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685A - 전극박, 권회형 콘덴서, 전극박의 제조 방법, 및 권회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박, 권회형 콘덴서, 전극박의 제조 방법, 및 권회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685A
KR20180075685A KR1020187016990A KR20187016990A KR20180075685A KR 20180075685 A KR20180075685 A KR 20180075685A KR 1020187016990 A KR1020187016990 A KR 1020187016990A KR 20187016990 A KR20187016990 A KR 20187016990A KR 20180075685 A KR20180075685 A KR 2018007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electrode foil
capacitor
winding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071B1 (ko
Inventor
요시유키 나리타
가즈히로 나가하라
아츠시 다나카
쇼지 오노
Original Assignee
니폰 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48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01G9/055Etched foil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2Machines for winding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2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G9/0032Processes of manufacture formation of the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2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G9/0036Formation of the solid electrolyt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48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145Liquid electrolytic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15Solid electrolytic capacitors
    • H01G9/151Solid electrolytic capacitors with wound foil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유전체 피막의 대표면적화를 진전시키면서, 권회 시에 심부도 파괴하는 크랙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전극박, 당해 전극박을 권회한 권회형 콘덴서, 전극박의 제조 방법, 및 권회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전극박(1)은 띠 형상의 박에 의해 이루어지고, 확면부(3)와 심부(2)와 복수의 분단부(4)를 구비한다. 확면부(3)는 박의 표면에 형성되고, 심부(2)는, 박 중, 확면부(3)를 제외한 잔부이다. 분단부(4)는, 확면부(3)에 띠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확면부(3)를 분단한다. 복수의 분단부(4)는, 전극박(1)의 권회 시에 굽힘 응력을 분담하여, 응력 집중을 저지한다.

Description

전극박, 권회형 콘덴서, 전극박의 제조 방법, 및 권회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권회형 콘덴서에 사용되는 전극박에 관한 것이다.
전해 콘덴서는, 양극(陽極)의 유전체 피막을 대향 전극과 밀착시키기 위해, 전해질로 공극을 메워 이루어지고, 전해질이 액체인 비고체 전해 콘덴서, 전해질이 고체인 고체 전해 콘덴서, 전해질로서, 액체와 고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전해 콘덴서, 전극 쌍방에 유전체 피막을 형성한 양(兩) 극성 전해 콘덴서가 포함된다. 이 전해 콘덴서는, 콘덴서 소자를 전해질에 함침시켜 이루어지고, 콘덴서 소자는, 알루미늄 등의 밸브 금속박에 유전체 피막을 형성한 양극박과, 동종 또는 다른 금속의 박에 의해 이루어지는 음극박을 대향시키고, 양극박과 음극박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구성되어 있다.
전해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유전체 피막의 표면적에 비례한다. 통상, 전해 콘덴서의 전극박에는 에칭 등의 확면(擴面)화 처리가 실시되고, 이 확면화 처리가 실시된 확면부에는 화성(化性) 처리가 실시되어, 대표면적의 유전체 피막을 갖는다. 최근에는, 전해 콘덴서의 정전 용량의 가일층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전극박의 표면으로부터 한층 심부에 이르기까지 확면화를 진전시키고 있다.
환언하면,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는, 전극박의 심부가, 가일층 얇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유전체 피막을 갖는 확면부는, 심부에 비해, 유연성 및 연신성이 낮다. 그 때문에, 유전체 피막의 대(大)표면적화가 도모된 전극박은, 유연성 및 연신성이 많은 나머지 심부의 박후화에 의해, 유연성 및 연신성이 저하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전극박을 사용한 전해 콘덴서로서, 소형화와 대용량화를 양립하기 위해, 권회형 콘덴서의 형태가 채용될 경우가 있다. 권회형 콘덴서의 콘덴서 소자는,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양극박 및 음극박을 중첩시켜, 통 형상으로 권회해서 이루어진다. 최근 유전체 피막의 표면적 증대 조치는, 이 권회형 콘덴서의 권회성에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면화 처리한 확면부(103)에 화성 처리해서 유전체 피막(105)을 형성함으로써, 전극박(101)은 유연성 및 연신성이 저하해 버린다. 그러면, 유연성 및 연신성이 저하한 전극박(101)은 궁형(弓形)으로 변형할 수 없고, 전극박(101)을 매끄럽게 만곡시키면서 권회하는 것은 곤란해져, 권회에 의해 곳곳에 절곡(折曲)이 생겨 버린다. 특히, 권회 시의 굽힘 응력의 집중은, 최악의 경우, 심부(102)도 파괴하는 크랙(104)을 발생시켜 버린다. 이 심부(102)도 파괴하는 크랙(104)은, 전극박(101)의 절곡을 유발한다.
전극박(101)이 곳곳 절곡되어 권회되면, 콘덴서 소자의 직경은 커진다. 그 때문에, 권회형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유지하고자 하면, 권회형 콘덴서가 대형화된다. 또는, 권회형 콘덴서의 직경을 유지하고자 하면, 권회형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저하해 버린다. 그렇지 않으면, 불량품으로서 취급해, 수율이 악화하게 된다.
