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335Y1 -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335Y1
KR200221335Y1 KR2020000033918U KR20000033918U KR200221335Y1 KR 200221335 Y1 KR200221335 Y1 KR 200221335Y1 KR 2020000033918 U KR2020000033918 U KR 2020000033918U KR 20000033918 U KR20000033918 U KR 20000033918U KR 200221335 Y1 KR200221335 Y1 KR 200221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ontact lever
vending machine
material contain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종
Original Assignee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3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335Y1/ko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분말 원료가 채워지는 원료통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료통이 안착되는 선반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대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지지대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는 레버 지지대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접촉되도록 상기 레버 지지대에 시소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 레버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촉 레버의 하측에 설치되어 자동판매기의 마이컴과 연결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접촉 레버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원료통의 원료가 품절될 경우 그 원료통이 가벼워짐에 따라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촉 레버의 일측을 당겨 그 접촉 레버의 일측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누르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도록 구성하여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에 분말 원료가 품절될 경우 그 품절된 상태를 감지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분말 원료를 분출시키는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구동모터의 구동을 방지하고 관리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APPARATUS FOR SENSING POWDER STATE IN 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말 원료가 품절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에 상당하는 금액을 투입하고 그 상품을 선택하게 되면 자동으로 상품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자동판매기는 제공되는 상품에 따라 커피 자동판매기, 캔 자동판매기, 담배 자동판매기, 풍선 자동판매기 그리고 두 종류이상의 상품이 제공되는 복합 자동판매기 등이 있다.
상기 자동판매기의 일예로 커피 자동판매기는 동전을 투입한 다음 원하는 커피 또는 율무 등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컵 적재대에 적재된 컵이 상품 인출구로 떨어져 안착되고 이와 동시에 커피 분말 원료 또는 율무 분말 원료가 각각 채워진 다수개의 원료통 중 선택된 원료통에 있는 분말 원료와 물통에 저장된 물이 상기 컵에 투입되면서 섞여 원하는 커피 또는 율무차가 만들어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품 인출구에서 커피 또는 율무차가 채워진 컵을 꺼내어 차를 마시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판매기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자동판매기의 물통에 물이 떨어지거나 원료통에 분말 원료가 품절, 즉 떨어지게 되면 그 원료통에 분말 원료를 채워넣게 된다.
한편, 상기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및 그 원료통에 채워진 분말 원료를 배출시키는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말 원료가 채워지는 내부 공간 및 그 분말 원료가 배출되는 투출구(11)가 구비된 원료통(10)이 자동판매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선반(20)에 장착되고 상기 원료통(10)의 내부에 채워진 분말 원료를 배출시키는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가 설치되며 상기 원료통(1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선반(20)에 구동모터(40)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을 상기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에 전달하도록 그 구동모터(40)와 상기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를 연결하는 요오크(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원료통(10)은 원료통(10)은 다수개 피이스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며 그 원료통(10)의 상단은 뚜껑(12)이 복개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은 상기 원료통(10)에 분말 원료가 채워진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주어진 시간만큼 상기 구동모터(40)가 작동하게 되면 그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이 요오크(50)를 통해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에 전달되어 그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가 일정 시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의 일정 시간 회전에 의해 상기 원료통(10)에 채워진 분말 원료가 밀려 그 원료통(10)의 투출구(11)를 통해 일정량 배출되며 그 배출된 분말 원료는 자동판매기 전면에 구비된 인출구(미도시)에 위치한 컵으로 투입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구조는 자동판매기의 사용 중 상기 원료통(10)에 채워진 분말 원료가 품절 즉, 모두 떨어진 경우 그 원료통(10)의 원료가 떨어진 상태를 감지하지 못함은 물론 외부로 표시되지 않고 그대로 작동이 되어 인출구에 떨어진 컵에 물만 제공되어 소비자 즉, 사용자에게 불만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 금전적인 손해를 입히게 되고, 또한 원료가 떨어진 상태로 그대로 작동하게 되어 상기 구동모터(40)의 불필요한 구동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분말 원료가 품절, 즉 떨어진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및 그 원료통의 분말 원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고안의 자동판매기 원료 품절 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4는 본 고안의 자동판매기 원료 품절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료통 60 ; 고정 브라켓
70 ; 베이스 지지대 80 ; 레버 지지대
90 ; 접촉 레버 100 ; 마이크로스위치
110 ; 스프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말 원료가 채워지는 원료통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료통이 안착되는 선반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대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지지대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는 레버 지지대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접촉되도록 상기 레버 지지대에 시소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 레버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촉 레버의 하측에 설치되어 자동판매기의 마이컴과 연결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접촉 레버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원료통의 원료가 품절될 경우 그 원료통이 가벼워짐에 따라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촉 레버의 일측을 당겨 그 접촉 레버의 일측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누르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자동판매기 원료 품절 감지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자동판매기 원료 품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자동판매기의 본체에 설치되는 선반(20)위에 원료통(10)이 안착된다. 상기 원료통(10)의 하부 일측에 그 분말 원료가 유출되는 투출구가 형성되고 그 원료통(10)의 내부에 분말 원료를 배출시키는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원료통(1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구동모터(40)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이 상기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에 전달되도록 그 구동모터(40)의 모터축과 회전체(30)가 요오크(50)에 의해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원료통(10)의 일측에 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브라켓(60)이 고정 결합되고,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지지대(70)가 상기 구동모터(40) 및 상기 고정 브라켓(6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선반(20)위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지지대(70)는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개구된 부분측이 상기 선반(20)에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대(70)의 상면에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레버 지지대(80)가 결합되고 상기 레버 지지대(80)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접촉 레버(90)가 시소 움직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레버 지지대(80)는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레버(90)는 일정 두께 및 폭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 레버(90)는 그 중간 부분이 상기 레버 지지대(80)내에 위치하여 그 접촉 레버(90)가 시소 움직임 가능하도록 핀(81)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접촉 레버(90)의 일측은 상기 원료통(10)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60)에 접촉 지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대(70)의 상면에 자동판매기의 마이콤과 연결되는 마이크로스위치(100)가 장착되며 그 마이크로스위치(100)는 상기 접촉 레버(9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접촉 레버(90)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60)에 접촉되는 반대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 레버(90)의 타측 단부에 그 접촉 레버(90)의 일측을 당기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110)이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110)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그 스프링(110)의 양측이 상기 접촉 레버(90)의 타측과 상기 베이스 지지대(70)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10)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00)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자동판매기 원료 품절 감지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료통(10)에 분말 원료가 채워진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주어진 시간만큼 상기 구동모터(40)가 작동하게 되면 그 구동모터(40)의 구동력이 요오크(50)를 통해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에 전달되어 그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가 일정 시간 회전하게 되고 그 상기 스파이어럴형 회전체(30)의 일정 시간 회전에 의해 상기 원료통(10)에 채워진 분말 원료가 밀려 그 원료통(10)의 투출구를 통해 일정량 배출된다.
