함으로 인한 음료로 인한 투출구의 오염은 물론 섭취자의 손이나 의복에도 오염을 유발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해결과제는 음용 하고자 하는 커피나 국산차, 청량음료 등과 같은 각종 음료의 배출이 완료되기 전까지 임의로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투출구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도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자동판매기에 마련된 선택 버튼을 누름에 따라 투출구 측으로 공급되는 컵에 선택된 음료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고 음료의 배출이 완료된 시점에서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로서, 상기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는 투출구 도어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걸림고리;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는 위치의 자동판매기 도어프레임에 상기 걸림고리로 잠금 또는 해제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음료의 배출이 완료된 시점에서 작동되는 작동구, 상기 작동구 로드의 끝단과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링크, 상기 작동링크의 타단에 상기 걸림고리로 잠금되는 록킹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링크의 상부에는 걸림고리로 록킹 로드의 잠금 상태를 탄성에 의해 해제하도록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음용 하고자 하는 커피나 국산차, 청량음료 등과 같은 각종 음료의 배출이 완료되기 전까지 임의로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출되는 뜨거운 음료에 의해 섭취자가 손이 데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찬 음료로 인한 손이나 의복 등으로 오염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투출구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도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이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투출구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이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투출구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투출구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100)는 커피, 국산차, 청량음료 등의 각종 음료를 음용 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공지된 것으로, 상기 자동판매기(100)에 마련된 선택 버튼(110)을 누름에 따라 투출구(120) 측으로 공급되는 컵(도시하지 않음)에 선택된 음료가 배출된다.
투출구(120)는 자동판매기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프레임(100A)의 중간 또는 하부 측에 위치하며, 상기 투출구에는 도시하지 않은 대기 중인 컵을 투출하는 컵슈트와, 상기 컵슈트의 하단에 대기 홀더가 더 마련된다.
본 발명의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1)는 음용 하고자 하는 커피나 국산차, 청량음료 등과 같은 각종 음료의 배출이 완료되기 전까지 임의로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1)는 투출구 도어(122)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걸림고리(10)와; 상기 걸림고리(10)와 대응되는 위치의 자동판매기(100)의 도어프레임(110A)에 상기 걸림고리(10)로 음료의 배출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 잠금되고, 음료의 배출이 완료된 시점에서 해제되는 록킹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자동판매기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선택버튼을 누른 후 음료가 배출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신호에 의해서만 작동된다.
록킹부재(20)는 음료의 배출이 완료된 시점에서 작동되는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나 실린더 등과 같은 작동구(22)와, 상기 작동구(22) 로드의 끝단과 통상적인 핀 결합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링크(24)와, 상기 작동링크(24)의 타단에 상기 걸림고리(10)로 잠금되는 록킹 로드(26)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도어프레임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의 내측면에 별도의 하우징에 구비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작동링크는 작동구와 연결되는 일단과 록킹 로드와 연결되는 타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동구는 투출구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는 제어부에 의해 투출구 도어의 개방 여부를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방식이 적용된다.
상기에서, 록킹부재의 작동구와 작동링크를 연결하는 것은 작동구 로드의 최소한의 작동거리에 비해 록킹 로드의 회전 반경이 최대한 크게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작동구에 작동링크를 연결하지 않고, 그 작동구의 로드 끝단에 록킹 로드를 직접 연결하여 그 록킹 로드가 걸림고리로 직접 잠금 또는 해제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작동링크(24)의 상부에는 걸림고리(10)로 록킹 로드(26)의 잠금 상태를 탄성에 의해 해제하도록 연결되는 스프링(30)을 포함한다.
스프링(30)은 일단이 작동링크(24)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부재(20)를 덮도록 체결되는 커버 브래킷(20A)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은 섭취자가 음료를 섭취하고자 자동판매기에 마련된 선택버튼을 누르게 되며, 투출구로 공급된 컵으로 음료가 주입되도록 배출된다. 이때, 록킹부재의 록킹 로드는 작동구 로드의 담김으로 인해 회전되는 작동링크에 의해 투출구 도어에 구비된 걸림고리로 삽입된 상태로,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 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서, 작동구의 로드 당겨짐에 따라 작동링크가 회전되면서 록킹 로드가 걸림고리로 삽입되면서 잠금이 이루어진다. 이때, 작동링크에 연결되는 스프링은 작동링크의 회전에 따라 팽창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에 따라 음료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투출구 도어는 개방되지 않고 잠금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개방되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섭취자는 음료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음료가 주입되는 컵을 투출구로부터 꺼낼 수 없게 된다.
이로써, 종래 음료가 배출과정에서 투출구 커버를 열고 컵을 빼냄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인 뜨거운 음료의 경우 섭취자의 손이 데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찬 음료의 경우 섭취자의 손이나 의복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한편, 음료가 배출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작동구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작동구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팽창되어 있던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작동링크를 당기게 되고, 그로 인해 작동로드는 상승되어 걸림고리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잠금이 해제되어 진다.
그에 따라 투출구 커버를 개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음료가 배출되어 주입된 컵을 투출구로부터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가 배출되는 동안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고, 음료의 배출이 완료된 시점에서만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섭취자로 하여금 뜨거운 음료로부터 안전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찬 음료의 경우에도 배출되기 전 음료가 주입된 컵을 인출함으로 인한 손이나 의복 등이 오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10 : 걸림고리 20 : 록킹부재
20A : 커버 브래킷 22 : 작동구
24 : 작동링크 26 : 록킹 로드
30 : 스프링
100 : 자동판매기
100A : 도어프레임 110 : 선택 버튼
120 : 투출구 122 : 투출구 도어