일본국 특개2007-14975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전체 피막의 대표면적화를 진전시키면서, 권회 시에 심부도 파괴하는 크랙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전극박, 당해 전극박을 권회한 권회형 콘덴서, 전극박의 제조 방법, 및 권회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박은, 띠 형상의 박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박의 표면에 형성된 확면부와, 상기 박 중, 상기 확면부를 제외한 잔부인 심부와, 상기 확면부에 띠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확면부를 분단하는 복수의 분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단부는, 상기 박을 완전히 횡단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횡단하도록 연장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분단부는, 띠 장변 방향의 10㎜의 범위에 4개소 이상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 분단부는, 평균 피치가 2.1㎜ 이하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 분단부는, 평균 피치가 1.0㎜ 이하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 분단부는, 상기 박을 평탄하게 한 상태에서 홈 폭이 0을 포함하는 50㎛ 이하이도록 해도 된다.
상기 분단부는, 상기 확면부가 갈라져 이루어지고, 상기 박을 평탄하게 한 상태에서 홈 폭이 실질적으로 0이도록 해도 된다.
상기 확면부와 상기 분단부의 표면에 유전체 피막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 전극박을 권회하여 구비하는 권회형 콘덴서도 본 발명의 일 태양이다.
이 권회형 콘덴서는, 상기 전극박을 권회해서 이루어지는 콘덴서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 소자는, 권회 중심에 권심부를 갖고, 상기 전극박은, 상기 권심부에 권회되고, 상기 분단부는, 적어도, 상기 권심부에의 감기 시작을 포함하는 소정 반경 내의 권회 중심측에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극박의 제조 방법은, 띠 형상의 박의 표면에 확면부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확면부를 분단하는 복수의 분단부를, 상기 박의 띠의 폭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단부의 형성의 후, 상기 박을 화성 처리하는 스텝을 더 갖도록 해도 된다.
상기 확면부의 형성의 후, 상기 분단부의 형성의 전에, 상기 박을 화성 처리하는 스텝을 더 갖도록 해도 된다.
상기 확면부의 형성의 후, 상기 분단부의 형성의 전에, 상기 박을 화성 처리하는 스텝과, 상기 분단부의 형성의 후, 상기 박을 재화성 처리하는 스텝을 더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권회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전극박을 권회함으로써 콘덴서 소자를 형성하는 소자 형성 스텝과, 상기 콘덴서 소자에 전해질을 형성하는 전해질 형성 스텝과, 상기 콘덴서 소자를 에이징하는 에이징 스텝을 갖고, 상기 전해질 형성 스텝에 의해 상기 전해질을 형성한 후에 상기 에이징 스텝을 행하거나, 또는 상기 에이징 스텝의 후에 상기 전해질 형성 스텝에 의해 상기 에이징된 콘덴서 소자에 상기 전해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분단부의 존재에 의해 권회 시의 굽힘 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권회 시에 심부도 파괴하는 크랙이 생기기 어렵고, 매끄럽게 만곡된 양호한 권회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극박의 구조를 나타내고, (a)는 장변 방향을 따른 절단도이고, (b)는 상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권회형 콘덴서가 구비하는 콘덴서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분단부를 구비한 전극박의 장변 방향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본 실시형태의 분단부를 구비한 전극박의 장변 방향을 따른 단면 사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본 실시형태의 분단부를 구비한 전극박의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사진 장변 방향이 전극박의 폭 방향이고, 사진 단변 방향이 전극박의 장변 방향.
도 6은 비교예 1에 따른 전극박의 장변 방향을 따른 단면 사진.
도 7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에릭센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권회한 콘덴서 소자의 사진.
도 9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권회형 콘덴서의 에이징 처리에 있어서 흘린 전류를 경과 시간마다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종래의 전극박의 장변 방향을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극박 및 권회형 콘덴서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박)
도 1에 나타내는 전극박(1)은, 권회형 콘덴서의 양극박, 유전체 피막(5)이 형성된 음극박 또는 양쪽에 사용된다. 권회형 콘덴서의 대표예로서는 전해 콘덴서 이고, 전해 콘덴서로서는, 전해질이 액체이고, 양극박에 유전체 피막을 형성한 비고체 전해 콘덴서, 전해질이 고체이고, 양극박에 유전체 피막을 형성한 고체 전해 콘덴서, 전해질로서, 액체와 고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전해 콘덴서, 및 양극박과 음극박의 쌍방에 유전체 피막을 형성한 양 극성 전해 콘덴서를 들 수 있다.