이때, 상기 원료통(10)에 원료가 채워진 상태이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원료통(10)의 원료 무게에 의해 그 원료통(10)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60)이 상기 접촉 레버(90)의 일측을 누른 상태가 되며 아울러 상기 스프링(110)은 인장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면서 원료통(10)에 분말 원료가 품절, 즉 거의 떨어지게 되면 상기 원료통(10)의 무게가 가벼워지게 되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료통(10)의 하중보다 상기 스프링(110)의 탄성력, 즉 복원력이 커지게 되어 상기 원료통(10)이 약간 들리면서 스프링(110)이 결합된 접촉 레버(90)측이 아래로 움직이면서 그 접촉 레버(90) 일측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00)를 누르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00)가 눌려 온(ON) 상태가 됨에 따라 마이콤이 인지하게 되어 구동모터(40)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자동판매기의 디스플레이부분에 원료가 품절됨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자동판매기의 관리자가 원료통(10)에 분말 원료를 채워 넣게 되면 원료통(10)의 분말 원료의 무게에 의해 원료통(10)의 고정 브라켓(60)이 접촉 레버(90)를 누르게 되어 그 접촉 레버(90)가 마이크로스위치(100)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므로 그 마이크로스위치(100)가 오프(OFF) 상태가 된다.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원료통(10)에 분말 원료가 품절될 경우 그 분말 원료가 품절된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게 되어 자동판매기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분말 원료의 품절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원료통(10)에 분말 원료가 품절되면, 즉 분말 원료가 떨어지게 되면 그 분말 원료를 투출시키는 구동모터(40)의 작동을 정지시켜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판매기 원료 품절 감지장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에 분말 원료가 품절될 경우 그 품절된 상태를 감지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분말 원료를 분출시키는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구동모터의 구동을 방지하게 되어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로 하여금 자동판매기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분말 원료를 채워야할 시점을 알게 되어 관리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게 되고 또한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분말 원료가 채워지는 원료통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료통이 안착되는 선반에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대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지지대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는 레버 지지대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일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접촉되도록 상기 레버 지지대에 시소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촉 레버와, 상기 고정 브라켓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접촉 레버의 하측에 설치되어 자동판매기의 마이컴과 연결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접촉 레버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원료통의 원료가 품절될 경우 그 원료통이 가벼워짐에 따라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촉 레버의 일측을 당겨 그 접촉 레버의 일측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누르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그 일측이 상기 베이스 지지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접촉 레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 레버를 당기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KR2020000033918U 2000-12-04 2000-12-04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KR200221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918U KR200221335Y1 (ko) 2000-12-04 2000-12-04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918U KR200221335Y1 (ko) 2000-12-04 2000-12-04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335Y1 true KR200221335Y1 (ko) 2001-04-16

Family

ID=7306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918U KR200221335Y1 (ko) 2000-12-04 2000-12-04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3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7165B2 (ja) コーヒー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そのような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挽いたコーヒー包装カートリッジ、そのような装置によって飲料を調製する方法、及びそのような挽いたコーヒー包装カートリッジから挽いたコーヒーを供給する方法
NL2006222C2 (en) A system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ground coffee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uch a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by means of said system, and method of supplying ground coffee from said ground coffee packaging cartridge.
JP2557754B2 (ja) 原料供給装置
JP2017140404A (ja) 測定量の、ばらけた材料を分配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221335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GB2271048A (en) Revolving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KR200221334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장치
KR100694184B1 (ko) 음료자동판매기
KR100250766B1 (ko)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10105562A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품절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755666Y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ストロー供給装置搬出機構
KR100401049B1 (ko) 차와 찻물을 순차 제공하는 자동판매기
KR0131884Y1 (ko) 커피 냉장고 시스템의 커피 기능록 장치
KR100222437B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KR100274438B1 (ko) 복합자동판매기
KR100217774B1 (ko) 자동판매기
KR20100058000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장치
KR20000033001A (ko) 도서 자동판매기
KR910005075Y1 (ko) 자동판매기의 컵겹침 방지장치
KR840001242Y1 (ko) 음료자동판매기의 컵 자동송출장치
KR200245351Y1 (ko) 구슬형 아이스크림 자동판매기의 컵무게 감지장치
KR100301622B1 (ko) 자동판매기의 내용물 안전 배출장치
KR200155817Y1 (ko) 자동판매기
KR200162569Y1 (ko) 자판기용 앗세이랙크의 이젝트메카
KR100224299B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