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187A -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187A
KR20180074187A KR1020160178028A KR20160178028A KR20180074187A KR 20180074187 A KR20180074187 A KR 20180074187A KR 1020160178028 A KR1020160178028 A KR 1020160178028A KR 20160178028 A KR20160178028 A KR 20160178028A KR 20180074187 A KR20180074187 A KR 20180074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eating
steel plate
steel sheet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187A/ko
Publication of KR2018007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8Heat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2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온도 균일화 장치는, 강판의 압연 후 가속 냉각의 실시 전에 동작되는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로서, 상기 강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을 포함하는 이송 롤러부 및 상기 복수의 이송 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강판의 온도 분포에 따라 온도를 가변하면서 발열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포함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 {APPARATUS FOR BALANCING TEMPERATURE OF STEEL PLATE}
본 발명은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판의 일 종류로서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후판이라 하며, 이러한 후판의 제조는 두꺼운 슬라브를 재가열로에서 가열, 추출한 후 압연기를 통과하면서 목표 사이즈 및 물성을 가지도록 소성변형을 가하고, 필요시 가속냉각 장치를 통과하여 강판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강판 내에 원하는 상을 분포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재를 가열, 압연, 냉각하는 과정에서 소재 내부에는 온도편차가 존재하게 되며, 후판의 경우에는 폭방향 에지부, 길이방향 선단 및 후단에서의 온도저하 현상이 주로 발생한다.
특히, 가열 중 슬라브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조물과의 접촉부위에서의 온도저하 현상이 유발된다. 특히, 후판 내에서의 온도 편차는 특히 가속 냉각 시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이력에 영향을 주게 되어 고온부와 저온부의 재질 편차가 유발되고 판 변형이 유발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해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701994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54883호 내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32538호 등을 참조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701994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5488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325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후판의 처리 공정에서 후판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여 후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온도 균일화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온도 균일화 장치는, 강판의 압연 후 가속 냉각의 실시 전에 동작되는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로서, 상기 강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을 포함하는 이송 롤러부 및 상기 복수의 이송 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강판의 온도 분포에 따라 온도를 가변하면서 발열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포함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 가열체는,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고,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열을 발산하는 복수의 가열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도 가열체에 구비된 복수의 제1 가열 셀은, 상기 제1 유도 가열체에 인접한 제2 유도 가열체에 구비된 복수의 제2 가열 셀과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균일화 장치는, 상기 강판과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체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이송하는 가열체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체 이송부는, 상기 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상기 강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부 가열 이송체 및 상기 강판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상기 강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부 가열 이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롤러부는, 상기 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강판을 이송 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을 포함하는 상부 이송 롤 및 상기 강판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강판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을 포함하는 하부 이송 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가열 이송체는, 상기 상부 이송 롤과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상기 강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킬 때 상기 상부 이송 롤도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균일화 장치는, 상기 강판의 온도 분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강판의 저온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저온 영역의 위치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체 중 적어도 일부를 가열 동작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균일화 장치는, 상기 강판의 온도 분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강판의 저온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강판의 폭 방향 에지에 존재하는 상기 저온 영역의 위치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가열 셀 중 적어도 일부를 가열 동작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균일화 장치는, 상기 강판의 온도 분포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강판의 상부면과 하부면 간에 온도 편차가 존재하면, 상기 온도 편차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이송 롤 및 상기 하부 이송 롤의 이송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후판의 처리 공정에서 후판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여 후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로 비 대칭적으로 배열된 가열 셀을 이용하여 후판의 다양한 저온 영역을 개별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저온 영역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생산 공정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균일화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균일화 장치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의 일 예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강판의 이동에 따라 다르게 가열되는 가열 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강판의 중앙부의 온도가 진행 방향의 선단의 온도보다 높은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예에서의 유도 가열체에 인가되는 전력 및 시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예에서 가열전 선단부 온도 상승을 위한 누적 인가 전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강판의 폭방향의 온도 편차의 예들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9의 예에서 가열 셀의 상태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또는, '후판' 이라 함)의 생산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강판은 가열로(10), 폭 내기 압연기(21), 길이 내기 압연기(22), 온도 균일화 장치(100), 가속 냉각기(30) 및 열간 교정기(40)를 거쳐서 후판(1)이 제조 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강판의 압연 후, 가속 냉각의 실시 전에 강판의 온도를 균일화 하기 위한 온도 균일화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는, 가속 냉각 시 후판 내에서의 온도 편차에 의하여 강판의 고온부와 저온부의 재질 편차가 유발되고 판 변형이 유발되는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강판의 냉각 공정 이전에 강판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온도 균일화 장치(100)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균일화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 균일화 장치(100)는 이송 롤러부(110) 및 가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온도 균일화 장치(100)는 가열체 이송부(130) 또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롤러부(110)는 강판(1)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강판(1)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20)는 복수의 이송 롤 사이에 구비되며, 강판(1)의 온도 분포에 따라 온도를 가변하면서 발열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체 이송부(130)는 강판(1)과 복수의 유도 가열체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이송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강판(1)의 온도 분포 정보를 입력받아 강판(1)의 저온 영역을 결정하고, 저온 영역의 위치의 이동에 대응하여 복수의 유도 가열체 중 적어도 일부를 가열 동작 시킬 수 있다.