전극박(1)은, 알루미늄, 탄탈륨, 티타늄, 니오븀 및 산화니오븀 등의 밸브 금속을 재료로 한다. 순도는, 양극박에 대해서 99.9% 정도 이상이 바람직하고, 음극박에 대해서 99% 정도 이상이 바람직하지만, 규소, 철, 동, 마그네슘, 아연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전극박(1)은, 장척이고, 두께 방향 중심의 심부(2)를 남겨 두고 양면에 확면부(3)가 형성되고, 확면부(3)의 한쪽 또는 양쪽에 복수의 분단부(4)가 형성되고, 확면부(3)와 분단부(4)의 표면에 유전체 피막(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확면부(3)는 다공질 구조를 갖는다. 다공질 구조는, 터널 형상의 피트(pit), 해면(海綿) 형상의 피트, 또는 밀집한 분체 간의 공극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확면부(3)는, 전형적으로는 염산 등의 할로겐 이온이 존재하는 산성 수용액 중에서 직류 또는 교류를 인가하는 직류 에칭 또는 교류 에칭에 의해 형성되거나, 혹은 심부에 금속 입자 등을 증착 또는 소결함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전극박(1)에는, 저압용 전극박, 중고압용 전극박이 포함된다. 또한, 밸브 금속의 확면부(3)를 제외한 잔부, 또는 증착 등에 의해 금속 입자 등이 부착되는 기재가 심부(2)에 상당한다. 환언하면, 예를 들면 미에칭층 또는 기재가 심부(2)에 상당한다. 확면부(3) 및 심부(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확면부(3)의 두께가 양면 합쳐 40~200㎛, 심부(2)의 두께가 8~60㎛인 범위가 바람직하다.
분단부(4)는, 전극박(1)의 표면으로부터 심부(2)를 향하는 깊이 방향으로, 확면부(3)를 분단한다. 분단부(4)는, 심부(2)를 완전히 분단할 때까지 이르지 않으면 되고, 심부(2)에 이르지 않는 깊이, 최심부가 정확히 심부(2)에 도달하는 깊이, 및 최심부가 심부(2)에 파고드는 깊이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모든 분단부(4)의 깊이가 통일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분단부(4)는, 전극박(1)의 띠 장변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 분단부(4)는, 전극박(1)을 완전히 횡단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횡단하도록 연장된다. 즉, 어느 분단부(4)는, 전극박(1)의 한쪽의 장변으로부터 연장하여 다른 쪽의 장변에 이른다. 또한, 어느 분단부(4)는, 전극박(1)의 한쪽의 장변으로부터 박 중심선 미만 또는 박 중심선을 넘어 연장되고, 다른 쪽의 장변에는 이르지 않는다. 또한, 어느 분단부(4)는, 전극박(1)의 다른 쪽의 장변으로부터 박 중심선 미만 또는 박 중심선을 넘어 연장되고, 한쪽의 장변에는 이르지 않는다.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분단부(4)끼리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모든 분단부(4)가 연장되는 방향 및 길이가 통일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이 분단부(4)는, 확면부(3)를 갈라지게 하거나, 확면부(3)를 쪼개거나, 전극박(1)의 두께 방향을 따라 확면부(3)에 커팅을 내거나, 확면부(3)를 노치를 내거나, 또는 전극박(1)의 두께 방향을 따라 확면부(3)를 파고 들어감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분단부(4)의 실태의 예는, 갈라짐, 쪼개짐, 커팅, 노치 또는 파임이다. 단, 확면부(3)를 분단하고 있으면, 분단부(4)의 태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단부(4)의 홈 폭은, 전극박(1)을 만곡시키지 않고 평탄하게 고르게 했을 때, 0을 포함하는 50㎛ 이하이다. 분단부(4)의 홈 폭이란, 전극박(1)의 표층 부근에서 계측된, 전극박(1)의 장변 방향을 따른 길이이다. 분단부(4)를 갈라짐, 쪼개짐, 또는 커팅에 의해 형성했을 경우, 분단부(4)의 홈 폭은 실질적으로 0으로 된다. 실질적으로 0이란, 전극박(1)을 만곡시키지 않고 평탄하게 고르게 했을 때, 분단부(4)의 계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분단부(4)의 홈 폭이 50㎛ 이하이면, 전극박(1)의 유연성 및 연신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유전체 피막(5)의 표면적 감소에 수반하는, 권회형 콘덴서의 정전 용량의 큰 저하를 억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단부(4)의 형성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환봉(丸棒)에 전극박(1)을 가압하는 등의 물리적 수단에 의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환봉을 이용하는 형성 방법에서는, 전극박(1)의 심부(2)가 장변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결과 심부(2)의 두께가 얇아진다. 그러나, 분단부(4)의 홈 폭을 50㎛ 이하로 함으로써, 심부(2)의 두께가 얇아지기 어렵고, 전극박(1)의 유연성 및 연신성은 향상된다. 이 점에 있어서도, 분단부(4)의 홈 폭을 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단부(4)는, 전극박(1)의 띠 장변 방향에 있어서, 10㎜의 범위당, 4개소 이상 설치되어 있다. 분단부(4)의 수가 적으면, 전극박(1)을 권회할 때에 각 분단부(4)에 굽힘 응력이 분산해도, 각 분단부(4)에 걸리는 응력이 커져, 분단부(4)로부터 심부(2)도 파괴하는 크랙이 생기기 쉬워진다. 인접하는 분단부(4)의 간격은, 평균 피치가 2.1㎜ 이하이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피치가 1.0㎜ 이하이다. 평균 피치가 2.1㎜ 이하이면, 분단부(4)가 미형성인 전극박(1)에 비해, 에릭센값이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평균 피치는, 전극박(1)의 장변 방향을 따른 단면을 몇 개소 임의로 선택하고, 각 단면 사진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연속하는 4개의 분단부(4)의 간격의 평균값을 각각 산출하고, 또한 각 평균값의 평균값을 취해 산출했다. 분단부(4)의 간격은, 전극박(1)의 표면 부근을 계측하여 얻었다.