Claims (3)

  1. 자동판매기에 마련된 선택 버튼을 누름에 따라 투출구 측으로 공급되는 컵에 선택된 음료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지 않고 음료의 배출이 완료된 시점에서 투출구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로서,
    상기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는 투출구 도어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걸림고리;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는 위치의 자동판매기 도어프레임에 상기 걸림고리로 잠금 또는 해제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음료의 배출이 완료된 시점에서 작동되는 작동구, 상기 작동구 로드의 끝단과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동링크, 상기 작동링크의 타단에 상기 걸림고리로 잠금되는 록킹 로드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링크의 상부에는 걸림고리로 록킹 로드의 잠금 상태를 탄성에 의해 해제하도록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
KR1020160180460A 2016-12-27 2016-12-27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 KR20180076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60A KR20180076233A (ko) 2016-12-27 2016-12-27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60A KR20180076233A (ko) 2016-12-27 2016-12-27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33A true KR20180076233A (ko) 2018-07-05

Family

ID=6292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460A KR20180076233A (ko) 2016-12-27 2016-12-27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2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1446A (zh) * 2019-01-09 2019-05-24 北京精密机电控制设备研究所 一种饮品自动交付系统及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1446A (zh) * 2019-01-09 2019-05-24 北京精密机电控制设备研究所 一种饮品自动交付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0010863A (es) Dispositivo de recipiente con seguro.
KR20180076233A (ko) 자동판매기용 투출구 도어 안전장치
GB2271048A (en) Revolving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US5409094A (en) Vending machine for bottled water
CN103841860B (zh) 吊舱保持器
JP4816005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カップ廃棄装置
JP2023025652A (ja) 飲料供給装置
CN106572768A (zh) 具有可开门的分配器
JP5329258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S6310240Y2 (ko)
JP4467475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の商品取出口装置
JPH0991528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ホット飲料供給装置
JP2604207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H09216695A (ja) 飲料供給装置
KR200162571Y1 (ko)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KR200151836Y1 (ko) 커피자동판매기용 컵인출커버의 개폐구조
KR100222437B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KR200157087Y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추출구 개폐장치
KR200240554Y1 (ko) 음료자동판매기의원료투출안내장치
JPH05108944A (ja) カツプ式自動販売機の原料送出装置
KR200157086Y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추출구 개폐장치
KR200221335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KR19980034414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구 개폐장치
CA1169392A (en) Rotating drum dispensing machine
KR20230023567A (ko) 음료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