온도 분포 정보는 강판의 생산 공정 중에서 취득되는 정보로서, 별도의 장치나 공정에서 제공될 수 있다. 즉, 온도 분포 정보는 강판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별도의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강판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별도의 장치에 대해서는 기 공지된 다양한 기술들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균일화 장치를 설명하는 정면도로서, 이하 도 3을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복수의 객체를 설명하는데 있어, 일부 개체에 대해서만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부호가 표기되지 않은 다른 개체에도 후술할 설명이 적용됨은 자명하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송 롤러부(110)는 하부 이송 롤(111, 113) 및 상부 이송 롤(112, 11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이송 롤(111, 113)은 강판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강판의 하면과 접촉하여 강판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이송 롤(112, 114)은 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강판의 상면과 접촉하여 강판을 이송 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하부 이송 롤(111, 113)과 상부 이송 롤(112, 114)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하부 이송 롤(111, 113)과 상부 이송 롤(112, 114)은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부 이송 롤(112, 114)은 실시예에 따라 강판에 수직하는 방향, 도시된 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송 롤러부(110)는 하부 이송 롤(111, 113) 및 상부 이송 롤(112, 114)을 이용하여 강판(1)에 압력을 가하여, 강판(1)의 평탄화를 교정하는 교정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열부(120)는 복수의 이송 롤 사이에 구비되며, 강판의 온도 분포에 따라 온도를 가변하면서 발열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유도 가열체는, 각 이송 롤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부 이송 롤(111, 113)의 사이마다 유도 가열체(121, 123)가, 상부 이송 롤(112, 114)의 사이마다 유도 가열체(122, 124)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유도 가열체와 이송 롤이 1:1의 비율로 구비되고 있으나, 이 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컨대, 이송 롤 복수 개 마다 유도 가열체 하나가 구비되는 등과 같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유도 가열체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가열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도 가열체는 전력을 공급하여 발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유도 가열체(121 내지 124)는 제어부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발열 제어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유도 가열체는 강판의 진행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길이 방향으로 강판의 저온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는 강판의 저온 영역의 진행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위치의 유도 가열체를 가열함으로써 저온 영역에만 발열을 제공하여 강판의 온도를 평준화시킬 수 있다.