분단부(4)는, 전극박(1)의 장변 방향을 따라 균일한 평균 피치나 단위 범위 내의 수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전극박(1)이 권회됐을 때의, 당해 분단부(4)가 형성되는 개소에 있어서의 곡률을 가미해서, 평균 피치나 단위 범위 내의 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 곡률이 작아지면 질수록, 즉 권회되었을 때 외주 측으로 되면 될수록, 굽힘 응력은 작아져, 크랙의 발생의 우려가 저감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권축에의 전극박(1)의 감기 시작 부분에만, 분단부(4)를 형성해 두도록 해도 된다. 전극박(1)의 감기 시작 부분은 곡률이 크고,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분단부(4)가 위치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권회 반경에 비례시켜, 평균 피치를 크게 취하거나, 당해 반경에 반비례시켜, 단위 범위 내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해도 된다. 분단부(4)의 수가 줄면 줄수록, 권회형 콘덴서의 정전 용량에의 영향이 저감된다.
이 분단부(4)는, 양면의 확면부(3)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권회 시의 전극박(1)의 연장의 관점에서, 적어도, 전극박(1)의 권회 시에 박 외측으로 되어 장력을 받는 확면부(3)에 형성되면 된다.
유전체 피막(5)은, 확면부(3)를 화성 처리해서 이루어지고, 전형적으로는 아디프산이나 붕산 등의 수용액 등의 할로겐 이온 부재(不在)의 용액 중에서 전압 인가해서 형성되는 산화 피막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유전체 피막(5)은, 분단부(4)의 내표면에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단부(4)의 표면에도 유전체 피막(5)이 형성되면 전극박(1)의 안정성이 증대한다. 또한, 분단부(4)의 내표면에도 유전체 피막(5)을 형성해 두면, 유전체 피막(5)을 수복하기 위한 에이징 처리에 필요한 전기량(A·s/F)이 적게 된다라는 지견이 얻어졌기 때문이다.
이하, 추측이지만, 전극박(1)에 분단부(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권회 시에 굽힘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다수의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고, 이 크랙의 내표면에는 미산화의 금속 부분이 노출해 버리는 경우가 있지만, 분단부(4)를 형성해 두면, 각 분단부(4)가 굽힘 응력을 분담하기 때문에, 굽힘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기 어려워, 권회 시의 크랙 발생이 억제된다. 권회 시의 크랙 발생이 억제되면, 크랙의 내표면으로부터 미산화의 금속 부분(알루미늄)이 노출하기 어렵다. 즉, 분단부(4)를 형성한 후에 화성 처리를 하면, 분단부(4)의 내표면에도 유전체 피막(5)이 형성되고, 환언하면 분단부(4)의 홈 표면으로부터도 미산화의 금속 부분은 노출되지 않아, 에이징 처리에 필요한 전기량이 적어진다.
또한, 화성 처리 전에 분단부(4)를 형성해 두면, 전극박(1)의 원활한 제조 공정이 실현된다. 그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확면부(3)의 형성의 후, 화성 처리 전에 분단부(4)를 형성해 둔다. 이 경우, 분단부(4)의 형성 전에 얇은 산화물을 형성해 둠으로써, 분단부(4)의 형성은 용이해진다.
또, 화성 처리 후에 분단부(4)를 형성해도, 분단부(4)에 의한 권회 시의 응력 분산 효과는 얻어지고, 권회 시에 심부도 파괴하는 크랙이 생기기 어렵고, 매끄럽게 만곡된 양호한 권회가 가능해진다. 또한, 분단부(4)의 형성 전에 화성 처리하고, 분단부(4)의 형성의 후에 재화성 처리를 함으로써, 분단부(4)의 표면에 유전체 피막(5)을 형성할 수도 있다.
(권회형 콘덴서)
도 2는, 이 전극박(1)을 사용한 권회형 콘덴서의 콘덴서 소자(6)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 의한 예시이다. 콘덴서 소자(6)에 있어서, 양극박인 전극박(1)과 음극박(7)은, 종이나 합성섬유 등의 세퍼레이터(8)를 개재시켜 중첩된다. 세퍼레이터(8)는, 그 일단이 전극박(1) 및 음극박(7)의 일단보다 튀어나오도록 중첩해 둔다. 그리고, 튀어나온 세퍼레이터(8)를 먼저 감기 시작해서 권심부(9)를 만들고, 계속해서 그 권심부(9)를 권축으로 해서, 전극박(1)과 음극박(7)과 세퍼레이터(8)의 층을 권회해 간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콘덴서 소자(6)는, 전해 콘덴서를 만들 경우, 전해액에 함침되고, 바닥 구비 통 형상의 외장 케이스에 수납되고,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인출해서 봉구(封口)체로 봉지되고, 에이징 처리됨으로써, 권회형 콘덴서의 태양을 채용한다. 또한,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콘덴서 소자(6)는, 고체 전해 콘덴서를 만들 경우, 에이징 처리된 후, 전해질이 형성되고, 바닥 구비 통 형상의 외장 케이스에 수납되고,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인출해서 봉구체로 봉지됨으로써, 권회형 콘덴서의 태양을 채용한다.
또, 전극박(1)에 분단부(4)를 형성하면, 콘덴서 소자(6)의 권회 시에 생기는 전극박(1)의 심부(2)에의 응력이 억제된다. 그 결과, 분단부(4)가 미형성인 전극박을 권회했을 경우에 비해, 권회형 콘덴서의 전극박(1)의 유전체 피막(5)을 수복하기 위한 에이징 처리에 필요한 전기량(A·s/F)이 적게 된다는 지견이 얻어졌다.
도 3은, 콘덴서 소자(6)에 권회시킨 전극박(1)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극박(1)에서는, 복수의 분단부(4)가 굽힘 응력을 분담해 받아, 각 분단부(4)에 굽힘 응력이 분산된다. 그 때문에, 심부(2)의 파괴에 이르게 하는 응력이 전극박(1)에 걸리는 것이 억지되고, 심부(2)의 파괴를 면해, 전극박(1)은 절곡되지 않고, 매끄럽게 만곡해서 권회된다.
(실시예 1)
이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극박(1)을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 우선, 기재로서 두께가 110㎛, 폭이 10㎜, 길이가 55㎜, 순도 99.9중량% 이상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했다. 그리고, 이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확면부(3)를 형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박을, 액온 25℃ 및 약 8중량%의 염산을 주된 전해질로 하는 산성 수용액에 침지하여, 에칭 처리를 행했다. 에칭 처리에서는, 교류 10㎐ 및 전류 밀도 0.14A/㎠의 전류를 기재에 약 20분간 인가하고, 알루미늄박의 양면을 확면화했다.
에칭 처리 후, 양면이 에칭 처리된 알루미늄박에 분단부(4)를 형성했다. 분단부(4)는, 알루미늄박의 띠 장변 방향과 직교해서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물리적인 처리 방법으로서, φ0.5㎜의 환봉에 대해, 당해 환봉과 알루미늄박이 접촉하는 영역의 넓이를 나타내는 랩각을 180도로 해서, 알루미늄박을 가압해서 분단부(4)를 형성했다.
또한, 분단부(4)의 형성의 후, 화성 처리를 행하여, 확면부(3)와 분단부(4)의 표면에 유전체 피막(5)을 형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액온 85℃, 15중량%의 아디프산의 화성 용액 중에서 100V의 전압을 인가했다. 전압 인가는 약 20분이고, 내전압이 약 100V 상당의 유전체 피막(5)이 형성되었다.
이 결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전극박(1)은, 유전체 피막(5)을 갖는 확면부(3)가 심부(2)의 양면에 각각 두께 36㎛로 존재하고, 두께 38㎛의 심부(2)가 남았다. 분단부(4)의 홈 폭은 10㎛였다. 환봉의 가압에 의해, 분단부(4)는 갈라짐에 의해 형성되고, 분단부(4)의 평균 피치는 70㎛이고, 분단부(4)의 10㎜ 범위당 개수는 143개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기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에칭 처리 및 화성 처리를 행했다. 분단부(4)의 형성 처리에 대해서는, φ6㎜의 환봉을 사용한 것 외는 동일 조건이다. 에칭 처리, 분단부(4)의 형성 처리, 및 화성 처리의 순번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이 순번으로 행했다.
이 결과, 실시예 2의 전극박(1)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심부(2), 확면부(3) 및 유전체 피막(5)의 두께를 구비하고 있었다. 분단부(4)는 갈라짐에 의해 형성되고, 분단부(4)의 평균 피치는 220㎛이고, 분단부(4)의 10㎜ 범위당 개수는 45개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기재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에칭 처리 및 화성 처리를 행했다. 분단부(4)의 형성 처리에 대해 φ13㎜의 환봉을 사용한 것 외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 조건이다. 이 결과, 실시예 3의 전극박(1)은, 분단부(4)에 있어서, 갈라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분단부(4)의 평균 피치는 950㎛이고, 10㎜ 범위당 개수는 10개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기재를 사용하고,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에칭 처리 및 화성 처리를 행했다. 분단부(4)의 형성 처리에 대해 φ16㎜의 환봉을 사용한 것 외는,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 조건이다. 이 결과, 실시예 3의 전극박(1)은, 분단부(4)에 있어서, 갈라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분단부(4)의 평균 피치는 2100㎛이고, 10㎜ 범위당 개수는 4개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한 에칭 처리 및 화성 처리를 행했다. 분단부(4)의 형성 처리에 대해 φ22㎜의 환봉을 사용한 것 외는,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 조건이다. 이 결과, 실시예 3의 전극박(1)은, 분단부(4)에 있어서, 갈라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분단부(4)의 평균 피치 3100㎛이고, 10㎜ 범위당 개수는 3개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기재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에칭 처리 및 화성 처리를 행했다. 단, 분단부(4)의 형성 처리를 생략하고 있고, 분단부(4)는 미형성이다. 이 결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와 마찬가지로, 비교예 1의 전극박은, 심부(2)의 양면에 각각 확면부(3)를 구비하고, 각확면부(3)는, 유전체 피막(5)을 구비하고, 유전체 피막(5)을 구비한 확면부(3)의 두께는 각각 두께 36㎛로 되고, 심부(2)의 두께는 38㎛로 되어 있었다.