한편, 가열체는 온도 조절을 위하여 위치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열체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가열체 이송부(130, 도 2에 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가열체 이송부(130, 도 2에 도시됨)는 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122, 124)를 강판(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부 가열 이송체와, 강판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121,123)를 강판(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부 가열 이송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체 이송부(130, 도 2에 도시됨)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기판에 대한 유도 가열체(121 내지 12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미도시)는 강판의 상부면과 하부면 간에 온도 편차가 존재하면, 이러한 온도 편차에 대응하여 상부 이송 롤 및 하부 이송 롤의 이송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가열 이송체는 상부 이송 롤(112, 114)과 기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상부 가열 이송체는 상부의 복수의 유도 가열체(122, 124)를 강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킬 때 상부 이송 롤(112, 114)도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의 일 예를 설명하는 평면도로서,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가열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가열부는 강판(1)의 하부 측에 구비되는 하부 이송 롤(111, 113)의 사이마다 유도 가열체(121, 123)를 예시들어 설명하나, 강판의 상부 측에 구비되는 유도 가열체(122, 124)에도 이하의 설명이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유도 가열체(121, 123)는 각각 개별적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는 강판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다르게 가열을 위한 것임을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유도 가열체(121)는 강판(1)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가열 셀(411, 4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가열 셀(411, 412)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유도 가열체(121)는 강판(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이용하여 강판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가열을 수행하듯이, 하나의 유도 가열체는 복수의 가열 셀을 포함하여 강판의 폭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가열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어느 하나의 유도 가열체에서의 가열 셀의 위치는, 인접한 유도 가열체에서의 가열 셀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즉, 도시된 예와 같이, 제1 유도 가열체(121)에 구비된 복수의 제1 가열 셀(411, 412)은, 제1 유도 가열체에 인접한 제2 유도 가열체(123)에 구비된 복수의 제2 가열 셀(421, 422)과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강판의 폭 방향에서의 에지에 대하여 보다 정밀한 온도 제어를 위한 것으로서, 이는 이하의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강판의 이동에 따라 다르게 가열되는 가열 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5 를 참조하여, 강판의 길이 방향의 온도 차이에 대응하여 가열을 수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H1 내지 H5)가 각각 다른 온도로 가열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유도 가열체 H1에 보다 높은 시간과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대적으로 유도 가열체 H5에 보다 작은 시간과 낮은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함을 알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강판의 온도의 분포에 따라, 유도 가열체의 온도를 상이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강판의 중앙부의 온도가 진행 방향의 선단의 온도보다 높은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도 6의 예에서의 유도 가열체에 인가되는 전력 및 시간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6의 예에서 가열전 선단부 온도 상승을 위한 누적 인가 전력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강판(1)에서 중앙부(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진행 방향의 선단의 온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예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균일화 장치는, 강판의 선단부분의 온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유도가열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강판의 선단부가 유도가열체를 통과할 때 전력을 인가하되, 강판의 온도가 낮은 영역이 지나갈 때 보다 높은 발열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유도 가열체의 제어를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낮은 선단부가 제1 유도 가열체(H1)에서 제 5 유도 가열체(H5)를 통과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 유도가열체에 전력인가량과 유지시간이 제어된다. 즉, 유도 가열체에 인가되는 전력량과 유지시간은 선단부의 온도분포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선단부를 가열하기 위하여 각각 유도 가열체에 인가된 전력량을 누적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는, 누적전력량이 클수록 온도상승량이 크므로 인가전력량과 유지시간의 제어를 통하여 선단부의 온도보상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의 예는 강판의 길이방향의 선단부의 예를 들어, 강판의 길이 방향의 온도 편차에 대응하는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강판은 길이 방향 외에도 폭 방향으로 온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도 9 및 도 11은 강판의 폭방향의 온도 편차의 예들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도 9의 예에서 가열 셀의 상태를 도시하는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예예서, 강판의 폭 방향에서 에지부에 저온 현상이 유발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도 가열체에 포함된 복수의 가열 셀을 서로 다르게 발열 시킴으로써, 강판의 폭 방향의 에지부에 대해서 높은 발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유도 가열체에는 복수의 가열 셀이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가열 셀 중에서 강판의 폭 방향의 에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가열셀에 대하여 보다 높은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강판의 폭 방향의 에지부에 대해서 높은 발열을 제공할 수 있다.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열 셀의 위치는 인접한 유도 가열체와 조금씩 차이나게 위치되므로, 강판의 폭 방향 에지에서 가열 셀의 위치는 조금씩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 셀의 위치에 따라, 유도 가열체 상의 하나의 가열 셀에서 제공하는 온도가 도 10 과 같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밀하게 에지 부분에 대한 발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도 균일화 장치는 강판의 두께에 상관없이 유도 가열체와 강판 상면간의 거리를 조절 할 수 있으며, 강판에 상부와 하부의 온도편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부와 하부의 유도 가열체에 인가하는 전력량을 제어함으로써 상하온도편차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균일화 장치는 강판의 길이방향 온도차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저온 부위가 유도 가열체를 통과할 때 전력량 및 전력 인가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강판의 선단부, 후단부 및 강판 내부의 온도편차에 대응하여 적절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균일화 장치는 폭방향으로 구별되어지는 유도 가열체의 복수의 셀의 배치를 이용하면 폭방향 온도보상이 정밀하게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가열로 21 : 폭 내기 압연기