(에릭센 시험)
이들 실시예 1 내지 5의 전극박(1), 및 비교예 1의 전극박에 대해 에릭센 시험을 행했다. 에릭센 시험에서는, 내경 33㎜를 갖는 다이스와 블랭크 홀더에서, 실시예 1 내지 5의 전극박(1) 및 비교예 1의 전극박을 10kN으로 사이에 끼워넣고, 정(chisel) 형상을 갖는 펀치로 밀어넣었다. 정 형상의 펀치는, 폭 30㎜이고, 선단부가 단면을 볼 때 φ4㎜의 구면(球面)이다. 전극박(1)의 띠 장변 방향에 직교시키도록 해서, 펀치의 정 부위를 밀어넣었다. 펀치의 압입 속도는 0.5㎜/min으로 했다.
이 에릭센 시험의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은, 횡축을 분단부(4)의 평균 피치, 종축을 에릭센 값으로 한 그래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에릭센 값이 1.4㎜였다는 것에 대해, 실시예 5의 에릭센 값은 1.5㎜로 되어 있었다. 즉, 분단부(4)를 설치함으로써 권회 시의 굽힘 응력이 분산되고, 전극박(1)의 유연성 및 연신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분단부(4)의 평균 피치를 2100㎛ 이하로 하면, 에릭센 값은 1.7㎜ 이상으로 되고, 분단부(4)가 미형성이었을 경우에 비해 명확한 차가 생겼다. 즉, 평균 피치 2100㎛ 이하로 분단부(4)를 설치함으로써 권회 시의 굽힘 응력이 양호하게 분산되고, 전극박(1)에 양호한 유연성 및 연신성이 부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분단부(4)의 평균 피치를 950㎛ 이하로 하면, 에릭센 값은 2.0㎜ 이상으로 되고, 분단부(4)가 미형성이었을 경우에 비해 비약적으로 우수한 결과로 되었다. 즉, 평균 피치 950㎛ 이하로 분단부(4)를 설치함으로써 권회 시의 굽힘 응력이 극히 양호하게 분산되고, 전극박(1)에 극히 양호한 유연성 및 연신성이 부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분단부(4)의 평균 피치를 220㎛ 이하로 하면, 에릭센 값은 2.6㎜ 이상으로 되어, 분단부(4)가 미형성이었을 경우에 비해 더 비약적으로 우수한 결과로 되었다.
(권회 시험)
실시예 1의 전극박(1)과 비교예 1의 전극박을 실제로 권회하고, 콘덴서 소자(6)를 만들었다. 권회한 실시예 1의 전극박(1)과 비교예 1의 전극박은, 함께, 폭이 5.6㎜, 길이가 125㎜인 치수를 갖고 있었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은, 권회된 실시예 1의 전극박(1)과 비교예 1의 전극박의 사진이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전극박을 권회하면, 권심부(9) 부근에 대해서는 각소(各所)에서 다수의 절곡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권심부(9)로부터 떨어져 곡률이 커진 중층 부근에서도, 각소에서 다수의 절곡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6)의 외주면 부근에서도, 일부에 절곡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전극박(1)을 권회하면, 콘덴서 소자(6)의 외주면 부근은 물론, 권심부(9) 부근이어도, 절곡이 미발생이고, 매끄럽게 만곡해서 권회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길이의 전극박을 권회한 콘덴서 소자(6)의 직경은, 비교예 1에 있어서 7.36㎜에까지 넓어져 있는 것에 대해,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길이의 전극박(1)을 권회한 콘덴서 소자(6)의 반경은, 실시예 1에 있어서 7.10㎜로 들어갔다.
(에이징 평가)
실시예 1의 전극박(1)과 비교예 1의 전극박을 양극박으로서 사용해서 권회하여, 콘덴서 소자(6)를 만들었다. 실시예 1의 전극박(1)과 비교예 1의 전극박은, 함께, 폭이 5.6㎜, 길이가 125㎜인 치수를 갖고 있었다. 음극박(7)에는 알루미늄박을 사용했다. 음극박(7)에는, 확면부(3)를 형성하고, 유전체 피막(5)은 형성하지 않았다. 세퍼레이터에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했다.
실시예 1의 전극박(1)을 사용한 콘덴서 소자(6)와 비교예 1의 전극박을 사용한 콘덴서 소자에는 전해액을 함침하고, 바닥 구비 통 형상의 외장 케이스에 수납하고,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인출해서 봉구체로 봉지했다. 전해액은 프탈산 아미디늄염의 γ―부티로락톤 용액을 사용했다. 이에 의해, 실시예 1의 전극박(1)을 사용한 권회형 콘덴서와 비교예 1의 전극박을 사용한 권회형 콘덴서가 제작되었다.