22 : 길이 내기 압연기 30 : 가속 냉각기
40 : 열간 교정기
100 : 온도 균일화 장치
110 : 이송 롤러부 120 : 가열부
130 : 가열체 이송부

Claims (10)

  1. 강판의 압연 후, 가속 냉각의 실시 전에 동작되는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로서,
    상기 강판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을 포함하는 이송 롤러부; 및
    상기 복수의 이송 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강판의 온도 분포에 따라 온도를 가변하면서 발열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포함하는 가열부;
    를 포함하는 온도 균일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체는
    상기 강판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고, 서로 개별적으로 동작하여 열을 발산하는 복수의 가열 셀;
    을 포함하는 온도 균일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유도 가열체에 구비된 복수의 제1 가열 셀은, 상기 제1 유도 가열체에 인접한 제2 유도 가열체에 구비된 복수의 제2 가열 셀과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는 온도 균일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균일화 장치는
    상기 강판과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체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이송하는 가열체 이송부;
    를 더 포함하는 온도 균일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체 이송부는
    상기 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상기 강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부 가열 이송체; 및
    상기 강판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상기 강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하부 가열 이송체;
    를 포함하는 온도 균일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부는
    상기 강판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강판을 이송 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을 포함하는 상부 이송 롤; 및
    상기 강판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강판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롤을 포함하는 하부 이송 롤;
    을 포함하는 온도 균일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열 이송체는
    상기 상부 이송 롤과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체를 상기 강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킬 때 상기 상부 이송 롤도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온도 균일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균일화 장치는
    상기 강판의 온도 분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강판의 저온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저온 영역의 위치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체 중 적어도 일부를 가열 동작 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온도 균일화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균일화 장치는
    상기 강판의 온도 분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강판의 저온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강판의 폭 방향 에지에 존재하는 상기 저온 영역의 위치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가열 셀 중 적어도 일부를 가열 동작 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온도 균일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균일화 장치는
    상기 강판의 온도 분포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강판의 상부면과 하부면 간에 온도 편차가 존재하면, 상기 온도 편차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이송 롤 및 상기 하부 이송 롤의 이송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온도 균일화 장치.
KR1020160178028A 2016-12-23 2016-12-23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 KR20180074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028A KR20180074187A (ko) 2016-12-23 2016-12-23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028A KR20180074187A (ko) 2016-12-23 2016-12-23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187A true KR20180074187A (ko) 2018-07-03

Family

ID=6291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028A KR20180074187A (ko) 2016-12-23 2016-12-23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1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662A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포스코 유도가열장치
CN112170506A (zh) * 2020-10-14 2021-01-05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镁或镁合金板带材输送辊道补温方法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662A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포스코 유도가열장치
CN112170506A (zh) * 2020-10-14 2021-01-05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镁或镁合金板带材输送辊道补温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7931B2 (en) Heating method,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molded article
JP6007597B2 (ja) 形鋼用曲り矯正装置および形鋼の曲り矯正方法
JP2010163634A (ja) ストリップ材処理装置
KR20180074187A (ko) 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
CN109927331B (zh) 加热辊压装置及加热辊压方法
JP2007175755A (ja) 誘導加熱装置
JP2015029992A (ja) ローラーレベラによる鋼板の矯正方法及びローラーレベラ
KR101439511B1 (ko) 고주파 열처리 대상물을 위한 교정장치
KR20180073366A (ko) 강판의 교정 장치
KR101632895B1 (ko)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
US1872713A (en) Apparatus for heat treating objects
KR101424472B1 (ko) 강재 온도 조절장치
CN104160047A (zh) 金属管的制造方法和制造设备
CN106661642B (zh) 热处理装置用的输送装置以及热处理装置
JP4581418B2 (ja) 厚鋼板の熱処理方法
JP2011230131A (ja) 熱間圧延ラインにおける圧延ピッチ制御方法
JP6064199B2 (ja) 熱処理装置
TWI413556B (zh) 熱軋的冷卻裝置及冷卻方法
KR101705687B1 (ko) 소재 가이드 장치
KR20110132995A (ko) 열처리 장치, 열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643921B1 (ko)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
JP6466154B2 (ja) 熱処理装置
KR101594706B1 (ko) 선재코일 균일냉각장치
JP2005126746A (ja) 小径金属棒材の加熱装置、加熱冷却装置、及び熱処理方法
JP2003013134A (ja) 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53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15

Effective date: 20191031