제작된 양 권회형 콘덴서를 에이징 처리하고, 에이징 처리에 필요한 전기량을 측정했다. 에이징 처리에서는, 100℃의 온도 조건에서 정격 전압을 인가하여 에이징 처리를 행했다. 이 에이징 처리 동안,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에 흐른 전류 변화를 측정했다. 또, 양 권회형 콘덴서에 대해 에이징 처리 개시 시점에서 흘린 전류값은 동일한 값이다. 도 9는, 에이징 처리 개시 시점의 전류값을 100%로 하고, 에이징 처리 개시 시점에 대한 각 경과 시간의 전류값의 백분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전극박(1)을 사용한 권회형 콘덴서에서는, 2분이 되지 않고 전류값이 감소하기 시작하고, 3분 정도에서 에이징 개시 시점의 약 30%까지 전류값이 감소했다. 이에 대해, 비교예 1의 전극박을 사용한 권회형 콘덴서에서는, 2분을 넘어 3분 조금 미만에서 전류값의 감소가 보이고, 전류값이 에이징 개시 시점의 약 30%까지 감소하는데 5분 정도 걸렸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 1분 이상 빨리 전류값이 감소하기 시작하고, 에이징 개시로부터 5분 경과까지의 전류값과 시간의 곱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전극박(1)을 사용한 권회형 콘덴서는, 비교예 1의 전극박을 사용한 권회형 콘덴서에 비해 에이징 처리에 요하는 전기량이 삭감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1 전극박 2 심부
3 확면부 4 분단부
5 유전체 피막 6 콘덴서 소자
7 음극박 8 세퍼레이터
9 권심부

Claims (15)

  1. 띠 형상의 박(箔)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박의 표면에 형성된 확면(擴面)부와,
    상기 박 중, 상기 확면부를 제외한 잔부(殘部)인 심부(芯部)와,
    상기 확면부에 띠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확면부를 분단하는 복수의 분단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상기 박을 완전히 횡단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띠 장변 방향의 10㎜의 범위에 4개소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평균 피치가 2.1㎜ 이하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평균 피치가 1.0㎜ 이하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상기 박을 평탄하게 한 상태에서 홈 폭이 0을 포함하는 50㎛ 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상기 확면부가 갈라져 이루어지고, 상기 박을 평탄하게 한 상태에서 홈 폭이 실질적으로 0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면부와 상기 분단부의 표면에 유전체 피막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극박을 권회(卷回)하여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권회형 콘덴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박을 권회해서 이루어지는 콘덴서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 소자는, 권회 중심에 권심부를 갖고,
    상기 전극박은, 상기 권심부에 권회되고,
    상기 분단부는, 적어도, 상기 권심부에의 감기 시작을 포함하는 소정 반경 내의 권회 중심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권회형 콘덴서.
  11. 띠 형상의 박의 표면에 확면부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확면부를 분단하는 복수의 분단부를, 상기 박의 띠의 폭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스텝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의 형성의 후, 상기 박을 화성(化性) 처리하는 스텝을 더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면부의 형성의 후, 상기 분단부의 형성의 전에, 상기 박을 화성 처리하는 스텝을 더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의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면부의 형성의 후, 상기 분단부의 형성의 전에, 상기 박을 화성 처리하는 스텝과,
    상기 분단부의 형성의 후, 상기 박을 재(再)화성 처리하는 스텝을 더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박의 제조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상기 전극박을 권회함으로써 콘덴서 소자를 형성하는 소자 형성 스텝과,
    상기 콘덴서 소자에 전해질을 형성하는 전해질 형성 스텝과,
    상기 콘덴서 소자를 에이징하는 에이징 스텝
    을 갖고,
    상기 전해질 형성 스텝에 의해 상기 전해질을 형성한 후에 상기 에이징 스텝을 행하거나, 또는 상기 에이징 스텝의 후에 상기 전해질 형성 스텝에 의해 상기 에이징된 콘덴서 소자에 상기 전해질을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권회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20187016990A 2016-03-31 2017-03-31 전극박, 권회형 콘덴서, 전극박의 제조 방법, 및 권회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1914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2305 2016-03-31
JPJP-P-2016-072305 2016-03-31
PCT/JP2017/013661 WO2017171028A1 (ja) 2016-03-31 2017-03-31 電極箔、巻回形コンデンサ、電極箔の製造方法、及び巻回形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685A true KR20180075685A (ko) 2018-07-04
KR101914071B1 KR101914071B1 (ko) 2018-11-02

Family

ID=5996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990A KR101914071B1 (ko) 2016-03-31 2017-03-31 전극박, 권회형 콘덴서, 전극박의 제조 방법, 및 권회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62807B2 (ko)
EP (1) EP3385968B1 (ko)
JP (4) JP6723252B2 (ko)
KR (1) KR101914071B1 (ko)
CN (4) CN110895996A (ko)
TW (2) TWI687949B (ko)
WO (1) WO20171710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114A (ko) * 2019-03-01 2021-11-03 이너 몽골리아 우란차부 동양광 폼드 포일 컴퍼니 리미티드 전극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3724B2 (ja) * 2017-01-25 2021-10-27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80772B2 (ja) * 2017-01-25 2021-06-02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462771B (zh) * 2017-03-31 2022-08-09 日本贵弥功株式会社 电极箔及其制造方法以及卷绕式电容器及其制造方法
JP1595451S (ko) * 2017-06-20 2018-01-22
JP6953265B2 (ja) * 2017-10-10 2021-10-27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用電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338683B2 (ja) * 2019-05-24 2023-09-05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化成箔の製造方法
JP7033812B1 (ja) 2020-12-22 2022-03-11 日本蓄電器工業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用の電極箔、および電解コンデンサ
CN113470976B (zh) * 2021-05-07 2022-06-17 乳源县立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低压阳极箔脆性的方法及制得的低压阳极箔
WO2023189222A1 (ja) * 2022-03-30 2023-10-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極箔、コンデンサ素子、および、固体電解コンデンサ
CN115116753B (zh) * 2022-07-05 2023-11-28 新疆众和股份有限公司 铝电极箔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7184A (en) * 1965-12-13 1967-06-20 Union Carbide Corp Wound capacitor and method of making
US4151581A (en) * 1977-08-04 1979-04-24 Sprague Electric Company Spacer-electrolyte composite in electrolytic capacitors
US4228481A (en) * 1978-10-19 1980-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Capacitor with embossed foil electrode
JP3403443B2 (ja) * 1993-04-28 2003-05-06 昭和電工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電極用アルミニウム箔
JP3403444B2 (ja) * 1993-04-28 2003-05-06 昭和電工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電極用アルミニウム箔
JP3663952B2 (ja) 1999-02-17 2005-06-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4653644B2 (ja) 2005-11-24 2011-03-16 ニチ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用アルミニウム電極箔の製造方法
JP2009062595A (ja) * 2007-09-07 2009-03-26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アルミニウム箔材
TW200939268A (en) * 2008-03-12 2009-09-16 Sanyo Electric Co Method for making a metal foil for an ekectrolytic capacitor, and electrolytic capacitor
JP2010062406A (ja) 2008-09-05 2010-03-18 Panasonic Corp 固体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5636291B2 (ja) * 2011-01-13 2014-12-0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補強された多孔質金属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73157B (zh) * 2011-02-21 2017-03-01 日本蓄電器工業股份有限公司 電極材料、固態電解電容器及陰極箔
JP5070353B1 (ja) * 2011-04-08 2012-11-14 株式会社Maruwa フェライト複合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ようなフェライト複合シートに用いられる焼結フェライト小片
JP2012227067A (ja) * 2011-04-21 2012-11-15 Sony Corp 非水電解質電池、巻回電極体用集電体、積層電極体用集電体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用集電体の製造方法
JP5858802B2 (ja) * 2012-01-24 2016-02-10 ニチ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CN103295785B (zh) * 2012-02-22 2016-05-18 尼吉康株式会社 固体电解电容器
CN103632848B (zh) * 2012-08-29 2016-08-03 尼吉康株式会社 固体电解电容器
JP6346743B2 (ja) * 2012-12-11 2018-06-20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
WO2015019987A1 (ja) * 2013-08-05 2015-02-12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用電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I475583B (zh) * 2014-05-02 2015-03-01 Univ Nat United 一種奈米金屬線固態電容器結構與製造方法
CN104647819B (zh) * 2014-12-31 2017-02-22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隔磁材料及其柔性处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114A (ko) * 2019-03-01 2021-11-03 이너 몽골리아 우란차부 동양광 폼드 포일 컴퍼니 리미티드 전극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5968A4 (en) 2019-01-02
JP6337998B2 (ja) 2018-06-06
TW201810320A (zh) 2018-03-16
EP3385968A1 (en) 2018-10-10
KR101914071B1 (ko) 2018-11-02
JP2017220678A (ja) 2017-12-14
CN108431916A (zh) 2018-08-21
JP2017224843A (ja) 2017-12-21
US20180315552A1 (en) 2018-11-01
EP3385968B1 (en) 2021-07-14
WO2017171028A1 (ja) 2017-10-05
TWI674600B (zh) 2019-10-11
JP6338000B2 (ja) 2018-06-06
CN110895996A (zh) 2020-03-20
US10262807B2 (en) 2019-04-16
JP6337999B2 (ja) 2018-06-06
TW202004797A (zh) 2020-01-16
CN116230412A (zh) 2023-06-06
JPWO2017171028A1 (ja) 2018-04-05
JP6723252B2 (ja) 2020-07-15
CN114628159A (zh) 2022-06-14
JP2017224844A (ja) 2017-12-21
TWI687949B (zh)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071B1 (ko) 전극박, 권회형 콘덴서, 전극박의 제조 방법, 및 권회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1130518B1 (ko) 고체 전해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JP7435700B2 (ja) 電極箔、巻回形コンデンサ、電極箔の製造方法、及び巻回形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7292003B2 (ja) 電解コンデンサ及びこの製造方法
JP7338683B2 (ja) アルミニウム化成箔の製造方法
JP7124289B2 (ja) 電解コンデンサ
JP7495848B2 (ja) 電解コンデンサ
TWI798668B (zh) 電解電容器用電極箔及電解電容器
JP7168185B2 (ja) リード線端子及び電解コンデンサ
JP2019067939A (ja) 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47783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